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대(唐代) 초서(草書)와 가행체(歌行體) 초서가(草書歌)의 상관성

        우재호 영남중국어문학회 2018 중국어문학 Vol.0 No.79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as popular compared to other writing styles and the cursive song poetry reciting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as created in earnest during the Tang Dynasty. While no song poetry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before the Tang Dynasty, a large number of poets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s a poem during the Tang Dynasty, which must have been associated with its huge popularity during the Tang Dynasty.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ituations of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 cursive song poetry during the Tang Dynast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 narrative folk song based on its results. In order to conduct such analysis, this study extracted how many cursive song poems were written by examining a number of books such as QuanTangshi: Complete poetry of the Tang (全唐詩).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35 poems by separately extracting poems which dealt with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s a theme or were related only to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mong these poems on calligraph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narrative folk song of the Tang Dynasty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narrative folk songs mainly composed of free-style long and short lin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oems which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during the Tang Dynasty, in that such a writing style was characterized by its free style. The narrative folk song whose form was free without any restriction to its width and length must have been the most appropriate poem in reciting what was related to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ith no fixed rules to its form.

      • 唐代草书与歌行体草书歌之关联性

        禹在鎬(우재호) 한국중어중문학회 2019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as popular compared to other writing styles and the cursive song poetry reciting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as created in earnest during the Tang Dynasty. While no song poetry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before the Tang Dynasty, a large number of poets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s a poem during the Tang Dynasty, which must have been associated with its huge popularity during the Tang Dynasty.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ituations of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 cursive song poetry during the Tang Dynast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 narrative folk song based on its results. In order to conduct such analysis, this study extracted how many cursive song poems were written by examining a number of books such as QuanTangshi: Complete poetry of the Tang(全唐詩).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35 poems by separately extracting poems which dealt with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s a theme or were related only to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among these poems on calligraph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narrative folk song of the Tang Dynasty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narrative folk songs mainly composed of free-style long and short lin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oems which recited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during the Tang Dynasty, in that such a writing style was characterized by its free style. The narrative folk song whose form was free without any restriction to its width and length must have been the most appropriate poem in reciting what was related to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with no fixed rules to its form.

      • KCI등재

        김진구 야담의 형성과 문체

        이동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tales with dual style of writing and a meaning of discrimination of writing style by researching unofficial historical tales of Kim Jin-goo. He designated modern reformer’s tales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and creative tales and orally transmitted literature as a Korean writing style. As it were, he designated differently by perception gap between fact and fiction. A tale on a civilized ideal and a realistic story were designated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fictional and unfounded tales were designated as Korean writing style. Though he treated Chinese character as a foreign language,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it was effective to deliver new knowledge and thought based on facts to the public. He also designated differently by emotional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 and foreign. In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foreign publications, he designated core words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in order to vitalize the meaning of original. On the other hand, he designated Korean writing style when he expressed popular language and orally narrated way of pansori. Because it was effective to express the spirit of the Josen dynasty era. For search a reason, his choice of writing style by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is regarded as his intention. 본 논문은 김진구 야담에 나타나는 이원적 문체를 통해 야담과 문체 간의 상관관계와 문체 변별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김진구는 야담을 국한문체와 국문체로 변별하여 표기했다. 국한문체는 일부 단어를 한자로 표기하는 방식을 취했다. 근대 개혁가의 사상과 실천에 관한 이야기와 지배체제 안에서 용력과 문식을 인정받았던 인물의 일화를 국한문체로 표기했다. 반면 창작 야담과 민간에 구전하는 이야기는 국문체로 표기하였다. 국문체로 구연 서술하여 민중의 발랄한 언어생활을 재현했다. 김진구가 야담에 따라 문체를 달리 표기한 것은 사실과 허구의 인식 차이 때문이다. 김진구는 사실인 이야기를 국한문체로 표기했다. 관련 인물에게서 직접 들었거나 그 자신이 이야기의 진실을 믿은 경우이다. 그리고 사실에 해당하는 새로운 지식과 사상을 대중에게 전달하는데 국한문체가 효과적이었다. 반면 상상을 가미한 창작 야담과 민간전승의 이야기는 사실을 담보하지 못하는 허구적 이야기에 가까워 국문체로 표기했다. 대중에게 이야기의 사실성을 굳이 각인시킬 필요가 없었기 때문인 듯하다. 또 외래와 전통의 정서 차이에 따라 다르게 표기했다. 근대 개화사상은 외래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어 낯선 새로운 정서이기에 근대 개혁가의 이야기는 국한문체로 표기했다. 반면 전통적이며 민중적인 삶의 방식을 드러내는 인물의 이야기는 국문체로 표기하여 친근함을 유발했다. 나아가 판소리의 구연 사설을 차용한 국문체 표현은 전통적 정서를 최대화했다. 김진구 야담의 이원적 표기는 본인의 야담 인식과 대중의 정서를 고려해 의도한 측면이 강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김재영 ( Jae Yeo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대한민보』는 1909년 6월 2일 창간되어 일한병합이 이루어지는 1910년 8월 31일까지 15개월여 동안 짧게 지속된 신문이다. 본 연구는 이 『대한민보』라는 매체의 지면 구성과 텍스트의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근대전환기 한국어 문체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 설정에서 역시 가장 기본적인 틀이 되어준 것은 알다시피 <국문체>와 <국한문체>의 대립이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어 문장의 변천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표기의 문제와 문장의 체제라는 의미에서의 문체의 문제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표기의 문제와 문체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생각한다. 표기를 분간할 경우 당대의 문장은 `한글 표기`, `한자 표기`, `한글 한자 혼합 표기`(`혼합 표기`로 줄여 쓴다) 문장 등으로 나눠진다. 다음으로 문체의 경우, 이 시기 한국어 글쓰기의 문체는 다음과 같이 구분 가능하다. 1. 한문[(ㄱ) 순한문 (ㄴ) 현토한문] 2. 한문해체문[(ㄱ) 구절형 한문해체문 (ㄴ) 단어형 한문해체문] 3. 국문[(ㄱ) 혼합표기 국문 (ㄴ) 한글표기 국문]. 이러한 틀로 대한민보 편집진의 문체의식을 살펴볼 때 가장 주목되는 난은 1909년 9월 16일 처음 선보이고, 1909년 12월 26일까지 총 47편이 실리는 `人뢰`欄이다. 이 인뢰란은 다른 난들과는 달리 거의 모두가 `혼합 표기 국문`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뢰란의 `혼합표기 국문`은 <국한문> 사용층 안으로 서서히 침투하고 있는 <국문>의 확산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이 인뢰란의 국문체는 대화상황을 전제하고 풍자를 한다는, 글의 성격과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글의 문체 선택이 글의 종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또 하나의 편집진의 글이 `형제자매`라는 난이었다. 반면에 『대한민보』 독자 층의 언어 사용실태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되는 난은 `諷林`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란은 `풍자`를 위주로 하는 글을, 독자투고의 형식으로 싣는 곳이었다. `풍림`란은 정확하게 100회가 실리는데, 그 중 혼합표기국문체가 38편, 현토한문이 33편, 구절형 한문해체문이 25편, 그리고 순한문이 1편, 기타 문체가 섞여 있어 어디로 귀속시키기 힘든 것이 3편이다. 『대한민보』의 일반적인 독자가 한문교양을 갖춘 지식인이었다고 할 때, 이 풍림란의 문체분포는 그들이 상당 정도 국문으로 어느 견인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앞서 편집진이 맡았던 `인뢰`란이 대화적 상황을 전제하고 구어표현을 통해서 풍자를 하고 있는 난이었다는 것과 성격을 같이 하는 것이다. 『대한민보』의 언어, 국어에 대한 관심이 낳은 주목해볼 만한 란이 바로 `신래성어문답`이다. 이 난은 말 그대로 새로운 용어들을 소개하는 곳이었는데, 여기에 소개된 단어들은 모두 일본어 한자어들이었고, 그래서 시작할 때의 몇 단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일본어 발음이 소개되어 있다. 경제나 법률 용어들의 빈도가 높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일상적 용어들도 적지 않았다. 여기 소개된 단어들 중 거의 절반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음절 한자어의 사용을 확산시키며 한문을 해체해왔던 근대 국문체의 형성과정과 깊게 관련된 사실이다. 실제로 여기서 소개되는 단어들은 여타의 기사 안에서도 종종 등장하게 되는데, 이른바 `일본어식 한자 표현`이라는 것이 한국어 안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보여주는 훌륭한 실례가 되고 있다. 『대한민보』의 지면 분석을 통하여 근대전환기 한국어 문장 변천이라는 문제에 접근할 때, 기존의 <국문>과 <국한문>의 대립이라는 틀보다는 표기와 문체의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는 틀을 사용함으로써, 당대의 이른바 <국한문> 사용층 안에서 확산되고 있는 <국문> 글쓰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당대의 개별 매체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체 변화를 추적하고 비교한다면, 근대적인 한국어 글쓰기 문장의 형성과정과 독자통합의 과정이 훨씬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itial purpose of this thesis is studying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and the style of written language expressed in <Daehanminbo(대한민보)>. To do this I don`t accept the traditional problematic based on the polarity between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국한문체) and the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국문체). Instead I suggest a new paradigm which differentiates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with the style of the written language. Focusing on the matter of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we can classify the writings into three types such as; 1.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2. the use of Korean alphabet 3.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And we can classify the style of the written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era such as: 1.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A)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B)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with Korean endings 2.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A)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in the dimension of the phrase B)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in the dimension of the word 3. the Korean style of writing A)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B)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 When based on these system of classification, the most noticeable is the column named `Inroe(인뢰)`. This column is written in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It is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most other parts of the paper which is filled with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It shows the spread of Korean style of writings into the domination of the Chinese style of writings, which was the common language of the intelligent of the Age. It is the column named `Punglim(풍림)` which s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writing styles of the reader of <Daehanminbo(대한민보)>. It is the correspondence column which was filled with the satire on the political or social situations. The contributors of this column who are supposed to be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also moved into the Korean style of writings.

      • KCI등재

        공과대학 신입생의 사고양식을 고려한 글쓰기 능력 탐색

        황순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1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writing ability and ‘thinking styles’ (capable of representing individualdifferences and diversity) in engineering freshmen in Korea,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strategies. (Academic) Writing is not just about conveying an idea or content, it is also about the representation of writer’s self. Inthis perspectiv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conducted on writing (process) and personality.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been paid to writing a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inking sty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7engineering freshmen as well as 67 non-engineering freshmen at H University, and students' writing ability as well as their thinkingstyles have been measured before and after writing class for 15 week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of writing ability by majo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shmen’s thinking styles by majors. Third, there wassignificant differences of writing ability according to thinking styles. Freshmen’s internal, legislative and hierarchical styles scoredsignificantly higher in writing ability than the others. And as for the engineering freshmen, internal, external and global styles scoredsignificantly higher in writing ability than the others. Finally, there was a weak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bilityand thinking styles(hierarchical & internal).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strategies of writing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

      • KCI등재

        고려 전·중기 한문산문의 창작 실제와 이제현의 고문창도

        서정화 ( Suh Junghwa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는 학계의 통설 때문에 고려 중기는 고문에 성취를 보지 못한 ‘적막한 시기’로 규정되고 있다. 본고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려 중기의 한문산문 창작 현장에서 당송고문이 실현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후기의 문학적 전환 또는 특징을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역사적 개념을 과도하게 적용한 ‘고문’이 아니라 사상과 문학 등에 합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키워드인 ‘성리학’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유의 고문운동과 이제현의 고문창도를 무리하게 연결하면 500년이라는 간극이 발생하며, 중국 산문사의 흐름과 잣대를 그대로 한국 산문사에 적용할 경우 수용 주체의 자발성이나 창의적 능력을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도 논했다. 다음으로 고려 전·중기는 당송고문이 유입되어 창작 현장에서 실제로 구현되었음을 밝혔다. 고려 전·중기 문인들은 당송팔대가의 존재를 분명하게 인식하였고, 당송고문의 형식적 특징인 騈體에서 散體로의 전환을 이루었으며, 당송고문을 대표하는 양식인 송서, 설, 논, 산수유기, 가전 등을 창작하였다. 또한 당송고문이 수용된 증거로 한유, 유종원, 소철, 왕안석의 표현기법이 박문, 임춘, 이규보의 편지, 묘지명, 산수유기에 실현되어 있었다.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는 고려 전기에 당송고문이 수용되고, 고려 중기에 당송고문이 정착·확립되고, 고려 후기에 성리학적 이념이 투사된 산문이 창작되어 500년 간 이어질 성리학적 글쓰기의 시대를 열었다고 거칠게나마 정리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하게 되면 그 흐름이 이상해진다. ‘이제현의 고문창도’설을 폐기해야만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제현의 고문창도는 성리학자들 ‘그들만의 리그’에서만 유효하다. The time of sino-Korean literature in mid-Goryeo period is when ‘byunchae(騈體)’ was completely transitioned to ‘sanchae(散體)’ in style. It is when literature transitioned from being practical statements for public use and started to be created as proses that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common academic view that sees Lee Je-hyun advocating for classical style prose, the mid-Goryeo period is defined as the “dreary period’ when the classical style prose did not flourish. This study reviews the issues that arise if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studied the cases where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practiced in sino-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asserts that the keyword ‘Neo-Confucianism(性理學)’ is more appropriate for defining the transition of literature in the later Goryeo period or its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reasonably applied in philosophy, literature, and etc., not ‘prose’, which is overly applied with the historical concept. Grouping Han-yu’s Classic Chinese Prose Movement(古文運動) and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creates the gap of five hundred years. Also, this study discusses that applying the flow and standards of Chinese prose to the history of Korean prose will result in ignoring the spontaneity or creative ability of the recipient. 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actually seen in the creative writing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The writers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clear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Eight masters in Tang and Song(唐宋八大家). The proses at the time transitioned from byunchae(騈體) to sanchae(散體),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and the writers wrote in styles that represent the literary style of Tong and Song , such as songso(送序), seol(說), non(論), sansuyugi(山水遊記), and gajeon(假傳). Also, the writing techniques of Han-yu(韓愈), Liu Zongyuan(柳宗元), Su Zhe(蘇轍), and Wang Anshi(王安石) were found in letters, memorial inscriptions(墓誌銘), and sansuyugi(山水遊記) of Park Moon(朴文),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history of Chinese prose in Goryeo Dynasty accept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literary style was settled and established in mid-Goryeo period, then in later Goryeo period, the proses with the Neo-Confucius philosophy were written, opening the door of the Neo-Confucius writing era, which continued on for about five hundred years. However, if it is viewed that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t disrupts such flow. In order to find the right place of the history of Chines prose in Goryeo Dynasty, the theory of ‘Lee Je-hyun’s advocacy for writing classical prose’ must be discarded. In other words,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prose is only valid among the ‘league of Neo-Confucian scholars.’

      • KCI등재

        경판방각소설의 각자체(刻字體) 연구

        이창헌(Lee Chang-Heoun)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5 No.-

          The carved letters on the woodblock-printed has its origin in the letters written clearly by the calligraphist. The calligraphist writes the letters in easy and mellowed style, just like in the square style. The shape of the letters written by the calligraphist is changed just a little through the operation of carving, whether by design or by accident. So the letters originated by the carving-man differs a little from the letters originated by the calligraphist.<BR>  The calligraphist makes the well written version for registration i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in the correspondence style of writing or in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The carving-man carves the letters in a turned-inside-out situation of the version. By this reason, the miscaved letters is coming out on the woodblock-printed.<BR>  The well written version for registration of Seoul block prints, which were published around Seoul area in the figure of the woodblock-printed, is usually written i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or the correspondence style of writing. So the Reader makes misreading the letters of Seoul block prints occasionally.<BR>  Here I makes some examination on these : a)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tters written by the calligraphist and the letters carved by the carving-man. b) the variation of the carved letters ‘a(ㅏ)’. c) the reasons of the variation d) the misreading of the character carved i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or in the correspondence style of writing. e) the traces of the stems used in a character, f) the traces of the stems used between the above character and the below character.<BR>  In conformity with these examinations, the Readers" misreading of the character is caused by the traces from the last stem of the above character to the first stem of the below character, and by the strokes of the vertical stem which looks like the half-horizontal stem.

      • KCI등재

        메타 서술 상황의 제시를 위한 장문(長文) 실험 : 〈방란장 주인〉의 문체적 특징 연구

        서은혜(Eunhye Seo) 구보학회 2011 구보학보 Vol.6 No.-

        본 논문은 박태원의 〈방란장 주인〉(1936)에서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이 작가의 모더니스트로서의 감각과 맞물리는 지점과 그 의미를 밝히고, 1936년을 기점으로 모더니즘적 글쓰기에서 리얼리즘적 글쓰기로 변모했다고 평가하는 기존 연구의 시기별 구분에 대하여 재고하고자 하였다. 장문(長文) 실험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체적 특징은 상황 외부에 위치한 서술자의 서술 과정을 환기하는 지표이며, 나아가 서술 상황과 서술자의 존재가 동시에 드러나는 ‘메타 서술’의 작가 의식을 드러내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메타서술의 ‘문체적’ 실험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의 메타 서술적 플롯과 연속되는 작가의식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방란장 주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은 잦은 콤마 사용, 문어체적 어휘 사용, 접속 부사어와 주어의 표기를 통한 서술자의 위치 부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콤마 사용의 용례는 크게 두 가지로, 첫째 인물의 인식, 즉 외부의 사물을 바라보고 발견하는 인물의 인식을 순차적으로 드러낼 때 이다. 둘째로 인물의 사고를 의미 단위별로 구분 지을 때 주로 사용된다. 콤마 사용을 통하여 절 단위가 분절됨으로써 서술 시간은 지연되고 독자는 인물의 사고 과정의 흐름에 좀더 주의를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독자의 독서 과정은 인물의 사고와 행위를 직접적으로 접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서술자가 인물의 인식과 행위를 분절하는 방식을 따라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또한 〈방란장 주인〉에서는 잦은 문어체적 어휘 사용을 통하여 서술자의 위치를 부각시키고 유머러스한 어조를 창출하고 있다. 〈방란장 주인〉에서 그려지는 에피소드는 인물 간의 뚜렷한 갈등 없이 매우 소소한 일상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구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소위(所爲)’, ‘대소(大小)’, ‘옥호(屋號)’ 등의 한자어 삽입을 통하여 상황과 괴리되는 언어 사용을 보여주어 웃음을 유발한다. 〈방란장 주인〉의 에피소드의 소소함과 서술자가 가장하는 ‘점잖음’의 포즈 간의 괴리를 극대화하여 유머러스함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문어체적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그러하다’라는 지시어의 잦은 사용을 통하여 인물의 행위 및 발화를 모두 서술자의 발화로 수렴시키고 있어 서술자의 위치를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낳고 있다. 마지막으로 〈방란장 주인〉에서는 ‘문득’, ‘어쩌면’, ‘대체’ 등과 같은 접속 부사어의 사용이나 절 단위마다의 주어 표기를 통하여 인물의 사고와 서술자의 언급 사이의 구분을 뚜렷이 유지하고 있다. 〈방란장 주인〉의 절 단위는 인물의 사고, 서술자의 평가, 인물의 행위에 대한 서술 등의 의미 단위와 각각 대응되는데, 개별의미 단위의 전환의 지표가 되는 것이 접속 부사어의 사용이다. 또는 문법상의 부자연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주어를 문장 중간에 표기하여 사고나 행위 중인 인물의 모습을 외부로부터 서술하는 서술자의 위치를 부각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상황을 전환시키는 접속 부사어의 사용과 문장 중간 주어 표기를 통해서 외부에서 상황을 서술하는 서술자와 상황 내부의 등장인물 간의 거리가 더욱 뚜렷해진다. 이처럼 〈방란장 주인〉의 장문에는 잦은 콤마 사용, 문어체적 어휘의 사용, 접속 부사어와 문장 중간 주어 표기 등 다양한 문체적 특징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질은 서사 상황 외부에 위치하는 서술자의 위치를 부각시킴과 동시에서술자가 서술을 행해 나가는 과정을 환기하는 메타 서술 실험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방란장 주인〉의 문체 실험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나타나는 메타 서술적 플롯 제시라는 작가의식과 연속되는 지점에 위치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Park Tae-won’s literary styl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t author prominently and to reconsider the validity of standards dividing Park’s literary world. 〈The host of Bangnanjang〉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works showing ‘A Length-extended sentence’ suggests various literary styles. And that kind of writing styles reminds readers of a narrator’s role in the work continuously as the narrative goes on. It’s a kind of meta-narrative technique, which constitute important feature of 〈One day of a novelist Gubo〉 as a different version. The former shows meta-narrative features in a level of literary style, whereas the latter, plot structure. There 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writing style in 〈The host of Bangnanjang〉 : using many commas, words of written styles, conjunctives and insertion of subjects in each sentences. I discuss the case of using commas in chapter 2. There are two cases of using commas in the work. First, commas are suggested in case of representing character’s cognition, understanding of external world. Secondly, commas are frequently used when narrator articulates the flow of character’s thought as a semantic level. The time of narrative is delayed and readers are likely to pay attention to the flow of character’s consciousness by every articulated phrase marked with commas. Thus, reading process means not only understanding character’s consciousness directly but also following narrator’s role articulating the flow as semantic phrases. Also, both making humorous tone of voices and emphasis on narrator’s role are achieved by using words of written styles frequently. In chapter 3, the lexical categories of written style are investigated. Although episodes in 〈The host of Bangnanjang〉 are ordinary and even trivial things, without obvious conflict among characters, the tone describing the narrative situation is quite polite and formal. It is possible to use many written style words, especially Sino-korean wor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ttiness of narrative situation and excessively polite tone create humorous effects. Dexis such as ‘that’ are often used in sentences, which frequently used in written style. Characters’ words and actions is converged into narrator’s remark by using dexis like ‘that’, so narrator’s location is more magnified. Finally, narrator’s remark emerged by using of conjunctive adjectives such as ‘suddenly’, ‘perhaps’, ‘ever’ and marking subjects in each sentence. In chapter 4, this matter is discussed. The phrases articulated by commas have a variety of narrative qualifications such as character’s consciousness, actions and narrator’s statements to characters. Conjunctive adjectives are often used when one narrative qualification changes into another one. Marking subject in each sentence makes an effect of emphasizing ti arrator’s location and role describing narrative situation outside. By using these kinds of narrative devices, the stance between characters and narrators is surely formed. In conclusi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writing styles are represented such as using commas, choice of words in written style lexcial categories, using conjunctive adjectives and inserting subjects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All of these writing styles help to emphasize narrator’s location and role, and meta-narrative showing narrator’s narrative process directly. This feature is similar to the major characteristic of Park’s another work, 〈One day of novelist Gubo〉 in 1934. While 〈One day of novelist Gubo〉 shows meta-narrative in a level of plot, 〈The host of Bangnanjang〉 represents in in a level of writing styles.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Self-Assessment of Writing Strategies Used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Park, Eun Hwa(박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1) 학습 선호도가 한국 대학생들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글쓰기 전략의 자기 평가에 영향을 주는지, 2) 학습 선호도가 글쓰기 과정의 전략인 계획하기, 쓰기, 그리고 수정하기와 관련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탐색하기 위해 이 연구는 Honey 와 Mumford 의 (Honey & Mumford, 1992) 학습 유형 설문지와 Petric과 Czarl의 (Petric & Czarl, 2003)글쓰기 전략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은 수도권에 위치해 있는 총 5개의 전문대학들에서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까지의 2주 정도의 시간을 소요하며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 519명의 학생들의 설문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어졌다. 본 연구는 학습 유형 선호도와 학생들의 글쓰기 전략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네 가지 학습 유형인 행동주의자 (activist), 반영자 (reflector), 이론자 (theorist), 그리고 실용 주의자 (pragmatist)들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어떤 학습 유형이 글쓰기의 단계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네 개의 학습 유형 모두는 계획하기 단계에 영향을 주었고, 반면에 반영자 (reflector), 이론자 (theorist), 그리고 실용주의자 (pragmatist) 유형은 글쓰기 단계에 영향을 주었다. 행동주의자 (activist), 반영자 (reflector), 그리고 실용주의자 (pragmatist) 유형이 고치기에 영향 을 주었다. 특히, 높은 반영자 (reflector) 유형과 낮은 이론자 (theorist) 유형을 보여주는 학생들은 자신들의 글을 고쳐 쓰기 하는 단계에서 더 많은 전략을 사용 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학습 선호도에 따라 글쓰기 전략을 다르게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고 학습자의 학습 선호도를 이해하고 예측 할 수 있는 것은 교사나 학생 둘 다에게 필요 하다는 것을 제안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whether: 1) learning style preferences influence the self-assessment of writing strategies used by Korean college students, and 2) learning style preferences are related to planning, composing, and revising strategies of the writing proces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Honey and Mumford’s (1992)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and Petric and Czarl’s (2003) Writing Strateg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519 Korean college students. 51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five colleges around the capital area. The duration for data collection was 2 weeks. To measure whether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strategy use, the correl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 self-assessment of writing strategies used. Students displayed a higher reflector and lower theorist learning style, and they used more strategies when revising their writing. To investigate which learning style preference is related to each stage, multiple regression was implemented. Each learning style influenced the planning stage, while only the reflector, theorist, and pragmatist styles influenced composing. and only the activist, reflector, pragmatist styles influenced revis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students is helpful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나말여초(羅末麗初)의 비액서풍(碑額書風)

        진복규 미술사학연구회 2008 美術史學報 Vol.- No.30

        The top parts in tablets(碑額) of Unified Silla and early Koryo marked a new epoch and opened up a new horizon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These are precious heritages to compare writing styles with other materials. Writings of top parts in tablets of those ages were recognized as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seal script(篆書) in those ages. In view of these facts,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most top parts in tablets(碑額) of Unified Silla and early Koryo were written in seal script style and most of them succeeded to that of The Royal Tomb of King Taejong. The remains left affirms that the tradi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Taejong, which was built in 661, had been succeeded to Jingongdaesa-bobubtabbi in Biro Temple(939). Second, of the two styles in seal script, the small seal script(小篆) had been accepted from Tang(唐) Dynasty (i.e. Lee Yang Bing's calligraphic style) and changed into a similar but new style. After the small seal script style was applied in the top part of Chulgamsunsa Tablet, several top parts of tablets were written in it. So, there had existed two major kinds of writing styles. Third, though there are very few remains, the top part of Kyungju Chanji Tablet affirms that there also had existed top parts that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楷書) in those ages. This illustrates that the history of writing top parts in regular script in Korea dates back to Unified Silla. The writing styles in the top parts of Jingamsunsa Tablet and Jingongdaesa Tablet in Heungbub Temple a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that of The Royal Tomb of King Taejong, they are so different and unique that they show us diverse and various writing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