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이해 —어문규범 인식과 문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박보름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김유정 문학어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김유정 문학을 배태하고, 김유정 문학이 유통되었던 1930년대 문단의 언어 현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민족어로서의 조선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사정한 조선말 표준어 모음>(1936)이라는 조선어 어문 규범의 정립으로 수렴되었고, 문인들은 이러한 어문 규범 확산의 사도로 호명되었다. 1930년대 대다수의 작가들이 <통일안>(1933)을 자신의 소설쓰기에 적극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과 달리 김유정은 이를 수의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유정 문학어의 이러한 탈규범적 특징은 천재적인 문재(文才) 또는 농촌 친화적 성향의 소산으로 설명되기 어렵다. 김유정 문학어 형성의 배경에는 소설 집필 직전 2년 동안의 야학 활동이 놓여있다. 김유정의 야학 활동은 조선어학회의 이윤재가 집필하고 동아일보사에서 출간한 문자보급 교재를 통해 이루어진 국문 교육 활동이었다. 이러한 어문 교육의 경험이 어문 규범으로 통제되거나 재단될 수 없는 문학의 언어에 대한 감각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통일안>(1933)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지문과 대화에 사투리가 빈번하게 사용된 김유정의 소설은 어문 규범의 준수를 중시하는 1930년대 문단에서는 환영받지 못했었는데 조선어학회와 함께 <통일안>(1933)과 <표준어>(1936) 확대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동아일보』, 『신동아』에 김유정의 소설이 단 한편도 실리지 못하고, 이 사실이 당시 김유정의 동료들에게도 문제시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1930년대 어문 규범 운동의 도식성과 엘리트주의적 성격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 홍기문이 편집국을 맡았던, 그리고 <통일안>(1933) 준용에 있어 가장 소극적이었던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김유정의 소설이 당선되고, 이후 『조선일보』와 『조광』에 소설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과 대비를 이룬다. 김유정의 등단 과정과 발표 지면의 분포는 김유정 문학어가 1930년대 매체 환경의 영향 속에서 수용되거나 배제되었던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듯 김유정의 문학어는 조선어 소설 쓰기의 하나의 준거로 여겨졌던 어문 규범에 대한 자각적인 의식과 선택 속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김유정 문학의 해석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Fo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Kim’s literary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nguistic reality of the 1930s literary circles, which gave birth to and circulated Kim Yoo-jung’s literature. In the 1930s, efforts to preserve the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focal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norms in the form of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nd writers were hailed as apostles of the spread of these language norms. Unlike the majority of writers in the 1930s who actively sought to apply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to their novels, Kim Yoo-jung seems to have sought to incorporate it on his own terms. These consistent non-normative features of Kim’s literary language are difficult to explain as a product of genius literary talent or rural-friendly tendencies. The formation of Kim’s literary language lies in his yahak activities during the two years immediately preceding the authorship of his novels. Kim’s yahak endeavors consist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written by Lee Yoon-jae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published by the Dong-A Ilbo. This experience of language education shaped his sense of the language of literature 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or molded by linguistic and literary norms. Kim’s novels, which did not adhere to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1933) and frequently used dialect in narrative text and dialogue, were not welcomed by the contemporary trend that emphasized an adherence to language norms,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Kim’s and his colleagues’ novels were not published in the Dong-A Ilbo and Shindonga, which were most active in expanding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long with the Korean Language Society. This is in contrast to Kim’s novel being selected for the New Young Writers’ Prize at the Chosun Ilbo, which was the most passive newspaper in implementing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whose editorial board was headed by Hong Ki-moon, a critic of the formalism and elitism of the language norms movement in the 1930s. Kim’s novel was subsequently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and Jogwang. The process of Kim’s debut and the distribution of his publications mirrors the ways in which his literary language was embraced or excluded by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1930s. As such, Kim’s literary language can be said to have been shaped by his conscious awareness and choice of the grammatical norms that were considered the norms for writing the Korean novel, and this fac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interpretation of Kim’s literature.

      • KCI등재

        1930년대 소년시(少年詩) 발굴과 문학사적 의미 고찰

        정진헌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literary and historical meaning of juvenile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discovering and exploring juvenile poetry of the 1930s, which has relatively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order to facilitate this study, empirical data were required, and diverse works were compiled from children's magazines and newspapers in the 1930s. What is focused is on reviews of various discourse related to juvenile writers' activities and juvenile poetry at the time. To examine writers and quantitative outcomes of juvenile poetry, this study deal with work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almost 15 years from the mid 1920s to the late 1930s. In those days, most of juvenile poetry writers were from primary schools, but after releasing children’s songs, they grew up and entered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starting the middle of 1920, the age group of juvenile poetry creators rose in the 1930s. Moreover, the growth of juvenile poetry in the 1930s promoted the participation of established writers as well as unnamed juvenile literary writers. Juvenile poetry of the 1930s adopted free forms which escaped from set patterns of children’s songs. Besides, many of them were epistolary to lament over realistic lives calling family members’ names and the length of poetry became long. It appears the epistolary and long-length poetry was a kind of strategies to convey the literary ideology of juveniles in a concrete and effective way. In addition, this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intention to attract public attention by putting emphasis on read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juvenile poetry written in the 1930s were dominated by a struggle against class consciousness and irrational reality and a will to reform, unlike those of the 1920s. In particular, the tendency of proletarian literature in children’s magazines, such as Sinsonyeon, Byeolnara and Eorinyi reached a peak and this made themes like poverty, labor, education, a conflict between classes and the spirit of proletarian youth stand out. On the contrary, Hwang Seok-woo who wrote juvenile poetry for a Christian magazine Ai Sanghwal created lyrical poems that portrayed or likened nature, rather than ideological things. The majority of the newspapers also included works which expressed a longing for hometowns or companions, rather than class consciousness. Juvenile poetry of the 1930s was a lyric genre to express their voices freewheelingly in rivalry with children’s songs. Moreover, they contained whining appeals for the time: their sorrow over losing the country without being affected by forms. Of course, it is unavoidable to find out some shortcomings like straightforward expressions, agit-kapf dispositions and schematism of the 1930s. Nevertheless, it cannot be denied that juvenile poetry performed its role as a means of representing the voice of the time and resisting against Japanese violence. 본 연구에서는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1930년대 소년시 발굴을 통해 소년시가 한국문학사에서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실증적인 자료가 요구되는 바, 1930년대 아동잡지 및 신문에 수록된 작품을 정리하고, 당시 소년문사들의 활동 및 소년시와 관련된 여러 담론을 살펴보았다. 소년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말까지 거의 15년여 동안 적지 않은 시기에 작가와 양적 결과물을 생산해 냈다. 당시 소년시를 창작했던 이들은 주로 보통학교 출신이 많았지만, 1920년 중반부터 동요를 투고했던 이들이 성장해 고보나 대학에 진학하면서 1930년대 창작층의 연령대가 상향된다. 또한 1930년대 소년시가 성장해 가면서 무명의 소년문사뿐만 아니라 기성작가 등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1930년대 소년시의 형식적 특징은 동요의 정형성을 탈피한 자유로운 형식을 취했다. 또한 가족을 호명하며 현실적 삶을 한탄하는 서간체 형식을 취한 시들이 많았다. 그리고 시의 길이가 장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서간체와 장시화 경향은 당시 소년들의 문학적 이념을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또한 낭독성을 강조하면서 대중을 끌어들이려는 의도의 산물로 볼 수 있다. 한편 1930년대 소년시의 내용은 20년대와 달리 계급의식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투쟁 및 개혁의지가 주를 이룬다. 특히 30년대 신소년, 별나라, 어린이잡지의 경우 프로문학의 경향이 절정에 이르면서 가난, 노동, 교육, 계급 갈등, 프롤레타리아 소년들의 기상 등의 주제가 부각되었다. 반면 기독교 잡지인 아이생활에 소년시를 발표한 황석우의 경우 이념적인 내용보다는 자연에 대한 묘사나 비유처럼 서정성이 강한 시를 발표했다. 신문의 경우도 계급의식 보다는 고향이나 벗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1930년대 소년시는 동요와의 길항 속에서도 그들의 목소리를 자유분방하게 표현했던 서정장르이다. 또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나라 잃은 그들의 아픔을 진솔하게 그려냈던 시대의 호소물들이다. 물론 1930년대 직설적인 토로와 아지 카프적인 성향, 도식성 등을 단점으로 지적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시대의 목소리를 내며 일제의 폭력에 맞서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다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 KCI등재후보

        최명익 문학의 권태 연구

        전영규(Yeong-Gyu J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이 글은 최명익 문학에서 나타난 권태의 속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1930년대 한국문학사에서 최명익은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하나다. 최명익 문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가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 1930년대부터 해방기 이전까지의 작품들이 중심이 되고 있다. 최명익이 활동하던 1930년대의 조선 문단은 당시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특수한 상황과 함께, 이전과는 다른 정치적 사건이 발생하고 있었다. 바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 카프(KAPF)의 해산이다. 1935년에 일어난 카프의 해산은 이후에 전개될 조선의 정치적·사회적 국면을 예고하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1930년대의 조선 문단은 정치·사회적으로도 급격한 국면을 맞이하는 당대의 상황을 반영한다. 정치·사회적으로 급격한 국면을 맞이하게 된 1930년대의 상황이 문단 내부의 지형도마저 변화시켜 이전과는 다른 특정 미의식을 형성한다고 했을 때, 이 연구는 해방기 이전 최명익 문학에서 나타난 ‘권태’가 되겠다. 이와 함께 1930년대 후반의 문학사가 지닌 미적 성향에 대해 논의해보도록 할 것이다. 현재까지 최명익 문학에 나타난 권태를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있다면 근대성과 모더니즘을 논하는 부분에서 권태가 잠깐 언급이 될 뿐, 최명익 문학에서 본격적으로 권태를 다룬 논문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겠다. 최명익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북한문학에 대한 해금조치가 이루어진 1988년 이후다. 그렇게 봤을 때 최명익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오래 되지 않았거니와, 월북 작가라는 이유만으로 한동안 터부시되었던 해방 이전의 그의 문학을 다시금 새롭게 바라볼 현재의 시각이 필요하다. 최명익 문학에 나타난 권태의 변모양상을 간단히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병리학적 서사로 본 1930년대 인텔리 계층의 자의식과 권태의 관계, 두 번째는 무용(無⽤)하고자 하는 의지와 자기회복적 권태와의 관계, 세 번째는 이데올로기와 권태의 관계가 그것이다. 최명익을 포함해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에는 권태라는 요소가 공통적으로 감지되고 있었다. 이는 시대적 징후와 관련한다. 이 연구를 통해 최명익 문학에 나타난 지식인의 내면세계와 시대인식을 고찰해보도록 한다. This paper is study on boredom in Choi Myeong-ik’s literature. Choi Myeong-ik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The study on his literature is mainly centered on was active from the 1930s to before korea’s liberation. In the 1930s, when Choi worked as a writer, a political event was taking place differently before, along with the particular situation Japanese colonial at the time. It was disbandment ― o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KAPF). This disbandment that occurred in 1935 was a symbolic event that heralded the political and social phase of Joseon that would take place afterwards. The literary world in the 1930s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the country faced a rapidphase politically and socially. Considering that when the situation in the 1930s with such a politically and socially rapid phase formed a specific aesthetic sense different from before as it even changed the topography inside the literary world, this study would be about “boredom” that appeared in Choi’s literature before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is, it discusses the aesthetic tendency of the literary world in the late 1930s. To dat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boredom in Choi’s literature. In there is, briefly mention boredom in the part that talks about modernity and modernism,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few papers that cover boredom in his literature in detail. Research on Choi started in earnest after 1988, when the lifting of the ban on North Korean literature was implemented. In that way, research on him has not been relatively long, and a new perspective on his literature before the liberation, which had been tabooed just because he was a writer who defected to North Korea, is needed. A brief look at the aspect of changes in boredom in his literature is as follows. The first is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boredom of the intelligent class in the 1930s as a pathological narrative, the second is the relation between the will to be “of no use”(無⽤) and self-healing boredom, and the third is the relation between ideology and boredom. Including the literature by Choi Myeong-ik, the element “boredom” is commonly detected in modernist literature in the 1930s, which is associated with a periodic sign. Through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llectual’s inner world and appeared in the literature by Choi Myeong-ik and the understand colonial times.

      • KCI등재

        1930년대의 주요 동요·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

        강정구,김종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change about the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of 1930s to 1920s. We have been understanding all the time that adult knows children very well for they live together. This idea about children started from 1920s. But the children’s verses of Kang, So-cheon and Park, Yeong-jong, shows new idea of children who is the unknown being. I searched the children’s verses of 1920s of Bang, Jeong-hwan and Yun, Seok-jong. In their verses, adult knows children very well. So Bang, Jeong-hwan used zero focalization. Zero focalization is that adult-speaker is omniscient. Bang, Jeong-hwan’s adult-speaker knows children in the his verses. And Yun, Seok-jong applied children’s persona in his verses. In this time, children’s persona is same to adult. But in the age of 1930s Kang, So-cheon and Park, Yeong-jong saw new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First and foremost, the children was the unknown being. Kang, So-cheon did understand that the Knowing adult is difficult. He used children’s persona whom he cannot understand. And Park, Yeong-jong made use of external focalization. The method of external focalization is that adult-speaker looks at children’s behavior and language. The change about the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of 1930s to 1920s searches the Other of 1920s. The Other is hiding our modern human’s mind. The change is possible for un-hiding the Other of our modern human’s mind. 이 논문에서는 1920년대 방정환·윤석중과 1930년대 강소천·박영종의 주요 동요·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를 논제로 삼았다. 그 동안 1900-1920년대 근대아동문학에서 아동 관념이 형성된 과정은 비교적 잘 규명되었지만, 1930년대에 발생한 극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주요 동요·동시에서 화자의 페르소나 특성과 초점화 방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어른이 충분히 이해·인식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닌 자에서 미지의 존재로 아동 관념이 변화했음을 검토했다. 먼저 1920년대 방정환과 윤석중의 주요 동요·동시에서 아동은 어른이 충분히 이해·인식할 수 있는 자로 형상화되었음을, 어른 화자의 영 초점화와 아동 화자의 내적 초점화를 검토함으로써 살펴봤다. 방정환은 주로 어른 화자의 영 초점화 방식을 활용해서 등장인물인 아동을 전지의 태도로 서술했고, 윤석중은 담론주체인 어른이 충분히 이해·인식할 수 있는 아동 화자를 ‘나’로 내세운 내적 초점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비해 강소천은 내적 초점화와 영 초점화를 사용했지만 담론주체인 어른이 쉽게 이해·인식할 수 있는 세속적인 관심·이익에 무관한 아동을 화자로 설정했고, 박영종은 어른 화자가 작품 밖의 서술자로서 어른의 사회적·시대적인 이념과 현실적·관습적·도덕적인 가치로 쉽게 설명하기 곤란한 낯선 아동의 언행과 그의 세계를 관찰·이야기하는 외적 초점화를 선택했다. 이러한 1920년대와 1930년대 주요 동요·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는 아동을 바라보는 어른의 시각이 극박하게 전도되는 현상이 있었음을 암시해준다. 아동은 어른의 품 안에서 바깥으로, 어른이 이미 살아왔고 충분히 아는 이전의 자아(전-아(前-我))에서 절대적인 타자로 변화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물론 인식론적인 것이다. 1930년대의 인간은 자기 안에서 절대적인 타자라는 잉여 혹은 구멍을 본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전후 공업도시 담론과 영등포의 서울 편입

        김하나(Kim, Ha Na)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11 No.-

        이 논문은 1930년대를 전후한 공업도시 담론들과 영등포 편입 관련 경성부행정구역 확장 논의 등을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1930~1940년대 한국 도시 변화에서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공업도시화 지향 기운과 그 영향력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30년대에는 조선공업화 정책과 맞물려 도시별 공업도시 관련 담론이 활발하게 등장하게 되며, 1930년대 후반~1940년대에 이르면 도시별 공업도시화지향 경향이 다소 경쟁적인 양상마저 보이게 된다. 이는 공업도시화가 대도시화, 즉 도시의 영역 확장과 도시 발전과 밀접한 영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영등포는 공업 입지에 유리한 각종 조건으로 인하여 이미 통감부 시절부터 장래 서울의 공업지역으로 점지되어 왔으며, 영등포의 서울 편입 여부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 걸친 경성부 영역 확장 논의에서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논쟁거리 중 하나였다. 서울의 공업지역으로서의 영등포 편입 자체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으나, 수해와 교통 문제 등 당면한 어려움들을 이유로 영등포 지역의 당장의 편입을 반대하는 의견들이 대립하여 영등포는 경성부 확장안 결정 과정에서 편입과 누락을 반복하였고, 결국 1920년대에는 시기상조론자들의 의견이 수용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조선공업화정책이 시행되고 영등포의 제방과 간선도로 건설 사업이 실행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32년에 결정된 경성부 영역 확장안에서 영등포가 누락되어 있지만, 1933년 5월에 이르러 갑자기 영등포 편입이 결정되었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이의 직접적인 계기는 1932~1933년 사이에 결정된 영등포의 2개의 대규모 맥주 공장의 입지로 여겨지지만, 그와 더불어 더욱 심층적인 차원에서 1920년대 말에 이미 공업도시로 인식되었던 평양에 대한 경성의 경쟁심리, 그리고 당시 거의 모든 도시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공업도시화에 대한 소망이 이 시기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초래한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 역시 주목해볼 만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industrial city oriented atmosphere around 1930’s which was the major driving force of changes of cities in Korea by means of examining discourses about industrial city around 1930’s and discussions about expansion of Seoul relating to incorporation of Yeong-deung-po. Discourses about industrial city was animated in 1930’s due to industrialization policy in Korea. Even rather competitive tendency toward industrialization of cities, which often leads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cities, was shown in late 1930’s and early 1940’s. Yeong-deung-po had been regarded as prospective industrial area in Seoul since 1900’s due to good conditions for industrial area. Though incorporation of Yeong-deung-po had been one of the hottest issues of expansion of Seoul from 1920’s to early 1930’s, Yeong-deung-po was not included in the expansion plan of Seoul in 1920’s due to several problems such as flood damage and transportation. Yeong-deung-po was still excluded in expansion plan of Seoul in 1932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blems above were solved in that time. Thus it is very interesting that Yeong-deung-po was decided to be included unexpectedly in 1933. Though the direct factor of the incorporation of Yeong-deung-po is assumed as the construction of two big beer factories which had been decided between 1932 and 1933, it is also noticeable that competitive mind of Seoul toward Pheong-yang, which had been regarded as industrial city from late 1920’s and desire to be an industrial city also played a major role in deeper level.

      • KCI우수등재

        박태원과 이상의 소설과 삽화 연구

        공성수(Kong, Soung-su)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4

        1930년대 박태원과 이상의 자작 삽화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그림 공간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자의 양면적 성격이다. 기본적으로 이들의 삽화에서 문자는 리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감수성을 일깨우고, 근대적 일상 공간의 체험을 구체화함으로써 시공간에 대한 근대적 인식의 준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문자들이 박태원와 이상의 삽화 속에 존재한다. 어떤 지시 대상도 찾을 수 없으며, 어떤 의미로도 환원되지 않는, 그러므로 오직 텅빈 기표로 존재하는 문자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문자들은 삽화면 안에서 단순한 유희의 대상물이나 추상적인 이미지처럼 나타나면서, 독자들의 개인적인 읽기 체험 속에서만 잠깐씩 의미를 만들어낸다. 본고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처럼 분열적인 문자에 대한 체험이야말로 1930년대 문학예술의 특징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문자에 의한 제도화는 근대적 인간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사유를 구속한다는 점에서 양가적이다. 따라서 이 시기 예술이 보여주는 문자에 대한 관심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박태원과 이상의 삽화에서 문자는 단순한 풍경의 일부가 아니라, 동시대 예술이 문자에 대해 견지하고 있었던 이중적인 태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근대를 지배하는 제도와 질서의 동력으로서 문자의 힘에 의지하면서도, 다른 한편 그러한 문자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가 바로 이들의 삽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모티프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purposed to reveal the relation of the illustration and the 1930"s novels written and illustrated by Park Tae-won and Lee Sang.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written language" drawn in their illustrations, because it shows Park"s and Lee"s artistic viewpoints. The written language(the text) in the illustration(the image) has two different meanings in the 1930"s literature and arts. First, it means the modern change that the written language(text) dominates the picture(image). It was unusual that the illustration contained the text in 1910∼20"s but it"s changed by Park"s and Lee"s works in 1930"s that a modern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We know the writing system is the important way how the modern culture can settle down. The written language in the 1930"s illustration represents the very modern change from the period of the image to the text. But sometimes the written language in Park"s and Lee"s pictures means the escape attempt from the modern letter-centered culture. Their works try to degrade or deconstruct letters in their illustrations. For instance, Park"s illustrations play letters or articles to enjoy reading and Lee"s use calligraphy or typography for an enjoyment. Eventually their work intend their readers to read letters freely and the authority of the written language fall and it is just the method to read for a joy in the course of that.

      • KCI등재후보

        反정치의 이념과 ‘즉물주의’―1930년대 백철의 비평

        정명중 현대문학이론학회 200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24

        Appeared various critic discourses of 1930's shared criticism of political theory and political argument, which KAPF asserted exclusive possessory right to Marxism, particularly their critical short point. However the history of criticism in the 1930's dealt with Marxism and it's inheritance negatively as a whole. Instead of ideological balance(history of ideological criticism) of theory and actual feeling, such criticism concentrated their competent on defy faith with inversed faith(strategic criticism). Consequently, critic discussions of the 1930's, namely humanism, intellectualism, Pose, Prosecute, moralism, aestheticism, research one step further than glancing level under the value neutral concept called 'main tide research'. This article considered Back Cheol's criticism in the 1930's with such vein. Back Cheol' s critical discourse trace, from 'humanism' to 'fact-acceptance theory', is the typical model of faith confrontation with inversed faith. The writer analyzed Back Cheol's criticism into fundamental humanism, principle of assortment, no mediation of speculation and compulsion to immediacy. Those are composed principle of Back Chol's criticism and imply each other outstretch like consubstantialism or circle. Last but not least, principles are identical with mechanism of fascism.

      • KCI등재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연숙(Kim, Yeon-Sook),진은진(Jin, Eun-Ji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1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과 1930년대 김유정의 소설에 나타난 ‘금(金)’ 서술방식을 통해 경제적 상상력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조선 후기와 1930년대의 ‘금’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금’은 보물-귀한 존재-이자, 화폐적 가치로 환산되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조선 후기는 자본주의적 사회경제로 이행하는 변화를 보여주며, 1930년대는 식민지배의 일상화가 고착되면서 자본주의적 풍조가 확산되었던 시기라는 중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에서 ‘금’은 귀한 보물임과 동시에 구체적인 수치로 계산가능한 재화로 서술되었다. 나아가 경제적 이익이 계산 가능하고, 그것을 축적하려는 개인의 경제적 욕망은 정당하다는 사실을 서술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와 이익에 대한 공통감각을 확인하고, 이를 공유하는 공동체 구성의 징후를 보여주었다. 둘째, 야담에서 ‘금’을 화폐적 가치로 계산하는 방식은 김유정 소설에서 더욱 복합적인 양상으로 드러났다. 김유정의 소설에서는 서로 다른 인물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기준을 전제로 ‘금’으로 얻어질 이익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사물과 ‘부(富)’에 대해 비교가 가능해지며, 인격적 범주에도 화폐적 가치가 개입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금’에 대한 욕망은 야담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었으며, 김유정 소설에서는 그 탐욕이 무한증식하여 물신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김유정 소설에서 ‘금’은 무엇과도 교환가능한 절대적 수단이자 그 자체가 절대 목적이 되어버리는 전도된 양상을 드러내주었다. 넷째, 야담에서 나타난 경제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변화는 1930년대 식민지 자본주의에서 공허한 황금욕망의 파국으로 귀결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김유정의 ‘금’소재 소설들은 식민지 자본주의 현실에서 개인의 주체적 욕망 추구가 불가능함을 역설적으로 알려주는 것이었다. 결국 조선 후기의 야담은 ‘금’이라는 공통 척도가 마련되는 양상을, 김유정의 소설은 그 이후 부정적 극단으로 치달아간 모습을 드러내 준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hanges in economic imagination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of the late Joseon Dynasty"s Yadam “Gaeseong Merchants” and the 1930s novels of Kim Yu-jeong.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gold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1930s for the following reasons: gold has complex characteristics that translate into treasure-precious existence-interest and monetary value. Additionally, the lat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a shift toward capitalism, and importantly the 1930s were a time when colonial rule became stronger and capitalism sprea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ld was described as a precious treasure and a commodity that could be calculated and accounted by the Yadam “Gaeseong Merchant”. “Gaeseong Merchants” revealed that economic benefits are computable and that individuals’ economic desire to accumulate them is justified. This demonstrates sig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that share a common sense of economic values and interests. Second, the method of calculating and using gold as a monetary value in Yadam was more complex in Kim Yu-jeong’s novels, where different characters calculate the profits that gold will produc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y hav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tandards. Consequently, it became possible to compare things with wealth and demonstrated that monetary value was also involved in human categories. Third, the desire for gold was specifically described in Yadam, and Kim Yu-jung’s novel’s, the greed grows infinitely and is described as worshipping God. Especially in Kim Yu-jung’s novel, the bizarre characteristics of gold becoming an absolute means and an absolute purpose that can be exchanged for anything were revealed. Fourth, the economic imagination in Yadam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empty golden desires in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30s. In this sense, Kim Yoo-jung’s gold novels paradoxically demonstrate that it is impossible to pursue an individual’s independent desire in colonial capitalism. Ultimately,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s that a common measure of gold is being developed, and Kim Yoo-jung’s novel indicates that this development has progressed to a negative extreme.

      •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 레퍼토리의 형식 미학적 특질 연구

        김남석 한국극예술학회 2011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4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The plays are classified into two pieces. Camellia blossom(동백꽃), Loyalty with tears in the wild(폐허에 우는 충혼), A pair of lovebirds(원앙), and Cotton ball(목화) are the plays who gives us a valued insight on the type both composition and character. The studies on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re very few and confined to some authors. But the studies on the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supplemented imminently.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eeks after the harmony of the composition, the characters and the musics, and has a final purpose to suggest the alternative. The study on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gathered in obtaining critical vision including urgent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in wise critical intervention giving rise to writing a work. 이 논문은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레퍼토리와 형식 미학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이 연구는 1930년대 전반기 한국 대중극단과 레퍼토리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일정 목적을 둔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대중극단 작품 가운데 여섯 작품을 선정하고 형식 미학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작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백꽃>, <폐허에 우는 충혼>, <원앙>, <목화>는 구성과 인물의 관점에서, 당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해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구성과 인물의 측면에서, 당시 대중극의 형식적 특질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대중극 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희소한 편이다. 따라서 1930년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한 연구는 조속히 시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1930년대 한국의 대중극이 구성과 인물과 음악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이해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가 진행되면, 그 연구 성과는 비단 1930년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시대의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레퍼토리에 투영된 사회 환경과 현실 인식 연구

        김남석(Kim Nam-seok)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1

        이 논문은 1930년대 대중극에 나타난 '사회 환경'과 '현실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 논문은 1930년대 대중극과 그 레퍼토리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모두 8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작품에 담긴 사회 환경과 현실 인식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작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백꽃」·「양산도」·「혈육」은 1930년대 당대 현실과 당대인의 현실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이고 「폐허에 우는 충혼」·「원앙」·「목화」·「능수버들」 그리고 「사생결단」은 1930년대 조선의 현실을 역사적 위기와 연관하여 살펴 본 작품이다. 본고는 두 개의 작품군을 별도로 나누어 고찰하고 고찰한 내용을 대중극의 주제적 특질과 관련지어 정리했다.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social environments and cognition on the actual world of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social environment and cognition on the actual world described on the eight popular plays.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social environments and cognition of the actual world described on eight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The plays are classified into two pieces. Camellia blossom(동백꽃) Yangsando(양산도) and Offspring(혈육) are the plays who gives us a valued insight on the social environments and cognition on the modern worl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s of Loyalty with tears in the wild(폐허에 우는 충혼) A pair of lovebirds(원앙) Cotton ball(목화) Willow(능수버들) and Decision between life and death(사생결단) a strong point is found that this plays can fuse the dramatical meaning of historical crisis into the social environments in Choseon in the half 1930s. The plays on the social environments and cognition of the actual world described o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re very few and confined to some authors. But the studies on the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supplemented imminently.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eeks after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human being and the social environment and has a final purpose to suggest the alternative. The study on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gathered in obtaining critical vision including urgent problems of contemporary human society and in wise critical intervention giving rise to writing a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