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영양학 전궁 비전공에 따른 남녀대학생의 식의식 실태조사

        정외숙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4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Vol.4 No.3

        By the research of the actual state of food consciousness as the object of male, female 421 college students by major, non-major in food diete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idity degree of the guestion article appeared at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nutrition(the figure of Cronbach "${\alpha}$" overall 0.58, major 0.62, non-major 0.57). In the interest degree about nutrition knowledge of the major students were significant(P<0.05), but the non-major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in the information about knowledge. The knowledge of the major students mostly get from school education, non-major from mass communication as TV and rodio, etc.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sciousness degree of health of all the male, female students by major, non-major, and the self-consciousness degree about health of should not be significant to the food habit. Therefore deviating from acquirement of nutrition knowledge by the wrong medium of food consciousness of home dietary life, improvement plans should be activated for the right knowledge to practice in actual life. Taking the opportunity of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through literary subject in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for students, good food consciousness must be properly applied all the part of dietary life, and it is urgent for them to carry out scientific and reasonable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 development.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전공수업 형태가 체육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태영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ajor class types resulted from COVID-19 on learning commit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8 students in the non-face-to-face group and 292 ones in the face-to-face group who were freshmen to senior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B University, a four-year general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5.0K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 found in learning commitment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major class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difference found in task difficulty and confi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major class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Third, there was difference found in social awareness, the curriculum, and career path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major class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all depen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face-to-face major class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non-face-to-face major class.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과 대면의 전공수업 형태에 따른 체육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인 B대학교 체육계열 전공 1~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그룹 268명과 대면 그룹 292명으로 연구에 참가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5.0K를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비대면과 대면 전공수업 형태에 따라 학습몰입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비대면과 대면 전공수업 형태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와 자신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비대면과 대면 전공수업 형태에 따라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사회적인식, 교과과정, 진로방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종속변인에서 대면 전공수업 형태가 비대면 전공수업 형태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서주영,신승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Recently,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SW basic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but SW non-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learning. This paper proposes a class operation method that utilizes customized content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non-majors, rather than using existing learning contents for SW majors. The proposed method is to improve the education effects by increas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SW non-majors. The paper show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hich has operated non-major SW basic education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case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of pre- and post- learning group that reformed major-friendly contents about the same curriculum. As a result, the students of social sciences are interested in learning contents using public data that can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country, and humanities students are interested in text contents such as novels, history books, and SNS articles.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ectures, the class satisfaction was also greatly improved, and it showed that the major-friendly contents is useful for SW basic education of non-majors.

      • KCI등재

        체육전공 대학생과 비전공 대학생의 건강관리자기효능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남재우,이창진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2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by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care self-efficiency and health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non-major. We also looked at differences in majors by analyzing causality between self-efficiency in health care and health behavi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care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 level between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and non-major, and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was measured higher at all levels. Second, for both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non-major, health care self-effectiveness represented a positive (+) correlation in health behavior. Third, the detailed factors of health care self-effectiveness affecting health behavior showed differences in majors. In the physical education majors, emotional management,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al manage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 behaviors. For non-majors, stress management, exercise management, and emotion manage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nd emotion management had negative correlations. 본 연구에서는 체육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건강관리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 수준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건강관리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전공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건강관리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육전공자가 모든 수준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체육전공자, 비전공자 모두에게서 건강관리자기효능감은 건강행위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리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에는 전공별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전공자는 건강관리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 중 정서관리, 건강행동, 영양관리가 건강행위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비전공자는 스트레스관리, 운동관리, 정서관리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정서관리는 부(-)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 분석

        김영주(kim, Yeong-Ju),강진형(Kang, Jin-Hyung) 대한검도학회 2022 대한검도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검도 선수들의 교육과 훈련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검도회 한국대학검도연맹에 등록된 검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176명의 자료를 연구결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과 Duncan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셋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이 진로행동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에 대한 해석은 p<.05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에 대한 차이를 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직막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인 공감성, 확신성, 전공 만족의 하위 요인인 진로만족은 진로행동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guidance of student kumdo player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of 176 Kumdo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 kumdo Association Korea University Kumdo Federation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Data analysis is S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18.0 program. Fir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using Duncan method were performed.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variables of college kumdo player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determined at p<.05.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empathy, certainty, and career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 KCI등재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김정연 ( Chungy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로 구분하여 전공과목으로 운영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에서의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범계열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과 방향성에 있어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사범계열에서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체계적인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Capstone design class is suitable for cultivating convergent talented people required by an industrial world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it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humanities, social studies, nature, arts, and education major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about a capstone design class by separating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 from ones who majored in non-education. For this purpose, 258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apstone design class were surveyed about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From this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in the education major and non-education major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apstone design clas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realize professionalism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as well as the secondary education in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education major field.

      • KCI등재

        비구어 및 무발화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인식

        권미지,이미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therapy for communication education of children with non-verbal and non-utterance disorders. As a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31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therap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viding communication opportunities for grade-level communication education, education in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in diversity of communication styles,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treatment room, and training question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urse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l five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items of coopera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reatment roo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b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non-verbal or non-igniting dis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therapy.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구어 및 무발화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년별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의사소통 기회 제공, 의사소통 기능 교육, 의사소통 양식의 다양성 교육, 부모와 치료실의 협력, 연수 문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수강경험에 따른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인식차이는 없었다. 셋째, 장애학생 상호작용 경험에 따른 의사소통교육 분석 결과, 다섯 가지 유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학생 지도경험에 따른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부모와 치료실의 협력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비구어 및 무발화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SW교육에 대한 대학 비전공자의 인식과 경험 탐색: CQR을 중심으로

        오보라,이정민,이정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5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에서 SW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36명의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응답에서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범주나 50% 이상의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범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변동적인 범주를 핵심개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각각 57개와 7개의 변동적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비전공자 학생들의 SW교육에서의 경험은 생소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학습활동을 통해 SW과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인식한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SW교육에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의 경우 초보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의 방법은 세심한 수업 운영전략과 상호작용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major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s in college software educ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flection journals of 36 non-major students in D University based o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there was not general core concept to all students nor a typical core concept that appeared to more than 50% students. However, various variable core concepts could be derived. Overall, 57 variable concepts were derived from experience in SW education and 7 variable concepts for perception of SW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found many of non-major students feel difficulty from unfamiliarity to SW education. Also, many students have satisfaction in their perception to SW education about personalized learning that their professor provided in the class. Lastly, we conclude that a methodology for SW education needs to have a careful operation strategy and interactive design. Although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elucidate general core concepts that appear to all learners,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ding various implicit core concept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 KCI등재후보

        비전공자를 위한 AI기초통계 교육의 고찰

        유진아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1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ol.14 No.4

        We liv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re no longer just for majors, but are required to be able to handle non-majors as well.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non-majors is not just a general education, it creates talents who can understand and utilize them,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s increasingly important. Through such education, we can nurture creative talents who can create and use new values by fusion with various fields of computing technology. Since 2015, many universities have been implementing software-oriented colleges and AI-oriented colleges to foster software-oriented human resources.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vide AI basic statistics education of big data analysis deception to nonmajors.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esent a big data education model for non-majors in big data analysis so that big data analysis can be directly applied.

      • KCI등재

        대학의 전공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따른 SW 기초교육의 교육 효과성 탐색

        서주영,신승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3

        Recently, SW education for non-majors has become a trend with major-friendly SW education being offered to differentiate useful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major. Through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here main contents were 'humanities - computational thinking, business/social science/medicine - data analysis, and natural science/engineering - programming', we analyzed the effect of SW education using 46 metrics in four areas consisting of ‘SW awareness, confidence, thinking-ability, and literacy.’ As a result, natural science/engineering clearly prevailed over other majors in the absence of educa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majors disappeared after education. Humanities/business/society science which had a low initial level, showed an even increase in all evaluation metrics, while natural science/engineering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s result is related to ‘programming’ education, which is the main educational content in natural science/engineering. It has also been shown that computational thinking and data analysis contents contribute to enhancing SW education effectiveness for humanities/business/social science major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licit a discussion on directions of improvement in major-customized SW education.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SW 기초교육은 전공계열에 따라 유용할 교육 콘텐츠로 학습하는 전공 맞춤형 SW 교육이 대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문계열-컴퓨팅사고, 경상/사회과학/의학계열-데이터분석, 자연과학/공학계열-프로그래밍’을 주요 교육 콘텐츠로 하는 A 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전공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따른 SW 기초교육의 효과성을 ‘인식, 자신감, 사고력, 문해력’의 4개 영역 46개 문항의 평가지표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 전의 초기 수준에선 이공계열(자연과학/공학)이 다른 계열에 비해 모든 지표에서 확연히 우세했으나, 교육 후 전공계열 간의 차이가 사라짐을 확인했다. 특히 초기 수준이 낮았던 문과계열(인문/경상/사회과학)은 교육 후 모든 평가지표가 고르게 상승한 반면 초기 수준이 높았던 이공계열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공계열의 주 교육 콘텐츠인 프로그래밍 교육과 연관되며, 유의미한 상승을 보인 컴퓨팅사고와 데이터분석 교육은 주 수강대상인 문과계열의 교육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사례분석을 통해 전공 맞춤형으로 진행되는 비전공자 SW 교육의 개선 방향을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