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정의론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

        오민용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7 No.-

        법의 이념은 정의(justice)이다. 이 정의는 법과 판결을 통해서 구체화되고 실현된다. 그러나 ‘제정법 된 법’과 이 법의 적용되는 ‘사안(case)’에는 시간적 간극이 존재한다. 이 간극은 ‘미래’라는 시간적 차원의 문제이다. 따라서 법의 이념인 정의를 온전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 간극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법의 정의 탐구는 정의의 본질 탐구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 정의를 고려해야 한다. 정의를 시간적 차원에서 탐구하고 법에 적용하기 위하여서, 이 문제를 데리다의 해체론적 정의이론을 통해 탐구하려고 한다. 특히 데리다의 저서인 『법의 힘』을 중심으로이 문제를 다루겠다. 해체적 정의론의 중요 개념인 ‘차연(différance)’, ‘아포리아(aporia)’, ‘결정 불가능성(undecidability)’을 나침판으로 삼아 『법의 힘』을 탐구한다. 그리고 법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서 판결에서 판결의 해체와 해체의 판결, 현재의 법은 어디로?, 결정의 불가능성과 법의 결정 가능성, 법의 정합성, 판결에서의 계산 불가능성과 계산 가능성의 입맞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본 글은법적 정의는 계산 가능성의 합리성만이 아니라, 계산의 판단 중지, 계산 불가능성, 결정의 광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서 법의 보편성과 사안의 고유성문제가 해결되고, 법적 정의는 현재적 정의 안에 이미 전미래시제의 정의가 포함되어 있으며, 법의 정합성 역시 이 미래적 시간차원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지구적 빈자(Global Poor)에 대한 도덕적 의무와 초국적 정의 (Transnational Justice)

        백미연(BAIK Mi-Youn)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이 논문은 지구적 빈자 문제를 정의의 문제로, 그리고 지구적 빈자가 정의의 주체이자 행위자로 포함되는 도덕적 접근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참여의 평등원칙?과 ?종속을 공유하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원칙?을 기초로 한 ?초국적 정의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지구적 빈자가 처한 복합적인 지배와 종속의 교차라는 진짜 문제를 드러내어 부정의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성찰적?(reflexive)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서로 다른 이슈, 목적, 맥락에 따라 지구적 빈자가 정의의 요구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정의논쟁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주의적?(pragmatistic)이다. 따라서 지구적 빈자를 적극적인 정의의 주체로 포함하는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정의의 내용과 책임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생산해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성찰성과 실용성 면에서 강점을 지닌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한국사회에서 정의논쟁의 재구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philosophical approach which treats the issue of the global poor as the matter of justice and includes the global poor into the subjects and agents of justice. To this end, I propose the transnational justice approach based on ‘parity of participation principle’ and ‘all-subjected principle’. The global poor are afflicted with the intersection of multi-dimensional dominations and subjections. This approach is ‘reflexive’ in that it exposes real problem of them and explains their problem as the intersection of multi-dimensional injustices. This approach also is ‘pragmatistic’ in that it tells us when and where to apply which frame. I want to contribute to the normative groundwork of a realistic approach on the global poor.

      • KCI등재

        ‘문빠’의 정의(正義)와 여성주의적 장소성

        김현 한국여성철학회 2018 한국여성철학 Vol.29 No.-

        이 글의 목적은 미국의 여성주의 정치 철학자 아이리스 매리언 영의 다원적 정의론을토대로 하여 ‘문빠’와 ‘여성주의’의 공존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정의로운 사회가 충족시켜야하는 조건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출발점으로서 이 글은 먼저문빠와 여성주의의 교집합으로서 아이리스 매리언 영의 ‘이질적 공중’ 개념을 적극적으로 차용한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열성적지지층들을 속되게 부르는 일명 문빠는 문재인 대통령에대한 열성적 지지라는 공통분모를 제외한다면, 이념적 성향이나 계층, 연령, 직업, 성별, 지역적분포 등의 측면에서 대단히 포괄적인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문빠는 단일한 속성을가진 집합적인 실체로 환원할 수 없는 이질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 정부의 정책과 정치적 사안에따라 이합집산을 반복하는 사건적 주체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빠와 여성주의를 조합 가능성을 탐구해보려는 시도는 문빠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이질성 때문이다. 여성주의 또한 ‘여성’이라는 단일한 집합적 실체를 가정하지 않으며 사건과 사안에 따라 형성되는 유동적 보편성과 사건적 주체성을 주요한 특징으로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문빠와 여성주의는 사건과사안에 따라 나타남과 사라짐을 반복하는 유동적 보편성을 교집합으로 삼는다는 진단도 가능할듯하다. 문제는 촛불혁명의 주된 동력이자 새 정부의 성패를 좌우할 열성적 지지층으로서의문빠가 지향하는 정의가 여성주의적 정의와 공명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질적 주체들의느슨한 연대라는 공통적인 지반에도 불구하고, 근래 우리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로 부상한미투 운동이 보여주고 있듯, <나라다운 나라>, <적폐 청산>, <공정한 대한민국>이라는 정의의슬로건은 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억압의 완전한 철폐와 근절을목표로 삼는 여성주의적 정의관을 충족시키기엔 다분히 추상적이고 안이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음의 몇 가지 점들을 해명해 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첫째, 문빠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이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지지를 표방하는 문빠가 새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문빠 현상을 여성주의적 맥락에서 가늠해 보는 것은, 새 정부가 표방하는 여성정책의주요한 의제들의 현실적 적실성 및 그것의 성패여부를 점쳐볼 수 있는 중요한 밑 작업이 될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상식과 원칙을 표방하는 문빠의 정의 속에서 여성주의적 장소는 어떻게구성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와 문빠가 어떤 점에서 동일한 지반을공유할 수 있을지, 또 어떤 문제 때문에 함께 할 수 없는지가 선명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이런점에서 이 글은 정치사회적, 역사적, 이념적 맥락에서 검토되고 있는 문빠에 대한 논의를 여성주의적 관점과 맥락에서 탈구축하여 이를 재구성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법조의 자율성과 공공성

        이경원(Lee Kyung-Won),김정화(Kim Joung-Hwa)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6

        헌법, 법원조직법, 법관윤리강령, 검찰청법, 검사윤리강령, 변호사법, 변호사 윤리강령은 법조 3륜이 지켜야 할 직무상의 업무수행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내용은 사법이 추구하는 공공성 이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사법에 대한국민의 불만과 불신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민주사회의 한 축을 이루어 국가권력의 남용을 견제하고, 공정한 분쟁 해결을 통해 사회정의와 같은 공공성의 확보에 기여해야 함에도 이와는 거리가 먼 사법과 법조인의 행태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법의 운영에 공공성의 개념과 차원을 논의한다. 사법적 관점에서 공공성이란 무엇이고 그 판단의 근거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사회정의의 차원에서 공공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사법과정의 중심에 법조인이 있다. 전문직으로서 한국 법조인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법의 독립성과 정의를 위하여 요구되는 전문직으로서 자율성의 정도와 그 한계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법조 전문직의 자율성 인식의 결여에서 오는 법조인의 정체성 문제와 문화적맥락에 따른 딜레마 현상의 실제와 그 함의를 사법정의의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법원과 검찰을 중심으로 한 사법권력과 변호사의 공익 기능의 실종은 사법의 주체와 절차 그리고 내용이라는 차원에서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1990년대 중반이후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는 사법개혁의 필요성이 이를 잘 말해준다. 사법의 공적 기능의 위기에 대한 분석과 진단은 법조사회가 관료제적 병폐와 연고주의 그리고 현실권력과의 밀착된 면을 지적한다. 사법과정에의 동등한 접근이나 참여의 제도적 한계도 또 다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법원과 사법권력은 국민들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실패하고 있으며, 이는 권위주의적 사법의 한계를 벗지 못하는 반증이기도 하다. 과연 우리의 법조인들이 사회와 고객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는 법조 전문직(professional)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하며, 결과적으로 법을 통한 국민들의 권리행사와 사법정의의 구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법의식의 고양을 통한 법치주의의 실현에도 결코 바람직스럽지 못하며, 또한 국민들을 법률문외한인 상태로 방치하면서 국민들을 상대로 특권층을 형성하고 기득권을 고수하는 모습마저 보여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법권의 독립과 법조전문성의 회복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The legal professional in Korea has established its professional autonomy based on the exclusive knowledge and technology which are claimed as essential for the specific conflict-solving. The government has also granted its priviledge on conditioning that the professionals maintain the status of public figure. However, according to Freidson(1970a; 1970b; 1986), there are some conditions that make possible the legal profession to maintain such autonomy and priviledge. The self-regulation constitutes the essential part of what the autonomy is to be upheld. We assume that the legal professionals in Korea have failed to maintain the rule of self-regulation at collective level. More people are not satisfying about the legal services they provide and getting suspicious about their competence in a time of openness and participation. They have beefed up their own interests regardless of what the public want. The failure of self-regulation has brought about its consequences. The government not the professionals in collective manner has tried to intervene and set the reform agenda. It is in fact major setback in terms of maintaining autonomy which is essential character, according to Freidson, of what the professionals are all about. We focus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legal professionals in Korea. As professionals what ar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y have formed and their ramification to the Korean society in terms of legal justice. We intend to examine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ism and publicness.

      • 주거정의에 대한 철학적 고찰

        임재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6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소득, 자산, 건강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불평등이 심화되어 왔으며, 일시적 빈곤이 교육, 주택 등 불평등을 통해 대물림되어 지속적 빈곤의 고착화로 사회의 역동성과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주거불평등에 대한 주거복지정책으로는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과 주거급여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재분배 위주의 정책으로는 주거취약계층이 겪고 있는 경제적 부정의는 물론 문화적 부정의와 정치적 부정의를 해소할 수 없다. 이 연구는 주거빈곤에 대해 프레이저의 3차원적 부정의 문제 해결을 위한 재분배-인정-대표 프레임과 센의 역량접근법의 철학적 근거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주거빈곤에 대한 정책의 윤리적 근거를 철학적으로 구축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레이저의 사회정의론과 센의 역량접근법의 철학적 토대를 검토하고 두 이론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주거빈곤에 대한 논의에서 두 이론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한다. 주거권이나 주거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정의가 재분배 관점에서 이루어진 점을 비판하고, 그 한계를 지적한다. 프레이저의 3차원적 부정의 이론은 경제적 잘못된 분배와 문화적 무시, 정치적 주변화 문제를 안티테제와 환원주의로 해결할 수 없으며, 지위모델과 변혁적 개선책으로 치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센 역시 인간의 기능 수행 역량을 기준으로 복지, 불평등, 가난을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취된 기능보다 기능 성취 역량이 더 중요하다. 역량집합은 개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원하는 자유를 의미한다. 즉 빈곤은 자유의 박탈을 의미한다. 주거역량은 단순한 주거권의 차원이 아닌 주거문제를 통해 재분배-인정-대표 프레임을 재설정하는 한편, 복지의 결핍 상태인 빈곤을 극복하기 위한 복지 목적의 평가와 실질적인 기회를 의미한다. 주거역량은 심의 민주주의 또는 협력적 참여를 통해 작성되어야 한다.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of 1997, Korea has been deepen multi-level inequalities in income, asset, health, temporary poverty were fixed perpetual poverty through education, housing, etc. This study is focusing to housing welfare system as public rental housing and housing voucher program. These systems are just economic redistribution, and could not solve the problems of housing vulnerable class as economic injustice, cultural injustice, and political injustice. This study attempts the philosophic foundation of policies to housing injustice with Frazer`s justice theory and Sen` capability approach. First, I review the two theories, comp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solve housing injustice, at last attempt to incorporate two theories. The notions of housing rights and housing poverty have a limitation to economic redistribution. Frazer`s three level justice theory emphasizes that economic distribution, cultural ignorance, and political representation impossibility can not reduct to anti-these and reductionism, and that status model and revolutional improvement. Sen` capability approach also professes that we should evaluate welfare, inequality, and poverty by humane function performance capabilities. Functional achievement capabilities is more important than achieved functions. Capability set means the freedom of doing one`s wants. Poverty is deprivation of freedom. Housing capability is not housing right but the redistribution-recognition-representation frame, and should mean effective welfare opportunities to overcome housing poverty. Housing capability has made the lists through deliberative democracy or coopera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도박의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개념의 명확화

        이순묵,김종남,최삼욱,현명호,김수진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도박연구에서 정의 및 범주화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연구, 이론, 및 실제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서 도박의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하였다. 도박 정의에서는 고전적 범주화에서와 같이 필요충분한 정의용 특성으로서 도박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제시하기보다는, 도박 원형과의 연관성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인식하는 원형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도박범주에 포함되는 행동들은 원형에 가까운 정도의 관점에서 볼 때 연속선상에 놓이므로 중심적인 사례는 물론 주변적인 사례까지 모두 설명이 가능하다. 도박에 대한 원형적 정의는 여가 맥락에서 비여가 맥락에 이르기까지, 오락/사교로서는 물론 주목적을 상실한 경제행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속성과 수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도박들을 이해하는 틀이 된다. 한편, 도박행동의 범주화는 비문제성 도박과 문제성 도박의 하위범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 두 하위범주 내에서는 범주모형이 아닌 차원모형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또 다시 범주화를 한다면 범주화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각 하위범주 내의 전범위에 걸친 이해와 관리를 시도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field of gambling stud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doing research, developing theories, and practicing applications due to the fact that definitions and categorizations of gambling are neither well refined nor integrated. We presented a clarification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irst, we suggested to adopt Roschian approach to conceptualizing definitions of gambling. We presented prototypical features of gambling that are useful for describing gambling behaviors. Second, we integrated the general levels 0, 1, 2, 3 by Shaffer and colleagues into two subcategories of gambling: problematic gambling and non-problematic gambling. Each of two subcategories can be described on a dimension divided into two levels or intervals. However, the levels under the subcategories are not appropriate for applying Roschian categorization. The two levels are based on a dimensional approach rather than a prototypical one. By clarifying the nature of how gambling behaviors are categorized or described, different agents in the field of gambling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consistently with each other and pursue convergence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

        건축물 평면 형상 역설계 자동화를 위한 Scan-to-Geometry 맵핑 규칙 정의

        강태욱 한국BIM학회 2019 KIBIM Magazine Vol.9 No.2

        Recently, many scan projects are gradually increasing for maintenance, construction. The scan data contains useful data,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target application from the facility, space. However, modeling the scan data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requires a lot of cost. In example, the converting 3D point cloud obtained from scan data into 3D object is a time-consuming task, and the modeling task is still very manual. This research proposes Scan-to-Geometry Mapping Rule Definition (S2G-MD) which maps point cloud data to geometry for irregular building plane objects. The S2G-MD considers user use case variability. The method to define rules for mapping scan to geometry is proposed. This research supports the reverse engineering semi-automatic process for the building planar geometry from the user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간문화능력이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의 ‘개인 간 갈등’을 중심으로

        원순옥,김영경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cultural competence affects conflict management style. To achieve this goal, the inte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domai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preferred in their interpersonal conflic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the cognitive, affective, practical domai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gration and compromise conflict management style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se findings show the inclination that intercultural competence is a positive mediator for the choice of conflict management approaches that are pro-social and cooperative, including integration and compromise conflict management style but intercultural competence c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hoice of exclusive conflict management style such as control method. Based on thes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cquisition of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is to be a valid way to help adopt a healthy conflict management style, this researcher propose to embed the elements of intercultural capacity in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간문화능력이 갈등관리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데목적을 두고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구성원이 보유한인지적, 정의적, 실천 차원의 간문화능력 요소와 그들의 ‘개인 간 갈등’에서 선호되는갈등관리방식 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차원, 정의적차원, 실천 차원의 간문화능력 모두 통합과 타협 갈등관리방식과는 정(+)의 상관성을 보이고 통제 형태의 갈등관리방식과는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연구 결과는 간문화능력이 통합과 타협 등 친사회적이고 협력적 성향의 갈등관리방식 채택에는 긍정적인 매개로 작동하는 반면 배타적 성향의 통제 갈등관리방식의사용에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간문화능력의 습득이 건전한 갈등관리방식을 수용하도록 돕는 유효한 방안이라간주하여 다문화교육 내용과 운영에서 간문화능력의 요소를 내장할 것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가뭄사상에 대한 3차원적 시공간 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

        유지영,소병진,권현한,김태웅 대한토목학회 202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0 No.1

        A drought event is characterized by duration, severity and affected area. In general, after calculating a drought index using hydrometeorologicaltime series at a station, a drought event is defined based on the run theory to identify the beginning and end time. However, this one-dimensional analysis has limitations for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paths of drought.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fine a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 using a simple clustering algorithm and to develop a drought map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drought severity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expansion of drough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two-dimensional monitoring information to show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index, a proposed drought map is able to showthree-dimens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inclusing drought duration, spatial cumulative severity, and centroid of drought. The analysisof drought map indicated that there was a drought event which had the affected area less than 10 % while on occations while there were 11 drought events (44 %) which had the affected area more a than 90 % of the total area.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tion of drought affected area and severity corresponding to various drought durations. The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drought analysis is useful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patterns of regional drought whi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mitigation measures for future extreme droughts. 가뭄사상은 지속기간, 심도, 피해면적 등으로 특성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뭄사상은 관측소별로 구축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한 후, 연속이론에 따라 가뭄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파악하여 정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1차원적 분석방법은 가뭄의 시공간적인 발생특성 및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3차원(경도, 위도, 시간)적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가뭄의 시공간적 확장에 따른 가뭄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가뭄지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가뭄지도는 가뭄지수를 공간적으로 표출하는 2차원적 가뭄 모니터링 정보와 비교하여 3차원적 가뭄사상에 대한 특성(지속기간, 공간적 누적심도, 가뭄의 중심)을 모두 표출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가뭄 지속기간 내 가뭄 발생면적이 최소 10 % 미만인 국소면적인 경우도 있는 반면, 최대 90 % 이상으로 확장되는 비율도 44%(25개 사상 중 11개 사상)로 확인되었다. 이는 3차원적으로 해석한 다양한 가뭄 지속기간 변화에 따른 공간적인 가뭄의 면적 변화와 심도(강도) 변화에 대한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 하는 것이다. 3차원 시공간적 가뭄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을 위한 연구는 미래 극한가뭄 대응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지역적 가뭄의 시공간적 발생특성 및 패턴을 해석하는 데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위한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

        김명수,최원익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8 No.3

        Recently, many studies have proposed methods to analyze air traffic flow or predict aircraft trajectories by applying deep learn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urrent network using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 to effectively learn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data over time to perform aircraft trajectory predictions. Specifically, we exploit LSTM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past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valu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keys, queries, and values. Extensive experiments using real-world datase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multi-head attention-based Bi-LSTM model for specific flights. In the case of latitude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 reduces the MAE error by 29% for the KAL1253 flight and the RMSE error by 17% for the KAL1209 flight. In the case of longitude prediction, the MAE error for the KAL1253 flight is reduced by 83%, and the RMSE error for the KAL1257 flight is reduced by 82%. 최근 많은 연구들에서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항공 교통 흐름을 분석하거나 항공기 궤적을 예측하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른 위도, 경도, 고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attention을 적용하는 부분에서 LSTM을 사용함으로써 key, query, value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위도, 경도, 고도 값의 중요성을 예측 모델에 강조하도록 하였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광범위한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특정 항공편에 대해서 multi-head attention 기반의 Bi-LSTM 모델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위도 예측의 경우 제안하는 모델이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29%의 오차를 줄였고, KAL1209편에 대해서 RMSE 기준 17%의 오차를 감소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 경도 예측에서는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83%, KAL1257편에 대해서 RMSE기준 82%의 오차가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