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신순정 ( Soon-jeong Sh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 KCI등재

        『중용(中庸)』의 치중화(致中和) 사상을 통해 본 동래학춤 비약태(飛躍態)의 생명미

        강기화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auty of life in Biyaktae (飛躍態) of Dong‐Rae Crane Dance seen through “Zhi‐Zhonghe (致中和)” thought of “Zhongyong (中庸)“. The beauty of life in Biyaktae of Dong‐Rae Crane Dance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crane's (鶴) sustaining life. The core of beauty of life in the dance movement of Dong‐Rae Crane Dance is a scene of leaping (飛躍) and flying. The leap is expressed as Hwayuk (化育), and it is a form of development that originates from the harmony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nature. Biyaktae of Dong‐Rae Crane Dance, which contains the continuity and harmony of life, expresses the beauty of stirring life, which is the life awareness of all things emphasized in “Zhongyong”. Through Biyaktae of the Dong‐Rae Crane Dance, it is found that the beauty of life is revealed in the dance movements of 'Hwalgatjit‐jumping movement (Naleumsae)' and 'right‐left hwalgae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Biyaktae's beauty of life immanent in Dong‐Rae Crane Dance is not different from the life awareness of 'Cheonji‐wieon (天地位焉)' and 'Manmul‐yukeon (萬物育焉)' in “Zhongyong”.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용(中庸)』의 치중화(致中和) 사상을 통해 본 동래학춤 비약태(飛躍態)의 생명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동래학춤에 나타난 비약태의 생명미는 학(鶴)이 생명을 유지하고 이어나가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동래학춤의 춤사위에 있어서 생명미의 핵심은 비약(飛躍)하고 날아오르는 모습이다. 그 비약은 화육(化育)이라고 표현하며, 천지자연의 조화에서 비롯되는 생성 발육의 모습이다. 생명의 연속성과 조화로움이 담긴 동래학춤의 비약태는 약동하는 생명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으로써 『중용(中庸)』에서 강조하는 만물일체의 생명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동래학춤의 비약태를 통하여 생명의 아름다움은 ‘활갯짓뜀사위(날음새)’와 ‘좌우활개사위’라는 춤사위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동래학춤에 내재된 비약태의 생명미는 『중용(中庸)』에서의 ‘천지위언(天地位焉)’과 ‘만물육언(萬物育焉)’이라는 생명의식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혐오’ 극복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 치중화(致中和)를 통한 서(恕)를 중심으로 −

        김준승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4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ethodology for realizing the ‘harmony’ by examining and overcoming ‘hatred’ in the perspective of Zhi- Zhonghe. The hatred is an emotion derived from complex reasons, instead of a single reason. Even though the hatred is also working as a defense mechanism for protecting oneself, such social problems are generated by separating oneself from others like logics between camps, and the majority’s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in modern society. The solution as a means by external intervention is not only difficult to apply to the reality, but also limited to become a fundamental solution. Thus, we need to realize the harmful effects of excessive hatred and hateful expressions in social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hatred and also to achieve the harmony. there should be the approach through ‘benevolence’ focusing on the autonomous character and morality of each individual. For this, we should achieve the moderation by going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for the objectivity of information, maintain the justice and objectivity not to be narrow-minded for collecting, utilizing, or inciting lots of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perceive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not led to the decline of our self-esteem or denial of ourselves, but led to the expansion of ourselves. Once such things are fulfilled, we could move from the logic of camp based on a belief emphasizing only what we want to see, toward the logic of character that perceives situations and views character without ulterior motives. 이 논문의 목적은 혐오감에 대해 살펴봄과 동시에 ‘혐오’를 극복해 ‘화(和)’를 실현하는 방법론을 치중화(致中和)를 통한 서(恕)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혐오는 단순하게 한 가지 이유라고 말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다. 혐오가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로의 역할도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진영 간의 논리, 다수에 의한 소수자 차별 등 자신과 타자를 구분함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해 외부적인 개입에 의한 해결은 실제로 적용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해결책을 찾는다면 자기 안에서 구해야 하며(求諸己) 사회 공동체에서의 과도한 혐오감과 혐오 표현(Hate Speech)의 폐해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다. 혐오를 극복하고 화(和)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자율적 인성과 도덕성을 키워야 하는데, 이는 서(恕)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정보의 객관성을 위한 필터링을 거치며 중(中)을 이루어야 하며, 실시간으로 접하는 많은 정보에 대해 공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나와 타자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중(中)과 화(和)를 이루어내는 근본이 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이런 것이 이루어졌을 때, 우리는 보고 싶은 것만을 강조하는 신념의 진영논리에서 사심 없이 상황을 인식하고 사람됨을 보는 공심(公心)의 논리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주자 공부론의 형성 과정과 문제의식

        황금중 ( Keum Joong Hw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9 한국교육사학 Vol.31 No.1

        주자의 공부론의 형성 과정과 그 이면의 공부론적, 교육론적 문제의식에 대해 연평수학단계, 중화구설단계, 중화신설단계 및 그 이후 단계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평수학단계에서 중화신설단계까지의 미발(未發), 이발(已發) 공부에 대한 논의는 곧 공부의 근본이며 합리적 출발점으로서의 ``본령공부(本領工夫)``에 대한 논의로서, 이는 중화신설에서는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는 함양찰식 공부로서의 ``경공부(敬工夫)``로 정리된다. 둘째, 중화신설에서 경의 본령공부와 더불어 공부의 다른 한 축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가 제시된다. 이는 경과 격물치지를 두 축으로 하는 정이천의 공부론적 명제의 재발견에 기인한다. 셋째, 주자는 평이하고 자연스러운 본령 공부에 부응하는 안정성과 자율성을 갖춘 공부주체론을 구축해 가고자 했으며, 그 결과 중화신설 단계에서 심통성정(心統性情), 성체정용(性體情用)의 심성론적 관점이 정립된다. 넷째, 중화신설의 공부론적 틀을 기저로 이후 공부론의 완성태가 도출되는데, 소학에서 대학으로 이어지는 공부과정론, 그리고 경을 바탕으로 지와 행이 병행되는 경, 지, 행의 공부과정론을 그 내용으로 한다. 다섯째, 이상의 공부론적 관점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통된 문제의식은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의 원칙에 충실한 공부론과 교육론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Zu xi`s theory of gongfu(工夫, self -cultivation or self-learning), focusing on the three critical changing stages. As a result, I found the following points. First, Zu xi had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enling-gongfu(本領工夫,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learning) of weifa, ifa (未發, 已發, the psychic state prior to or after the rise of emotions) and he could find the ``jing(敬, reverence)`` as benling-gongfu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zhonghe(中和新說). Second,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chung ho, Zu xi found not only jing(敬) but also gewuzhizhi (格物致知,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as the two axes of gongfu method. Third, from the theoretical, practical awareness about gongfu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zhonghe, Zu xi completed the last theory of gongfu, that was characterized as "learning system that is from xiaoxue(小學, Elementary learning) to daxue(大學, Great learning)", and as "learning system that is accomplishing the gongfu of zhi(知, knowing) and xing(行, practice), based on the gongfu of jing." Fourth, the main motive leading these changes and completion of the theory of gongfu was the Zu xi`s educational belief, xiaxue-er-shangda(下學而上達), that is, "gongfu should be started with near and daily life even though the aim is to understand and realize the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