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Jung-Hui Choi),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입학생들의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업성취도(GPA)와 학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D대학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2020학년도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전형을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수능으로 세분하였으며,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의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평균비교를 통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시 중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이어서 수시 교과전형 입학생의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입학생의 성취도는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전체 평균은 모든 전형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서 수시와 정시 입학생 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시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가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결과, 교과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상승한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학전형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차원의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s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post-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Methods D University,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enrolled in 2020 according to admissions was conducted. Admission screening was subdivided into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school subject, essay writing, and SAT, and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verage GPA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dmission screening. Next,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in 2019 and 2020 according to the admissions proces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admission processes,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which is a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creening for excellent school subjects showed hig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dmitted with excellent essay writing skills was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students with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mean increased in all types. In terms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an overall difference between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occasional admis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based on the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depart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chool subject records, SAT, and essay screening increased, whil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did not chang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longer-term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make a rational judgment on the effects of admissions typ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입학 특성이 다른 대학생들의 교양심리 강좌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직장인 대학생 중심으로

        신맹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1

        Nowadays, many admission officers in Korean universities or colleges are willing to recruit full-time college students who ar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ir full-time occupational duties, and educate them to keep up with current rapidly-changing global socio- and educational-environments. These student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regular full-time students in that they have already had plenty of professional pre-collegiate experience. These students are presumed to hav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regular students in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ability of memory consolidation, etc. regarding academic learning, readiness and/or participation. However, most instructors teaching academic courses at college tend to utilize same or similar pedagogic strategies over both regular and occupational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AA), class satisfaction(CS) and relation between these two over college students who differ in their admission conditions. The present ANOVA on total scor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tiations in the scores among three student groups: Regular student group (RS), mixed student group consisting of regular students and students frequently engaged in their occupational training(MS) and full-time worker student group(FS). That i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RS> MS> FS. In subsequent frequency analyses on students' course evaluation data, most students of the three groups evaluated the instructor's teaching performances positive in critical subunits of the CS: Lecture contribution, lecture communicability, lecture satisfaction, lecture material appropriacy.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AA, more students favored the instructor in the order of RS > MS > FS in each of these subunits. On the contrary, even though a few students generally evaluated the instructor negative, fewer students were observed in negative scale marks on the Likert’s Scale in the oder of RS < MS < FS on each subunit. Taken together, the CS co-varying with AA differed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depending on their admission conditions; in the order of FS < MS < RS. Notably, the observation that the FS is lowest in both the AA and the CS is thought to have presumably arisen from its least comprehension of the class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lower motivation to learning or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instructor or the course, and insufficiency in memory consolidation presumably combined to relative lack of pre-collegiate academic readiness or time investment to the learning. The author therefore suggests that current undifferentiated pedagogic strategies over the three distinctive admission groups should be changed to differentiated ones that can reflect their different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etc. It is also suggested that faculty evaluators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instructors responsible for courses for the FS. 현사회의 주요 추세의 하나는 대학 교육 과정을 통하여 직무 경험이 있는 직업인을 전문 지식인으로 재교육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직장인 학생들은 학업과 동시에 자신의 직업적 사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에 여러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강의 진행방식을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에는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가 일반학생들만큼 보장될 것인가의 질문이 대두한다. 본연구에서는 심리학의 이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인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입학 특성에 따라서 존재하는가를 살펴본 후에 강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에서, 정규 입학한 학생반(정규반), 캠퍼스 통합에 의해 이전하였으며 전공 실습이 비교적 많은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반(통합반), 그리고 직장인 특별 전형을 통하여 입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직업적 수행을 해야 하는 학생반(직장인반)의 순서로 학생 집단 간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후속적으로 학업 성취도에 따른 강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강의 기여도, 강의 전달력, 강의 만족도 그리고 강의 교재 및 자료의 적절성 등의 각 하위 척도에서 세 학생집단들의 대부분은 교수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그 정도는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의 서열을 보였다. 반면에,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그 정도가 낮기는 하지만 직장인반, 통합반, 정규반의 서열로서 이는 긍정적 평가 순서와는 정반대였다. 요컨대, 입학 특성이 다른 학생 집단에 따라, 즉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의 순서로 학업 성취도와 강의 만족도가 낮아졌다. 학습 동기 및 태도, 의미적 이해도, 학업에의 투자 시간 요인들과 관련하여, 직장인반이 본교양 강좌에서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이유가 추정되었다. 본논의에서는 효과적인 교수법의 일환으로서 수업 내외의 심도있는 피드백을 통한 수업 이해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좌규모의 예와 같은 전제 조건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사례 연구: 기독교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김한나,감성원,이창원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7 No.4

        Today, integr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re paramount. Yet, current college admissions remain anchored to traditional pedagogy. As global emphasis on tertiary education intensifies, it's essential to recalibrate admissions to align with universities' goals and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the documentation review of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admission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Using data from the “A” Christian university a correlation between document evaluation scores and student grades was identified. Candidates from the "Coram Deo Talent Selection" consistently showed exemplary academic performance. Furthermore, the document scores and academic capability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 outcomes. Universities, as advanced academia pillars, must integrate admissions with primary to secondary education, endorsing judicious benchmarks. The student admission should evaluate candidates' comprehensive competencies beyond mere numbers. This research offers insights for a refined collegiate admissions strategy, fostering growth for institutions and students.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김소정,이윤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We use the risk of bias format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included for this meta-analysis. Asymmetry of the studies is confirmed by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size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tegrated estimates, statistical heterogeneity, confidential intervals are estimated, and the meta ANOVA was implemented for the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effect sizes calculated. The results shows that 12 studies (k=36)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that the publication biases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by randomized effects revealed that there showed a little effect for CSAT and Admissions of High School Records, but not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the year of college entrance and the level of grad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tudies, which confirms that as time passes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becomes stabl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studie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meta-analysis, we suggest that for the future stud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analysis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included as modera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 일반전형 요소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비교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isk of Bias 포맷을 활용하였으며, funnel plot과 Egger의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 통합추정치, 통계적 이질성, 신뢰구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변인들의 조절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제, 변인의 성향, 통계치 특성, 연구대상, 측정도구, 중복 방지 등의 연구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2편(k=36)의 문헌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물들의 출판편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수능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입학년도 및 학년 수준이 연구 간 분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부 종합전향제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화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앞으로는 대학 생활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결과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김소정(Sojung Kim),이윤선(Yoonsun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 일반전형 요소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비교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isk of Bias 포맷을 활용하였으며, funnel plot과 Egger의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 통합추정치, 통계적 이질성, 신뢰구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변인들의 조절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제, 변인의 성향, 통계치 특성, 연구대상, 측정도구, 중복 방지 등의 연구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2편(k=36)의 문헌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물들의 출판편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수능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입학년도 및 학년 수준이 연구 간 분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부 종합전향제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화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앞으로는 대학 생활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결과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We use the risk of bias format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included for this meta-analysis. Asymmetry of the studies is confirmed by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size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tegrated estimates, statistical heterogeneity, confidential intervals are estimated, and the meta ANOVA was implemented for the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effect sizes calculated. The results shows that 12 studies (k=36)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that the publication biases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by randomized effects revealed that there showed a little effect for CSAT and Admissions of High School Records, but not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the year of college entrance and the level of grad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tudies, which confirms that as time passes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becomes stabl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studie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meta-analysis, we suggest that for the future stud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analysis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included as moderators.

      • KCI등재

        대학 입학사정관 직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유은선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er’s professional life as an admissions officer. Through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clarify the important experiences and meaning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working as an admissions officer. For this purpose,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of admissions offic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ocial context in which university admissions policies change and the passage of time. At the onset of implementing the admissions-officer system, the researcher experienced a difficult time due to misunderstanding and distrust of the admissions officer. However, knowing that the admissions officer could bring meaningful changes to the university entrance environment, the researcher acquired identity as an admissions officer while giving social value and meaning to work. However, the researcher also experienced exhaustion caused b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 college admission, and an attitude of excessive immersion in work. After that, while objectively looking at the job and work of the admissions officer, the researcher began to seek the job of the admissions officer as a universal job. Based on the these results,the meaning of the admissions officer's work experience was deriv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생의 다양성 연구

        임진택 ( Jin Taek Lim ),조민경 ( Min Gyeong Cho ),김효희 ( Hyo He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이 연구는 대학 입학전형별로 입학생의 사회적 배경과 개인 역량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와 역량을 갖춘 학생 선발을 위한 대입전형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등의 의미, 미국의 소수자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과 우리나라의 기회균형 선발제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K대학교 입학생의 대학입학전형별 사회적 배경과 개인 역량을 살펴봄으로써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 관점에서 소득계층별로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이 경제적 약자의 입학 기회가 많고 수능 중심 전형이 입학 기회가 적으며, 지역별로도 학생부종합전형이 수도권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비수도권 학생의 입학 기회가 많고 논술과 실기 중심 전형이 입학 기회가 적고, 고교유형별로도 학생부종합전형이 특목고·자사고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일반고 학생들의 입학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고, 수능과 실기 중심 전형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역량의 다양성`` 관점에서 대학 및 계열별 인재상을 전형의 지원자격에 명확히 명시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해당 모집단위별 특성 인재 선발에 부합한 학생 선발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이 정성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소득·지역·고교 측면에서 학생 구성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대학 및 계열별 인재상에 부합한 학생 선발에 가장 적합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개성과 다양성 있는 인재 선발을 위해 대학은 입학사정관에 의해 학생의 개인 역량을 개별적·종합적으로 살피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속적인 확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cial backgrounds and individual competence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students with diversified values and competences required by our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achieve this, I first reviewed the meaning of equality as wel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ffirmative action policy in US and Korea and made empirical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student compositions by inquiring into their social backgrounds and individual competence by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at K Universit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t was discovered that, from the viewpoint of ``diversity of social background``, the economically weaker section had more admission opportunity with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former Admission Officer System) but less so with SAT- centric (Scholastic Aptitude Test) system; in terms of region,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mitigated overemphasi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ave students from out of metropolitan area higher chance for admissions, but less so with essay and practice-centric screening system; in terms of high school types,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mitigated overemphasis on special purpose and private high schools and gave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higher chance for admissions, but less so with SAT and practice-centric screening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diversity in individual competence``, it was clear that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former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explicitly states specific qualifications by college and departments, was the conforming screening procedure for selection of specific talents.

      • KCI등재

        대학입시 공정성 확보를 위한 법적 고찰

        강기홍 ( Kang Kee Hong ) 대한교육법학회 2020 敎育 法學 硏究 Vol.32 No.1

        본고는 고등교육법 제31조에 따라 대학이 학생선발을 함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수시전형의 법적 문제를 검토한 후 정시모집과의 관계 속에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三不政策의 내용인 고교등급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재량의 남용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 논술전형에서도 고교교과과정 범위를 넘어섬으로서 본고사 역할을 하는 면이 있어 기여입학제만 순수히 금지된 형편이다. 그래서 대학입시의 가치체계에 있던 삼불정책의 현실적 해체를 주의하여야 함을 언급하였다. 정시와 수시의 비율을 50:50으로 조정하는 방안,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비교과 활동 중 창의성과 다양성 함양과 거리가 있는 교육의 비본질적 요소를 축소하는 방안, 학생선발에 의문이 있는 경우 결정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접근권과 대학의 학생 선발 과정상 발생할 수 있는 과실 등을 교육수요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IV).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in the relationship with regular admissions after reviewing the legal issues of frequent admis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by universities according to Article 31 of the Higher Education Act. The “Three Forbidden Policy”, which had been blocked by the college entrance exam(Contribution admission system, the high school grading system, and the university's main exam), has been graded in fact by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the general admission process. The essay format of a university actually serves as the main test. Therefore, only the actual contribution system remains pure. Therefore, the main text mentioned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alistic dismantling of the ‘Sambul policy’. Furthermore, the Commission proposed that the ratio of on-time and off-time should be adjusted to a ratio of 50:50. And that comparison and activities in the comprehensive student system should be reduced except that they are truly creative and conformed to the nature of education. The access to information that can access decision data in case of doubt, and the selection of students and the negligence that can arise in selecting them should all be enhanced as a summary measure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 KCI등재

        대학입시 모집시기별 입학생의 경력개발과정과 취업목표 달성에 대한 차이 분석: 수시와 정시를 중심으로

        노경란,허선주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sed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by type of admission to universi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5GOM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regular enrolled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the time of setting the career goal, the particip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personal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fluenced achievement of career goal. Secondly, in the case of regular enrollment, it was found that career goal setting,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llege assiste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had an effect on career goal. Thirdly, in the case of regular enrolled students, it was found that setting job goal, participa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preparation for personal employment influenced achievement of job goal.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entry goal set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personal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college assiste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fluenced achievement of job go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the achievement of the employment goal by the admission time of the university were describ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입시 모집 시기별 경력개발과정 특성과 취업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중 2015GOM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시 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 설정 시기와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 및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업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시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업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시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이 직장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시입학생의 경우 직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장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대학입학 모집시기별 입학생의 경력개발과정과 취업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의 의미와 대체 용어에 관한 고찰

        임진택 ( Lim Jin-taek ),박지선 ( Bak Ji-seon ),조민경 ( Cho Min-gyeong ),김효희 ( Kim Hyo-he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인 `전공적합성`이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고 대학 인재선발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는데 적절한 평가요소인지 살펴보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의 학생선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입 평가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미국 대입제도와 우리나라의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의 평가요소, 전형자료, 학교 카운슬러의 역할, 대학 교육과정 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현직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의 적절성, 고교 활동과 대학 입학 후 전공적응도, 전공적합성 대체 용어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전공적 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은 반면, 우리나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전공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교과 외 활동에 대해서도 미국은 성적뿐만 아니라 학교 내·외 구분 없이 다방면의 비교과활동을 강조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고등학교 내에서 대학의 지원학과에 맞는 전공 관련 활동과 경험을 중요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공적합성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입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이 학생들의 고교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고교활동을 대학 전공 관련 활동으로 제약하는 역기능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공적합성의 의미를 `좁은 의미의 전공 관련 활동도 아니고 넓은 의미의 학교의 모든 활동`도 아닌 `인문/사회/자연/의학 등 계열 적합한 활동`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겠다. 미국 대학과 같이 무전공제·무학과제, 자율전공제, 연계 전공 확대 등의 교육환경 변화가 온다면 전공적합성을 대체하는 용어로 `관심분야 열정·몰입도`나 `탐구활동력`을 제안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whether `major suitability` is an appropriate evaluation factor in college student selection and to present college admissions evaluation factors. It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screening data, school counselor roles, and college education courses of the U.S. college admissions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ystem of Korea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and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dmissions officers.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U.S. system and the Korean system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While the U.S. system did not consider major suitability to be important, the Korean system did. The U.S. emphasized divers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while Korea placed importance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school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 major being applied for. Surveys by admissions officers showed that major suitability was perceiv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but that it had the adverse effect of limiting high school activities to those associated with university majors. The meaning of major suitability should be `affiliation appropriate activities such as in the humanities/social studies/science/medicine`. If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changes are made such as the expansion of undeclared or open major or department system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en `passion·immersion in the field of interest` or `research activity` are proposed as the most appropriate terms to replace major sui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