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지역사회에서 소화불량 환자의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집단검진 및 치료효과

        김성호,홍대용,이경수,김석범,김상규,서정일,김미경,강복수,Kim, Seong-Ho,Hong, Dae-Yong,Lee, Kyeong-Soo,Kim, Seok-Beom,Kim, Sang-Kyu,Suh, Jeong-Ill,Kim, Mee-Kyung,Kang, Pock-Soo 대한예방의학회 200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3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의 소화불량환자의 Helicobacter pylori 양성률, 치료순응률 및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1년 후 요소호기검사로 추적검사를 실시하여 Helicobacter pylori 박멸률 및 관련 요인, Helicobacter pylori 박멸과 증상 호전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고, Helicobacter pylori 치료 대안별 비용을 추정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1998년 3월 510명의 소화불량 증상 보유자를 선정하여 혈청검사 (ELISA)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510명 중 혈청검사 양성자 375명(73.5%)중 내시경검사에 동의한 304명에 대하여 CLO검사를 실시하였고, CLO검사 양성자 204명 에 게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amoxicillin, metronidazole의 3제요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화불량자 510명 중 혈청검사에 의한 양성률은 73.5%였고, 혈청학적 검사 양성자 375명 중 내시경검사 수진율은 304명으로 81.1%였다. 이 중 CLO검사 양성자는 204명으로 67.1%였다. Helicobacter pylori 박멸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1년 후 추적검사 완료자는 181명으로 88.7%였으며, 이 중 투약순응자는 122명으로 추적완료자의 67.4%였다. 추적완료자 중요소호기검사상 박멸된 대상자는 87명으로 박멸률은 48.1%였다. 투약순응자의 경우 122명 중 70명이 박멸되어 박멸률은 57.4%였다. CLO 양성여부와 대상자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주관적 경제적 수준, 흡연, 음주, 비타민 C 복용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와 관련성이 없었다. 소화불량 증상 중 '상복부 통증' 이외의 모든 증상과 CLO양성 여부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추적검사 완료자에서 연령과 음주여부는 투약순응률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p<0.05),성별, 흡연여부, 비타민 C 복용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치료순응여부와 Helicobacter pylori 박멱률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p<0.01), 그외 대상자들의 특성과 Helicobacter pylori 박멸률 간에는 관련성이 없었다. Helicobacter pylori가 박멸된 군과 박멸되지 않은 군의 증상 호전율은 각각 62.1%, 59.6%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대안별 비용을 분석하였는데, 대안 I은 소화불량환자 전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한 후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고, 대안 II는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 후 양성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하고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며, 본 연구에서 적용된 대안 III은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 후 양성자에게 내시경검사와 CLO검사를 실시하고, 양성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한 후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다. Helicobacter pylori 박멸을 위한 대안별 비용을 분석하면, 1인당 치료 비용은 대안 I 이 61,761원, 대안 II는 51,549원, 대안 III은 58,328원이었다. 대안별 비용과 항생제 내성 문제, 투약대상자의 수 등의 장 단점을 고려할 때 비용면에서는 대안 II가, 투약대상자수, 항생제 내성 문제, 위암의 조기발견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대안 III이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지역사회 소화불량환자에서 혈청학적 검사 양성자 중 CLO 양성자율이 67.1%로 높고, 3제요법에 의한 치료율은 48.1%(치료순응자의 치료율은 57.4%)이고, 증상호전율은 60%를 상회하므로, Helicobacter pylori의 높은 감염률을 고려하면 지역사회에서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검진 및 박멸사업의 시행은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투약 대상자 선정을 위한 선행 검사와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ositiv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 patients with dyspepsia; medical compliance and related factors; the eradication rate a year after screening and related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and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the estimated cost of three alternative approaches to treat Helicobacter pylori in the community. Methods : A total of 510 subjects with dyspeptic symptoms were selected and given the serological test in March 1998. The subjects were all adults over 30 years of age residing in Kyongju city. Results : Of the 510 selected subjects, 375 (73.5%) subjects proved positive for Helicobacter pylori on serological testing. Of these 304 (81.1%) who consented to an endoscopic examination, underwent a Campylobacter-like organism (CLO) test. Of these 304 subjects, 204 (67.1%), who had positive CLO test results, were given the triple therapy -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amoxicillin, and metronidazole. To determine the eradication rate of Helicobacter pylori, 181 (88.1%) out of the 204 subjects who were given the triple therapy completed a follow-up urea breath test one year later. Of these, the Helicobacter pylori of 87(48.1%) subjects was eradicated. Among the 122 subjects who were medication compliant,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rate was 57.4% (70 subjects), while the eradication rates was only 28.8% (17subjects) in the non-compliant group.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ompliance (p<0.01), but not to other characteristics and habits. The symptom improvement rate tended to be higher 62.1%), in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ed group than in the non-eradicated group (59.6%). Conclusions : Whe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treatment were considered in the light of cost, antibiotic tolerance and th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alternative II was favorable in terms of cost. Alternative III was favorable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antibiotic tolerance and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Further long-term research analyzing the cost-benefit and cost-effectiveness of each treatment will be needed as supporting material in creating new policies.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과 식품첨가물에 관한 연구

        송재철,정혜진,박현정,조은경,신완철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재료나 음식 중에 공통적으로 함유한 성분 또는 가공중에 많이 첨가되는 성분을 선정하여 이들이 Helicobacter pylori 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일반식품의 주요 성분인 탄소원, 질소원, 무기질을 대상으로 Helicobacter pylori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품성분 중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균일 생육활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단당류가 이당류나 다당류에 비교하여 생육을 촉진하였고 특히 단당류 중 포도당은 가장 균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노오스는 균의 생육을 오히려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알코올류인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크리시톨 등은 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원과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과의 관계는 평소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된다고 생각되는 일반 음식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기형 아미노산 성분고 무기형 질소화합물을 대상으로 균의 생육 정도를 비교하였다. 리신, 메티오닌, 시스테인, 트립토판 등은 균의 생육을 촉진하고 아르기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등은 균의 생육에 도움이 되지 않고 암노니아, 요소등은 균의 생육에 도움이 되지 않고 암모니아, 요소 등은 균의 생육에 조금 영향을 미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리신과 메티오닌은 가장 균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의 영향에서는 황산마그네슘, KH-2PO_4, 염화마그네슘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황산철,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은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첨가물의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 정도를 검토한 것으로, 그 다음이 질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순이었으며 토코페롤은 전혀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oose principal food components contained in diet foods and food additives use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oods, and elucidate their in vivo effects on the growth pattern of Helicobacter pylori. To do this,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various sources of carbon, nitrogen and mineral as an effect agent on Helicobacter pylori were first assessed based upon bacterial growth degree. Results show that the source of carbon tested had different effects on bacterial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t was revealed that a promotional effect of monosaccharides resulted in enhanced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compared with di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s. In particular, glucose was observed to be most effective i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mong monosaccharides tested, whereas mannose to hinder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Polyols such as sorbitol, mannitol, maltitol and xylitol was, however, observed to show no promotion or suppression effect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part from these, the sources of amino acid and inorganic nitrogen were chosen and tested to assess the promotion or suppression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t was found that amino acid such as lysine showed its promotion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while arginine, (NH_1)_2SO_4 and NH_4Cl showed no effect on its growth. Ammonia and urea were, however, obser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mong these effect agents, lysine and methionine were revealed to show the most positive effect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Minerals such as MgSO_4, KH_2PO_4, and MgCl_2 appeared to exert their positive growth effects, whereas CaCl_2, and CaSO_4 had a little effect. In addition FeSO_4, FeCl_2, and FeCl_3 brought suppression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n studies of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by food additives, ascorbic acid showed extreme suppression on its growth. Sodium nitrate and sodium chloride were also found to be of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n order of degree, whereas tocopherol had nothing to do with microbial growth.

      • KCI등재

        위암발증 원인에 대한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에 있어서 농촌지역 주민 조사 : 강원도 화천군 주민의 Helicobacter pylori 감염률을 중심으로 Inf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 Whachon Area, Kang-Won Do

        권태봉,이정선,우영국,이명헌,정철원,주진순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1

        위암발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강원도 화천군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일반사항,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실태와, ELISA법으로 Helicobacter pylori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40∼69세까지의 지역주민 169명으로 남자 79명, 여자 90명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학력은 65.7%가 초등학교 이하였으며, 월수입은 60%가 50만원 이하였다. 대상자의 62.7%가 농업에 종사하였고 자녀수는 64.3%가 3∼5명이었으며 대상자의 34.5%가 흡연을 하고 있었고 68.4%가 음주를 한다고 대답하였다. 대상자의 전체 평균신장은 156.7㎝로 여자는 150.1㎝, 남자는 164.4㎝ 이었다. 평균체중은 61.1㎏으로 여자의 체중은 57㎏, 남자는 65.7㎏이었으며 BMI는 전체 평균 25.5%로 여자는 24.8%, 남자는 20.1%이었다.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률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66.3%이었으며, 여자의 67.7%, 남자의 64.6%가 감염되었고 연령별로는 40대의 70%, 50대의 62.2%, 60대의 69.4%가 각각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 생활 요인에 따른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률은 흡연의 정도가 심하고 학력이 낮으며 월수입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여부에 따라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영양섭취량을 조사해 본 결과 비감염자는 감염자와 비교해서 에너지, 총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칼슘, 비타민 C 섭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철분과 niacin의 섭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ual infection of gastric cancer and lifestyle and nutritional status, we surveyed 169 persons, 90 females and 79 males, aged 40∼69 years from June 7 to June 14, 1997, in Whachon area, Kang-Won Do, Korea.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dentified the effect of sex, ag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economic status, occupation, life-style and food intake 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elicobacter pylori status was evaluat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ELISA) for anti-Helicobacter pylori immunoglobulin G(IgG).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as present in 66.3% of total subjects, namely, 67.7% of female and 64.6% of male and its prevalence increased with smoking, low education level and low monthly income. Energy, total protein, calcium and vitamin C intakes in the negativ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positiv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group. However iron and niacin intakes were lower in the Helicobacter pylori negative group than in the positive group.

      • 역류성 식도염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역할

        정혜경,손혜영,김영선,이선영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9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2 No.3

        연구 목적 : H. pylori는 만성 위염, 소화성 궤양, 위선암 등 다양항 위장관 질환과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역류성 식도염에서 그 역활에 대해서는 아직 이견의 여지가 많다, 최근 십이지장 궤양 환자에서 H. pyloni제균 치료 후 역류성 식도염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는데, 이는 H. pylori 감염이 체부 위염으로 인해 위산 분비능력을 저하시켜 역류성 식도염 발생을 저하시키리라고 추측되었다. 그러므로 역류성 식도염, H. pylori 감염 및 체부 위염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고안하였다. 방법 : 1998년 3월부터 9월까지 위내시경상 Savary-Millard 등급 1이상인 역류성 식도염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종합검진 수진자 중 위식도 역류 증상이 없으며 내시경상 정상 소견을 보인 40예였다. 환자 및 대조군에서 위전정부 생검을 실시하여 rapid urease 검사 및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H. pylori 감염률은 역류성 식도염 환자군 48예 중 21예(43.8%)에서, 대조군 40예 중 27예(67.5%)에서 양성을 보여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위체부 위염은 역류성 식도염 35예 중 29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15예 중 12예에서 양성을 보여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 환자 중 체부 위염과 H. pylori 감염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위내시경으로 진단된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H. pylori 감염률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역류성 식도염, 체부 위염 및 H. pylori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병리학적 객관적 진단 기준의 미비로 단언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일부 환자에서 H. pylori 감염이 역류성 식도염 발생에 위험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그 기전에 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 Helicobacter pylory causes chronic gastritis, which progress to peptic ulcer, gastric atrophy, or gastric cancer.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 reflux esophagitis. Corpus gastritis reduces the parietal cell mass and decreased peak acid output as a known risk factor for reflux esophagitis. So the relationship among reflux esophagitis and corpus gastritis and Helicobacter pylori needs to be clarified. Methods : In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of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without other gastrointestinal disease, the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was assessed. Antral and corpus biopsy were performed and rapid urease test and Giemsa staining were taken for Helicobacter pylori status. Results : The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was 43.8%(21/48) in reflux esophagitis and 67.5%(27/40) in reference group. The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p<O.O5). The corpus gastritis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flux esophagitis and Helicobacter pylory.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eference group, irrespective of corpus gastritis. It is suggested that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ave a preventive role to reflux esophagitis, so we may be aware of balance between 'deleterious' and 'beneficial' effect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에 의한 만성위염의 항균요법 후 위십이지장점막의 병리조직학적 변화

        최명범(Myoung Bum Choi),김윤옥(Yoon Ok Kim),조윤경(Yoon Kyung Cho),신선경(Sun Kyeong Sin),김송자(Song Ja Kim),우향옥(Hyang Ok Woo),김미령(Mi Ryeung Kim),김승환(Seung Hwan Kim),윤희상(Hee Shang Youn),고경혁(Gyung Hyuck Ko),박철근(Cheo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9 No.1

        N/A Background; We examin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gastroduodenal mucosa after chemotherap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to evaluate what happened to them, because most of patients with chronic gastritis who received the triple chemotberapy felt improve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spite of its 45% clearanc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 our previous study. Methods; Gastric and duodenal mucosal biopsy specimens were obtained before and 2-4 weeks after the triple chemotherapy. Helicobacter pylori colonization was evaluated with urease test and histopatho]ogical examinations including hematoxy]in-eosin and Warthin-Starry silver staining. Histopathological grading of gastric and duodenal mucosa was done according to the Sydney Syste and Whitehead's criteria, respectively. Resu)ts; Decreasing pathological grades of Helicobacrer pylori density, gastric neutrophil infiltr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as observed in 100%, 100% and 57.6% of 26 Helicobacter pylori-cleared patients after chemotherapy, respectively. And we a]so observed the decreasing pathological grades of Helicobacter pylori density, gastric neutrophil infiltr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70.8%, 63.6% and 29.4% of 34 Helicobacter pylori-persisted patients after chemotherapy, respectively.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neutrophil and chronic inflamrnatory cell infiltration after chemotherapy were correlated with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Helicobacter pylori density.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duodenal mucosa was decreased only in 8.6% of patients after chemotherapy. Conclusions; After chemotherapy, the histopathological grades of Helicobacter pylori density, neutrophil infiltr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gastric mucosa were decreased in both Helicobacter pylori-cleared and persisted groups. (Korean J Gastroenterol 1997;29:41 - 52)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의 in vivo 연구를 위한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의 개발

        이진욱,김승희,박탄우,김옥진,Lee, Jin-Uk,Kim, Seung-Hee,Park, Tan-Woo,Kim, Okjin 대한수의학회 2006 大韓獸醫學會誌 Vol.46 No.4

        A stable and reliabl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animal model would be necessary for evaluating vaccine efficacy and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athological mechanism of the organis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treatment prior to H. pylori inoculation on associated gastric mucosal injury and to establish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 to study H. pylori infection. Male Mongolian gerbils were used for the study. H. pylori was orally inoculated after 12 h fasting. 3 h prior to H. pylori inoculation, a group of gerbils was orally treated with absolute ethanol, 60% and 40% ethanol respectively. Another group of animals was treated either with H. pylori culture media alone 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plus culture media. Gerbils were killed 4 or 8 weeks after H. pylori inoculation.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was confirmed by both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rapid urease test. Mucosal damage was evaluated grossly and histologically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and pathological changes in gastric mucosa of the animals were also observed.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 to the gastric mucose was observed in the animals treated either with H. pylori culture media alone 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plus culture media, persistent H. pylori infection was seen in the mucosa and mucosal leucocyte infiltration and severe epithelial damage was observed in the Helicobacter and ethanol + Helicobacter groups after 4 weeks. The gross and histological scores were higher in the ethanol + Helicobacter than in the Helicobacter alone group. As the results, ethanol-pretreatment with 60% concentration induced severe pathogenic changes by H. pylori infection in 5 weeks-old Mongolian gerbi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thanol-pretreatment before H. pylori inoculation could increase the severity of gastric mucosal inflammation and enhance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The established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 would contribute to screen new drugs against H. pylori and be used as an useful tool for various animal experiments with H. pylori strains.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제균율 변화와 일차 제균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 인자

        조동근 ( Dong Keun Cho ),박선영 ( Seon Young Park ),기원주 ( Won Ju Kee ),이정현 ( Jeong Hyeon Lee ),기호석 ( Ho Seok Ki ),윤경원 ( Kyung Won Yoon ),조성범 ( Sung Bum Cho ),이완식 ( Wan Sik Lee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6

        목적: 현재 Helicobacter pylori의 제균치료는 프로톤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를 근간으로 하는 표준 삼제 제균 요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여러 연구에서 제균율이 점차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최근 9년간의 H. pylori의 제균율과 제균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 내원하여 H. pylori 양성으로 확인되어 표준 삼제 제균 요법 후, 치료 종결 4-6주 후 13C-요소호기 검사로 제균 여부가 확인된 70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H. pylori의 제균율은 77.0% 이었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의 연도별 제균율은 78.9%, 72.5%, 81.0%, 75.0%, 79.1%, 77.1%, 77.8%, 77.8%, 75.0%이었으며 연도별 제균율의 감소는 없었다(p=0.974). 나이, 성별, 흡연력, 음주력, 비스테로이드소염제 복용력, 기저질환, 내시경 진단, PPI 종류및 용량에 따른 제균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중인 환자(OR=0.509, 95% CI=0.292-0.887, p=0.001)와 최근 6개월 이내에 항생제를 복용했던 환자(OR=0.347, 95% CI=0.183-0.658, p=0.001)에서 제균율이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최근 9년 간 제균율의 큰 변화는 없었다. H. pylori 일차 제균의 영향을 미치는 임상인자에는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력과 최근 6개월 이내의 항생제 복용력이었다. Background/Aims: Although triple combination therapy containing a proton pump inhibitor (PPI) and two antibiotics is considered as a standard regimen for the first-line anti-Helicobacter pylori treatment, the recent trend of eradication rates following this therapy has been declined in the last few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H. pylori eradication rates over the last 9 years and to evaluate are clinical factors affecting eradication rates.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9, H. pylori eradication rates in 709 patients with documented H. pylori infection who received triple combination therapy for 7 day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ccording to years and various clinical factors. H. pylori status was evaluated by 13C urea breath test 4-6 weeks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Results: The overall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77.0%. The annual eradication rates from year 2001 to 2009 were 78.9%, 72.5%, 81.0%, 75.0%, 79.1%, 77.1%, 77.8%, 77.8%, and 75.0% by per-protocol analysis. There was no decreasing tendency of the eradiation rate over 9 years (p=0.97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s according to age, sex, smoking, alcohol, NSAIDs, underlying diseases, endoscopic diagnosis, and PPI. However, the eradication rate was lower in patients who took aspirin (OR=0.509, 95% CI=0.292-0.887, p=0.001) and antibiotics within 6 months (OR=0.347, 95% CI=0.183-0.658, p=0.001). Conclusions: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 has not changed at Gwangju-Chonnam province in Korea for recent 9 years. Lower eradication rate in aspirin and antibiotics users warrants further atten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368-37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