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택 일부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 수준이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안서현,김성영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 and lifestyle by nutrition knowledge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n=306] in Pyeongtaek area. Based on nutrition knowledge as described in our previous stud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score<20.5), medium (score=20.5-28.0), and high (score>28.0). The high group (score of 2.16) showed higher eating frequency of seaweed than low (score of 1.44) and medium groups (score of 1.60),(p<0.05). However, the high group showed lower value (score of 1.74) of fast foods than other groups (low: score of 2.59; medium, score of 2.17),(p<0.05). Drinking amount (≥1 bottle),(p<0.05) and smoking (p<0.05) were also lower in the high group than in other groups.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nack intake (-0.129),(p<0.05), drinking frequency (-0.146),(p<0.05), and smoking amount (-0.132),(p<0.05). Nutrition knowledge was negatively affected by factors of high intake of snack (p<0.05), night eating (p<0.05), high drinking frequency (p<0.05), and smoking (p<0.05). Overall analysis revealed that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od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including low drinking and smoking. Therefore, a national nutrition education policy is need to improve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It may lead to good eating behaviors. 평택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6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수준을 조사 한 후 낮은 군(20.5점 미만), 중간 군(20.5-28.0점) 및 높은 군(28.0점 초과)으로 분류한 다음 영양지식 수준,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일반 사항 중 성별, 학년 및 BMI에 따른 영양지식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자연과학계열이 다른 전공계열들에 비해 영양지식의 높은 군이 21.0%로 가장 높고 낮은 군은 8.4%로 가장 낮은 반면, 예체능 및 기타계열은 다른 전공계열들에 비해 낮은 군이 29.6%로 가장 높고 높은 군은 15.5%로 가장 낮았다(p<0.01). 둘째, 식습관 중 주당 해조류의 섭취빈도는 영양지식이 높은 군(2.16점)이 다른 군들(낮은 군 1.44점, 중간 군 1.60점)에 비해 높은 반면(p<0.05), 패스트푸드류의 섭취빈도는 영양지식이 낮은 군이 2.59점으로 가장 높고 중간 군 2.17점, 높은 군 1.74점의 순이었다(p<0.05). 셋째, 생활습관은 ‘8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에 대해 낮은 군이 22.4%로 가장 높고 중간 군 11.1%, 높은 군 10.3%의 순이었다(p<0.05). ‘1병 이상’의 음주량은 낮은 군(59.2%)이 다른 군들(중간 군 38.7%, 높은 군 44.8%)에 비해 많았으며(p<0.05) 흡연유무에 대해서도 “예”라고 응답한 비율이 영양지식이 낮은 군이 53.1%로 가장 높은 반면, 높은 군은 29.3%로 가장 낮았다(p<0.05). 넷째, 영양지식,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영양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간식섭취 빈도(-0.129),(p<0.05), 음주빈도(-0.146),(p<0.05) 및 흡연량(-0.132),(p<0.05)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빈도가 높을수록 음주빈도(+0.248),(p<0.01)와 음주량(+0.199),(p<0.01)은 증가했으며 음주빈도가 높을수록 음주량(+0.610),(p<0.01)과 흡연량(+0.386),(p<0.01)은 증가하였다. 또한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흡연량도 증가하였다(+0.257),(p<0.01). 다섯째, 영양지식 수준과 일반사항 간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사항 중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 속할 확률이 2.914배 높았다(p<0.05). 자연과학계열은 예체능 및 기타계열에 비해 영양지식이 낮은 군보다 중간 군(4.523배),(p<0.001)과 높은 군(4.773배),(p<0.0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여섯째, 영양지식 수준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학년과 전공계열을 보정한 후 영양지식 수준,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식습관 중 간식섭취빈도가 일일 3회 이상(0.288배),(p<0.05), 야식섭취가 주당 3회 이상(0.388배),(p<0.05)일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영양지식 수준이 낮은 군이 높은 군에 속할 확률은 낮았다. 생활습관 중 주당 음주빈도가 3회 이상인 군(0.259배),(p<0.05)과 흡연을 할 경우(0.352배),(p<0.05)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영양지식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 속할 확률 또한 낮아졌다. 본 연구 결과,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군은 다른 군들에 비해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해조류의 섭취는 많고 패스트푸드류의 섭취는 적었다. 뿐만 아니라 영양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간식섭취 빈도, 음주빈도, 흡연량도 줄었으며, 높은 간식섭취 빈도와 야식섭취 빈도, 높은 음주빈도와 흡연율은 영양지식이 높은 군에 속할 확률이 낮게 나타나, 높은 영양지식은 좋은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영양지식 수준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로서 대학생들의 영양지...

      • KCI등재후보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김병태(Byoung Tae Kim),조혜진(Hye Jin Cho),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3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 및 그 영향요인을 통해 유료 재무설계상담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어떻게 생겨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스로 재무관리가 어려워서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재무설계상담을 받으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금융역량이 높은 소비자들이 재무설계상담을 비용을 지불할 만큼 가치 있는 재무관리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재무 지식수준은 객관적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과소의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객관적 지식수준에 비해 주관적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셋째, 재무설계상담에 대해 비용지불의사가 있는 비율은 전체의 43.3%로 매우 높은 수준은 아니었지만 매년 그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넷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객관적 지식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경험이 있는 사람의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았다. 객관적 지식수준은 비용지불의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가 높았다. 또한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주관적 재무지식수준과 비용지불의사 모두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는데,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용지불의사(재구매)가 컸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무설계상담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재무설계상담이 제도적으로 자리매김하여 재무설계업 또는 금융자문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수요기반을 확인하는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level and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of financial consumer,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two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consumers" financial capability affects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at i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ich consumer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is largely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Second,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f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relative to their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ird, 43.3%, which is not so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but the percentag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every year. Fourth, financial planning expericence does not affect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but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r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 is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service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 KCI등재

        대학생의 성별 및 성경험에 따른 성지식 수준에 관한 연구

        유계숙,강수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1

        This study identified college students’ general sexual knowledge and elements of sexual knowledge. It also examined differences of sexu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sexual intercourse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sex education. The sample came from 430 never married students(264 male and 166 female), and Derogatis's Sexual Functioning Inventory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exual knowledge was 15.27 out of 26, representing a very low level of sexual knowledge. The elements of sexual knowledge were yielded as follows: 'Knowledge of myths about sexuality', 'Knowledge of sexual arousal, response and contraception', 'Knowledge of stereotyped avoidance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Knowledge of female sexual arousal, menopause and pregnancy', 'Knowledge of sex differences of sexual arousal and desire', 'Knowledge of sexual physiology',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General sexual knowledge', 'Knowledge of myths about sexuality',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Knowledge of female sexual arousal, menopause and pregnancy'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than male students did. In contrast, the level of 'Knowledge of sexual physiology'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lso,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General sexual knowledge', 'Knowledge of sexual arousal, response and contraception', 'Knowledge of stereotyped avoidance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성별 및 성경험에 따른 성지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성교육의 수정 및 보완과 대학의 성교육 강좌 마련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30명(남 264명, 여 166명)이고, Derogatis의 'Sexual Functioning Inventory'를 사용하여 성지식을 측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및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의 성지식 수준은 26점 만점에 15.27점으로 성지식이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성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성에 대한 잘못된 통념에 관한 지식’, ‘성적 자극․반응 및 피임에 관한 지식’, ‘고정관념으로 인한 기피적 성행동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반응․폐경 및 임신에 대한 지식’, ‘성반응 및 성욕의 남녀차에 대한 지식’, ‘남녀의 성생리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 흥분에 대한 지식’으로 구분되었다.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에 대한 잘못된 통념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반응․폐경 및 임신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흥분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의 성생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성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성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서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적 자극․반응 및 피임에 관한 지식’, ‘고정관념으로 인한 기피적 성행동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흥분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습자 수준에 따른 리듬체조 지도자 전문내용지식 비교

        곽주현(Ju-Hyun, Kwak),김다예(Da-Ye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코치지식은 스포츠에 대한 지식과 이 지식을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가리킨다. Côté, Salmela, Trudel, Baria & Russell(1995)는 코치들의 지식에 따라 선수들의 경기 훈련상황이 바뀔 수 있으며 내용지식은 가르치는 대상에 따라 수준에 따라 다르게 발현될 수 있다고 하였다(Iservyt et al., 2020). 이 연구의 목적은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전문내용지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수들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전문내용지식이 발현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총 4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지도자 14명 선수 28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지도자들의 SCK 분석을 위해 오류지식과, 과제제시 지식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Content development variables(Ward et., al, 2017) 그리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선수 수준에 따라 지도자들의 오류수준은 차이가 나타났다. 초급선수들에 대한 오류가 더욱 정확하게 나타났다. 둘째 선수 수준에 따라 지도자들의 과제제시는 차이가 나타났다. 초급선수들에게는 확장형, 전달형 과제를 많이 제시하였으며 반면 고급선수들에게는 세련형, 게임형 과제제시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 지도자들의 전문지식을 신장하고 효과적인 코치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SCK를 개발하기 위한 스포츠분야에 적합한 전문내용지식 조사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hythmic Gymnastics coache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error detection of SCK depending on the level of player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tasks of SCK depending on the level of players Methods Data were Total of 42 coaches and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K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1) description of performance score (error detection) and (2) content map(instructional tasks)(Ward et al.,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coaches indicate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t high and low level player’ performance errors detection and performance score. (2) they presented different instructional tasks. low level player used the informing, extension, tasks and high level player used more refining, applying game tasks often. Conclusions These findings have helped foster the coaches of prospective leaders and develop effective coaching programs, suggest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content knowledge research suitable for sports areas to develop SCK.

      • KCI등재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지식경영 수준별 지식경영 패턴 차이

        설현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58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지식경영 수준에 따라 지식경영패턴이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였다. 지식경영 패턴으로는 지식경영전략, 지식경영프로세스, 지식변환방식과 지식경영의 성과를 세부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경영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부호화전략과 인격화전략이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영프로세스 역시 지식경영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창출, 공유, 활용, 저장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영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라는 지식변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지식경영의 성과도 더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식경영 수준을 고려하여 지식경영전략, 지식경영프로세스, 지식변환방식이 지식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산업과 조직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management patterns of 58 financial institutions by knowledge management level. The knowledge management patterns are analyzed by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knowledge conversion mode and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major results;First, as the knowledge management level goes high,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such as codified and personalize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is reported also high. Second, as the knowledge management level goes high,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activities such as knowledge creating, sharing, utilizing and storing happened more frequently. Third, the higher the knowledge management level, the more efficient knowledge conversion activity which is consist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is carried out. Finally, as the knowledge management level goes high,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is reported also high. For the external validit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the impact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and knowledge conversion on the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knowledge management level in various industry and organizations.

      • KCI등재

        인지수준이론과 핵심지식이론을 통해 본 초기 유아의 수 개념 발달

        박휴용 ( Hyu Yong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s of children via the analysis of their utterances as a qualitative longitudinal study. In doing so,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Piagetian theories on the issue and suggests the Knower-level theory and the Core-knowledge theory as alternatives to Piagetian theories. The target of analysis is the verbal utterances of two twin girls that gathered from their 12 to 48 months. Two major questions of inquiry of this study are: 1) whether the appearing periods and aspects of the number words accord with the Knower-level theory, and 2) whether the reality of the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s comply with both the Knower-level and Core-knowledge theorie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1) the appearances of 1-Knower, 2- and 3-Knower, and the cardinal principle level are 20~21, 27~29, and 37~38 months, respectively; 2) their learnings of number concepts occur for the recognition and naming of number words in 1- and 2-Knower level, for the plurality/numeracity in 2- and 3-Knower level, and for the cardinality and set concept in the Cardinal principle level. 본고는 유아의 초기 수 개념 발달 양상을 두 명의 유아들의 발화 사례를 중심으로 질적 종단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를 위한 이론적 논의로써 유아 수 개념발달에 대한초기 Piaget이론에 대해 비판적인 논의와, 그 대안으로 등장한 두 가지 초기 수 개념 발달이론인 인지-수준 이론과 핵심지식이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분석 대상은 두 명의 쌍생아의 12월~48월 사이의 발화 속에 나타난 수 용어를 중심으로 한 언어자료이다. 본고는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지-수준 이론에 따른 각 발달단계의 등장 시점과 발달양상은 어떠한지이고, 다른 하나는 유아의 실제 수 개념 발달양상이 인지-수준 이론 및 핵심 지식이론이 설명하는 유아의 수 개념 발달과정에 부합하는지 여부이다. 분석 결과 첫째, 인지-수준 이론 차원에서 수 개념 발달 양상이 시기별로 1-인지 수준(20~21개월), 2-인지와3-인지 수준(27~29개월), 그리고 기수원리 수준(37~38개월)으로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졌고, 이는 기존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지식 이론 차원에서 ‘수 인식과 명명’의 학습(1-인지와 2-인지 수준), ‘복수/수량 개념’의 획득(2-인지 및 3-인지 수준), ‘수의 증가 및 집합 개념’ 이해(4 혹은 5의 기수원리 이해 수준)으로 관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고의 분석을 더 확장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들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Park, Jeong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피부미용은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특성상 질병에 대한 고객 감수성을 조절하기 힘든 직군 중에 하나이다. 또한 작업 시 사용하는 각종 도구와 물품 및 재료들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피부미용사의 철저한 위생관리 실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위생지식 수준과 위생 실천도를 알아보고, 두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피부미용사의 위생수준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소재의 피부미용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7일부터 6월 2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 실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결과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 1 ‘제품의 위생관리’ 요인 2는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요인 3은 ‘용품의 위생관리’, 요인 4는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로 명명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40-50세 미만 100명(41.2%), 결혼여부는 기혼 213명(87.7%), 학력은 전문대 졸업 100명(41.2%),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 98명(40.3%), 자격증 종류는 미용사(피부) 203명(83.5%), 경력은 10년 이상 109명 (44.9%)으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 및 위생 실천도 차이는 먼저 위생지식 수준은 평균 7.36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위생 실천도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 실천도는 최종학력, 취득자격 종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생지식 수준과 용품 · 제품 · 피부미용기구 · 피부관리사의 개인 위생관리 실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높아지면 위생 실천도의 하위요인별 용품의 위생관리, 제품의 위생관리,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실천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컨텐츠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sthetics which work is done to many people, it is a field of work that shows difficulty in controlling customer sentiment towards disease. Also, various tools,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for work may be causes of infection, so the necessity of strict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is increasing. This study would like to study the level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and figure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Afterwards, it aims to provide a basic standard for enhancing hygiene levels of esthetician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300 estheticians residing in the Gwangju City, South Jeolla Province from 4/17/2017 to 6/29/2017 based on self-answering survey. The accumulated data was then analyzed utilizing the SPSS v.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of al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checks on hygiene practice deducted 4 factors. 1st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products’, 2nd factor wa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3rd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equipment,’and 4th factor was ‘hygiene levels of esthetics tools’. Secondly, in the general character study of research subjects, 100 people aged 40-50 (41.2%), married people (87.7%), 100 with community college level education (41.2%), 98 earning monthly salary of 2-3 million KRW (40.3%) were the highest ranking groups. Certificates related to esthetics included 203 people with esthetics (skincare) certificate (83.5%). Also, 109 people had a 10 year or longer experience in the field(44.9%). Third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knowledge was 7.36,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p〉.05).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practice was 3.72,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s of final education, types of certificates and experiences(p〈.05). Fourth, the effect of hygiene knowledge of estheticians on hygiene practice ha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factor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p〈.001). Therefore, it could be summarized that when the hygiene knowledge level of estheticians’ increases, the resulting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 could also increase. Accordingl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imed at enhancing the hygiene knowledge levels of estheticians are needed.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경례,문혁준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개선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서 실시된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영아보육교사 21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전문성 발달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고 자격 유형은 원장, 1급 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의 순으로 발달 수준이 높았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과 전문성 발달 수준과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문성 지원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으며,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발달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체계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영아발달지식을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conducted of 214 infant teachers. Data ware analyzed by ANOVA, scheffé,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influenced by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hird, teaching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of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infant care policy and system.

      • KCI등재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인터넷 사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김근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9 行政論叢 Vol.57 No.3

        Previous research about risk acceptance and nuclear knowledge has been discussed using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of measurement. There have also been various discussions of the impact of objective nuclear knowledge on nuclear acceptance. This study empirically researches how objective nuclear knowledge understood by internet users influences the nuclear 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the average nuclear knowledge score was 3.62 out of 6. The research separated respondents into two groups for analysi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nuclear understand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nuclear understanding tends to recognize nuclear risk as high and has a negative perception of nuclear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nuclear power perceives the benefits generated by nuclear facilities more positively and has more t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than the other group. Regression analysis showed perception of benefits, nuclear effects, risk perception, and level of nuclear knowledg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Among these factors, the level of knowledge positively influences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In addition, objective nuclear knowledge had some moderating effects with other determinants of nuclear power acceptance. Objective nuclear knowledge lowered the positive impact of perception of benefits, while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nuclear effect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level of nuclear knowled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controlling for other determinants of nuclear power acceptance.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policy programs for improving the level of nuclear knowledge of citizens in order to increase acceptance of nuclear facilities. 기존의 위험 연구나 원자력 수용성 관련 연구에서 원자력 지식은 주관적・객관적 측정방식을 통해 변수화되어 논의되어 왔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들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사용자들의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은 평균 3.62(6점 만점)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의 집단별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편익인식과 원자력 정부 신뢰는 저(低) 지식집단이 고(高) 지식집단보다 높았으나, 위험인식과 부정적 원자력 감정은 고(高) 지식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은 편익인식과 원자력 감정, 위험인식에 이어 상대적인 영향력(β)은 가장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원자력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은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들과 일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익인식의 긍정적 영향력을 낮추지만, 원자력 감정의 부정적 영향력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함의는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부의도: 수혜자 상황과 기부자의 지식수준

        권재오(Kwon, Jae Oh),이유미(Lee, Youmi),김석영(Kim, Seogyoung),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일상에서 기부관련 이야기를 듣는 건 어렵지 않다. 설사 직접 기부를 하지 않더라도 일상에서 기부광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흔한 일이다. 기부광고에서는 수혜자 상황이 가장 주목받는다. 어떤 기부광고는 수혜자의 상황이 생존이 힘들 정도로 불우한 모습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또 어떤 기부광고에서 수혜자의 상황은 극한 생존 상황은 아니다. 문맹 또는 질병과 같이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수혜자의 상황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부자의 지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수혜자의 모습이 생존이 힘들 정도로 극한의 상황으로 제시되는 경우, 이성보다는 인류애적인 감성에 의해 기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기부자의 지식수준에 의한 영향력은 사라질 것이다. 그렇지만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기부광고가 제시되는 경우에는 기부에 대한 기부자의 이성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수혜자 상황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문맹으로 고통 받는 상황보다는 극한의 생존 상황으로 제시될 때, 기부자의 기부의도가 더 높았다. 기부자의 지식수준은 기부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렇지만 수혜자의 상황과 기부자의 지식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수혜자가 생존의 극한 상황으로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할 때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기부 상황에서는 지식수준이 낮은 기부자에 비해 지식수준이 높은 기부자의 기부의도가 더 높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에 따라 기부광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는 기부자가 왜 기부하는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It is not difficult to hear about donations in everyday life. Even if you don t donate directly, it is common to see donation advertisements in your daily life. In the donation advertisement, the situation of beneficiaries is the most notable. Some donation advertisements are presented in such a poor way that the beneficiary s situation is difficult to survive. However, some donation ads are not extreme survival situations. It is suggested that donations are necessary for the better future of beneficiaries, such as illiteracy or disease. This study predicts that donor knowledge will affect the effect of the beneficiary s situation on the intention of donation. If the beneficiary s appearance is presented in an extreme situation that makes it difficult to survive, it will be donated by anthropomorphic sensibility rather than reason. Therefore, there will be no effect of knowledge level. However, if it is suggested that donations are necessary for the beneficiary s better future, rational judgment on donations is needed. Therefore, the level of knowledge of donors will affect the intention of don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neficiary s situation affected the intention of donation. When presented as an extreme situation of survival rather than suffering from illiteracy, the donor s intention to donate was higher. The donor s knowledg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don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beneficiary s situation and the donor s knowledge. When the beneficiary suffers from the extreme conditions of survival, the donor s knowledge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donation. However, when donations were needed for a better future for the beneficiary, the donor s knowledge influenced the intention of the donation. Compared to donors with lower knowledge levels, donors with higher knowledge levels had a higher willingness to donate.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no study of how donation advertising should be done based on donor knowled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why donors don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