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계 중등학교의 종교교육과 인성교육

        김철주,고병철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연구 Vol.- No.27

        The religious secondary schools in Korea induct changes of students' character through religion education. By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in 2015 touch off changes of situations in the school, relationship study of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of the christian secondary school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t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and to find out feasible solutions of character education for christian secondary schools context. As the character education proliferates, provision of legitimate base of character education is imposed for christian secondary school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 religious secondary schools put themselves in the problematic situations. The more subject of religion emphasizes contributions of changes of character, the more overlapping brings between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it undermines reason for being for religion education. The more distinction stressed between the two,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gets farther. Considering these problematic situations, we deal with societal and institutional diffusion process and its’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2nd chapter. At 3rd chapter, we investigate previous posi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ombining these previous chapters, in the 4th. chapter, we cover future direc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 three main topics are focused in this study. Firstly, interest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is likely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Secondly, for the previous position about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s that christian education include character education. This reflects the points of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precede general educational content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ill be further more studied hereafter, character education possibly cover the christian education. To do this, manifest curriculum and latent curriculum should be properly coordinated. Hopefully, this study will provide chance to deliberat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한국의 종립학교는 종교교육을 통해 인성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성교육진흥법>(2015)으로 학교 현실이 달라지고 있어, 종교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종교교육과 기독교교육의 관계를 검토하고 양자의 관계를 다시 설정한 후에 인성교육에 필요한 과제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성교육 정책의 확산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고(2장), 종교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에 대한 종래의 입장을 검토하였다(3장). 그리고 인성교육과 종교교육의 관계를 다시 설정한 후 인성교육에 필요한 과제를 다루었다(4장). 이 연구에서 지적한 부분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인성교육의 열풍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두 번째는 기독교교육이 인성교육을 포괄한다는 ‘기독교교육 안의 인성교육’ 모델이 여러 문제를 안고 있고, 교육 내용에서 특수성을 보편성보다 중시하는 비논리적 모델이라는 점이다. 세 번째는 전 교과가 인성교육에 집중되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인성교육이 기독교교육을 포괄하는 ‘인성교육 안의 기독교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명시적 교육과정(교과 수업과 교과 외 여러 활동)과 잠재적 교육과정(교사의 태도와 학교의 제반 환경)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가 종교교육 안의 인성교육과 인성교육 안의 종교교육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소양교육의 연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플라톤, 몽테뉴, 로크를 중심으로

        이동욱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theoretical study on the origins of ‘character education’. Since the late 2010s, the number of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being opened and operat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domestic universities has increased. However, confusion occurred because neither the identity nor the role in the area of character education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Eventually, a situation arose in which opinions became divided among those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over maintaining character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experi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and role of character education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rol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education theory of Plato, Montaigne, and Locke. These three think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ecause they not only present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character education in educational theory, but are also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that emerged at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human civilization. Plato was the first to present the seven liberal arts subjects that are considered the prototype of modern liberal arts education. Thus, a review of his criteria is in order since he was the first person to systematize the necessity and system of education. Montaigne is a good example of the European intellectuals’ perspective on education during the Renaissance, and his work The Complete Essays had a great influence on Locke’s and Rousseau’s theory of educa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 and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educational ideology through Montaigne. Locke lai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modern educational theory through his work 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famous for the phrase “a healthy mind in a healthy body”. In particular, Locke needs to be analyzed since his emphasis on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is clearly display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and role of character education in Plato, Montagne, and Locke’s educational theory, three meanings can be derived. First, character education is intended to ‘control desires and practice rational or intellectual decisions through actions’. We can say that it contains the meaning of educating the mind and body in a balanced way as the two parts that constitute a human being, as well as addresses concerns about the question of ‘how can we put knowledge into action?’ Second, character education constitutes ‘a part of the entire curriculum along with knowledge-based subjects’. Plato, Montaigne, and Locke all view excellence, virtue, and the cultivation of virtue as the goal of education. This goal is a ho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by conducting knowled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ogether. We cannot say that knowledge-based education develops only the faculty of reason, or that character education develops only character or virtue. Third, character education may seem secondary to knowledge-based subject education, but it seems to have ‘its own unique role and identity’. In Plato's educational theory, character education mainly plays a unique role in bringing passion to the table, which is a part of the soul, together with reason. The solidity and ability to experience joy through character education that Montaigne said are preparations for the joy and suffering of our lives. Montaigne also says that character education is more important and difficult to learn than any other discipline, as it is ‘the study of the way to live well’. In Locke, character education is divided into ... 이 논문의 목적은 ‘소양교육’의 연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에서 ‘소양교육’ 관련 영역이 개설 및 운영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소양교육 영역의 정체성과 역할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상태로 인해 혼선이 발생하게 되었고, 결국 교양 교육과정에 독립된 영역으로 소양교육 영역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교양교육 담당자들 사이에서도 찬반 의견이 비슷하게 나누어지고 있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고등교육에서 정서적⋅사회적⋅신체적 체험 교육의 바람직한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이론적 모색이 필요한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있다. 특히 현대 교육체제의 근간을 만든 교육이론에서 소양교육의 의미와 역할이 어떤 것인지 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플라톤(Platon), 몽테뉴(Montaigne), 로크(Locke)의 교육론에서 ‘소양교육’ 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세 사상가 모두 교육이론에서 소양교육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류 문명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등장한 교육 담론의 대표적 인물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플라톤은 현대의 교양교육의 원형으로 간주되는 자유교양 7교과 형태의 교과목을 최초로 제시하였고, 교육의 필요성과 체제를 거의 처음으로 체계화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검토의 필요성이 있다. 몽테뉴는 르네상스 시기 유럽 지식인들의 교육에 대한 관점을 잘 보여준다 는 점, 그리고 그의 수상록은 로크와 루소의 교육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 때문에 몽테뉴를 통해 근대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서 소양교육의 의미와 내용은 어떠한 것이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로크는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라는 문구로 유명한 교육론을 통해 근대 교육이론의 중요한 토대를 제시한 인물이며, 특히 신체 교육을 비롯한 소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강조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는 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플라톤, 몽테뉴, 로크의 교육이론에서 소양교육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세 가지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소양교육은 ‘욕구를 제어하고 이성 혹은 지성의 결정을 행동으로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을 구성하는 두 부분으로서 정신과 육체를 함께 균형적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미와 함께 ‘우리는 지식을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소양교육은 ‘지식 중심의 교과와 함께 전체 교육과정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플라톤, 몽테뉴, 로크 모두 훌륭함이나 덕성, 덕의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보고 있는데, 이 목표는 지식교육과 소양교육이 함께 진행됨으로써 이룰 수 있는 총체적 목표이지, 지식교육은 이성을 계발하고, 소양교육은 인성 혹은 덕성, 덕을 계발하는 방식으로 나눠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셋째, 소양교육은, 지식 중심의 교과 교육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독자적인 역할과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플라톤의 교육이론에서 소양교육은 주로 영혼의 일부인 격정을 이성과 함께 하도록 하는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몽테뉴가 말한 소양교육을 통해 기르는 견고성, 향유능력은 우리 삶의 즐거움과 고통을 위한 준비이다. 몽테뉴는 소양교육을 ‘인생을 잘사는 길에 대한 학문’으로서 다른 어떤 학문보다 중요하고 배우기 ...

      • KCI등재

        국어과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전수진,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2 N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KLA) class. Currently demands of character education is very strong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character education. As a step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lso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teachers who will play a leading role in implementing the character education at school,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LA class. 132 teacher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ch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was mainly designed with 7-point Likert scale. The survey question consisted of two parts: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general and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LA class.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teachers strongly agreed with the demands of character education but, in some cases, showed slightly different opinions based on their age,teaching experience, gender, and training experience in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planning an in-depth study on this topic, and designing pre- and in-service teacher programs on character education.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그 대책으로서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성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지만 우리 사회의 여러 여건을 감안했을 때 학교가 주축이 되어 가정과 사회를 연계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일 것으로보인다. 학교 중심의 인성교육 실행 방안의 일환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주목하고, 그 일차적인 단계로서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주체가 교사이며,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경험, 입장이 인성교육의 실행 양상과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고 보았기때문이다. 인식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5개교에서 132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인성교육 전반에 대한 견해와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견해를 묻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인성교육의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매우 공감하고 있었으나 문항별로 연령이나 교직 경력,성별, 인성교육에 대한 연수 경험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국어과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이 조금씩 달랐으며,전반적으로 이 분야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폭넓게 점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리고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교사교육을기획·실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의미 고찰

        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0 No.-

        These days human beings have to face with a variety of moral problems such as rule-breaking and dishonesty, violent crimes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To overcome this crisis, schools, home and communities altogether must get involved in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was planned by one of a research team of KICE(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from 7 different school subjects(‘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Ethics’, ‘Applied Science’․‘Home Economics’, ‘Music’, ‘Visu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1 non-subject(‘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1)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responsibilitie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2) to investigate the sub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 comparison to the ‘Six Pillars of Character’ (Trustworthiness, Respect, Responsibility, Fairness, Caring, and Citizenship) of Josephson Institute of Ethics(2009), 3) to search for its relation with the sub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the current 2007 Rev.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nd 4) to present excellent exampl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level art activities with character education. In conclusion, ‘Aesthetics’, ‘Trustworthiness’, ‘Respect’, ‘Responsibility’, ‘Fairness’, ‘Caring’ and ‘Citizenship’ were presented as the sub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ub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was deeply related to art education for human education. For its implication and implementation, the importance and curriculum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nd developed. 시대별로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인성교육의 의미와 개념에 차이가 있어 왔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적으로 창의․인성교육의 활성화에 역점을 두는 만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장려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로, 국어, 사회, 도덕, 기술․가정, 음악, 미술, 체육,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의 덕목을 상호 비교해보고 학교교육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안된 연구 가운데 미술교과 내용을 추출하여 제시한 것이다. 각 교과에서 의미하는 인성교육은 그 적용 목적이나 내용, 범위 등에 차이가 있겠으나, Josephson Institute of Ethics (2009)의 인성교육에서 제시한 6가지 기본 덕목, 즉, ‘신뢰성’, ‘존경’, ‘책임’,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을 모든 교과 공통의 준거 틀로서 적용되었으며, 미술교과도 이에 근거하였다. 미술교과에서는 위의 기본 덕목 외에 교과 특성을 고려하여 ‘심미성’을 추가로 제시하였으며, 미술교과의 인성교육 덕목과 현행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인성교육의 중요도나 역할은 다를 수 있겠으나 창의교육과 더불어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 때 미술교과에서 바라보는 인성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고 학교교육에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 제정의 종교교육적 의미-종교와 인성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해영,박범석 한국종교교육학회 2015 宗敎敎育學硏究 Vol.49 No.-

        “Character-Education Promotion Law” was enacted in January 2015 and came into force in July. The enactment of the law implies that society is responsible for character-education,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 task of home and community. But the emergence of this law signifies that our society has turned to be a difficult place to live together. In other words, society has recognized the need for character-education and the fact that society must take responsible for it. The responsibility of character-education is not confined to family and school anymore. That change of the role is inevitable. In that respect, religion also should play a crucial role. As well known, educational value of religion, which is to make a human being better person ethically, is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character-educatio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concerning character-education, and seek to the answer those. First, why do we now need character-education? Second, how is the concept of character-education related to religious education? Third, what is the challenges and prospect of character-education programs, which is carried out by relig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스포츠 인성교육에 있어 퇴계사상의 적용 가능성 탐구: 성학십도를 중심으로

        이정란 한국여성체육학회 2020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4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education in Toegye’s thoughts and its connection point to character education in sports and further explore the possibility of Toegye’s thoughts as philosophical ground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ports. As a basis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Li-bal(理發),’ the core of his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ideas. Toegye’s concept of ‘character’ means ‘Li-bal,’ which refers to the ‘integrity’ and ‘goodness’ of a human being. Als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oegye’s ideas are as follows. First, he provides that ‘human personality (character)’ is good. Second, to him, ‘the body’ is the means and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Third, to him, ‘education’ means the development of man’s personality. Toegye’s ‘education’ finally leads to character education. Most of all, the connections between his ideas and character education in spor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as follows. First, the aspect of an understanding of men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which trusts human nature. This can be explained based on the Four Sprouts (Sadan). Second, the aspect of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activities to cultivate human nature through dynamic physical activities. Third, the aspect of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ducation, which emphasized the practice of morals by the body, taking physical activities as a means and essence of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olds fast to the enough possibility of Toegye’s ideas as the philosophical ground for character education in sports, emphasizing that there are rich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sports in Toegye’s ideas.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사상에 함유된 인성교육의 특징과 스포츠 인성교육의 연결점을 고찰하고 나아가 퇴계사상이 스포츠 인성교육의 철학적 근거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퇴계 인성교육의 핵심인 ‘리발(理發)’ 개념과 퇴계사상이 지니는 특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퇴계의 ‘인성’ 개념은 리발의 의미로 인간 존재 자체의 완전하고 다 좋음을 말한다. 그리고 퇴계사상이 지니는 교육적 특징은 다음과같다. 첫째, 퇴계는 ‘인간의 본성(인성)’이 선하다고 규정한다. 둘째, 퇴계에게 ‘신체’는 인성교육의 수단이자출발점이다. 셋째, 퇴계에게 ‘교육’은 인간의 본성을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퇴계의 ‘교육’은 인성교육으로 귀결된다. 무엇보다 퇴계사상과 스포츠 인성교육의 연결점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의 본성을 신뢰하는 성선설에 기초한 인간 이해의 측면이다. 이는 사단(四端)을 근거로 설명된다. 둘째, 역동적인신체활동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함양하고자 한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의 측면이다. 셋째, 신체활동을 교육의도구이자 본질로 삼아 도덕을 몸으로 실천하라고 강조한 신체교육에 대한 이해의 측면이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퇴계 사상에 스포츠 인성교육의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퇴계사상이 스포츠 인성교육의 철학적 근거로서 충분히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견지한다.

      • KCI등재후보

        Re-establishm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Relationship with Moral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Bong-Je Kim(Bong-Je Kim) 한국아세아태평양교육문화융복합학회 2023 Asia Pacific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Vol.3 No.1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undation for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proposes a course of action for school character education. Method :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Korean academic databases, report data from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data from the Korea Legal Information Center. Results : To redefine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the academic and social context of character education's background was confirmed, and research o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ivic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as summarized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Conclusion : School character education should have a direction for building a culture of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and prevent individual problems, but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chool culture so that problems do not occur.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인성 교육적 함의

        김규훈(Kim Gyu hun),김효연(Kim Hyo 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사 교육의 인성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교과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어과 하위 영역에서 인성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 연구는 범교과 인성의 개념과 범주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국어과 인성의 범주를 정리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지닌 중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어사 교육이 지향해야 할 지점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인성 교육과 결합될 수 있는 접점을 염두에 두었다. 이와 같은 두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인성의 개념과 범주를 준거로 삼아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함유하고 있는 인성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사 교육은 목표 층위에서 ‘국어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성찰적 탐구’, ‘학습자 자신의 현재 국어 생활의 반성’, ‘국어를 향유하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라는 함의된 인성을 찾았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가 구체화된 내용 층위에서 ‘한글의 가치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수난의 시대 국어를 지키려는 책임 의식’, ‘통일 시대 공감적 소통’, ‘세계 속 다양성 인정의 국어 생활’ 등의 인성을 추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aracter educational im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t has a meaning to get an applica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at a subordinate domain of Korean language subject based on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subject. This study starts at a work of arranging a category of the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subject after confirming a concept and a category of the character in cross curricular subjects. And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looked concretely. In this process, a pointing spo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considered, and an interface which could connect to character education is concerned. Based on these two discussions, this study extracts character education’s meanings containing at a level of the object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concept and a category of th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resul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gets an imp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t a level of the objective, “Reflective inquiry about changes of Korean language”, “Lerner’s self-reflection of current Korean language life”, “Identity as Koreans with enjoyment Korean language”. And at a level of the contents which are materialized of the objective, “Hangeul’s value and Identity as Koreans”, “Sense of responsibility which keep Korean language in the age of suffering”, “Empathic communication in the unification period”, and “Korean language life of admitting global diversity” were found as implied characters.

      • KCI등재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강민수 ( Kang Min-soo ),최지혜 ( Choi Ji-hye ),신창호 ( Shin Chang-h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고는 인성교육의 정책화와 그 실천 과정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에 관한 구명이다.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교육부의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을 필두로 학교의 교육활동 전반에 걸쳐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정책은 학교의 교육문제를 인성교육을 통해 구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단순한 접근 방식에 기인한다. 하지만 학교교육의 현실은 다양한 사안이 얽혀서 작용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결과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도 매우 복잡하고 그 실천에서 부딪치는 난점도 상당히 많다. 그런 만큼 교육 행위는 필연적 모순을 유발하고 교육적 역설을 노출한다. 인성교육의 정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육적 역설의 경우, 예기치 못한 결과나 정책적 오류를 가져와서 공교육을 저해하거나 인성교육의 불분명한 정체성을 야기한다. 인성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교육을 강제하거나 외재하는 차원의 인성을 교육한다는 것 자체에 딜레마가 드러난다. 이에 인성 교육의 역설적 의미와 그 한계를 인식하고, 향후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pedagogical paradox revealed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and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Since the enact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hroughout all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starting with the 5-year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educational policy is the result of the linear idea that educational problems can be solved with character education; however, problems in reality are sufficiently complex that unexpected consequences of new policies almost always occur. Since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are highly complex, there are som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As such, educational behavior inevitably causes contradictions and reveals pedagogical paradox. In the case of the pedagogical paradox which emerge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policy, it may lead to unexpected consequences or policy errors such as inhibition of public normalization and ambiguity of character education identity. It also leads to the manifestation of dilemmas in the process of forcing character education or educating external character.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aradoxical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and its limitation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

        허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8 No.-

        Whether it is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Literary Sinitic study or Han-character education, Han-characters is an essential element of all these educational contents. Han-characte education is a necessary contents in all aspects of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Sino-words and Literary Sinitic. On the contrary, if there is no need for the use of Han characters or the value of words and Literary Sinitic,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will also lose its useful value when it is no longer necessary. In this way,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is not a subject that exists or should be done because of the education or utilization of Han-characters, but the necessity and goal of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re fully recognized, and Han-characters are learned to achieve this need and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overed by Han-character education through discrimination from Han-character studies. Through this research, we once again confirmed that Han-character studies are humanities and Han-character education is curriculum education. The research goals of humanities and curriculum education are not the same. Only using same characters as one of the subjects of the same study, these two area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Han-character education in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formal School, is a means factor to achieve the goal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nd the Han-character education itself cannot be the purpose. Therefore, the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should be defined and prescriptiv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its own case and its own type. 본 연구는 한문교과교육에서 다루는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을 한자학 연구와의 변별성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필요성을 인정받기 위한 첫 단계는 미래의 인재가 한문교과의 학습을 통해 취득될 수 있는 지식과 정보가 미래사회에 왜 필요하며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설득을 통한 사회적 합의이다. 한문교과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바탕 위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한자교육연구에 관련된 여러 논의를 정치하게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밝혔듯 한문교과에서의 한자교육은 중국어교육이나 일본어교육에서 말하는 한자교육 이나, 인문학 연구로서의 한자학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는 것과는 다른 연구 영역이다. 한문교과에서 의 한자교육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합의된 한문교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내용 요소의 선정과 위계화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한자와 관련된 제 요소를 재규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교수-학습, 평가하-는- 도구를 개빌히여 적용함 수 있는 내용 체계와 .요소를 개발• 적용한을 목적으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