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군주 정조의 정치리더십 - 탕평정치를 중심으로 -

        박병철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1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King Jeongjo’s political leadership through his "Magnificent Harmony" Policy (Tangpyeong, 蕩平) as he is admired as a reformative monarch of the later Joseon Dynasty. Jeongjo’s Tangpyeong Policy was intended to reestablish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regality and bureaucracy. He executed Tangpyeong politics to overcome conflicts and detrimental consequences of factional fighting and enforce his political ideal, ‘the politics of three generations.’ Jeongjo’s Tangpyeong Policy was focused on royal ruling theory not on the existing sage learning. He carried out Tangpyeong politics to form public opinions and control factions as he thought the role of supporting factions had corrupted. He wanted to accomplish unitied politics through the Tangpyeong method by rejecting divided politics and completely integrating all subjects around the king. The Tangpyeong Policy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was a practical method and aimed ideology to incarnate the sage king politics. Jeongjo’s ‘the sage king ruling’ was intended to exert every effort for the purpos of achieving harmonious and cooperative politics by coorindating conflicting political powers and judging disputes. For this end, the king exercised balanced and integrated leadership by opening the offices to the talented and compromising factional strife. His political leadership was vividly realized in the process of driving diverse reformative policies of Tangpyeong politics. King Jeongjo properly exerted his rulership in Tangpyeong politics for th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the time and in the course of securing support. He diagnosed his reigning period as ‘a vortex of grave illnesses’, suggested ‘a reform’ as a prescription for them and executed Tangpyeong to solve factional strife. For him, Tangpyeong means the politics of a sage sovereign to be realized in all politico-social fields. As a conclusion, King Jeongjo’s Tangpyeong politics can be summed up as the exertion of the leadership to accomplish political ideals of reforming people’s livelihood matters by reinforcing the regal pow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개혁군주로 추앙받고 있는 정조의 정치 리더십을 그가 추진한 탕평정치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조의 탕평정치는 왕권과 신권의 재정립에 있었다. 정조는 붕당 정치로 인한 갈등과 폐해를 극복하고, 자신의 정치적 이상인 ‘삼대(大同)의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탕평정치를 시행하였다. 정조의 탕평정치는 기존 성학론을 부정하고 자신의 성왕론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정조는 공론을 형성하고 국왕을 보조하는 붕당의 역할이 퇴락하고 있다는 인식 하에, 붕당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탕평정치를 시행한 것이다. 정조는 분열의 정치를 지양하고, 국왕을 중심으로 모든 신민(臣民)이 대통합되는 대동의 정치를 탕평정치를 통해 달성하려 한 것이다. 정조시대 탕평정치는 성왕정치(聖王政治)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방안이자 동시에 지향이념이라 할 수 있다. 정조에 있어 성왕정치는 대립하는 정치세력을 중재하고 시비를 판정함으로써 화해와 협력의 정치를 달성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조는 붕당 간 조제보합이나 인재등용의 탕평책으로 균형과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정조가 보여준 정치리더십은 탕평정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개혁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정조는 탕평정치에서 그의 정치리더십을 시대적 진단과 처방 및 지지확보의 과정에서 적절하게 발휘하였다. 그는 자신의 시대를 ‘대병의 와중’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처방으로 ‘경장(更張)’을 제시하며, 이를 추진하기 위해 정치세력 간의 탕평정치를 추진한 것이다. 정조의 탕평정치는 성왕의 정치를 의미하며, 이는 백성을 위한 정치·사회 전 분야에 있어 개혁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정조의 탕평정치는 그의 개혁군주로서의 정치리더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和諍과 蕩平은 어떻게 상대주의를 넘어서는가?

        안효성(Ahn, Hyo-Soung),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이 논문은 원효(元曉) 의 화쟁(和諍)과 정조(正祖)의 탕평(蕩平)이 상대주의를 넘어서는 논리적, 원리적 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화쟁과 준론탕평(峻論蕩平)은 대립과 갈등을 화해시키고 최대한 다양성을 살리면서도 결코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는다. 오히려 다원적 공존과 통합을 매우 이상적으로 조화시킨다. 화쟁에서는 부처의 깨달음인 일심(一心)이 바탕이 되고, 탕평에서는 성왕(聖王)의 주권인 황극(皇極)이 바탕이 됨으로써 양자 모두 그것이 가능해진다. 일심은 이론적이고 깨달음적인 바탕이고 황극은 이념적이고 정치적인 바탕이다. 이 차이가 화쟁과 탕평의 공통된 원융회통성(圓融會通性)에도 불구하고 화쟁의 불교적인 특징과 탕평의 유교적인 특징 간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가 논문에서 수행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hwajaeng(和諍, Harmonization) of Wonhyo(元曉) and Tangpyoung(蕩平) of Jungjo(正祖). And they are the study of the logical structure and principle to overcome relativism. Hwajaeng and Tangpyoung eliminat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to maximize diversity. However, they do not fall into relativism never. Rather, they are the most ideally harmonizes by making be able to coexist and integrate everything. One mind (一心) is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angkeuk(皇極) is the sovereignty of a sage king. Since One mind moves the Hwajaeng and Whangkeuk move the Tangpyoung, not both fall into relativism. One mind is theoretical and enlightenment of. Whangkeuk is political and ideological. This difference makes the Buddhist features of hwajaeng and does Confucian characteristic of Tangpyoung. Because of this, despite the two have in common(圓融會通), they are different. A detailed discussion about this will be done in this paper.

      • KCI등재

        정조의 탕평 소통 리더십과 민주 시대의 사이-소통 리더십

        안효성(Ahn, Hyo-s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고는 정조 임금의 탕평정치를 리더십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한국의 정치 사회에서 소통과 공공성을 최대한 온전하게 회복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통치 리더십의 원리와 방식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조는 지금의 한국이 처한 상황과 너무도 유사했던 18세기 조선의 위기를 돌파하고 소통과 공공성의 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었던 통치 리더십의 소유자였다. 초당파적으로 인재를 등용하는 인사정책을 단행하고, 엄준한 도덕적 태도와 합리적인 정치 논리를 견지하는 준론(峻論)들을 중용하여 막힘없는 의견의 개진과 토론을 허용한 정조의 ‘준론탕평’은 이념적으로 경직된 조선 사회의 한계 속에서도 다양성을 공존시키고 적극적인 소통과 화합을 실현함으로써 조선에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이는 소위 ‘의견의 정치’를 열어주는 소통의 통치 리더십이 좋은 정치와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정조의 탕평정치에는 진리적 표준을 세우는 권능적인 군주가 탕평의 주체로 설정되는 ‘황극탕평’의 이념이 준론탕평의 원칙과 공존한다는 모순이 있다. 이 때문에 정조는 진리의 심판자를 자처하면서 자유롭고 창발적인 의견의 정치를 억압하는 반소통적이고 독단적인 ‘독재적 리더십’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것은 정치 시스템을 무용하게 만들었고 정조 사후 조선의 몰락을 앞당기기도 한 하나의 원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은 우리가 회피해야 할 정치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준다. 정조의 리더십이 보여준 준론탕평의 긍정적 측면과 황극탕평의 부정적 측면은, 민주적이고 공화적인 ‘의견의 정치’를 열고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통치 리더십이란 ‘토론하고 논쟁하는’ 소통을 허용하며 구성원들 간에 소통이 막힘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사이-소통’의 리더십임을 지시한다. This paper aims to seek the principle and methods of desirable governing leadership that could recover the communication and publicness as wholly as possible and develop in Korean political society by examining the King Jôngjo"s Tangpyông politics from leadership point of view. Jôngjo was the king with governing leadership who broke through the crisis in 18th century Chosôn which is quiet similar to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improved communication and publicness level. Jôngjo"s Junlon Tangpyông which carried out unpartisan personnel management policy, selected Junlons who held strict ethical attitude and rational political logics to approve free statement of opinion and discussion has led to diversity in stiffened limits in Chosôn society, realization of aggressive communication and harmony and brought about the renaissance of Chosôn. This confirms that leadership of communication activating "politics of opinion" is the core motivation of good politics and development of state. However, in Jôngjo’s Tangpyông politics, it has contradiction between ideas of "Whangkûk Tangpyông" which sets charismatic king who establishes truth based standard as the subject and "Junlon Tangpyông". Thus, Jôngjo consider himself as the judge of truth while sometimes show "autocratic leadership", the counter-communicational and dogmatic leadership suppressing politics of free and critical opinion. This caused futility of political system and it could be one of the causes leading to fall of Chosôn after the death of Jôngjo. This tells us what political leadership should we try to avoid. Positive aspect of Junlon Tangpyông and negative aspect of Whangkûk Tangpyông displayed by Jôngjo’s leadership indicates that democratic "politics of opinion" and governing leadership which could enhance the "publicness" of society refers to leadership of "inter-communication" allowing "discussing and arguing" communication, and helping the fluent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준론탕평론

        이남옥(Yi, Nam-ok)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7

        본고는 정제두가 주장한 탕평론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鄭齊斗가 생존했던 17~18세기 조선은 당쟁이 가장 심한 시기였다. 그는 스승 朴世采의 皇極蕩平論을 계승하여, 1728년 경연 석상에서 戊申亂을 수습하는 방편으로 中과 平을 강조하는 峻論蕩平論을 주장하였다. 그는 丙申處分이후 당론이 심해졌지만, 국왕 영조가 탕평을 시급하게 생각하므로 다행이라 여겼다. 그리고 임금이 極을 바로 세운다면[建極] 탕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나아가 제갈량이 『출사표』에서 제기한 ‘宮中府中一體’를 통해 임금과 대신이 한 몸임을 역설하였는데, 임금이 마음을 바로 하고 이 바른 마음으로 대신을 임명하여 임금의 마음을 대변케한다면 백성에게까지 혜택이 갈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임금이 지극히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마음을 지니고 상벌을 공평히 하여[平] 죄진 사람은 죄주고 현자는 등용하여 시비와 곡직에서 中을 얻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피차를 구분하지 않고 화평한 정치를 목적으로하는 조제보합적 탕평을 반대한 것으로 이전의 탕평론과는 차이를 둔 것이다. In the 17-18th century of Joseon(朝鮮) when Jeong Je-du(鄭齊斗, 1649~1736) lived, party strife was the most severe. He inherited Park Se-chae‘s theory of impartiality and claimed the Stern political harmony(峻論蕩平) that emphasizes harmony(平) and equilibrium(中). In the Royal Lecture(經筵) of 1728, when Yi In-jwa’s rebellion took place, Jeong Je-du insisted on his theory of impartiality. After the political decision of King Sukjong in 1719, Jeong Je-du thought that political disputes had become more serious. However, he felt lucky that King Youngjo considered political harmony as an urgent problem. His agument is as follows. First, If the King establishes the principle, the political harmony will be possible. Secondly, Through Zhuge Liang(諸葛亮)’s theory that the royal clan and the government are one can prove that the King and King’s servant are one. Therefore, if the king has the right mind and appoints his servant with the right mind, if he represents the king’s heart, the political benefits will come to the people. Third, The King must fairly grant punishment with a fair heart, and the wise shall rise up and the sinner to sin. This is against the theory of impartiality in the previous era aimed at peaceful politics without discrimination.

      • KCI등재

        晩靜堂 徐宗泰의 정치 활동과 탕평론

        김용흠 한국고전번역학회 2020 고전번역연구 Vol.11 No.-

        The political activities of Manjeongdang(晩靜堂) Seo Jong-tae(徐宗泰) show a type of government official and Confucian who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Tangpyeong theory(蕩平論). Tangpyeong theory came from the premise that politics had to deal with national policy apart from factional interests. Western party(西人), who came to power after Kyungshinhwanguk(庚申換局, 1680), eventually split into Noron(老論) and Soron(少論) over the pros and cons, resulting in conflict. After Gapsulhwanguk(甲戌換局, 1694), Tangpyeong followers from Soron party took over the protection of the prince, based on the theory of Royal power(王權論), so they were supported by King Sukjong(肅宗) and were able to promote the Tangpyeong policy. They also actively recruited Southern party(南人) who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and tried to reform the system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Seo Jong-tae faithfully embodied the political line of the Tangpyeong followers of Soron. However, due to the opposition from Noron, institutional reform was sluggish and even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was threatened. Eventually, King Sukjong, who regarded that the majority of the ruling class did not support the crown prince, made a decision of Byeongsincheobun(丙申處分, 1716), and gave the political leadership to Noron, and the Tangpyeong policy was thwarted. However, Seo Myung-gyun(徐命均), son of Seo Jong-tae, inherited his father's devotion to the Tangpyeong theory. Seo Myung-gyun was loyal to King Gyeongjong, but also consistently insisted on the protection of the king's brother, who was going to be King Yeongjo(英祖) afterward. So he was able to maintain the Tangpyeong policy even after King Yeongjo was enthroned. This political line was also passed down to Seo Ji-su(徐志修), grandson of Seo Jong-tae. Seo Ji-su tried to protect the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and the son of Prince who was subsequently to be King Jeongjo(正祖). Since these three generations faithfully supported the Tangpeyong theory, they were able to advance to dignitary continuously. Although Seo Jong-Tae tried to innovate the evil customs that were prevalent on the system of people's military service[良役], which was a key issue of the national cris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could not overcome the opposition of the vested yangban landlords. Accordingly, he tried to cope with this difficulty through the Ijeong law(里定法), by strengthening the local government authority with the help of emerging powers that were growing in the local sphere at that time. This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lass contradictions of feudal society by strengthening the state's power with the newly emerged people through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ttempt to resolve class contradictions by strengthening the state power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a unique way for Joseon's modernization. In spite of Seo Jong-tae's dedication, the Tangpyeong theory of Soron has suffered a setback by the Byeongsincheobun(丙申處分, 1716).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plagued by a party conflict, the Tangpyeong theory and the Tangpyeong policy came out of the premise of Confucianism that in order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state, the people who were producers, must be protected. Therefore, it cannot be dismissed as meaningless just because it failed to overcome the class contradictions of the time. The theory of national ruin wa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blames party strife and Confucian custom, has a decisive problem of ignoring the existence of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ists like Seo Jong-tae. 만정당 서종태의 정치 행적은 朝鮮後期 국가의 위기를 蕩平論을 통해서 극복하려고 노력했던 官人ㆍ儒者의 한 유형을 보여준다. 탕평론은 당파적 의리를 떠나서 정치는 정책을 다루어야 한다는 전제 위에서 나온 것이었다. 庚申換局(1680) 이후 집권한 서인은 결국 이에 대한 찬반을 두고 老論과 少論으로 분열되어 갈등하였다. 甲戌換局(1694) 이후 소론 탕평파는 王權論에 입각하여 世子 보호를 자임하였으므로 숙종의 지지를 받고 蕩平策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과 당색을 달리하는 남인도 적극 등용하여 국가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제도 개혁에 매진하려 하였다. 서종태는 이러한 소론 탕평파의 정치 노선을 충실하게 구현하였다. 그렇지만 노론의 반발로 인해 제도 개혁은 지지부진하였으며 세자의 지위까지도 위협받고 있었다. 결국 지배층의 다수가 세자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숙종에 의해 丙申處分(1716)이 내려져 정국 주도권을 노론에 내주면서 탕평책은 좌절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그의 탕평 노선은 그 아들 徐命均에게 계승되었다. 그는 경종대에 경종에게 충성하면서도 世弟 보호를 일관되게 주장하여, 영조가 즉위한 이후에도 탕평론을 견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치 노선은 그 손자 徐志修에게도 계승되어 思悼世子와 후일의 정조인 世孫을 보호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들 삼대가 연이어 정승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서종태의 탕평 노선을 실천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서종태가 조선후기 국가 위기의 핵심 문제였던 良役의 폐단을 변통하려고 노력하였지만 기득권 계층인 양반 지주의 반발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에 그는 里定法을 통해서 당시 향촌에서 성장하고 있던 신흥 세력의 도움을 받아서 수령권을 강화하여 이에 대처하려 하였다. 이것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통해서 새롭게 등장한 民들과 함께 국가의 집권력을 강화함으로써 봉건사회의 계급모순을 극복하려는 시도였다. 국가 권력을 강화시켜 계급모순을 해소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우리식 근대화의 독특한 경로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서종태가 견지한 소론 탕평론은 병신처분으로 좌절되었다. 당쟁으로 점철된 조선후기에 탕평론ㆍ탕평책은 국가의 유지ㆍ보존을 위해서는 직접 생산자인 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儒學의 대전제 위에서 나온 것이었다. 따라서 이것이 당대의 계급모순을 극복하지 못하고 좌절되었다고 해서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당쟁 망국론과 유교 망국론은 서종태와 같은 관인ㆍ유자의 존재를 무시하는 결정적 문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김용흠(Kim, Yong-Heu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58 No.-

        조선후기에 당쟁으로 칭해지는 정치적 갈등이 격렬하게 전개되어 사적(私的) 권력욕과 은원(恩怨) 관계에 따른 모략과 음모가 난무한 것은 사실이었다. 그렇지만 대내외적으로 국가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는 방안을 모색하는 관인(官人)·유자(儒者)들 또한 당색을 넘어서 존재하였다. 이들이 자신들의 새로운 국가 구상을 체계화 한 것이 조선후기 실학이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제출한 정치론이 탕평론이었다. 탕평론을 통해서 유학(儒學)은 양반 지주 계급의 이익만을 배타적으로 비호하던 학문으로부터 대다수 국민 대중의 이익을 뒷받침하는 정치경제학(政治經濟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조·정조의 탕평책은 비록 실패하였지만 우리 정치사에서 계급모순의 극복과 관련된 풍부한 자산을 남겼다. 이들이 탕평정치를 통해서 제도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에 대해 화해와 포용, 타협과 절충을 시도한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 당쟁망국론과 유교망국론은 이들의 존재와 노력을 도외시하는 결정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21세기 문명사의 전환기에 유학이 그 대안이 되려면 실학과 탕평론의 전통으로부터 출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political conflicts(黨爭, dangjaeng) were fierce. These plots and conspiracies were originated from personal desire of power and relations of favors and spites. Naturally the nation faced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Some officials and confucian scholars beyond the party began to plan a new design of nation and political theory to fulfill the innovation, which were called Silhak(實學) and Tangpyeong theory(蕩平論). This new theory had possibility to renovate the confucianism at that time which had exclusively benefited nobleman and landowners, into the political economy that support the majority of ordinary people. Although Tangpyeong policies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were ultimately failed, these theories left abundant assets about overcoming class contractions in the political history. Lately, some researchers regard party strife and Confucinism as cause of national ruin, however, Tangpyeong theories were distinct efforts which tried to reconcile, embrace, compromise and negotiate with the opposition groups. If you want to make Confucianism find a role in the 21st century, you should begin from the tradition of Silhak and Tangpyeong theories.

      • 正祖와 皇極蕩平政治의 公共性

        안효성(Hyo soung 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9 No.-

        유교왕국 조선에서는 공공성에 대한 고민이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치열했다. 군신공치(君臣公治)는 정치적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조선의 공화적 특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조는 전통적인 군신공치가 아닌 왕권 중심적 정치를 통해 공공성을 회복시키고자 했다. 그 방법과 원리는 정조식 탕평, 이른바 준론탕평이다. 정조의 탕평은 혼란과 갈등을 유발하는 논리와 주장들을 평정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탕평은 그러나 모든 의견들을 단일한 한 가지로 통일시키려 하지 않고 다양성들이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궁극의 도(道)와 평화에 도달하게 한다. 배타적 진리의 독점 반대, 언어와 토론의 적극적 역할인정, 자기모순을 최소화한 의견의 완성이 준론탕평의 특징이다. 그런데 정조의 탕평에는 문화와 정치의 절대 중심인 황극이라는 중심축이 존재한다. 황극은 군사일치(君師一致)의 유교적 성왕(聖王)이었고 무엇보다 정조 자신이었다. 탕평이 다양성을 보존하면서도 극단적 상대주의나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고 분쟁 해결력을 가지게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확실히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개인과 공동체, 모던과 포스트모던을 함께 살리고 아우르는 '공공성'과 가깝다. 다만 정조의 탕평은 중심축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시비를 판단하는 권위적 공공이므로 완전한 다원적 평등은 될 수 없다. Chosun, the Confucian monarchy, had fervent debates on the publicness. It was also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ness that the monarch made a political partnership with lieges. It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artnership in that it confers more active role on the royal authority. This is the idiosyncrasy of King Jeongjo's stern Tangpyoung. Its purpose was to synthesize all prevalent logics and arguments in the society and to ultimately alleviate disarrays and conflicts. The synthesis is not through a simplistic unification of different ideas but through intense competition of ideas, which leads to the ultimate Tao and peace. The stern Tangpyoung is distinguished by the resist against the monopolization of truth, appreciation of the active roles of linguistics and discussion, and the minimization of discrepancy. At the very core of this Tangpyoung is Whangkeuk. Whangkeuk is Confucian seongwang, King Jeongjo himself. Due to this powerfulness of the core, Tangpyoung policy was able to preserve the diversity of ideas and resolve the conflict without falling into the trap of extreme relativism or nihilism. This principle assuredly resembles the publicness of nowadays which seeks the balance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That said, King Jeongjo's Tangpyoung does not reach the full-fledged pluralistic equality since it is an authoritarian publicness where the core, the royal authority, makes aggressive interventions and judgments.

      • KCI등재

        원효의 화쟁과 정조의 탕평 비교 연구

        안효성 ( Hyo Soung Ahn ),김원명 ( Won Myou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요즘은 여러 학문의 통섭(統攝)을 요청하는 시대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통섭적 전거를 우리 역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즉 원효(元曉, 617-686)와 정조(正祖, 1752-1800)에 주목하였다. 우선, 원효와 정조 시대에 그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요청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해보았다. 다음으로 그 시대적 요청에 따른 그들의 응답이었던 원효의 화쟁과 정조의 탕평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맺는 말에서 화쟁(和諍)과 탕평(蕩平)의 가치와 한계를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그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일 것이다. 그것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즉 두 가지 모두 혼란과 갈등이 유발되는 논리와 주장들을 조화롭게 하려 한다. 그러면서도 모든 의견들을 단일한 한가지로 통일시키려 하지 않고 각각의 일리를 인정하며 만사를 아우른다. 화쟁에는 불교의 대승(大乘)적 바탕이, 탕평에는 유가의 대동(大同)적인 바탕이 있음으로 인해, 다양성이 인정되고 다시 그 다양성들이 경쟁하면서도 각 주장들의 논리들은 하나[一]로 그리고 도(道)로 귀일한다. 그들 간에는 근본적으로 불교와 유교라는 큰 차이가 있다. 불교와 유교의 차이만큼 화쟁과 탕평 양자에게도 그 차이가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원효 화쟁의 중심축은 일심(一心)이고, 정조 탕평의 중심축은 황극(皇極)이다. 그것들은 각각 불교와 유가에서 근원적 중심축이라는 의미에서 동일 성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정조의 탕평은 중심축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시비를 판단하는 원융회통(圓融會通)이라면, 원효의 화쟁은 개입과 시비 판단을 초월한―그것을 하지만 하지 않고 하지 않으나 하는―원융회통이 라는 차이가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comparative study of Wonhyo(元曉, 617-686)`s thought with King Jungjo(正祖, 1752-1800)`s thought. First, we explained Wonhyo`s One mind(一心) and Hwajaeng(和諍). Second, we King explained Jungjo`s Tangpyeong(蕩平), Whangkeuk(皇極). Last, we explained value and limitations of harmonization in their though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s follows: ①Similarities of Wonhyo`s Hwajaeng and Jungjo`s Tangpyeong are as follows: They made in harmony the logic and arguments which cause confusion and conflict. They do not unify different arguments in one at the same time. They are based on the Mahayana(大乘) thought and the Daetong(大同) thought which affirm diversity and the ultimate one. ②Differences of Wonhyo`s Hwajaeng and Jungjo`s Tangpyeong are as follows: A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wajaeng and Tangpyeong, One mind(一心) and Whangkeuk. In Tangpyeong and Whangkeuk, there are harmonious in a judgment and an active involvement. In Hwajaeng and One mind(一心), there is harmonious beyond a judgment and in an inactive involvement.

      • KCI등재

        정조의 평화사상 : 탕평과 활법을 중심으로

        안효성 ( Ahn Hyo S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조선의 왕 정조(正祖, 1752~1800)에게서 현대 평화학에서 다루는 수준의 평화사상을 찾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정조에게 평화에 대한 관념이 없지는 않았고, 그러한 관념은 정조의 사상과 정치에 반영되었다. 정조의 평화사상은 관용과 통합의 사상으로서의 탕평과 내면의 활기 있는 평안을 추구하는 활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토론과 소통의 활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폭력 없는 공존과 갈등의 완화를 추구하는 준론탕평(峻論蕩平)은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구조적 폭력이 제거된 화합과 대통합의 정치사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관용 없는 분쟁과 폭력의 여지를 없애려는 대동탕평(大同蕩平)은 적극적 평화 (posi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성리학적 마음공부의 연장선상에 있으면 서도 정조 자신만의 독특한 깨달음을 가미한 정조의 활법(活法) 공부론(工夫論)은 내적인 평화, 인간 마음의 평화를 위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조의 평화사상을 조명한다. It will be challenging to look for thoughts of peace from King Jôngjo(正 祖, 1752-1800) of Joseon, from the same level of the modern Peace Studies. However, it was true that King Jôngjo did have the notion of peace, and this notion was considerably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olitics. Thought of Peace of King Jôngjo can be found from Tangpyông(蕩平) as an ideology of tolerance and integration and Hwalbup(活法) pursuing internal vivacity. Firstly, his “Junlon Tangpyông(峻論蕩平)” can be considered nega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ideology aims at coexistence without violence and minimization of conflict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respect of diverse opinions and dynamism of discussions and communications. Secondly, his “Daedong Tangpyông(大同蕩平)” is considered posi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notion intends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dispute without tolerance and violence by seeking socio-political system of harmony and great integration void of structural violence. Thirdly, Jôngjo’s “Theory of Hwalbup learning” can be considered internal peace, namely, thoughts for peace of mind of humanity, in the sense that this theory is an extension of mind learning of Neo-Confucianism but is added by unique awakening of Jôngjo of his ow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houghts of peace in King Jôngjo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 KCI등재

        영조대 노론 준론 이재의 신임의리 탕평론과 그 실현

        최성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This study is on a new Sinim-Euli arguement and Euli-Tangpyeong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Lee-jae who had produced numerous Gyeong-hwa-ja-je(a youngman of noble birth in Seoul), as the leader of Yeong-jo reign’s Noron Junron(principled faction). In the process of King Yeongjo’s ascension, a argument of Sinim-Euli(辛壬義理) was in contrast to Noron and Soron. The key to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angpyeong politics is how King Yeong-jo organizes them well and leads to an agreement between the literati officials. Political justness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eading forces of Tangpyeong politics, as it is the basi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talented persons belonging to the parties. Until now, the Tang-pyeong politics of Yeong-jo reign was being studied based on the politics of compromise, which was based on the justification suggested by the Tangpyeong faction. It means Noron and Soron was recognized by half the justness of loyalty and rebel Sinim-Euli. By this standard, a argument of the Noron Junron represented by Lee-Jae was explained as a narrow-minded justification. Because Lee-Jae claimed that Noron is loyalty and Soron is rebel.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ly on “Dang-ui-tong-lyag(黨議通略)”, but it does not reflect the political realities of the Yeong-jo reign.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view and evaluates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and Lee Jae’s Sinim-euli based on credentials as national policy of the later Yeongjo’s period, which had been strengthened. Lee did not oppose Tangpyeong, though he clearly declared Yeongjo’s rightful succession and the loyalty of the Noron officials who were unjustly sacrificed. In fact, the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was maintained even after 31 years of King Yeongjo, when Noron’s loyalty was almost fully realized. As seen in the case of Lee-jae, It is asked to explain more strictly the political justification and political trends in Youngjo’s period so that we reflect the view point of the time. 본 논문은 영조대 노론 준론 산림의 영수로서 수많은 경화 자제들을 교육·배출한 도암 이재가 확립한 신임의리와 그에 기반한 의리탕평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영조의 즉위 과정에서 발생한 충·역 의리를 가리키는 신임의리는 노론과 소론의 주장이 대립적이었다. 이를 영조가 어떻게 정리하여 사대부 공론의 합의를 이끌어내느냐가 탕평정치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이다. 정치의리는 붕당에 속한 인재를 적절히 배분하여 등용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탕평정치의 주도세력을 결정하는 데 매우 결정적인 요소이다. 지금까지 영조대 전반의 탕평정치는 소론 탕평파가 제시한 의리론, 즉 신임의리에서 노론과 소론의 충·역을 절반씩 인정해서 절충한 정치의리를 기준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이재가 대변한 노론 준론은 신축년과 임인년에 노론들의 행위가 모두 충인 반면 소론들의 행위는 역이라는 의리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탕평을 반대하거나 아니면 매우 일당독재를 옹호하는 편협한 의리처럼 설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 는 소론 준론에 치우친 당의통략의 의리론에 기반한 인식일 뿐, 영조대의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영조대 후반에 확정되고 그 이후 더욱 강화된 국시로서의 신임의리를 기준으로 노론 준론과 이재의 신임의리론을 분석·평가한 것이다. 이재는 영조의 정당한 승계 의리를 분명히 천명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다가 억울하게 희생된 노론 신하들의 충성을 명확히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였을 뿐, 탕평을 반대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노론의 의리가 거의 완전히 실현된 영조 31년 이후에도 탕평 정국은 유지되었다. 이재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지만, 영·정조대의 정치 의리와 정국 동향에 대해서는 당대의 시각을 반영한 엄밀한 분석이 더욱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