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한 교과교육 이론화 방안의 서설적 연구

        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In a literary sense, subject matter education refers to teach a subject. The very act of teaching a subject matter includes a variety of factors related learners, society, and knowledge. Among these forces, Much attention have given to knowledge, especially the nature of knowledge. The study on subject matter education has had a tendency to deal with th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by objectives model approach originated by Tyler. This approach has many limitations to establish the inherent subject matter education. Now it is time to reconceptualize subject mat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new conception. In the line of problem posing about the rethinking subject matter education, we focus on the act of theorizing subject mat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ory of knowledge about the subject matter(TKS). Recently the discussion of the TKS have raised by multiple fields and numerous researchers. According to those who suggest merit of the TKS, the way of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nature of knowledge which a subject matter teach. This study is to preliminary examin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structure of it.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the TKS includes two underlying theory, educational epistemology and disciplinary theory of knowledge. The former focuses on the nature of knowledge which is uncovered by pedagogical event-acquiring and transmitting a knowledge, the latter focuses on the structure of a subject matter by disciplinary epistemology. These two theories give valid ground to the process of education as teaching and learning a subject matter. We can construct the status and theoretical possibilit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line of educational and disciplinary epistemology to overcome the limits of general approach led by objective model, In the future, TKS in contex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plays the role of critical theorizing and practising the act of teaching a subject matter, and guides a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classroom. 본 연구는 기존의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와 한계를 밝히고, 기존의 일반론적 접근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한 교과교육의 이론화 방안을 서설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철학적 인식론에 대한 경도된 논의와 학문 분야별 인식론을 재인식함으로써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교과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과거 일반적 인식론의 문제와 교과 구조에 대한 확장된 입장에 주목하여 교과교육을 새롭게 이론화 할 수 있는 교과별 지식이론을 논의하고, 거기에 기초한 교과교육론의 구성 방향과 체계를 간략하게 제시하고 있다. 향후 교과교윽에 대한 논의와 학문적 구체화의 방향은 교과의 학문적 인식론의 입장과 교육인식론의 구체화를 통해 상당 부분 체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교과교육의 문제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현장 실천의 문제가 연계되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經典敎育 硏究의 성과와 전망

        함영대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previous discussions o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contain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s to find a future direction for classics education. This is an approach of educational history to teach Confucian classics, one of the classic texts transmitted in East Asia and also examin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over sentences of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from the perspective of matters consisting of Chinese classics textbooks along with poems, novels, or prose. The discuss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at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clusive, social matter and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s’ necessity and significance. This opinion is accompanied by the theory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he other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classics education as theory of Chinese classics subject matter educ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requires analysis on Chinese classics education comparatively with the elements of other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examination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led to the consciousness of follow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clusive and social approaches, we need clearer and more persuasive opinions on ‘what do we need to teach and why’. Among the Oriental traditional ideas contained i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what could be the ones that can be highlighted in this age newly without damaging its meaning in the original context? Regarding this, researchers of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more careful and considerate. The problem left in the examination of classics education as the theor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at in subject matter education using Chinese classics textbooks, what kinds of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should select in more detail and how they would be arranged. The learning elements of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should be distributed and arranged within the text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clear criteria for learning are needed for that. He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nthetically not only ideological context but overall gravity and directional issues regarding syntactic elements, difficulty and hierarchy, and social demand of the times. Other than this, it is also inevitable to arrange sentences containing the contents of classics harmoniously with literary or historic prose in the Chinese classics textbooks and to establish ‘identity for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Regardless of any region or period, no classics have maintained their absolute status. Also, in that textbooks reflect periodic circumstances more directly than any other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as subject matter education still internalizes valid and substantial meaning and infinite possibility of alteration. 이 글은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유교 경전과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후 경전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전래의 고전적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유교경전을 교육하는 교육사론적 접근이자 시, 소설, 산문과 같이 한문교과서를 구성하는 소재적 측면으로서의 경전, 제자 문장에 대한 교과교육론적 검토이다. 논의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했다. 하나는 경전교육을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한문교육의 필요와 의미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검토했다. 이러한 주장은 문화 콘텐츠 개발론을 동반한다. 다른 하나는 교과교육의 문제로 한문교과 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론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한문교육의 다른 교과 교육의 요소와 상호비교가 요청된다. 이러한 논의들의 성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의 문제의식에 이르게 되었다.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접근의 결과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하여 좀 더 분명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 필요하다. 과연 지금 시대에 유가와 제자의 경전에 깃들어 있는 동양의 전통 사상 가운데 그 원래적 문맥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부각시킬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이 점에 대해 경전교육의 연구자들은 좀 더 고심할 필요가 있다. 교과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에 대한 검토에서 남겨진 문제는 결국 한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과교육에서 경전교육은 과연 어떠한 구체적 교육 자료를 선별하여 어떻게 배치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유교경전과 제자서의 학습요소는 한문교과서라는 텍스트 내에서 분산배치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명확한 학습기준이 필요하다. 그것은 사상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문법적 요소, 난이도와 위계의 문제, 당대 사회적 요청에 따른 전체 비중과 방향의 문제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경전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들을 한문교과 내에서 문학류, 사학류 산문들과의 균형있게 배치하는 것과 ‘한문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는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다. 지역과 시대를 막론하고 어떠한 고전이라도 고정불변의 지위를 획득하고 누린 경우는 없다. 교과서는 어떤 교육 자료보다도 시대의 풍상을 직접적으로 수용한다. 이 점에서 교과교육으로서의 경전교육은 여전히 유효한 현재적 의미와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구상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현존하는 통합교과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통합교과는 그 성격에 대한 이해가 충분할 정도로 논의가 풍성하나, 그것을 교과로 인식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언제나 이해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가 교과로서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질문을 던져보고 이에 답해 봄으로써 통합교과의 교과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때, 제도적 교과의 의미, 여러 종류의 교과 설정 유형, Deng의 내용이론은 통합교과의 성격을 규명하는 도구가 되었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교육과정 체제면과 법적인 면으로 교과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생활 중심 교과 유형으로서 고유한 교육과정 조직 방식과 내용이론을 구축하고 있는 교과임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 is sufficient research into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s.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integrated subjects can be recognized as a subject matt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asked several questions to find out which characters an integrated subjects had. And by answering the question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ubjects as subject matter. The characters of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identified by the meaning of institutional subjects, different types of subject matter setting, and Deng's theory of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grated subjects held the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through curricular system and laws. In addition, the integrated subjects was proven to be a type of life-centered subject matter that builds its own way of organizing curriculum and theory of content.

      • KCI등재

        김열규의 수필론 연구

        이정인(Lee, Jeong-In)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국문학자·한국학자 김열규는 한국 수필의 한 맥을 잇는 수필가이기도 하다. 편협한 장르의식으로 소외당한 수필을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며 왕성한 작품 활동과 수필 이론을 개진하였다. 이 글에서는 김열규의 수필론을 수필의 글감, 수필 언어, 수필의 지향점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수필을 소재의 문학이라고 한다. 작가의 삶의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수필의 소재는 구체적 생활세계, 실존의 양태인 이 일상에 있다. 김열규는 수필의 소재가 지닌 일상성을 기꺼이 인정하되 그것을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것은 수필가의 몫임을 상기시킨다. 수필의 소재는 사실 그대로의 날것이 아니라 그 너머의 가치와 의미를 캐물으며 작가의 해석과 의미부여라는 문학적 변용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재를 심미적 관점에서 형상화하여 주제를 구현하는 데는 언어라는 통로를 거쳐야 한다. 수필 언어는 작가가 자신의 일상적 체험을 자기만의 언어로 재구성하며 삶과 세계를 의미화한 문학적 소산이다. 김열규가 추구하는 수필 언어는 피상적 생각 나열이나 상투적 일상어가 아닌 체험이 내재화되면서 자기 안에서 부화한 언어다. 오롯이 작가 자신의 감각에서 발현되는 ‘체험의 언어’를 말한다. 그러므로 김열규에게 수필 언어는 곧 체험이다. 김열규가 제시한 수필의 글감과 언어에 대한 이론은 궁극적으로 자기고백의 글쓰기인 수필의 본령을 보다 진정성 있게 이행하는 데 요구되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를 위해 자기응시와 자기탐색이라는 ‘수행(修行)’의 뜻을 수필隨筆의 ‘수隨’에 부친다. 결국 그의 수필의 지향점은 일상의 소재가 작가만의 체험의 언어로 부화되어 구심(求心)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다. 김열규 수필론의 저변에는 ‘일상성’이 깔려있다. 일상의 문학, 생활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일상성은 마치 수필의 문학성을 방해하는 태생적 한계처럼 여겨져 왔다. 그는 수필문학의 딜레마를 부인하는 데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 난제를 끌어안고 극복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수필문학이 거듭나는 길임을 피력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김열규 수필론 의 의의라 해도 좋을 것이다. Yeolgyu Kim,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South Korean scholar, is also an acknowledged essayist who marked a new era in the fields of essays in South Korea. Back at the time, essays were isolated because of prejudiced awareness of genres but Kim included the essays in the realm of literature and engaged in active work activities and expressed the essay theories. This study explored Yeolgyu Kim s essay theory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topics like the subject matter of essay, the essay language, and the aim of the essay. Essays are known as the literature of subject matter. The subject matter that forms based on the personal life experiences of the writer are present in the detailed world of life and in daily life, which is an aspect of existence. Kim emphasiz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is actually not in the raw, as it involves interrogating further values and meaning and must go through literary acculturation like the writer s interpretation and ascription. With this, it is reminded that it is the essayist s share to recognize the dailiness carried by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while sublimating it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To embody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from an aesthetic viewpoint and implement a topic, it must pass through a passage, which is language. Essay language is a product of literature where the writer s daily experiences are restructured with personal language to signify the life and the world. The essay language pursued by Kim is a language that incubates withi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s rather than the listing of superficial thoughts or conventional everyday language. It only stands for the language of experiences that develops from the writer s personal senses. Therefore, essay language signifies experiences to Kim. Ultimately, the theory about subject matter and language in essay as proposed by Yeolgyu Kim can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work required to execute the proper functions of essay, a form of self-confessional writing, with greater authenticity. For this, Kim added the meaning of ‘performance (修行)’, which is to constantly practice self-contemplation and self-exploration, onto the Chinese character ‘隨’ of the term essays (隨筆). In the end, the aim of his essays is to incubate daily subject matter into the writer s experiential language and progress into the centripetal (求心) stage. Yeolgyu Kim s essay theory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dailiness. Under the literature of everyday life and life literature, dailiness was considered as an inherent limit that disturbs the literary values of essays. Kim sets forth that the answer shouldn t be searched from refusing the dilemma of essay literature as the process of embracing the dilemma and overcoming it is the way to reform essay literature. This is considered as the special value in the essay theory by Yeolgyu Kim.

      • KCI등재

        경전교육(經典敎育) 연구(硏究)의 성과와 전망

        함영대 ( Young Dae Ha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이 글은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유교 경전과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후 경전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전래의 고전적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유교경전을 교육하는 교육사론적 접근이자 시, 소설, 산문과 같이 한문교과서를 구성하는 소재적 측면으로서의 경전, 제자 문장에 대한 교과교육론적 검토이다. 논의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했다. 하나는 경전교육을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한문교육의 필요와 의미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검토했다. 이러한 주장은 문화 콘텐츠 개발론을 동반한다. 다른 하나는 교과교육의 문제로 한문교과 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론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한문교육의 다른 교과 교육의 요소와 상호비교가 요청된다. 이러한 논의들의 성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의 문제의식에 이르게 되었다.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접근의 결과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하여 좀 더 분명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 필요하다. 과연 지금 시대에 유가와 제자의 경전에 깃들어 있는 동양의 전통 사상 가운데 그 원래적 문맥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부각시킬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이 점에 대해 경전교육의 연구자들은 좀 더 고심할 필요가 있다. 교과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에 대한 검토에서 남겨진 문제는 결국 한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과교육에서 경전교육은 과연 어떠한 구체적 교육 자료를 선별하여 어떻게 배치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유교경전과 제자서의 학습요소는 한문교과서라는 텍스트 내에서 분산배치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명확한 학습기준이 필요하다. 그것은 사상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문법적 요소, 난이도와 위계의 문제, 당대 사회적 요청에 따른 전체 비중과 방향의 문제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경전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들을 한문교과 내에서 문학류, 사학류 산문들과의 균형있게 배치하는 것과 ``한문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는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다. 지역과 시대를 막론하고 어떠한 고전이라도 고정불변의 지위를 획득하고 누린 경우는 없다. 교과서는 어떤 교육 자료보다도 시대의 풍상을 직접적으로 수용한다. 이 점에서 교과교육으로서의 경전교육은 여전히 유효한 현재적 의미와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previous discussions o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contain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s to find a future direction for classics education. This is an approach of educational history to teach Confucian classics, one of the classic texts transmitted in East Asia and also examin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over sentences of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from the perspective of matters consisting of Chinese classics textbooks along with poems, novels, or prose. The discuss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at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clusive, social matter and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s` necessity and significance. This opinion is accompanied by the theory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he other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classics education as theory of Chinese classics subject matter educ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requires analysis on Chinese classics education comparatively with the elements of other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examination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led to the consciousness of follow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clusive and social approaches, we need clearer and more persuasive opinions on ``what do we need to teach and why``. Among the Oriental traditional ideas contained i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what could be the ones that can be highlighted in this age newly without damaging its meaning in the original context? Regarding this, researchers of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more careful and considerate. The problem left in the examination of classics education as the theor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at in subject matter education using Chinese classics textbooks, what kinds of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should select in more detail and how they would be arranged. The learning elements of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should be distributed and arranged within the text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clear criteria for learning are needed for that. He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nthetically not only ideological context but overall gravity and directional issues regarding syntactic elements, difficulty and hierarchy, and social demand of the times. Other than this, it is also inevitable to arrange sentences containing the contents of classics harmoniously with literary or historic prose in the Chinese classics textbooks and to establish ``identity for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Regardless of any region or period, no classics have maintained their absolute status. Also, in that textbooks reflect periodic circumstances more directly than any other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as subject matter education still internalizes valid and substantial meaning and infinite possibility of alteration.

      • KCI등재후보

        정교화이론에 기초한 초등 실과교과서 평가를 위한 질적 연구

        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3 實科敎育硏究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evaluati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and to evaluate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utilizing literature review, studying the elaboration theory with teachers, and evaluati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There were 6 teachers involved with this study and all of them participated the 30 hours of seminar for studying the elaboration theory in 5 days and evaluated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for 12 hours of meeting in 4 days.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1. The procedural organization was utilized for the organizing content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2. It was not very everyday life related subject and idea in the electrics related chapter and it was hard for children to needling with a nonwoven fabric; 3. Contents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electrics related chapters were not familiar with children; 4. There were sufficient within-chapter review but none of cumulative review; 5. The procedural organization was used for the micro strategies for each idea; 6. There were enough of review, test items, synthesizers, analogies, and motivational components; 7. The ideas and the strategy components were separated and labeled right while there were several problems in formatti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s.

      • KCI등재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설계모형 연구

        김경한(Kyong-Hah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에서는 수업설계의 시각에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사례 연구로서 영어과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교과 내용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과 대표 수업모형의 개발이 모든 교과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미진하였다. 기존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의 형태는 교육 방법 중심의 수업모형으로 모든 교과에 적용될 것을 목표로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만 제시하고 현장 교실에서 교과별로 응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이 제시하는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는 교과 특수적인 내용 학습 방법을 담보하지 못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교과 내용과 관련된 고유한 수업 방법 체계, 즉 내용과 방법이 통합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을 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제시한 영어과 수업모형은 일반적인 수업 방법 절차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에 결합한 수업모형의 예이다. 본 수업모형은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뿐만 아니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 그리고 이 둘의 통합적 구현 기법을 제시하는 대표 활동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review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as a cas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Although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instructional models applicable to subject clas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nstructional design is the ultimate goal of all subject-matter education,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so far been insufficient. The existing form of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s centered on the teaching method is designed to present only the general procedural steps of instruction with the purpose of being applied to all subjects. However, since the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 does not guarantee the learning of subject-specific conten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unique method of instruction related to subject matters, that is, a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model. The study provide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in the form of combining the method frame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content frame of subject matters, and the model consists of procedural steps, learning contents, and representative activities that embody the technique of integrating educational methods and subject contents.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을 향하여:

        김경한(Kyong-Hah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rdance between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the three aspects─that is, the discordance between English polici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oracy (o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actu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cy (or the academic ability for success in colleg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language acquisition theory largely centered 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he school education on the basis of language learning preparing for evaluation (or the eventu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discordance between English education studies grounded on the ESL theory and practice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EFL environment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CLT in theory and practice, suggesting a way of restructuring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that matter, the study proposes establishing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based on the cognitive constructivism, and provides a model of English education based on script theory.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불일치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즉, 구술력 배양에 초점을 둔 영어교육 정책과 문해력 (대학수학능력)에 대한 현실적 요구와의 불일치, 언어습득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과 평가 (수능) 중심의 학교교육과의 불일치, ESL 환경에 토대를 둔 영어교육 연구 방식과 그러한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와 같은 EFL 교과교육적 환경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의 불일치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현실을 반영하는 교과교육의 관점에서 영어과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이론적 토대로 기능하였던 의사소통중심교수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우리나라와 같은 영어교과교육 현실에 적합한 인지적 구성주의(The Cognitive Constructivism) 이론을 토대로 한 외국어로서 영어학습이론을 확립 하며, 그에 부합하는 학습 이론의 한 예로서 스크립트 이론(Script Theory) 기반 영어 교수·학습법을 제시함으로써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수사구조이론과 한국어 텍스트 분석의 실제

        정여훈 ( Yeo Hoon Jeo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3 언어사실과 관점 Vol.32 No.-

        Rhetorical Structure Theory has been considered a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text structures since i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is Rhetorical Structure Theory could be used as a tool for Korean text analysis by describing the whole process of text analysis. In chapter 2,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text analysis based on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in Korea have been reviewed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has been applied in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In chapter 3,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itself has been introduced as a descriptive theory for text analysis defining some key concepts such as ``spans, nucleus and satellite, relations, schemas`` and introducing the step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theory. In chapter 4, the entire process of Korean text analysi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is demonstrated.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is noted that the Subject Matter Relations such as Elaboration and Circumstance are likely to occur more often than the Presentational Relations such as Background and Evid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function of the reported news stories. As the major function of the reported news stories is to give the readers the objective summary of the news event or accident, so that the text readers are urged only to understand the facts the text is dealing with but not to change their attitudes or behaviors.

      • KCI등재후보

        유교도덕교육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우리 도덕과교육

        강봉수 ( Bong Soo K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 연구는 유교도덕교육의 이론적 패러다임의 제 유형을 제시하고, 이에 준거하여 우리 도덕과교육의 정당화 문제와 교육내용 선정의 원칙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유교도덕교육의 이론적 패러다임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理 중심의 패러다임, 氣 중심의 패러다임, 理卽氣의 패러다임이 그것이다. 理 중심의 패러다임은 발달 지향의 통합적 도덕교육론이고, 氣 중심의 패러다임은 사회화 지향의 통합적 도덕교육론이다. 理卽氣의 패러다임은 습관과 이성, 사회화와 발달을 모두 거부하면서 양지의 자발성의 자각을 촉구하는 제3의 통합적 패러다임이라 할만하다. 이처럼, 유교도덕교의 이론적 패러다임은 처음부터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있기에 우리 도덕과교육의 목표를 정당화하는 데 이론적 실제적으로 뒷받침을 할 수 있다. 한편, 유교도덕교육의 이론적 패러다임들은 사회화와 발달 이외에도 개인과 공동체, 내용과 원리, 인지와 정의와 행동 등을 모두 포괄하는 통합적 도덕교육론이기도 하다. 서양전통에 토대한 현대 도덕교육론의 최근 동향도 통합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것이 대체적인 추세다. 그러나 유교도덕교육론과 현대도덕교육론이 그 지향점에서는 같지만, 통합적 이론구축을 위한 출발점과 중심축은 서로 다르다. 향후 도덕교육은 통합지향적인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교육의 실제에서까지 그것을 수미일관하게 고려하기는 어렵다. 각 나라가 처한 윤리적 상황과 도덕교육적 과제에 따라 교육내용 선정의 중심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도덕과교육의 중심축은 결합체로서의 서양 근대 윤리사상을 좀 더 철저하게 학습하는데 두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on justification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selective principle of educational contents in conformity with theoretical paradigms of Confucian Moral Education. Theoretical paradigms of Confucian Moral Education are three types. First type is Li(理)-Paradigm which is integrative approach of moral development-oriented. Second type is Ch`i(氣)-Paradigm which is integrative approach of moral socialization-oriented. Third type is Li viz Ch`i(理卽氣)-Paradigm which is neither moral development nor moral socialization, is integrative approach of enlightening moral intuition spontaneously. We are able to justification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in conformity with theses paradigms of Confucian Moral Education. Theoretical paradigms of Confucian Moral Education are also integrative approach of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 principle and content, cognition and affection. There is a new tendency that emphasizes integrative approach in Mordern Moral Education Theory. Both Confucian Moral Education Theory and Mordern Moral Education Theory are same to integration-oriented. But both are different from points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principle and content, cognition and affection on foundation of integrative theory. After this, a way of Moral educational approach have to integration-oriented, but selective principle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fferent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ethical situations and educational problems of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