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체육학 :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소외와 일탈

        강유석(YouSeokKang)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4개월간 특수학교 체육수업을 관찰하고, 체육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상황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소외 및 일탈의 원천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시행 현황은 서로에게 길들여지는 수업, 소외시키고 소외당하는 수업, 발견의 기쁨이 있는 수업으로 범주화되었고,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소외에 대한 원천으로 인식적 소외, 제도적 소외, 풍토적 소외, 의지적 소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소외로 인해 나타나는 일탈의 유형에 대해서는 수업계획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탈과 수업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탈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특수학교체육이 본연의 역할을 담당하며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체육교사가 현실에 안주하고 순응하는 현실지향적 편의성에서 벗어나 현실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적극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와 구체적인 행동이 뒤따라야 하겠다. 또한, 장애학생이 체육수업 중 경험하는 소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애학생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지도방법을 익혀야 할 것이며, 장애학생이 인적, 물리적 환경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체육수업 중 교사와 학생이 기쁨과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변형(modification)과 선택(option) 등 구체적인 지도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개선을 위해 특수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소외의 원천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체육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체육 및 체육교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일선 체육교사의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되며, 체육의 가치와 필요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학교육과정 개편과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체육수업의 제도적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관련 법령 및 행정조직의 개편이 요구되며, 체육교사의 수업개선 의지를 저해하는 특수학교의 고착화된 분위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학교행정조직 개선의 제도적 노력과 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고, 무엇보다도 새로운 교직문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들의 주체적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소외로 인해 나타나는 수업계획 단계에서의 일탈을 예방하기 위해 체육교사의 업무 경감과 적절한 수업환경 조성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수업운영 단계에서 일어나는 일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체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보조교사의 배치, 효과적인 행동관리와 지도전략을 위한 연수 및 장학과 교보재 지원, 체육교사가 체육의 물리적 환경을 주도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특수학교체육은 본연의 위치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소외와 일탈이 나타나고 있다. 즉, 일반학교와 마찬가지로 특수학교체육도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체육교사의 주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개선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며,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현황에 대한 명확한 진단과 해결책 제시를 위한 학자 및 행정가들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특수학교 체육수업이 위기에서 벗어나 장애학생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위해 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te of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characterized 'alienation and deviation'. I adopted the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for data collection, which were analyzed by the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ienation of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shown 'perceptional alienation', 'institutional alienation', 'climatic alienation', 'Volitional alienation'.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Deviation has shown 'formal application of cu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insufficiency of making appropriate class Environment' in stage of class planning, and in stage of class managemen it has shown 'teacher-Centered class', 'non-structured class', 'training-centered class', 'without evaluation class', and 'play-centered class'.

      • KCI등재

        체육 수업 소외 현상 개선에 대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김진필(Kim, Jin- Pil),박대원(Park, Dae-Won),박종률(Park, Jong-Ly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체육 수업 소외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된 자료는 G도 Y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4명의 중학교 체육교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보조 자료는 수업 관찰과 각종 문서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과 원인 연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체육 수업 소외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교과내용지식은 ‘대학 전공교육’, ‘체육 교과연구회’, ‘체육 직무연수’로 분류되었다. 둘째, 교육과정지식은 ‘이해 : 교육과정의 적용’, ‘실천 : 경험에만 의존’, ‘재구성 : 매뉴얼 개발 및 정보 공유’로 구분되었다. 셋째, 교수학습지식은 ‘효과적 수업 조직’, ‘수준별 수업 운영’, ‘다양한 방법 적용’, ‘다양한 평가 활용’으로 유형화되었다. 넷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반성 : 준비하는 교사’, ‘개선 : 연구하는 교사’, ‘포용 : 따뜻한 교사’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교수학습환경지식은 ‘물리적 환경 : 효과적 수업 환경 조성’, ‘사회적 환경 : 이해와 소통의 제고’로 해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수업 소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 alienation phenomenon.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Y-city G-do,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other documents were utilized for secondary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causal chain analysis metho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2014 to July 2015. Research finding, if we look into the content of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who tries to improve the alien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is categorized as ‘University major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cademics research committee’, ‘Physical education task training’. Second, the knowledge of curriculum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Action : relays only on experience’, ‘Re-construction : manu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sharing’. Third, the knowledge of instruction is sorted as ‘Efficient class organization’, ‘Class operation due to level’, ‘Various methods application’, ‘Various evaluation utilization’. Fourth, the knowledge of the teacher oneself is analyzed as ‘Reflection : teachers prepared’, ‘Improvement : studying teachers’, ‘Comprehension : kind teacher’. Fifth, the knowledge of the milieu of schooling is interpreted as ‘Physical environment : forming efficient class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 enhancing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These results have the meaning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improve the class alienation phenomenon.

      • KCI등재

        저소득층 취학아동을 위한 디자인 창의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한지은(Ji Eun Han),남경숙(Kyung Sook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현대의 디자인은 인간의 삶을 더 편하고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위한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소외계층중 저소득 취학아동을 위한 문화예술지원사업이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기업의메세나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저소득 취학아동이 미래의 창의적인 인재로 육성되기위해서 국가적·사회적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노력들은 소극적이고 근시안적인 대처일 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창의교육은 단순한지식의 전달보다 문제해결을 통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으며 심리적인 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소득취학아동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과정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취학아동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치유하는 방법으로써 디자인 창의교육이 왜 필요한지 알아본 후, 그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제안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취학아동, 소외, 디자인 창의교육, 치유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학, 사회심리학,디자인학 등의 관련 국내외 전문서적과 학위논문, 학술발표논문, 정부보도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디자인창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의 사례를 검토하여 미래 디자인 창의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내의 경우 정부, 지자체, 초등학교, 기업에서 행하여지는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국외의 경우 영국, 프랑스, 미국, 핀란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으로 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저소득 취학아동은 공통적으로 소외의 심리를 갖게 되어 쉽게 좌절감과 외로움에 빠지게 되므로 디자인 창의교육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창의교육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부의 치유의 과정 포함, 다양한 디지털 교육을 통한 팀워크작업 유도, 단발적 프로그램 지양, 교사의 열린 사고의 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Contemporary design has been mentioned as a way to reliev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as well as to enrich human life more comfortabl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business for lower class children since 2004, and a variety of socially Mecenat projects are being continued. However, these efforts would be passive and short- term solution in that national and social effort for lower class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them as a creative leader in the futur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an essential process for lower class children; because, psychological healing could be occurred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of mind rather than just the delivery of knowled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lower class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 and find out the reason design creativity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After that, we proposed some standards for successful this education.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class children, alienation, design, creative education and healing; therefore, we referred the education, social psychology, specializing in foreign books and other related thesis, published academic papers, government report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In this study, we derive criteria based on preliminary Study about th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After that, by examin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education programs, directions of future creative education are suggested to mov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in the following; the psychology of alienation is inherent in lower class children in common and it is easy to fall in frustration and loneliness. The process of healing, team work program through various digital education, open minded of instructor must be carried for successful education for lower class children and avoid to carry out design education program as a just one-time event. In these long-term perspective of research for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김윤영(Yunyoung Kim),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체육수업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변화와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또래관계 소외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회고록, 영화감상문 등을 통해 수집된 체험 자료는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범주로 해석 및 재구성하여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체육수업을 통한 삶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중심의미와 29개의 드러난 주제, 12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소외해소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여 변화된 삶을 맞이하였다. 학생들이 경험한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총 25개의 중심의미와 12개의 드러난 주제,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삶의 활력소’, ‘소외 해소의 기점’, ‘만남과 소통의 장’, ‘관계 개선의 열쇠’로 의미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과 소외현상, 체육수업의 본질에 관해 논의하였고, 또래관계 소외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life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by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eight B-grade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A-city, Gyeonggi-do, who had alienated peer relationships. Experienc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memoirs, and movie appreciation were composed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 and essential themes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he derived subject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into the categories of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proposed by Max van Manen-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to grasp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lif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total of 61 core meanings, 29 revealed topics, and 12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alien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ried to escape alienation in it, and met a changed lif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erienced by students, a total of 25 central meanings, 12 revealed topics, and 4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mean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the vitality of life”, “the starting point of resolving alienation”, “the place of mee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key to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a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lienation phenomen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proposed for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peer-related alienation research.

      • KCI등재

        국내 취약계층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효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Lifelong learning provides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ll. In addition, lifelong education has an ideology that provides second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socially disadvantaged clas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new research area and research direc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targeting vulnerable classes. For this purpose, 129 researches on lifelong education of vulnerable group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subject search in database of RIS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year, field, method, subject, and topic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0,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vulnerable has increased in quantity. Second, the research on socially disadvantaged classes has been published mostly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mainly applied to research methods. Fourth, there were the most studies on illiterate adults and relatively few studies on low income and low educated adults. Fifth, researches on lifelong learners or learner group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curriculum and program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sites,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and lifelong education paradigms and ideologies. Based on the analysis, I rai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policy formulation of lifelong education centering on the vulnerable groups. 평생교육은 모든 이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평생교육은 학교교육의 기회를 놓친 이들(취약계층)에게 제2의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이념을 갖고 있다. 이 논문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연구 영역과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제어 검색을 통해 취약계층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총 129편을 선별 및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도별, 연구 분야별, 연구 방법별, 연구대상 및 연구 주제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0년 이후 취약계층 평생교육 관련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취약계층 연구는 주로 교육학 분야에서 많이 발표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면에는 질적 연구가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으로는 비문해 성인이 가장 많았으며, 저소득, 저학력 성인의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별로는 평생학습자 또는 학습자 집단에 관한 연구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평생교육기관 및 현장, 평생교육제도 및 정책, 평생교육패러다임 및 이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취약계층 관점의 평생교육 연구,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체육수업 소외 여중생의 뉴스포츠 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황성하(Hwang, Sung-Ha)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or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the New Sports activitie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lienated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through sampling critical cases and the author of this study i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has instructed the participants for one year by engaging them with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with sports club activities. Also,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s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hich later were analyzed through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forced to be alienated from physical education clas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sex and gender inequality.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be introduced at the hear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experiencing New Sports activities, which consist of activities satisfying learners’ various needs and requirements, attracting femal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Finally, sports clubs were voluntarily organized and operated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 of New Sports activities. Moreover, club members show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consistently, which implies that New Sports is useful as a valence required in practising their lifetime sports.

      • KCI등재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felong Education Projects for Low-income Groups

        권정숙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0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6 No.12

        In the past, the Korean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policy aimed to bridge the national education gap to resolve social polarization and build a fair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the 2018 National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Survey, educational inequality at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still remains.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re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low-income families and propose directions. To this end, the previous research review,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erived as measure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alienated groups. First, proper indicators are needed so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nual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s and survey reports can clearly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according to each background varia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low rate of participation of low-income groups in lifelong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for low-income groups.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 that the low-income group and the other group with an average or above-average income have very different tendencies in terms of participated programs and programs desired to participate in. Fourth, different standards for the outcomes of lifelong education for low-income groups are needed. Organizations that provid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likely to focus on programs that link education and employment because they try to assess the outcomes with immediate, visible results.

      • KCI등재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선향(Park, Seon-Hy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고,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학습자특성, 참여하고 있는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가 평생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참여동기와 참여장애가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을 어떻게 매개하여 평생학습참여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와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구조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는 모두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변인들의 평생학습 참여도에 대한 전체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 및 참여장애는 학습자특성 또는 교육기관특성이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hased effect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roposed structured relationships among five latent variables(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Second, in order of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arriers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Third, indirect effect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were mediated by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barriers.

      • KCI등재

        사회적 소외계층의 미디어교육 운영 실태 연구: 기관 운영진 FGI를 중심으로

        김영순 ( Young Soon Kim ),강진숙 ( Jin Sook Kang ),배현주 ( Hyeon Ju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 기관의 운영진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외계층의 미디어교육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노인·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 기관의 운영진들에 대한 FGI 조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방향을 모색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 운영진들에게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목표, 미디어교육의 커리큘럼 구성, 미디어교육의 수업 방법, 기타 제안사항에 대해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미디어교육 목표의 경우, 미디어별 콘텐츠에 대한 지식과 이해 및 제작능력 함양을 통해 비판적 수용태도와 이를 기반으로 주관을 가진 창의적 생산자로서 사회와 소통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커리큘럼 구성의 경우, 기초 단계에서는 미디어에 관한 지식 및 이해 미디어 조작과 기초적인 제작, 심화 단계에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평과 가치, 미디어 이용태도 등을 중점적으로 다뤄야 한다. 수업 방법으로는 체험 및 참여활동을 강화하고 토론학습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present managing condition of the media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and suggest a series of improvements to the management of the institute. In this study it is an important role for the proposals to the management of media education programme. Because of it, this paper make an investigation into managers, programmers, and teachers in the media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the investigation. Especially, these institutes have to do with the disabled, the old, and children of the low-income bracket. The investigation was accomplished by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as a sort of the qualified research methods. Results of this paper are follows; It is emphasized in this study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contents of median, to utilize the median, and to read critically median will be set as the goal of the media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goal, it is necessary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to learn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others.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for the media education curriculum, the basic level was designed by the knowledge about median, the understanding median, and basic producing median. The upper level was constructed by the critical ability to median.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 주관적 정서 및 체육 수업 소외의 관계

        조양,리비,김대호,마기비,황진,한곤건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ubjective emotions, and alienation from middle school P.E. classes. Method: Using the SPSS 24.0 version, the researchers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 355 questionnaires.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of all, the difference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ubjective emotions, and alienation from P.E. class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ender and grade.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l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all factors of subjective emotion show the difference in P.E. class alien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or a negative correlation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 teacher alienation and athletic ability alien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competence, and autonomy had negative effects on P.E. teachers, facilities, relationship with friends, clothes, curriculum content, sports ability alienation respectively. Conclusion: Comprehensively, by grasping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motions, the type of P.E. alienation can be predicted in advance. Measures to minimize P.E. class alienation should be sought and applied considering that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emotions differ according to types of P.E. class alien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주관적 정서 및 체육수업 소외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35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4.0 버전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정, 변량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생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만족과주관적 정서, 체육수업 소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모든 하위 요인과 그리고 주관적 정서의 모든 하위 요인의 수준에 의해서 체육수업 소외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사 소외와 운동능력 소외를 제외하고 모든 요인간 정적 혹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교사, 시설, 친구관계, 복장, 교과내용, 운동능력 소외에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이 각각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주관적 정서를 파악해서 체육수업 소외 유형을 예측해 볼 수 있으며, 기본적 심리욕구와 주관적 정서가 미치는 영향력 소외 유형별로 각각 다른 점을 고려하여 체육수업 소외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