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내용의 적정화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에 확정ㆍ발표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과서 개발이 착수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들이 각 교과 교육과정 속에 어떻게 반영 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교과 교육과정에의 적용과 이에 터한 교과서 개발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및 총론의 적용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주요 방향 중의 하나인 “교과 교육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과 더불어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적정화하는 방향 추구”가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교육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용체계의 주요 내용인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함양을 위한 향후 초등 도덕 교과서 개발과 도덕수업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어 응용되도록 하는데 데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raised ne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s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se are reflected in this curriculum at the time that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no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substantially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based on it. Thu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and how these wer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has been focused on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fter seeing one of the main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y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 of each subject. At this end, I introduced the results that the area, the core concept, the generalized knowledge, the grade specific content element and skill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ntent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document apply to the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is will allow to become a cornerstone for us correctly to understand and apply to the focus and principle of the revised moral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moral teaching for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for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된 농업생명과학 내용 분석

        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criteria of analysis was the teh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As a result of stud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criteria was set up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analysis was the first, the procedure to determin a mismatch betwee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second,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from the first procedure.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not only in a certain number of subjects but also organized without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such as the sequence, the continuity, and the integration. Secon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without balance of the contents criter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Furthermore, a total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as not enough to meet the purpose of the agricultural education.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 future, the positive aspec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a future, more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요 연구 방법인 문헌연구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 과목의 내용과 이에 의해 추출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이었고, 분석 준거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추출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 체제를, 추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내용 체제를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은 1차로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모든 내용을 농업생명과학의 내용과의 일치 여부 확인, 2차로 추출된 내용을 농업문해 체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이 일부 교과에만 제공되었을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목적과 특성에 근거하여 내용을 제시함에 따라 농업생명과학 내용 제시에 대한 교육과정의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관련 내용이 매우 부족하게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및 하위요소에 불균형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초등학생의 농업문해 수준을 높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래의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농업생명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반영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많은 교과에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영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배화순,김현미,이정우,조철기,이해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and explores how to improve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promotes a core knowledge-based curriculum in place of a competency-based one. Accordingly,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 content that focuses on essential knowledge students must learn. The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is characterized by fully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area regarding goals,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osition of content since it is divided into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Furthermore, it sequentially ranks the content or functional elements by key stage and marks the area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learned as “non-statutory” elements, thereby reflecting differences from Korea’s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direction for the integration and division for each area of social studies is necessary. Second, the issue of excessive duplication of social studies content needs to be addressed Third, the hierarchy for skills needs to be considered,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guide should be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distinguish between essential elements and those that are not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issues, we hope that follow-up research to improve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을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핵심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지향한다. 이에 따라 영국 사회과의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필수 지식, 즉 내용 요소를 강조한다. 한편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및 성취기준, 내용 구성 등에 있어 각 영역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Key Stage별로 내용이나기능 요소 등을 위계화하고 있으며, 필수적으로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법령적(non-statutory)’ 요소로표기하는 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통합형, 분과형 등 사회과 교육과정의구성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의 분석을 통하여 내용체계에 대한 점검이필요하다. 셋째, 사회과 기능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기능에 대한 위계의 고려와 교육과정의필수 요소에 대한 안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상에 필수적 요소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표시하는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쟁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가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미술과의 특성, 성격과 내용체계 등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통해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세계시민성교육과의 연계성을 통해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논의 하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다룬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내용 체계를 논의하여 학습자가 제한된 수업시수 내에서 학습할 수 있는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이 논문은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시킨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주요 학습자의 특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주도 하에 수시개정체계와 정시 개정체계를 병행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시, 미술교과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역량을 연결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할 수있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School education is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Teenage students, who are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receive an imbalanced education in schools. Art education with its basis on emotion, pursues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sorely lack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vide the future generation and society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learn piecemeal knowledge and notions, which is the mission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but to encourage them to discover and apply knowledge, and to create new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ims to present goals for future education plan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e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Art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capacity-centere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capacity-centered art curriculum. The implications and task from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to propose future goal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형 인재 양성과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연극의 활용 방안 연구

        김수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2017년 초등학교 1, 2학년을 시작으로 초중고등 학교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의 질을 강조한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그 목표로한다. 또한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위한 6개의 핵심 역량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연극을 활용하여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와 이를 위한 핵심 역량을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극은 행하면서 배우는 매체로서 연극이 만들어내는 학습을 위한 환경에서 흥미를 바탕으로 자발적인 몰입과 참여를 동반한다. 이는 흥미 중심의 질적 학습을 추구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상통한다 하겠다. 연극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 역량인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처리 역량, 창의 융합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함량에 기여할 수 있다. 연극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국어 교육을 위해 활용될수 있으며 초등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을 체험 중심으로 흥미롭게 구성할 수있다. 또한 중등 교육과정에 새로 도입된 자유 학기제를 흥미롭게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학생 참여 형 수업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제시해 줄 수 있다. 또한고등 교육과정에서 연극은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 교과 교육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독립된 예술 과목으로서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연극은 교사, 학생, 학교, 교육청과 교육부 그리고 연극 전문가가 모두 협력하여세심하게 계획되어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ims to foster creative-convergence human resource who can create new·ie applying knowledge, technologies, experiences of diverse areas based on essential academic knowledges. For the ai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x core competencies are newly adopted and the importance of bringing learners’ interest and keeping the quality of learning is stressed. This paper suggests the adoption of drama for fostering creative-convergence human resource and six core competencies whic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ursues. Drama contributes to improve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lf-managing competency, knowing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reative-convergence competency, aesthetic and emotional competency, communicational competency, and sense of community competency. Drama provides opportunities that make interest school curriculum and that integrate into a participatory class model. It is recommendable that school teachers firstly get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rama. Then they need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and drama specialists. Needless to say, the central and loca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hools should support school teachers who want to adopt drama for improving school curriculum. School teachers must be provided more training opportunities such as seminar and workshop that are focused on how to adopt drama to educational purposes and how to lead drama activities.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에 관한 고찰

        이성도(Yi Sung Do),박상돈(Park Sang Dor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제시된 영역과 핵심 개념에따른 내용 요소와 성취 기준을 학습 요소,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과 연계하여고찰하고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살펴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용어의 반복을 피하고자 동일 개념을각기 다른 표현으로 제시하였고, 내용 요소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고려 없이 동일학습 내용을 분리하여 학년군에 따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시된 내용 요소의의미가 명확하지 않거나, 성취 기준과 학습 요소 등과 맥락이 일치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핵심적인 내용 요소 제시를 통한 내용 적정화를개정의 주요 방향으로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 체계에서 드러나는 이러한양상은 내용의 위계를 성립하고 이에 따른 내용의 적정화를 구현한 것이라 보기에미흡하다. 이로 인해 미술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핵심 개념이 균형과 조화를 이룬원활한 교육활동으로 연계된다기보다 학교 단위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적용에서방만한 교육과정 운영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게 한다. 향후 미술과교육과정의 개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보다 명확한 내용 체계를 구성하기위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consider the areas proposed in the contents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 relation to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 component, teaching, learning and precautions, and suggest improvements of the art curriculum. The contents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presents the same concept using different expressions in order to avoid repetition of terms or separate the sam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grade cluster without considering the organic relationship of components.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s unclear or has a tendency to not agree with the context of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components.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s aimed at securing the relevance of contents through the presentation of core components. However, it is inadequate to regard that such aspects revealed by the contents system established the hierarchy of contents and accomplished the relevance of contents. For this reason, when it com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by teachers at school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re components of the art curriculum can lead to the lax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stead of achieving balance and harmony. Future revisions to the art curriculum would require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to create a more definitive contents system.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방식 검토와 스코틀랜드 ‘Curriculum for Excellence’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임유나(Lim, Yoo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 제시된 방식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국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스코틀랜드의 ‘Curriculum for Excellence’를 분석하여 핵심역량과 기능 제시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 교과, 과목별로 많은 수의 역량을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으면서도 구성 요소들 간의 연계성을 치밀하게 갖추지 못하였고, 어떻게 역량을 기를 수 있는가에 대한 안내도 부족하였다. 한편, CfE는 총론이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과교육과정과 별도의 가이드라인 문서에서는 총론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공통기능과 교과기능들을 구체화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교과수업, 통합수업, 교과외 활동 등에서 학생들의 기능 발달에 중점을 둘 수 있도록 하는 기준과 안내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론과 각 론에서 핵심역량을 각기 선정하여 선언한 것에 그친 현 상황은 개선되어야 하며, 각 교과역량을 별도로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총론은 핵심적인 소수의 역량과 공통기능을 밝히는 데, 각론은 핵심역량 함양에 필요한 교과별 지식 및 기능을 밝히는 데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교육과정 문서가 제시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이 실제 수업 설계에서 어떻게 다양하게 연계 되고 조화될 수 있는가를 안내해 주는 것이 교사들에게는 실제적인 도움이 되고 학생 역량 함양의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ways of presenting competencies and skill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analyze Scotland’s ‘Curriculum for Excellence’ in order to get the implications. The study reveals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and presents a large number of competencies in every curriculum document, but cannot elaborately organiz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standards, subject competencies and key competencies. And it lacks guidance on how to raise students’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the Scotland’s general curriculum presents key competencies, while subject curriculum and guidance documents specified general and subject skills to achieve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nd Scotland’s ‘Curriculum for Excellence’ offers the detaile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skills with the attai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regular class, integrated clas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other to attain purpose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selected ‘key’ competencies in the general curriculum and clarified general skills. It also needs to focus on specifying skills and optimizing knowledge contents rather than presenting separate subject competencies in every subject curriculum and to make standards and guidance for supporting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 문제와 현장 중심 교육과정 정책 방향

        신은희(Shin Eun hee)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1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문이과 통합과 창의·융합 교육을 목표로 개정되어 2017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에서 초등학교는 9년째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바뀌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적용해야 한다는 관점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 문제점을 비판하고 정책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에 핵심 역량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체제를 개선하였지만 개념의 혼란이나 교과 특성 무시, 복잡한 체계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 초등 교육과정에서는 시수 확대 및 안전한 생활 신설,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등 사회적 요구를 여과 없이 반영하고, 초등교육과정의 고질적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교육과정 개발 정책에서도 문제가 많은데, 앞으로는 지역 교육청, 학교, 교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현장 중심으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vised with the goal of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science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and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17. The elementary school has changed it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nine years in the national curriculum occasional revision system. This study considers that teachers should actively interpret and apply the curriculum, and criticizes the problem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seeks the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 Al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key competencies in the general and improved the curriculum framework, it is criticized because of the confusion of concepts or the ignor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of its complex system.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t reflected the social needs without filtering such as the expansion of class hours and new establishment of safe living and strengthening software education, and it did not solve the chronic problem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From now on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role of loc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and teachers, and to shift to curriculum policy that focuses on the field.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발에 주는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검토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쟁점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장 제목을 ‘학교 교육과정’ 단어 중심으로 통일하여 수정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수준을 강화하 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각급 학교 교육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개정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방법에서는, 몇몇 오기와 중복의 문제가 지적되었고, 전체적으로 가독성, 일관성, 명료성을 살려 수정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구성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관련 연구 및 타당성 있는 설명이 없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가운데서 초등학교 관련 쟁점사항인 핵심역량 제시, ‘안전한 생활’ 신설, 개정 기간 단기화 경향 등에 대해서도 추가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mis at exploring and discussing the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 and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he document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ntents and discussed the key 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ried to strengthen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sake of school curriculum by modifying its chapter headings uniformly with the word ‘school curriculum’ as its center, and amended the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ystem in a way that covers all levels of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the system configuration on the criteria and way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e problems of several lapses of the pen and duplication were pointed ou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should be modified as a whole for the sake of readability, consistency, and clarity. Among the chang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related issues, in particular the key competencies, changes in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time allotment related to adding ‘Safe Life’, and the short-term trend due to constant revision seem necessary to be discussed further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