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소득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관계

        신은경(Shin Eun Kyoung),현영섭(Hyun Young 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성인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은 평생교육학의 중요 연구 주제였다. 최근까지도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개념, 측정, 효과 등에 대한 연구들이 계속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습방법이나 학습유형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학습 상황을 벗어나서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소득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조사 및 지필설문조사 방식으로 수집한 93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득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별, 학력,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의해서도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성별의 경우 남성, 학력의 경우 4년제 대학과 대학원 이상, 평생교육 참여여부의 경우 참여한 경우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SDL)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academic field of lifelong education. Until now, the overseas studies about the measurement and social factors of SDL changes are continuously reported. But in Korea, researchers are mainly focused on learning strategies or method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SDL. This research trend in Korea looks like isolating SDL from social contexts. It means that some studies in Korea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or methods and SDL without considering adult learners’ social factor such as income, age, sex,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r effects of SDL researchers need to accept that SDL and adult learners are social facts and take into account some social factors. Based on these viewpoint, we positive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come, sex, age, academic level, the level of participation on lifelong education, and SDL.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932 adult learners in Korea through network survey and paper-and-pencil questionnaire. Utilizing the data,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se analyses, we arrived at the conclusions like the followings. First, income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SDL. The more income, the more SDL. Second, sex, academic level,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n lifelong education also had the affirmative influences on SDL.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임희준 ( Hee Jun L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 및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과학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이러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학년별로 비교했을 때, 과학 학습에 대한 내적동기, 외적동기, 과학학습 선호도,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3학년과 5, 6학년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별로 비교했을 때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도 3학년에서 가장 높고, 고학년인 6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과학 학습 및 과학 진로 선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은 서로 상관이 높았으며, 과학 진로 선호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과학진로 선호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수는 과학 학습 선호도,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효능감이었다. 이들 세 변수는 전체 과학 진로 선호도의 46.0%를 설명하였으며, 과학 진로 선호도가 높기 위해서는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야 하며,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를 인식해야 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높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care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lements, and major factors to influence science career preferenc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 were studied by their grades and gender. In general, 3 to 6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was positive in this study. Students`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science learning preference, and self-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mainly in grade 3, 5, 6. Compared to their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career showed low.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career were high in grade 3 and low in grade 6.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cience learning and career preferences appeared higher.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career. The regression analysis of science career preference showed that the main factors explaining science career preference were science learning preference, value perception of science career and self-efficacy of science learning.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46.0% of science career preferences. This result implies that for higher science career preferences, students need to have high science learning preference, high perception of the science career value and high self-efficacy of science learning.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과학수업에서 STS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성교육의 효과

        김자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청소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학생들이 생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성지식과 분별 있는 성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동안 성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성교육을 STS 학습 방법으로 수행하여 STS 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의 향상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 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학년 공통과학의 III. 생명 - 3. 생식 단원의 내용을 11주에 걸쳐 10차시 STS 교수 학습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검사 설계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여 STS 교수 학습방법이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138명의 비수도권 A여자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STS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강의 중심의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또한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STS 교수 학습의 효과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SAS를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을 하였다.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사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켰는데 학습성취도 수준 상위·중위·하위에 속하는 모든 학생들에서 성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다( p<. 01). 이를 통해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이용한 수업은 모든 학생들이 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 형성과 몸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임을 알았다.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사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는데 학습성취도 수준 상위·중위·하위에 속하는 모든 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가 향상 되었다( p<. 01). 특히 학생들의 성에 대한 개방성, 성문제 발생 시 성상담과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는 태도, 피임과 인공유산에 대한 태도, 성 행위에 대한 책임감, 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에서 효과가 긍정적이었다( p<. 01).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approaches to teaching science in secondary schools have been one of the major trends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two decades. Although an STS learning is quit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there were not enough researches applying STS learning on sex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S program 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on sex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38 10th grade students in Kwanju: 69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raditional learning) and 69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STS learning). An STS program on “Reproduc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for 10 hours during 11 weeks. A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NCOVA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S program were very effective to improves students' achievements in the subject (p<.01). And the STS program also encourages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ex (p<.01). Students want to see a counsellor in case, and they think seriously about a responsibility in sex, and they consider to use contraception and so on.

      • KCI등재

        사범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o investigate hypothetical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335 undergraduat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lev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measured. I analyzed the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roblem solving revealed a high correlation with growth in creative mindset and also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ehavioral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a creative mindse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ediated by student engagement at the same time. Third, the mediate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between creative mindse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z=9.38, p<.01). These findings recommend one way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growth in creative mindset, it i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classes when designing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생 335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첫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구성된 두 개의 가설모형들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과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학습참여 중 행동참여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분석결과,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학습참여를 매개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적합도가 높았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Z=9.38, p<.01). 이와 같은 결과들은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해서, 교수자는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을 학습자가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하며,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수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협동학습 전략의 효과

        고한중,이은진,강석진,Koh, Hanjoong,Lee, Eunjin,Kang, Sukjin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 적용한 STAD 협동학습 전략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1개 초등학교의 6학년 2개 학급 64명의 학생들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할당했다. 사전 검사로 개인-집단주의 성향 검사, 학습 동기 검사,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처치는 24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로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에서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습 동기에서는 주의력 하위 범주에서 유의미한 적성-처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경우, 응집성 범주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경쟁도 범주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행 지향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students'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tudents' collectivism level. Two classes (64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were respective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A individualism-collectivism test, a learning motivation test, a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test, and a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 test were administered as pretests. The intervention of cooperative learning lasted for 24 class periods. After instruction, an achievement test,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the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test, and the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 test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of th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chievemen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treatment-aptitude interaction effect in the scores of the attention subcategory of the learning motivation. In the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the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hesiveness subcategory, whereas the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competitiveness subcategor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subcategory of the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송정윤(Song Jung yoon),장은섭(Jang Eun seob)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쓰기의 사고 과정은 학습의 사고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로 인해 쓰기는 학습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의 도구로써 쓰기는 범교과적 글쓰기, 내용 영역 글쓰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는데, 본고에서는 쓰기가 학습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학습을 위한 쓰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제까지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1)이의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들, 2)학습을 위한 쓰기를 적용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쓰기가 학습의 실행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3학년 학생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내용교과인 사회와 과학에서 수행하는 쓰기에 대해 물었으며, 크게 1)학습을 위한 쓰기를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 적합한 쓰기 유형 등에 대한 인식, 2)내용교과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쓰기 유형, 빈도, 길이, 학습을 위한 쓰기 활용의 실제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내용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첫째, 다수의 중학생들은 학습을 위한 쓰기를 유용한 학습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활용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 유형은 빈 칸 채우기, 짧은 답(단어, 문장) 적기, 수업 내용/교과서 요약하기와 같은 기계적 쓰기 활동이었으며, 완성된 글의 형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만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사회와 과학교과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 수행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불만족, 매우 불만족)’보다 ‘만족한다(만족, 매우만족)’는 경향을 보였으나, ‘60%’ 정도의 학생들이 ‘보통’이라는 응답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가 다양화되어야 하며,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유형의 쓰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쓰기가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가지는 가장 큰 강점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지 작용을 유도하여 종합적, 분석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극대화시켜 준다는 점이므로 다양한 쓰기의 형태를 각 교과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목표에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위한 쓰기의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해 알수 있도록, 쓰기의 도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활용 방안에 대한 지도가 국어 교과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행 측면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을 먼저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수업 주체인 교사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조사, 교재 분석과 수업의 관찰을 통해 학습을 위한 글쓰기가 수행 실태 분석이 이뤄진다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thinking process of writing is similar to the thinking process of learning. As writing is able to used to tool of learning. This article used a term ‘writing to learn’ instead of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contents area writing’ or ‘academic writing’. Major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1)making concept of ‘writing to learn’ and 2)verify effectiveness of writing to learn’. However there were lack in consideration that how students percept value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in scene of a school.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518 students of middle school(8 graders and 9 graders).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1) perception :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the most suitable writing type of writing to learn, and 2) practice : writing type frequently used in content area department, frequency of writing, length of writing, and efficiency of writing to lear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1) substantial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writing to learn is useful method to learn and they responded that writing to learn is really helpful for them. 2) mechanical uses of writing such as filling the blank, writing an short answer, and summarizing a textbook is usually used in the class. And 3) positive answers were superior in numbers than negative answers about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at they did, but 60% students answered “normal” ‘Writing to learn’ had the advantage that maximized synthetic, analytic and creative thinking as load active cognition. So We should focus on the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and a wide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Focusing in student’s perception, this article have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ceding researches. Studies about teacher’s perception of “writing to learn” and analysis of textbook and class lesson should be go on, they will be a systematic approach to “writing to learn”

      • KCI등재

        유아기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 모색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과정의 분석

        신은수 ( Eun Soo Shin ),김은정 ( Eun Jung Kim ),유영의 ( Yung Eui Yo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OECD의 교육선진국에서 제시하는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에 대한 학습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에 제시된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자료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교육과정을 제 1차에서부터 누리과정까지로 하였고, 미국의 자료는 2003년에서 2013년까지 각 주에서 개발 혹은 개정된 21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학습에 대한 접근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한국의 0∼만 3세 보육과정과 만 3∼5세 유아교육과정에서는 학습에 대한 학습의 하위 내용이 부분적으로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주의 조기학습기준에서 학습에 대한 학습은 0세~만 2세, 만 3~4/5세에서 호기심, 주도성, 지속성,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계획과 반성, 놀이, 기타 등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한국과 미국의 결과 비교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으로, 추후 유아교육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 영역의 필요성과 충분한 놀이 기회의 제공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uggested that its member states could improve their resp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by looking at approaches to learning designated by other member stat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approaches in ‘learning to learn’ presented in Korea`s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current Nuri 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for childcare curriculum with ‘approaches to learning,’ the developed or revised early learning standards in each state during 2003 to 2013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sub-content of ‘learning to learn’ was partially included in 0 to 2 year-ol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3 to 5 year-old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in the US, ‘approaches to learning’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uriosity, initiative, persistence, 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planning, reflection and play for 0 to 2 year-olds and 3, 4 and 5 year-old children. Based on this comparison, we recommend that the US ‘approaches to learning’ be added to the Korean ‘learning to learn’ and incorporated into Korea`s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that the curriculum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lay.

      • KCI등재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 학습의 흥미 변화 탐색

        박시현,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students’ change in enjoying science lessons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Storytelling (DST)-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DS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ith a theme around the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ealth, obesity and diet, and ecology tour. 30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applied to 22 1st grade and 2nd grade girl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dditionally,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nd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tudents’ change in enjoying science less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students’ interview data about their DST class experience developed from this study, it showed change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such as active 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 enhancement in enjoying science lessons and others. This result was generated as the DST program included diverse learning methods including community learning, Meta-learning technology & utilization of narrative, visual expression of thought and others, while offering interaction-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co-teaching, feedback and others. and utilizing students’ favorite digital media or software in the science lessons. Students showed positive feedback and this led to positive Science-Related Attitudesas the student’s enjoyment of the science lesson through the diverse DST activities gave motivation in learning and this furthermore triggered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 DST)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음식과 건강, 비만과 다이어트, 생태 관광을 주제로 DST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서울시 소재 특성화 고등학교 1, 2학년 여학생 22명을 대상으로 30차시를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근거이론(The Grounded Theory)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DST 수업의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 수업에 능동적 참여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는 등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DST 프로그램이 공동체 학습, 메타학습기술과 내러티브의 활용, 사고의 시각적 표현 등의 다양한 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고, 협력교수 및 토의 및 토론과 피드백과 같은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교수방식을 제공하였으며, 학생들이 좋아하는 디지털 매체나 소프트웨어를 과학 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DST 활동을 통해 과학 학습의 흥미를 느꼈고 이것이 학습 동기로 이어져 더욱 능동적으로 과학 수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나타내는 선순환 (positive feedback)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DST 프로그램과 같이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과학 학습 방법과 교수방식, 학습자 흥미를 고려한 학습 도구나 시설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과학에 대해 흥미가 낮은 학생들에게 과학을 친근하게 느끼게 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를 높여 궁극적으로는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이순연(LEE Soonyo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7

        본고는 일본인 학습자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을 꾀하기 위해, 일본의 대학에서 한국어강좌를 이수하고 있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동기, 한국에 대한 이미지, 한국(어)에 대한 관심사, 한국어에 대한 인식, 한국어 학습으로 인한 영향 및 기대감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한국에 대한 흥미, 특히 한국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 및 한국어에 관심이 생겼고, 이것이 학습으로 이어진 경우가 다수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달리 문화보다 언어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쓰기 학습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나 표현 영역에 대한 초기 학습자들의 요구를 확인했다. 한국 음식, 한류, 외모에 관한 관심 등이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나타났고, 다수의 학습자가 한국어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도구적 동기에 의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나 한국어 학습을 지속할 의사를 보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이를 유지하는 방안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해 본다. This paper suggests the basic research for contin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y by Japanese learners at the beginning level. It studies the motivation of Korean language study, the image of Korea, the interest about Korea, the concern and the recognition of Korean, and the impact and expectation of learning Korean among the learners in the beginning level of the Korean class at Japanese universiti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rest about Korea, especially about K-culture, leads the majority of learners to the interest about the Korean language. Howev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demand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is stronger than for Korean culture, and there are the needs of leaners for the expression with the high demand for writing ability of Korean particularly among learners without any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study. Also, the majority of learners are positive about the Korean language. It is hard to say that they are learning Korean due to the instrumental motivation, but a large proportion of learners is willing to keep learning Kore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attention to maintain this interest with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ntents reflecting the needs of Japanese learners.

      • KCI등재

        미국 대학학습평가(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인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que CLA as an assessment tool designed to evaluate the value-added component of institutional contributions to the learning outcomes or development of higher-order skills, such as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written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nited States. The CLA is positioned to take advantage of the market for more evidence for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The CLA's reliability and validity, however, is not enough to assess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Also, the CLA has limitations such as sampling error, motivation for testing, etc. Based on these critiques, this study proposes that korean researchers who develop a similar tool such CLA clarify necessity, validity, and effectiveness as assessment tool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미국 대학학습평가(CLA)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의 질 평가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CLA는 대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부가가치(value-added) 평가로서 그동안 SAT와 같은 준거검사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타당화를 시도하는 등 다양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타당화 결과를 기초로 현재 미국 전역의 대학에서 대학생에 대한 학습능력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대학의 학습능력 평가도구를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CLA는 현재 시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러 관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LA의 평가목적 및 영역, 평가대상, 검사방법 및 환류체제 등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쟁점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유사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대안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시사점으로 검사개발과 실행의 당위성 명시, 교육과정 개발, 종단 및 횡단적 타당화 연구의 필요성, 표집에 대한 고려, 측정결과에 대한 적절한 추정, 학습성향평가와 같은 대안적 기관평가체제 탐색, 효과적인 환류체제, 대학의 자발적 참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