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 활성화를 위한 연구 - 공주 무령왕릉 출토 石獸를 중심으로 -

        장충희 ( Jang Choong Hee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4

        이 글에서는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 활성화 측면에서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석수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 활성화 과정에서의 역사왜곡을 피하기 위하여 먼저 이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가치와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석수가 가지고 있는 ‘파벽의 수호신’이라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는 대중들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공감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문화상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지역역사문화자원에 기반한 캐릭터 산업이 활성화되었으며, 본 연구의 배경이 되는 공주 역시 최근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 활성화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전개되어야 할 지역역사문화자원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외형적 모티프와 표상만을 캐릭터 구성에 활용한 것은 지적할만한 부분이다. 역사적인 유물은 그 자체로 캐릭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 3차 재창작을 통한 역사적 가치의 훼손은 지양해야 한다. 또한 역사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 활성화를 위해서는 역사적 가치(이미지) 발굴과 함께 대중들과의 소통을 위한 스토리텔링 모델링이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킨다’라는 이미지의 석수를 활용한 공공디자인 예시들은 지역정체성과 함께 다양한 문화상품으로의 역할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This study developed discussions, focusing on the Stone Animal Guardians excavate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Gongju in terms of the revitalization of characters i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avoid historical distortions in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of characters i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ir historical values and backgrounds and could find the Stone Animal Guardians’ image as “crippled guardians” through this. Characters i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hould serve as media by which the public can sympathize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nd are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 this sense, in Japan, the character business based o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rom an early period has been revitalized, and Gongju,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oo, recently, started the revitalization of its characters i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owever, despite they are characters in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s the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the outward motifs and symbols only were utiliz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Since historical relics have characters’ qualities themselves, the damage of historical values through the 2nd and 3rd recreation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characters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orytelling mod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long with discovering historical values(images).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e examples of public designs utilizing the Stone Animal Guardians with the image of ‘guarding’ would serve as cultural products along with the local identity.

      • KCI등재

        제주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가치 추정: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전철현,강성혁,김찬수,이성연 한국환경정책학회 2017 環境政策 Vol.25 No.4

        제주도 곶자왈은 제주도에만 분포되어 있는 독특한 산림생태계로 청동기시대~1950년대까지의 오랜 역사와 주거, 농경, 신앙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곶자왈 방문경험이 있는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비시장가치평가법인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평가법(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을 적용하여,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가치(편익)를 경제적으로 추정하는데 있다. 곶자왈 역사・문화자원 보존편익의 경제적 평가를 위하여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곶자왈 탐방객의 방문횟수, 방문만족도, 이용경험, 인지도, 지불의사 및 지불거부 이유 등에 대해 2016년 9월 24 일~10월 1일까지 1,000부를 설문전문기관인 미래리서치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곶자왈 탐방객의 75% 이상이 2번 이상 방문한 경험이 있으며, 82% 이상이 ‘산책/휴식(명상)의 목적으로 방문하였으며, 곶자왈역사・문화자원 보존이 후생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곶자왈 탐방객의 14%만이‘곶자왈 역사・문화유적’을 견학하기 위해서 방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곶자왈의 이용가치에 22%, 존재가치에 17%, 상속가치에 43%, 선택가치에 18%를 각각 배분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곶자왈 역사・ 문화자원 보존편익의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면, 지불의사액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지불의사액(중앙값)은3,157.02원/방문/인으로 서순복(2010)의 2,198.90원의 보다 높고, 임상오・신철오(2013)의 산수실경에 대한 평균 지불의사액 7,506.9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추정된 지불의사액을 토대로 제주지역 전체의편익을 산출해 보면 2017년 기준의 가구 규모인 266,972가구로 환산하는 경우 연간 약 5.59억원(지불의사액 3,157.02원×266,972가구×6.63회/년)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을위한 기초로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추정된 지불의사액은 곶자왈의 관리비용을 위한 기금 및 입장료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제주도민의 경우 곶자왈을 역사・문화자원의 중요성보다는 휴양, 산책의 목적으로 대부분이 활용・인식하고 있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곶자왈 산림생태역사문화박물관건립을 통해 제주도민과 방문객들에게 곶자왈 생태・역사・문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Gotjawal only in Jeju represents a very exotic forest ecosystem and a long and various agri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dwelling, agriculture, and religious faith place from the Bronze age to the 1950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preservation and analyze visitors’ behavior arou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Gotjawal forest in Jeju using 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 To calculate the economic value of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tjawal Forest, a survey of 1,000 Jeju citizens was conducted by Mirae Research from Sep. 24th to Oct. 1st 2016, to collect data on the frequency, satisfaction and purposes of their visits, as well as recognition and WTP. The results showed that 75% of respondents had visited Gotjawal more than twice and 82% visited for the purpose of ‘walking and resting (meditation)’ in the forest. Although the data also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of Gotjawal’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welfare improvement, only 14%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visited Gotjawal to se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re. The benefits of the preservation of Gotjawal Forest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was estimated at a WTP of ₩3,157 per visit per pers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2,198.90 estimated by Seo (2010) and lower than the ₩7,506.9 estimated by Lim & Shin (2013). The total WTP is calculated to be ₩5.59billion (₩3,157/person /visit×266,972 households×6.63 visits/year).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preservation of Gotjawal’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ut there is a limitation: although residents are well aware of Gotjawal Forest as a site for recreation and walking, they have littl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ddition, the estimated WTP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funding and admission fees to cover maintenance expenses. The creation of a Gotjawal Forest Cultural Museum (GFCM) should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ans of promoting the importance of the varied cultural sites and long history of Gotjawal Forest.

      • KCI등재

        역사문화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 연구

        임준철(Junchul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9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 사업에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별 지자체들이 권역 내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브랜딩 및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역사문화 소재는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가치와 연동하면서, 일반인들이 생활문화 속에서 쉽게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자체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차별적인 지역 문화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인 소재임에 틀림없다. 현재 개별 지자체들이 버링고 있는 역사문화소재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 은 권역 내 문화자원을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 콘텐츠로 구상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역사문화 소재의 경우, 특정 지자체에 독점적으로 귀속된다기 보다는 다양한 지자체가 활영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며, 이에 개별 지자체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다루는 양상이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공재 성격을 가지는 역사문화 소재를 특정 지자체가 독점하려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지역 간 치열한 소유 경쟁을 벌이는 모습마저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역사문화 소재를 다루는 관점 및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며, 현재 시점에서 지자체 간 상생발전의 의미를 재정위하고, 그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 또한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시대 가치를 담은 미디어로서 역사문화 소재가 지니는 핵심 테마와 콘텐츠를 복수의 지자체들이 공유하고, 이를 차별적으로 개별 도시마케팅에 활용하는 지자체 간 유기적인 공동체 운영모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지자체들이 역사문화 소재 핵심 테마를 공유하면서 유기적으로 연합할 수 있도록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의 개념을 독일 테마가도 및 메르헨스트라세 사례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국내 지자체 및 미디어 환경에 맞게 수용하면서 역사문화 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기로 하겠다. As public interes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and developing projects using local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s growing,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branding and marketing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ir region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 material that ordinary people can easily relate to in life and culture while linking with the values that dominate our daily lif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for local governments, it is undoubtedly an attractive material in that it can solidify their identity and elicit the sense of beloning of community members. The cultural content developing project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s to shape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into contents as a tool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thereby creating a business model that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in the case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historical fact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can utilize it rather than being exclusively attribu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it is true that the handling of them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trying to monopoliz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good, fierce competition for ownership of one material is even seen between region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ealing with the exist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mutually beneficial developmen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organic community operation model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local governments share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s media containing the values of the times, and use them for individual city marketing differently. The concept of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model was derived from the German case so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organically unite while sharing the core them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t could show operating model of K-style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

      • KCI등재후보

        장소기억의 재현을 통한 지역문화콘텐츠 형성 구조 연구-제주지역 조천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김석윤,김은정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4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around the world to restore spaces that are permeated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public lands and call places of memory to form cultural contents. By actively attracting and reproducing memories of places, the tendenc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is being strengthen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using cultural resources in Jeju should contain the spiritual world that local people have enjoyed for a long time. As the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change greatly, the perception of the village's uniqueness and history is also changing. Therefore, the use of village resources should be able to share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newly relocated villager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Jocheon-ri, Jocheon-eup, is the ho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until the Joseon Dynasty, it has distributed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a main gateway to and from the mainland. The Jocheon-ri area was one of Jeju's two largest state-owned ports until the Joseon Dynasty. These social conditions have traditionally been a factor that people from Jocheon-ri are more receptive to foreign culture and actively enter the foreign region. In this study, we seek ways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place of events and memories that affect the lives of the villagers and transform the village resources into cultural contents. For this purpose, village resources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he investigated resources were re-classified and the core theme was set. Since then, the storyline has been constructed by adjusting and integrating auxiliary themes around core themes. Through this, the method called storytelling was appli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identity of the residents and convert them into cultural contents. By presenting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of the Li unit village, we aim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place memory to be used as a major resource.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역사문화자원이 스며있는 공간들을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기억의 장소로 전환,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재현하고 문화콘텐츠를 생성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제주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지역민들이 오랜 시간동안 향유했던 정신세계가 담겨 있어야 한다. 오늘날 마을공동체 구성원이 크게 바뀌면서 마을의 고유성과 역사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때문에 마을자원 활용은 공동체의 역사를 바탕으로 새롭게 이주한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지향도 함께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조천읍 조천리는 3․1만세운동의 고장이다. 조선시대까지는 육지부와 왕래하는 주요 관문으로서 2대 관영포구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사회적 조건은 조천리 출신 인사들이 전통적으로 외래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외부지역으로 진출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과 기억의 장소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하여 마을자원의 지역문화 콘텐츠 형성 구조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을자원을 조사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조사된 자원은 재분류의 과정을 거쳐 핵심테마를 설정하였다. 이후 핵심테마를 중심으로 보조테마를 조정하고 통합시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의 다양한 역사, 민속, 생활 등의 장소기억의 재현을 통한 지역문화콘텐츠 형성구조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마을 공간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자원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처럼 마을 단위에서 문화콘텐츠 형성과 구조를 분석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장소기억이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역사인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장화왕후 활용 OSMU 사례를 중심으로-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1

        Cultures that are used often in daily life is different based on the objective of the utilization an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Namely, it can be approached in a form of the culture itself, culture in a resource state that can be utilized, or in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and it is showing the trend of developing into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form of treatment for culture.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utilization plan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historical figure, Empress Janghwa, who lived in Najoo area that was the center of Youngsan river valley based on theoretical study about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Empress Janghwa was studied specifically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female cultural resource, and cultural tourist resource with focus on historical background, historical symbolism, and implications on cultural conten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were organized and investigated per type. With focus on operas and musicals, examples of utilization in the areas of cultural arts performance, movies and drama, festivals and events, characters, animations, and theme parks were also organized. Based on the details of such studies, the utilization plan for Empress Janghwa as an OSMU type cultural contents was discussed. Proposals were made with focus on the plan for utilizing cultural contents on Youngsan River development plan which is one of the 4-Rivers Project that has recently been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utilization in performance contents for production of operas or musicals, utilization in storytelling for production of movies and dramas, and other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various other cultural contents businesses. However, all these possibilities can only begin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greement with the local residents about the expansion of local cultures. In addition, active participation by local institutes and related experts as well as the active support of the fede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necessary. However, it cannot be stressed enough that creative planning and practical strategy that can develop into cultural contents from cultural resources or cultural origin, production of experts, and active willingness for promotion, and the creation of healthy cultural atmosphere for such must be preceded.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화는 활용 목적과 해석의 방향에 따라 다르다. 즉 문화 자체의 형태나 활용 가능한 자원 상태의 문화, 그리고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문화의 가공형태에 따른 다양한 문화상품으로 전개 발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영산강 유역의 중심인 나주지역에서 오래전에 살았었던 역사인물인 ‘장화왕후’관련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장화왕후, 여성문화자원으로서의 장화왕후, 관광문화자원으로서의 장화왕후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상징성 및 문화콘텐츠적 시사점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사례들도 문화콘텐츠활용의 유형별로 조사 정리하였다. 오페라와 뮤지컬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공연 분야, 영화와 드라마 분야, 축제 및 이벤트 분야, 그리고 캐릭터, 애니메이션, 테마파크등에 활용된 사례들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 내용들을 바탕으로 OSMU형 문화콘텐츠로서의 장화왕후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최근 국가적인 과제로 추진되고 있는 4대강 개발사업의 하나인 영산강개발계획에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제작을 위한 공연콘텐츠 활용, 영화 및 드라마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그리고 그 외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에의 활용을 이미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 이거나 앞으로의 진행 가능성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가능성들은 지역주민들의 지역문화 저변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합의가 기본전제가 되어야만 비로소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계 기관과 관련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물론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역자치단체의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문화자원, 또는 문화원형으로부터 문화콘텐츠로 전개해나갈 수 있는 창의적인 기획과 실천전략 및 전문가 배출과 적극적인 추진의지, 또 이를 위한 건전한 문화 풍토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문화자원으로서 김덕령 활용과 장소성 -'생생문화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헤본디얀 크리스티나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68

        This study discusses th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General Kim Deok-Ryeong and his placeness, focusing on the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 Kim Deok-Ryeong's identity as a hero of Honam, Gwangju, and Mudeungsan Mountain is emphasized, and the traces of this heroicness can be found in these places. His transformation into a symbol and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that evolved in interesting way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reated by Kim Deok-Ryeong's symbols have formed a strong presence around his birthplace, and informs the creation of “placenes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him. They still persist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Kim Deok-Ryeong was born and grew up, and his descendants continue to live there. Kim Deok-Ryeong was born and raised in Chunghyo Village and Mudeungsan Mountain. Chunghyo Village has a unique narrative composed and proven by history and people. His narrative became the identity of Chunghyo Villag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strong placeness. Until now, Kim Deok-Ryeong has been represented through history and literature, and through various studies, his importance has been highlighted as a righteous army commander, national hero, folk hero, and local and Mudeungsan hero. Today, he is represented through other means as a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Unlike Kim Deok-Ryeong's typical method of narrative transmission through historical records, monuments, documentary literature, and oral literature, the new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ssets or cultural heritage are assigned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o form a local identity.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presupposes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goal of preservation is to change the direction from "what and how to preserve" to "why and for whom." In other words, it means using cultural properties and focusing on the person who enjoys them, rather than the cultural properties themselves. However, this can negatively affect the creation of the potential modern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and distort the values and meanings inherent in cultural properties and places. Of course, cultural properties remain potential objects without those who enjoy them. They cannot reveal their presence without people who can discover and enjoy their valu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Kim-Deok-Ryong, his birthplace, and his descendants to avoid distorting the identity of cultural property and place.

      • KCI등재

        The Application of an Ecotourism Program Using Ecological Culture Landscape Resources in Waterfront Spaces - Focusing on the Gyeongbuk Andong Lakefront -

        Byungchul An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6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titute ecotourism programs through the discovery of excellent ecological, cultural, and landscape resources around Andong lakefront. The applicability of an ecotourism certification system was confirmed based on data construction and valuation. Through analysis of geographical, ecological, and political factors, four types of resources (including natural ecology resources, natural landscape resources,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living culture resources) and 46 resources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constructed into the mapped database.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d four areas of inland wetlands lakeside as main sites around Andong lakefront. Results of valuation were high for natural ecology resources and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comparatively low for others, such as living culture resources. Seven factors for standard evaluation were proposed, including ability, landscape, convenience, accessibility, connection, diversity, and value; four ecotourism program courses were proposed regarding field survey,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opinions, travel range, and time required.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a natural tourism certification within the certification grade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KCI등재

        중국 제나라 역사문화자원 활용과 지역상생 방안

        Dong Juan,이건웅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중국 춘추전국 시대 때 제(齐)나라의 문화와 사상은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다. 제나라와 노(魯)나라는 좁게는 산둥문화를 대표하며, 넓게는 중국 전통문화의 핵심을 구성한다. 제나라 문화는 훗날 유가, 도가, 법가 등 여러 사상 유파에 풍부한 사상자원과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제나라 문화는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또는 세계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제나라 수도 유적지인 린쯔(臨淄)는 현재 지명도가 높지 않고 역사문화 자원이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민도 역사문화 자원의 편익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물론, 정부에서는 대규모의 자금을 투자하고 있고 홍보에도 힘쓰고 있다. 더 좋은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하는 지역상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역사문화 코스, 전통문화 체험 등 여러 가지 문화관광 추진 방법을 살펴보았다. 산둥의 지역 브랜드를 높이고 지역주민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되는 활용 가능한 콘텐츠 개발을 분석했다. 이에 SWOT 전략을 활용해 제나라와 산둥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제나라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해서 문화콘텐츠, 문화관광, 투자유치와 지역민의 참여 등을 제안했다. The culture and ideas of the Qi dynasty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re an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 Qi and Lu dynasties represent Shandong culture on a small scale, and form the cor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on a larger scale. Qi culture provided rich intellectual resources and theoretical support for later schools of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Taoism, and Legalism. Qi culture is widely recognized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Asia and the world. However, Linz, the site of the capital of the Qi Dynasty, is currently not well known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not well utilized, and local people do not enjoy the benefits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course, the government is investing large amounts of money and making efforts to promote it. In order to better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local win-win cooperation, this study explores various ways to promote cultural tourism,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urses and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s. It proposes the development of utilizable content that can enhance Shandong's regional brand and bring real benefits to local people. Finally, by utili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Qi dynasty, I propose cultural contents, cultural tourism, investment attraction,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수요층 중심의 공주지역 역사문화자원 활용 연구

        장충희(Jang, Choong-Hee)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2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주지역 백제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주제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역사문화자원 활용은 새로운 기술과 이를 도입한 양질의 콘텐츠 개발 등 공급자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에 반하여 수요층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자원 활용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주의 백제역사문화자원을 방문한 방문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를 통하여 공주의 백제역사문화자원을 방문하는 수요층의 구체적인 성격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역사문화에 대한 교육’이 주가 되는 오늘날 수요층의 성격에 맞추어 ‘가족단위 방문객’과 ‘역사교육’이라는 조건과 요구에 부합하는 시설물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춘 ‘가족형 수요층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자원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ngju during the post-Corona era. Until now,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been centered on suppliers such as new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quality content that introduced them. In contrast, this study discusses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entered on the demand class. To this end, the first step was to collect and analyze various opinions of visitors who visited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ngju.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specific nature of the demand group visiting the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ngju.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utilize facilitie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family visitors" and "history education"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demand class, where "education on historical culture" is the main focu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plan to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family-type demand group" in line with the post-Corona era.

      •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정나은(Na-Un Jung)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4 스토리콘텐츠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한옥마을의 사례를 통해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놀이적 특성을 고려한 역사문화자원의 콘텐츠화 방안 논의 과정에서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역사문화콘텐츠의 핵심적인 놀이적 특성을 재미성, 허구성, 비일상성의 세 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통해 역사문화자원의 문화유산 요소와 이야기 요소, 그리고 이를 소재로 만든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 답사, 참여 관찰, 온라인 리뷰 연구 등의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주한옥마을의 핵심적인 역사문화자원인 경기전과 전동성당을 직접적으로 활용한 공간형 콘텐츠는 비일상성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간접적으로 활용한 의·식·주 및 이벤트 콘텐츠 등은 재미성과 허구성을 제공 또는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은 방문자의 체험이 발생할 때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있었다. 논의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대상으로서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자원을 문화유산 요소와 이야기 요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놀이적 특성을 지닌 역사문화콘텐츠는 역사문화자원 요소의 직접 활용 방식과 간접 활용 방식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해 기획 및 개발할 수 있다. 셋째, 발전적이고 확장적인 성격을 지닌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놀이 활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방문자들 스스로가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 및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yfu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ase of Jeonju Hanok Villag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layful traits and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for cultural cities. This paper identifies the core playfu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fun, fictionality, and non-dailiness. For the case study of Jeonju Hanok Villag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field visit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online review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earch revealed that spatial contents directly utilizing key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ch as Gyeonggijeon Shrine and Jeondong Cathedral, plays a crucial role in providing non-dailiness, while contents indirectly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and events enhances or provides fun and fictionality. These playfu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end to manifest complexly during visitor experienc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plan and creat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playful ent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heritage elements and narrative elements. Second, historicalcultural content with playful characteristics can be planned and created through two approaches: direct utilization of historical-cultural resource elements and indirect utilization. Third, to plan and create progressive and expansiv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playful activities centered arou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occur, allowing visitors to produce and share new content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