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학렬을 연구한 것이다. 김학렬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에서 허남기, 강순, 남시우를 잇는 2세대로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비평가인 동시에,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을 통체적으로 담아낸 대표적인 시인이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 『종소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학렬의 시세계는 2000년 『종소리』에 창간 이전까지는 북한문학의 지도노선에 충실하여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을 썼다. 하지만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총련>계 재일 다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동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im hak-ryeol,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im hak-ryeol`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Kim hak-ryeol`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im hak-ryeol`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총련 결성과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 박종상의 『봄비』와 량우직의 『서곡』에 나타난 총련 결성 시기 ‘조선학교’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

        윤송아 ( Yoon Song-a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가 결성된 1955년은 재일조선인 운동과 민족교육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분기점이 되는 시기이다. 북한의 해외공민으로서의 자각과 직접적인 연계를 기반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민족교육의 물리적, 사상적 토대가 마련되고 교육체제의 개편이 이루어지며, ‘조선학교’가 뚜렷한 방향성을 담보로 민족적 정체성을 구현, 표출하기 시작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총련결성의 의의와 변별점에 주목하여, 1955년 총련 결성 직후의 조선학교를 배경으로 민족교육의 현실을 그려낸 장편소설인 박종상의 『봄비』와 량우직의 『서곡』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문학에 나타난 총련 결성 시기 ‘조선학교’의 재현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두 작품에는 학교건설사업이라는 동일한 주제 아래, 민족교원의 지칠 줄 모르는 헌신과 도전, 학생들에 대한 사랑과 실천적 교육활동이 다각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민단’을 주축으로 한 적대세력의 끊임없는 방해공작으로, 계획한 교육사업들이 번번이 수포로 돌아가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조선학교를 둘러싼 교원과 지역동포들의 조직적인 단합, 그리고 북한 조국으로부터 전달된 교육원조비로 말미암아 학교건설사업의 당면과제가 마침내 성취되는 희망의 서사가 나란히 전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두 소설에 나타나는 공통된 주제의식과 인물의 전형성, 사건의 추이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총련 결성과 민족교육의 상관성, 당대를 다룬 ‘조선학교’ 주제 작품의 일관된 서사구조와 성격창조의 과정, 민족교육을 둘러싼 재일조선인의 고난과 투쟁, 극복의 역사를 전경화하였다. The organization of Chongryon in 1955 is the period of a new branch point for the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change of racial education. Based on North Korean awareness and direct connection as overseas citizen, the physical and ideological base of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racial education was prepared, the educational system was reorganized, and the ‘Chosun School’ started to embody and express racial identity as security for certain directivity. This thesis considered the reappearance aspect of the ‘Chosun School’ in the period of the Chongryon organization period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focusing on long novels showing the realities of racial education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hosun School right after the Chongryon organization in 1995, 『Bombi』 of Park, Jong-sang and 『Seogok』 of Ryang, U-jik, in consideration of significances and differentiations of the Chongryon organization. In two works, under the same subject of the school establishment project, sacrifice, and the challenge of racial education that are not tired, love for students and practical education activities are formed in multiple angles. Also, due to the continual hindrance of the enemies of ‘mindan’, the planned education projects often failed. In the depressed situation,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union of teaching staff and regional people around the school and educational supporting funds delivered from North Korea, the hopeful situation that was achieved facing the assignment, the school establishment project, is jointly displayed. This thesis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ongryon organization and racial education, certain narrative structure of ‘Chosun School’ treating the period, the hardship and struggl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round racial education, and the history of overcoming by considering the intensively joint subjects of two novels, prototypicality of people, tendency of accidents, etc.

      • KCI등재

        조선총련의 음악교육에서 나타나는 민족교육의 양상

        양종모 ( Yang Jong M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조선총련의 음악교육에서 나타나는 민족교육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일본의 한국인·조선인의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 체제를 이해하고, 조선총련이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는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악곡의 국적, 가사, 장단, 그리고 음계 등에 대한 민족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조선총련의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6권에 제시된 전체 악곡 187곡이다. 연구 결론은 첫째, 일본의 민단과 조선총련의 민족교육은 분리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조선총련의 민족교육은 독립적이고 체계적이다. 둘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 가창곡의 가사에서 탈이념적이며 초민족주의적인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에서는 서양식 창작 음악에 전통 장단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민족 음악의 계승과 발전을 꾀하고 있다. 넷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에서는 빠른 장단과`도` 5음 음계의 비중을 높여 우리 민족의 밝고 긍정적인 음악적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in the music education of Chosun Chongry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system for the education of Korean and Korean people in Japan and to analyz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nationality, lyrics, rhythm and scales of music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produced and applied by Chosun Chongry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7 pieces of all songs presented in 6 volumes from the first grade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of Chosun Chongry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education of the Mindan and the Chosun Chongryon of Japan is proceeding separately, and the national education of the Chosun Chongryon is independent and systematic.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lyrics of the song texts of Chosun Chongryon`s music textbooks are de ideological and ultra - nationalist movements. Third, in the music textbooks of Chosun Chongryon, the traditional music has been succeeded and developed by using the traditional music in Western style music. Fourth, in the textbooks of Chosun Chongryon, it is understood that emphasizing the bright and positiv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the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the fast rhythm and `do` pentatonic scale.

      • KCI등재

        김시종과 『진달래』

        하상일 ( Ha Sang-i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본 논문은 재일조선인 시인 김시종의 시와 시론을 『진달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진달래』는 1953년 2월 자신의 주도로 <오사카조선시인집단>을 조직하여 동인지 성격으로 출간한 것이다. 문학을 통해 오사카 지역 젊은 조선인을 조직한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창간했지만, 1955년 <총련> 결성 이후 재일조선인 운동 방침이 크게 전환되어 조직의 거센 비판을 받고 1958년 10월 20호를 끝으로 종간되었다. 이후 『가리온』을 창간하여 그 정신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려 했으나, 이 역시 조직의 비판으로 3호만 발간하고 중단되고 말았다.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김시종의 일본에서의 초기 활동을 주목하고, 『진달래』를 발간한 과정과 <총련>과의 갈등으로 빚어진 필화 사건, 그리고 <총련> 탈퇴 이후 독자적인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방향을 열어나간 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진달래』전권의 서지사항과 여기에 수록된 김시종의 글을 전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김시종이 재일조선인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시종 시문학의 발생적 토대를 이해하는 것인 동시에, 재일조선인 시문학이 <총련>과의 결별 과정에서 `조선`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어떻게 심화 발전시켜 나갔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이는 민족 혹은 국가의 이데올로기적 관념성을 넘어서 `재일`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형성해 온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뚜렷한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김시종과 『진달래』는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내용과 형식을 진정성 있게 성찰하는 주체적인 시론의 방향을 올곧게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poems by the Korean-Japanese poet Kim Si-jong (b. 1929) and public commentaries focusing on the magazine “Jindallae”. “Jindallae” was published a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when the poet led and organized the Osaka Joseon Poet Group in February 1953. The magazine was founded with a political purpose to organize young Koreans in Osaka region through literature, but after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or abbreviated as “Chongryon(總聯),” was organized, the direction of movements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largely changed, while Kim`s movement was harshly criticized, resulting in the cessation of publication in October, 1958. The last issue was No. 20. Later Kim founded “Garion” to continue the spirit, but that too was criticized by the organization, and after three issues, the magazine was terminated. This thesis focuses on Kim Si-jong`s early activities post-liberation and discusses the process of publishing “Jindallae,” incidents occasioned by a serious slip of the pen due to conflicts with Chongryon, and the direction of poetry independently assum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after his withdrawal from Chongryon. Thus, this thesis intensively discusses what stance Kim Si-jong took in terms of identity and direction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examining bibliographical data and Kim Si-jong`s writings in all of “Jindallae” magazines. Such a critical mind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foundation of Kim Si-jong`s poetry, and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how the ethnic identity “Joseon(Korean)” was developed and intensifi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split from Chongryon. This can be a clear direction that goes beyond the ideology of an ethnic group or a nation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formed independence and subjecthood as “Koreans living in Japan.” In that regard, it can be evaluated as meaningful that Kim Si-jong and “Jindallae” appropriately proposed the direction of independent poetry examining the content and form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 KCI등재

        민단-총련 관계의 변화: 남북한 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

        정진성 ( Chinsung Chung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2

        재일동포사회의 역사는 우리 근대사의 일부분이다. 분단된 우리의 현대사를 반영하면서 재일동포사회는 남한계(韓國籍)와 북한계(朝鮮籍)로 분단되어 있고, 남북한 정부와 연관을 갖고 있는 민단과 총련이 대립하고 있다. 남북한계 동포들의 관계는 남북한 사회의 관계와는 달리 지속적으로 가까워지고 함께 활동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그러한 경향은 1970년대 후반 이후 가시화되어 왔다. 그러나 민단-총련의 관계는 남북한 정부 간의 관계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동포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지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포사회가 남북한 관계를 단순하게 반영하는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민단-총련 관계가 남북한 정부 간의 관계를 단순히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그동안 여러 경우에서 증명되고 있다. 이글은 해방 후 동포사회에서 민단과 총련이 설립된 과정과, 그 후 두 단체의 관계가 변화된 과정과 요인을 검토하고 있다. 재일동포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축적되고 있지만, 민단-총련 관계에 관한 연구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발견적 가치에 이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민단-총련 관계가 극적인 접근과 관계의 파국을 이루는 과정이 남북한 관계의 변화에서 상대적으로 자율적으로 진전된 상황을 검토하면서, 민단과 총련, 민단-총련의 관계가 오히려 남북한 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도 이 글의 또다른 목적이다. 총련이 경영하는 민족학교에 한국적 학생들이 아무런 문제없이 입학할 수 있으며 민단도 이를 문제삼지 않는 것은 남북한 정부의 관계에서 볼 수 없는 현상이며, 최근 어려움에 봉착한 민족학교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과 지원도 남북한 정부 간의 관계에 어떠한 형태로든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Koreans in Japan is a part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 light of divided Korean contemporary history, Koreans in Japan are divided into people who are affiliated with South Korea and those affiliated with North Korea, and the Mindan and Chongryun, which are connected with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 are often in conflict with each other. Despite the fact that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have improved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970s, the Mindan and Chongryun, who have more direct influence from South and North Korea, have not shown such changes. Just as the Korean communities in Japan do not simply mirror their counterparts in South and North Korea, many case studies of the two groups indicate that relations between Mindan and Chongryun also do not simply reflect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by which the Mindan and Chongryun were established, and the factors and conditions surrounding the changes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re is much scholarly research on Koreans in Japan in general,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Mindan and Chongryun are rare. Thus, this paper firstly focuses on the facts of the changes of relations between the Mindan and Chongryun. It particularly highlights the disintegr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2000, which occurred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is shows a possibility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Mindan and Chongryun may influence overall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the second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The ethnic schools run by the Chongryun accept students with South Korean nationality, with no objection by the Mindan. A group of South Korean people have supported the Chongryun-run ethnic schools, which have suffered serious financial problems due to discriminative treatment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se cases thus illustrate the possibility that the Mindan and Chongryun, as well as Mindan-Chongryn relation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오키나와의 아리랑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본고에서는 식민지기부터 오키나와에 거주했다가 패전 이후에도 잔류하게 된 조선인들이 전후 냉전질서 속에서 방치된 후 발견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직접통치가 실시되고 20여 년이 지난 후에 이들이 발견된 데에는, 1965년한일협정 이후 이들의 법적 지위를 둘러싼 ‘국가의 논리’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초기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했으나, 오키나와 반환협정 체결 전후로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다. 반환으로 인한 총련의 오키나와 진출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총련은 오키나와에 오자마자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군대의 논리에 의한 오키나와 전투의 역사화에 대항해서 전개된 오키나와 주민 주체의 전투 기록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주민의 논리’에 입각한 오키나와 전투 역사화 과정에서 조선인들을 발견했다. 총련은 이 성과들을 이어 받으면서도 조선인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그리려 했다. 그 결과 조사단은 오키나와 전투 준비를 위해 동원되었던 조선인들 중에 패전 이후 미군의 전쟁준비에 동원된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인들에 대한 일제와 미군의 전쟁범죄를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에는 식민지주의가 지속되고 있었음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한국정부와 총련의 잔류 조선인에 대한 인식 차는 남북한의 미군정기 오키나와인식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 오키나와에 친미반공 독립국의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민족 재결합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오키나와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당시 주민의 다수가 복귀를 희망했으므로 남한은 ‘군대의 논리’에, 북한은 ‘주민의 논리’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정기의 오키나와에 접근할 수 없었던 총련의 ‘주민의 논리’는 대다수가 민족 해방이 아닌 귀화를 선택했던 잔류 조선인들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했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쟁과 냉전의 틈바구니에서 국가와 역사로부터 망각당한 피해자가 발견되었을 때, 피해자의 존재를 품고 역사 속으로 이끄는 안내자의 논리가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the "leftover" Koreans, who survived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n ended up settling down there, were first left to their own devises and neglected, and then re-discovered. One of the reasons why they were re-discovered 20 years after Okinawa cam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US military was the "state logic", to be applied to Okinawa Koreans under the terms of 1965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Agreement. However, in the begin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show an active interest in Okinawa`s Koreans; it started to do so only 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was agreed by Japan and USA in 1971. The reason for that was the feeling of crisis, as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version would allow the pro-North Korean Chosen Soren to move freely into Okinawa. The first thing Soren did on Okinawa was the investigation on the Koreans who died during the battle of Okinawa. This investigation continued the civilians-centred history recording movement which took momentum since the late 1960s as a counterforce to the conventional, military-centred descriptions of the battle of Okinawa. As the movement for re-writing the history with the "residents` logic" put squarely in the centre was booming, the remaining Koreans were discovered on Okinawa. The Soren investigation inherited the successes of this movement, while aiming at creating an alternative image of Okinawa battle, with Koreans being its main subject. It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 number of Koreans mobilized in preparation for war by the imperial Japan, were then re-mobilized again by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fter the Japanese defeat. The aim of the investigation report was thus to accentuate the persistence of colonialism in Okinawa by denouncing the war crimes committed both by imperial Japan and USA. The difference in the view on the "leftover" Koreans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oren reflected the diverg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views on the American military-ruled Okinaw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positive on US military rule in Okinawa, supporting also the idea of establishing a pro-American, anti-Communist independent state there. By contrast, North Korea solidarized since the mid-1950s with Okinawan reversion movement as a part of the Third World liberation movement, sharing the common aim of national re-union with the Okinawans. From this viewpoint, we can define South Korea`s logic as more military-based, while North Korea`s logic was closer to the wishes of the majority of general population, which supported the reversion. Soren, however, could not operate in US military-dominated Okinawa. Its "residents` logic", in fact, did not fit into the realities of Okinawa-based "leftover" Koreans, who mostly wished to naturalise rather than to participate in a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Despite such limitations, Soren still managed to play the role of an aid organization in relation to the "leftover" Koreans. On the discovery of these people victimized and forgotten by the states and official history amidst the vicissitudes of the World War and Cold War, it recognized them and offered them assistance and solidarity.

      • KCI등재

        1960년 전후 재일조선인 미술가의 활동 —총련 기관지(紙)를 중심으로—

        오은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e Chongryon’s bulletin reported on daily life, politics, culture, and even the recent status of artists who had repatriated to North Korea. Around 1960, the Chongryon and the Mindan changed significantly due to the situation in the north and south. In the field of art, Chongryon and Mindan held an unusual joint cultural festival. The reason why the artist’s activities were remarkable is that in 1961, while Chongryon and Mindan were at odds, they held a collaborative cultural festival and a ‘coalition exhibition’. The event was held with the hope that the South and North would soon be unified because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South Korea and Kim Il-sung’s proposal for a fed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Choson Sinbo and The Tongil Choseon reported on the cultural festival and the ‘coalition exhibition’, but Mindan’s Minju News did not. The reason was that the leader of Mindan changed again and members of Mindan opposed the joint cultural festival. Around 1960, Korean artists in Japan co-produced and held art exhibitions on themes given with the support of Chongryon. They also published “The Book of Paintings of Korean Artists in Japan” in 1962. It cannot be denied that North Korea’s intention of ‘group creation’ was inherent. Artists who were repatriated to Korea must have felt the limitations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in that they had to visit factories and farming villages around the country and engage in collective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individual activities based on ‘Choson-hwa’. 총련 기관지는 일상적인 생활을 비롯해 정치, 문화, 그리고 당시 귀국을 선도하고 귀국한 예술가의 근황을 전하기도 했다. 총련과 민단은 1960년 전후 남북의 정세로 큰 변화가 있었고 예술분야에서는 총련과 민단이 이례적으로 합동 문화제를 열기도 했다. 예술가들 중에서도 미술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던 이유는 총련과 민단 각 조직이 결성된 이후 계속 대립상태였는데 1961년에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합동으로 문화제와 함께 ‘련립전(連立展)’을 개최했기 때문이다. 개최 계기는 한국의 ‘4⋅19 혁명’, 김일성의 ‘남북연방제안(南北連邦制案)’ 등 남북 정세의 변화와 함께 민단 단장이 바뀌며 곧 통일이 될 것이라는 희망 아래 개최를 계획했던 것이다. 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와 중립입장의 『統一朝鮮新聞(통일조선신문)』은 문화제와 ‘련립전’에 대해 보도하고 있었지만 민단 기관지 『民主新聞(민주신문)』은 보도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민단의 단장이 또 다시 바뀌고 민단 내부에서 합동 문화제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재일조선인 미술가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총련의 지원으로 주어진 테마로 공동 제작과 미술전을 개최하고 있었으며 1962년에 『재일조선인 화집』까지 발행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북한의 ‘집단 창작’이라는 의도가 내재하고 있었다는 것도 부정할 수가 없을 것이다. 미술가들의 공동(합동)제작은 짧은 기간 내에 양성하기 어려운 미술가를 북한으로 흡수하는 과정의 하나라고도 볼 수가 있다. 귀국한 미술가들은 ‘조선화’를 토대로 개인적인 창작 활동보다는 각지의 공장과 농촌을 찾아가 집단적인 창작 활동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품 활동에 한계를 느꼈을 것이다.

      • KCI등재

        ‘탈식민냉전’, ‘65년 체제’, 그리고 김석범의 한글 단편소설 - 「꿩 사냥」, 「혼백」, 「어느 한 부두에서」를 중심으로 -

        고명철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그동안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 문학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이 그의 일본어 글쓰기와 그 한국어 번역을 대상으로 한 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조선총련의 기관지에 실린한글 단편 세 편—「꿩 사냥」, 「혼백」, 「어느 한 부두에서」의 존재는 작가 김석범의 문학은 물론, 재일조선인 문학을 풍요롭게 논의하는 데 주요한 참조점으로 작용한다. 여기에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아시아‧태평양의 질서를 미국 주도로 구축한 샌프란시스코 체제와 그 하위체제로 작동하기 시작한 ‘65년 체제’에 대한 김석범의 서사적응전이 재일조선인으로서 정치적 (무)의식과 연동돼 있는 것을 가볍게 넘길 수 없기때문이다. 「꿩 사냥」은 김석범의 ‘탈식민냉전’에 대한,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체제에 대한비판적‧정치적 상상력으로 읽을 수 있다. 여기에는 1950년대 중반 ‘한라산=적색 지대=빨갱이=공산주의(자)’의 맹목적 반공주의를 보이는 미국에 대한 비판적 상상력은 물론, 작품 말미에서 암시하듯, 4‧3항쟁의 미완의 혁명으로서의 과제(자본주의적 근대와사회주의적 근대를 동시에 넘어서는 평화적 통일독립의 세계를 이루는)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는 작가의 역사적 전망에의 서사적 의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혼백」은 어머니의 혼백을 북한으로 귀국시키는 것을 넘어 ‘나’의 변혁된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삶과 함께 어머니의 고향에서 미완의 혁명으로 솟구쳤던 4‧3항쟁의 주체가 꿈꿨던 ‘통일조선의 총체’를 향한 정치적 상상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작가 김석범의 서사적 열망이 투영된 것이다. 「어느 한 부두에서」 보이는 총련의 민족교육을 통한 재일조선인의 자기정체성을정립하는 과정과, 총련과 민단의 민족화합을 경험한 한국인 선원들이 한국에 도달한후 ‘65년 체제’에 대한 비판과 저항의 상상력은 김석범의 한글단편이 제기하는 소중한 문제의식이 아닐 수 없다. 이렇듯이 김석범의 세 한글 단편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함께 김석범 문학의 중핵을이루는 식민주의 및 냉전에 대한 저항과 극복을 동시에 추구하는 ‘탈식민‒냉전’에 대한 서사적 문제의식으로 나타난다. While most of the discussions on Korean-Japanese writer KimSeok-beom’s literature have focused on his Japanese writing and Koreantranslation, the existence of three Korean short stories in Chongryon’spublication: “꿩 사냥(Pheasant Hunting),” “혼백(Soul-Searching)” and “어느한 부두에서(On a Wharf)” serves as a major reference point fordiscussing not only Korean literature but also Japanese literature. Thisis because Kim Seok-beom’s epic response to the San Francisco system,which built the order of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leadership of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and the “65-year system,” whichbegan to operate as a sub-system, cannot be easily overlooked. “꿩 사냥(Pheasant Hunting)” can be read as a critical and politicalimagination of Kim Seok-beom’s “decolonization” and the San Franciscosystem. As suggested at the end of the work, it is necessary to payattention to the author’s historical narrative that the task as anunfinished revolution of the April 3rd uprising (which forms a world ofpeaceful unification independence beyond both capitalist and socialistmodernity) is still underway. “혼백(Soul-Searching)” reflects writer Kim Seok-beom’s epic desire to realize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total of unified Joseon”dreamed of by the subject of the April 3rd uprising, which soared fromhis mother’s hometown to an unfinished revolution, along with his lifeas a transformed Korea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elf-identity of Koreans in Japanthrough the national education of Chongryon in “어느 한 부두에서(On aWharf)” is noteworthy. And the imagination of criticism and resistanceto the “65-year system” after Korean sailors who experienced nationalharmony between Chongryon and Mindan arrived in Korea is a valuableproblem raised by Kim Seok-beom’s Korean short storyIn this way, Kim Seok-beom’s three Korean short stories, along withhis other works, appear as an epic problem consciousness of the“Decolonialized-Cold War” that pursues resistance and overcomingcolonialism and the Cold War, which form the core of Kim Seok-beom’sliterature.

      • KCI등재

        중립 지향의 재일조선인사의 기원을 찾아서: 북구의 언어학자 조승복의 어떤 전후사

        임경화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4

        Usually, post-war Zainichi history tends to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between pro-South Korean Mindan and proNorth Korean Chongryŏn. This confrontational structure crystallized soon after Liberation, and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even into the present day, despite the general weakening of the Korean diasporic organizations’ influence in Japan. However, there were continuous attempts to overcome this institutionalized confrontation – in fact, these attempts started also right after the Liberation. This paper will deal with one such attempt, discernable in the post-Liberation activities of Cho Seung-bog (1922-2012). Born in Manchuria, educated in Japan and later famous as a Sweden-based scholar of East Asian languages and unification activist, Cho is deeply related also to Zainichi society’s history. Cho resided in Japan for 9 years, from the time he was enrolled at the First High School in 1939 and until he, as a graduate of Tokyo University, left for America in 1948. Having started by studying for career advancement, Cho ended up as an activist dreaming of building an ideal democratic society in united Korea. Active in the Zainichi movement since 1945, Cho continuously liaised with the Zainichi milieu even after settling in Sweden. As not an out- and in-sider in Zainichi society, he remained a boundary personality tightly related to it even after leaving it. His memoirs, written in the 1990s, reveal his special identity of a Manchurianborn Korean, and a number of unique experiences it entailed. One of these experiences was the history of the Zainichi community, and his attempts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 inside it, viewed from a perspective of a boundary-placed participant-observer. This paper, based on his memoirs, attempts to reconstruct the post-1939 history of Zainichi community as depicted by Cho, and searches his activities for the roots of Zainichi’s quest for neutrality amidst the national division system. 재일조선인의 전후사는 일반적으로 냉전체제의 형성으로 인한 남북 분단에 심각하게 영향을 받으며 이남과 이북을 각각 추종하는 민단계와 총련계의 대립으로 그려져 왔다. 이 대립구도는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동포조직의 영향력이 현저히 떨어진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 대립 구도를 넘어서려는 시도 또한 해방 초기부터 존재했다. 본고에서는 그 초기 사례로 조승복의 실천 운동을 다루고자 한다. 만주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을 거쳐 스웨덴에서 언어학자로 활약하며 통일운동에 힘쓴 재외동포로 알려진 조승복은 실은 재일조선인의 전후사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인물이다. 그는 만주국 관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1939년에 도일하여 제1고등학교를 거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1948년에 도미할 때까지 9년간을 재일조선인으로 살았다. 그에게 일본 체류는 일본의 식민주의로 인해 차별받는 조선인들을 발견하고 차별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민주주의적 이상사회로서의 단일민족 국가 건설을 꿈꾸게 했던 곳이었다. 그는해방 직후부터 재일조선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미국을 거쳐 스웨덴에 정착한 이후에도 재일조선인 사회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교류를 이어 갔다. 그는 1990년대 말에 자신의 생애를 회고하는 자서전을 집필하는데, 거기에는 만주 출신 조선인으로서의 독특한 위치와 함께 그가 아니었으면 체험하지 못했을 귀중한 경험들이 담겨 있다. 그 중심축의 하나가 경계인으로서 참여하고 바라본 재일조선인의 전후사 속에서 대립 구도를 넘어서는 재일조선인 사회를 추구하려는 그의 실천 운동이었다. 본고에서는 1939년부터 조승복이 그려 낸 재일조선인의 전후사를 재구성하여 중립 지향의 재일조선인사의 기원을 찾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