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조선불교 청년운동의 양상과 조직 변경 -1928~1931년『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를 중심으로-

        신치호 ( Chi Ho Sh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7

        근대 불교의 최종 목표는 조선 불교의 정통성 및 자주성 회복이었다. 1930년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 불교계에서 민족적 성격을 띤 단체는 조선불교청년회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이다. 혁신계 청년 소장세력이 불교청년 운동의 통일기관으로서 조선불교청년회를 설립해 활동하였고, 조선불교청년회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불교청년회는 불교계혁신세력의 통일단체로서 30본산 제도와 주지들의 전권에 반항하면서 정-교 분리와 사찰령 폐지, 불합리한 법규의 개폐, 사회적?대중적 불교의 건설 등으로 대내외 투쟁을 주도하였다. 『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선불교청년회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으로 대표되는 이 시기의 조선불교 청년운동은 종단과 일제 통치기관, 언론사에 맞서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더욱이 조선불교 청년단체로서 국제행사에서 당당히 그 모습을 드러내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대내외에 과시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Korea`s modern Buddhism was to recover its orthodoxy and sovereignty.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l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synthesized the evolution of the Korea`s national Buddhism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Buddhism in 1930s. What attempt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ncluded the secularized Buddhism, the abolition of Sachalryeong(寺刹令), the revision of the unreasonable regulations of Jongheon(宗憲), Jonghoi(宗會), which earned them quite a popularity. According to the Filed Document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日帝京城地方法院編綴文書』), the Buddhist Youth Movement at the time, represent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and the Joseon Buddhist Youth Un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s Buddhism by resisting the colonial rules from the governing political entities and media. Furthermore, the Korea`s Buddhism was clearly recogniz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en these representative Buddhist youth group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 KCI등재

        朝敵의 탄생, 그 후

        이세연 청람사학회 2023 靑藍史學 Vol.38 No.-

        본 논문에서는 1180년대의 내란기에 탄생한 조적(朝敵)이라는 정치 용어가 이후 가마쿠라 시대에 어떤 맥락에서 통용되어 갔는지 『鎌倉遺文』의 용례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 사후의 용례 70건은 대략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조적은 임의적인 낙인찍기의 맥락에서 통용되었다. 조적의 발화자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사사세력이었다. 사사세력은 갈등을 빚고 있던 상대방을 조적으로 낙인찍음으로써 분쟁을 유리하게 이끌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임의적인 낙인찍기는 겐코[元弘]의 난에 즈음하여 보다 극적인 형태로 이뤄졌다.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과 그 황자들은 조적의 발화자로서 자격이 없는 상황임에도 자신의 정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조적이라는 정치 용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분쟁에 휩싸인 사원이 자신의 유서 깊음, 영험함을 강조하기 위해 ‘賊徒’의 사적을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조적의 계보가 형성되어갔다. 모노노베노 모리야[物部守屋],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將門], 후지와라노 스미토모[藤原純友], 아베노 사다토[安倍貞任], 미나모토노 요시토모[源義朝],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爲朝] 등은 조적으로 새로 호명되었다. 이 같은 동향은 일본 역대의 조적을 열거하는 『平家物語』의 서술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을 것이다. 셋째, 니치렌[日蓮]은 조적을 메타포로도 사용하였다. 각종 법난을 겪은 후 미노부산[身延山]에 칩거하게 된 니치렌은 일련종 신도들의 신앙심을 고취하기 위해 법화경 행자들의 고난과 박해자들의 말로를 조적에 빗대어 설명했다. 이 같은 니치렌의 용법은 조적의 어의에 대한 일련종 신도들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 것이었다. 니치렌의 용례는 1270년대의 일본사회에서 조적이 폭넓게 통용되고 있었음을 방증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olitical term Chōteki(朝敵), which was born during the civil war of the 1180s, came to be used in the Kamakura period. The 70 uses of the term after Minamoto no Yoritomo(源賴朝)’s death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Chōteki was used in the context of arbitrary stigmatization. The first to stand out as the initiators of Chōteki were the religious factions. In the course of a dispute, the religious factions would brand an opponent with a stigma. The arbitrariness of Chōteki took on a more dramatic form around the time of Genkou(元弘) Rebellion. Emperor Go-Daigo(後醍醐天皇) and his princes actively utilized the political term to assert their own legitimacy, even though they were not qualified to do so. Second, a genealogy of Chōteki was formed as temples embroiled in conflict rediscovered the history of the rebels to emphasize their own venerability and spirituality. Mononobe no Moriya(物部守屋), Taira no Masakado(平將門), Fujiwara no Sumitomo(藤原純友), Abeno Sadato(安倍貞任), Minamoto no Yoshitomo(源義朝), and Minamoto no Tametomo(源爲朝) were stigmatised as Chōteki. This trend may have paved the way for the narrative of the Heike Monogatari(平家物語), which enumerates Chōteki of Japanese history. Third, Nichiren(日蓮) used Chōteki as a metaphor. Nichiren, who came to live in Minobusan(身延山) after suffering various legal troubles, used Chōteki as a metaphor to describe the sufferings of the followers of the Lotus Sutra and the words of their persecutors in order to inspire the faith of his followers. Nichiren’s use of Chōteki presupposes that his followers understood the meaning of Chōteki. In the end, Nichiren’s unique use of Chōteki demonstrates that Chōteki was widely accepted in Japanese society in the 1270s.

      • KCI등재

        馬祖 門下의 다양한 禪風 고찰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6

        중국 당나라 때, 홍주종의 개조(開祖) 마조(馬祖, 709~788)는 조사선(祖師禪)의 조사이다. 마조의 문하는 기록마다 다른데, 적어도 88명에서 몇 백여 명까지 기록되어 있다. 제자들이 많다보니, 다양한 부류의 제자들이 있다. 먼저 교를 버리고 선을 선택한 사교입선(捨敎入禪) 수행자들이 있다. 두 번째 마조 문하에 여러 제자들이 있어서인지, 출가전이나 출가 이후에도 독특한 행적을 남긴 제자들이 많았다. 세 번째 부류는 특이한 집단인데, 재가자·비구니 여성 수행자, 그리고 독특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이다. 네 번째 부류는 마조에게서 심인(心印)을 얻은 뒤 은둔한 부류이다. 다섯 번째 부류는 중앙 제도권과 가까이 지내는 선사들이 있었는데, 이들로부터 마조선이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 번째 부류는 한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인데, 이들에 의해 마조선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여섯 번째 부류에서 파생되어 신라 말기~고려 초기~고려 중기에 이르기까지 마조의 3세·4세·5세 등 다양한 제자들이 있다. 마조에 의해 당나라 때의 선사상이 발전하였고, 2대 제자와 3세에 해당하는 제자들에 의해 마조선은 중국 전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까지 선풍이 전개되었다. 마조 문하에서 발전된 조사선이 근자에까지 전개되고 있음을 상기해 현 우리나라 선을 비추어보는 동기로 삼는다. During the era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the Buddhist monk Majo (709-788) of the Zen sect was the originator of the religious sect of the Zen thought that had been achieved by him, who was the founder of the school. The disciples of Majo are different in every record. At least 88 persons and up to over several hundred persons have been recorded. As there had been a lot of the disciples, there are the disciples of the diverse kinds. Firstly, there are the people who entered the Zen performance who threw away the religion and selected the Zen. The second kind is the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unfolded the Zen style in one region. Thanks to these people, the Majo Zen had been developed greatly. Regarding the third kind, by spending the time close to the central, institutional sphere, the Majo Zen had received the recognition from these people. The fourth kind is the kind who had lived in seclusion after obtaining the shimin from Majo. The fifth kind is an unusual group. They are the jaegaja and bhikkhuni (Buddhist nun) woman performers and the people who had unfolded the unique Zen style. Regarding the sixth type, there are the diverse disciples, including the third generation, the fourth generation, the fifth generation, etc. of Majo from the last period of Sh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and to the last period of Goryeo. Thanks to Majo, the Zen thought at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had developed greatly. And thanks to the disciples of the later generations and the disciples who pertain to the third generation, Majo Zen had been spread out widely not only in the whole region of China, of course, but, also,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랴오닝성 조대수 석패방 (祖大壽 石牌坊)의 석각 인물 그림 고찰

        바이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2 No.-

        조대수 석패방은 랴오닝성 흥성에 있으며 명나라 숭정(崇禎) 4년에 칙명을 받들어 건축된 공덕패방이다. 본 연구는 조대수 석패방 인물 이야기 그림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사료를 찾아 석각 그림을 분석하여 석각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조대수 석패방의 횡방 부분에는 4개의 세트 그림이 있는데, 각각 3개씩 총 12개의 인물 그림이 조각되어 있다. 남쪽 1층 횡방에는 조대수가 사냥을 갔을 때 몽골군에게 기습당한 적이 있는데, 이로 인해 조대수가 징벌을 받고 하옥됐다는 이야기가 조각되어 있다. 남쪽 2층 횡방에는 조대수가 각화도(覺華島)로 피신했을 때, 손승종(孫承宗)이 조대수를 불러서 만리장성을 축조하도록 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북쪽 1층 횡방에는 조대수가 영금대첩(寧錦大捷)에서 전공을 세운 내용이 담겨 있다. 북쪽 2층 횡방에는 조선 사신의 방문 이야기가 조각되어 있다. 북서쪽에는 조대수가 잉어약룡문(鯉魚躍龍門)을 차용해 원숭환(袁崇煥)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조대수 석패방에는 석각의 형식으로 조대수의 생애가 묘사되어 있다. 석각의 형식으로 조대수의 생애를 담아낸 것은, 청나라 말기의 역사를 보여줄 뿐 아니라, 예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료가 된다. Located in Xingcheng, Liaoning, Zu Dashou Stone archway is a memorial archway of Merit and Virtue built in the fourth year of Chongzhen, Ming Dynasty. This research takes the image of Zu Dashou stone memorial archway's character story as the research object, and analyzes the content of stone carving by searching historical materials and comparing stone carving images. The horizontal part of Zu Dashou Stone memorial archway is carved with twelve figures. Every three of them become a unit and there are four units in total. The horizontal part on the first floor in the south carved the story of Zu Dashou being attacked by Inner Mongolian Army when he was hunting, and being punished and imprisoned. The horizontal part on the second floor in the south carved the story of Zu Dashou who fled to Juehua Island and was appointed by Sun Chengzong to build the Great Wall. The horizontal part on the first floor in the north carved with the meritorious military service of Zu Dashou in the battle of Ningjin Battle. The story of the visit of a North Korean envoy is carv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horizontal part in the north. On the west lintel architrave in the north, Zu Dashou borrowed the carp to jump over the Longmen Gate to express Yuan Chonghuan's kindness to him. Zu Dashou Stone memorial archway describes the important deeds of Zu Dashou's life by means of stone carving, and displays the relevant information of Zu Dashou's life deeds and the history of the late Mi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 이생강류 대금산조 분석 연구

        김순옥(Kim Soon-Ock) 한국전통음악학회 2009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0

        이생강류 대금산조의 중중모리의 구성음의 음 진행 및 음 기능을 파악하고 조의 변화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의 이생강류 대금산조 중중모리는 총 125장단이며 이생강 대금산조 중중모리의 조 변화는 B<SUP>b</SUP>우조, c호걸제, B<SUP>b</SUP>호걸제, B<SUP>b</SUP>우조, c계면조, f계면조, f메나리조, f계면조, c계면조로 다양하게 진행되는 조 변화를 분석,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우조 우조는 주음이 B<SUP>b</SUP>(도)이고 구성음은 F(솔), G(라), B.b(도), C(레), D(미)음이다. 출현빈도가 높은 음은 G(라), F(솔), B<SUP>b</SUP>(도), D(미), C(레) 순이며 출현빈도수가 높은 음 진행은 F(솔)→G, F(솔)→D(미)/ G(라)→Bb(도), G(라)→F(솔)/ B<SUP>b</SUP>(도)→C(레), Bb(도)→G(라)/ C(레)→Bb(도), C(레)→G(라)/ D(미)→C(레), D(미)→F이다. 2. 호걸제 1) c 호걸제 : 구성음은 g(미), b<SUP>b</SUP>(솔), c(라), d(시), f(레)음이고 출현 빈도가 높은 음은 g(미), c(라), b<SUP>b</SUP>(솔), f(레), d(시) 순이다. 음계의 구성음이 c계면조와 같으나 꺽는음이 없고 떠는음의 기능도 약하다. 2) B<SUP>b</SUP> 호걸제 : 구성음은 F(솔), G(라), B.<SUP>b</SUP>(도), C(레), D(미)고 출현빈도가 높은 음은 Bb(도), C(레), F(솔), D(미), G(라) 순이다. B<SUP>b</SUP> 우조와 구성음과 음계는 같으나 제2음이 G음이 출현하지 않으며 제1음인 F(솔) - B<SUP>b</SUP>(도), C(레)의 진행이 빈번하여 구성음의 기능이 우조와 다르다. B<SUP>b</SUP>(도)음이 긴박으로 뻗는 음은 장쾌하고 꿋꿋한 느낌을 준다. 3. 계면조 1) c계면조 : g(미), b<SUP>b</SUP>(솔), c(라), e<SUP>b-</SUP>d(시), f(레)의 구성이고 출현 빈도가 높은 음은 c(라), g(미), e<SUP>b-</SUP>d(시), f(레), b<SUP>b</SUP>(솔) 순이다. c계면조에서는 제1음은 떠는 음이나 악곡의 속도가 빨라 떠는음의 기능이 약하며 제4음인 e<SUP>b-</SUP>d(시)의 꺽는 음에서 장2도 아래의 c(라) 주음이나 제1음 g(미)음으로 진행하는 계면조 선율의 특징을 뚜렷이 보여준다. 2) f계면조 : 구성음은 c(미), e<SUP>b</SUP>(솔), f(라), a<SUP>b-</SUP>g(시), b<SUP>b</SUP>(레)이고 출현 빈도가 높은 음은 f(라), c(미), a<SUP>b-</SUP>g(시), b<SUP>b</SUP>(레) 순이다. c계면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음인 c(미)음은 떠는 음의 기능이 약하고 5도 위의 제4음 a<SUP>b-</SUP>g(시)로 꺽어 낸 다음 장2도 아래의 주음 f(라)이나 제1음 c(미)음으로 진행하는 계면조 선율의 특징이 뚜렷하다. 4. 메나리조 f메나리조 : 구성음은 c(미), e<SUP>b</SUP>(솔), f(라), a<SUP>b</SUP>(도), b<SUP>b</SUP>(레)의 구성이고 출현 빈도가 높은 음은 c(미), f(라), a<SUP>b</SUP>(도), b<SUP>b</SUP>(레), e<SUP>b</SUP>(솔) 순이다. f계면조와 구성음과 음계는 같으나 꺽는음과 떠는음의 기능이 없고 상행선율에서는 음계에서 제2음인 <SUP>e</SUP>b(솔)음은 출현하지 않으며 제1음c(미)-4도음f(라)3도음 a<SUP>b</SUP>(도)음으로 진행한다. 선율의 하행시에는 제2음인 e<SUP>b</SUP>(솔)음이 출현하고 라-솔-미, 레-도 -라-솔-미의 하강선율로 종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생강류 대금산조 중중모리는 B<SUP>b</SUP>우조→c호걸제→B<SUP>b</SUP>호걸제→B<SUP>b</SUP>우조→c계면조→f계면조→f메나리조→f계면조→c계면조로 조변화가 이루어지고 각 조의 구성음에 따라 음 진행이나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진행이 이생강의 자진모리에도 적용되고 있는지, 아니면 또 다른 조 변화와 음 진행이 출현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다음 과제로 미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scale changes by analysing functions and processions of constituent notes in Jungjungmori of Daeguem Sanjo of Lee, Seng Gang. Jungjungmori of Daeguem Sanjo of Lee, Seng Gang totally consists of 125 rhythmic units, and the scale changes are in variety of processions : B<SUP>b</SUP> Oujo to c Hogeolje to B<SUP>b</SUP> Hogeolje to B<SUP>b</SUP> Oujo to c Gyemyunjo to f Gyemyunjo to f Menarijo to f Gyemyunjo, and then to c Gyemyunjo.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Oujo In Oujo, the main note is B<SUP>b</SUP>(Do) and the constituent notes are F(Sol), G(La), B<SUP>b</SUP>(Do), C(Re), D(Mi). Those can be placed as G(La), F(Sol), B<SUP>b</SUP>(Do), D(Mi), C(Re) in frequency order from the most to the least. The processions of notes are F(Sol) to G(La), F(Sol) to D(Mi)/ G(La) to B<SUP>b</SUP>(Do), G(La) to F(Sol)/ B<SUP>b</SUP>(Do) to C(Re), B<SUP>b</SUP>(Do) to G(La)/ C(Re) to B<SUP>b</SUP>(Do), C(Re) to G(La)/ D(Mi) to C(Re), and D(Mi) to F(Sol). 2. Hogeolje 1) c Hogeolje : The constituent notes are g(Mi), b<SUP>b</SUP>(Sol), c(La), e<SUP>b</SUP>(Do), f(Re), and the order can be g(Mi), c(La), b<SUP>b</SUP>(Sol), f(Re), e<SUP>b</SUP>(Do) according to frequency. Every constituent note of the scale is the same as c Gyemynjo,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going up and down and is a functionally weak vibraion. 2) Bb Hogeolje : This is comprised of F(Sol), G(La), B<SUP>b</SUP>(Do), C(Re), D(Mi), and can be placed as B<SUP>b</SUP>(Do), C(Re), F(Sol), D(Mi), G(La) in frequency order. The constituent notes and scales are the same as B<SUP>b</SUP> Oujo, but the second notes and G note are not showed up and the procession of first notes, which are F(Sol) - B<SUP>b</SUP>(Do), C(Re), is frequent so that the function of the constituent notes is different from Oujo. The note that B<SUP>b</SUP>(Do) is stretched with a long beat makes stirring, steady and strong feelings. 3. Gyemyunjo 1) c Gyemyunjo : This consists of g(Mi), b<SUP>b</SUP>(Sol), c(La), e<SUP>b-</SUP>d(Si), f(Re), and those can be put c(La), g(Mi), e<SUP>b-</SUP>d(Si), f(Re), b<SUP>b</SUP>(Sol) in frequency order. The first note is vibrated, but fuctionally weak by the fast tune. The fourth note, going up and down of e<SUP>b-</SUP>d(Si), clearly shows features of tunes of Gyemyunjo that are changed into the main note c(La), 2 pitches below, or the first note g(Mi). 2) f Gyemyunjo : The constituent notes are c(Mi), e<SUP>b</SUP>(Sol), f(La), a<SUP>b-</SUP>g(Si), b<SUP>b</SUP>(Re), and the order can be f(La), c(Mi), a<SUP>b-</SUP>g(Si), b<SUP>b</SUP>(Re) according to frequency. Likewise c Gyemyunjo, it is characterized that the first note, c(Mi) has a weak function of vibration, and it goes up to the fourth note, a<SUP>b-</SUP>g(Si), which is 5 pitches higher, and finally goes down to the main note, f(La), which is 2 pitches below, or the first note, c(Mi). 4. Menarijo f Menarijo : This has c(Mi), e<SUP>b</SUP>(Sol), f(La), a<SUP>b</SUP>(Do), b<SUP>b</SUP>(Re), and according to order with high frequency, c(Mi), f(La), a<SUP>b</SUP>(Do), b(Re), e<SUP>b</SUP>(Sol) are. Even though, the constituent notes and scales are the same as f Gyemyunjo, there are no functions of going up and down and vibrating. The second note, e<SUP>b</SUP>(Sol) does not exist in upward tune, and it changes into La-Sol-Mi, Re-Do-La-Sol-Mi, and then finishes in downward tun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hows that the scales change from B<SUP>b</SUP> Oujo to c Hogeolje to B<SUP>b</SUP> Oujo to c Gyemyunjo to f Gyemyunjo to f Menarijo to f Gyemyunjo to C Gyemyunjo in Jungjungmori of Daeguem Sanjo of Lee, Seng Gang, and also the procession and function of the not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tituents notes of each scale. The study that this procession is subject to Lee, Seng Gang's Jajinmori, or the other changes of scales and processions of notes appear is going to be dealt with.

      • KCI등재

        일반 논문 : 경허의 조심학(照心學) -중세선의 낙조(落照)와 근대선의 개안(開眼)-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8 禪文化硏究 Vol.4 No.-

        이 글은 조선불교사의 결론이자 대한불교사의 서론으로 평가되는 경허 성우 (경허성우(鏡虛惺牛), 1846~1912) 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논문이다. 대개 유수한 사상가들은 자신의 학문적 혹은 사상적 화두를 지니고 있다. 그 화두는 하나일 수도 있고 둘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두 측면으로 드러날 수도 있다. 이미 오랜 불교사상사가 보여주었듯이 한국의 원효와 지눌 및 휴정의 화두처럼 경허 역시 이러한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경허는 자신의 화두가 지니고 있는 몸체[體]와 몸짓[用]의 측면을 비추어 깨닫는 ``조료(照了)`` 또는 정밀히 관찰하는 ``전정(專精)``의 매개항을 통해 회통시켜 가고있다. 그는 자신의 화두를 마음의 근원을 비추어 깨닫는 ``조료심원(照了心源)`` 혹은 마음의 근원을 돌이켜 비추는 ``반조심원(返照心源)``으로 삼았다. 이 화두에서 논자는 ``조심(照心)``이라는 기호를 적출하여 경허의 사상적 키워드로 삼고 그의 지형도를 그려가고자 했다. 경허 사상의 핵어는 조심(照心)이며, 그의 논리 혹은 논법은 ``조료``와 ``전정``이며, 그의 가풍은 미도선(尾塗禪) 또는 예미선(曳尾禪)으로 드러났다. 원효의 일심(一心), 지눌의 진심(眞心), 휴정의 선심(禪心)에 상응하는 경허의 조심(照心)은 ``비추는 마음`` 혹은 ``마음을 비추는`` 것으로 그의 사상의 핵어가 된다. 그리고 ``돌이켜 비추어``[返照] ``깨달아 사무치는``[了達] 것에서 뽑아낸 ``조료`` 내지 ``정밀히 관찰하는`` 것에서 적출해낸 ``전정``[專精]은 조심의 두 측면을 아우르는 매개항이라고 할 수 있다. 미도선 혹은 예미선은 뿔을 인 머리와 털옷을 입은 가슴을 넘어 진흙 속에서 중생구제를 위해 꼬리를 끄는 온몸의 선법을 말한다. 그가 20여년 가까이 호서지역에서 보여준 역행(逆行)과 농세(弄世)의 만행은 자신의 깨달음인 ``조심``에 대한 확인 과정이었으며 동시에 자신의 깨달음을 아무도 알아보지 못하는 당시 현실에 대한 고독의 한 표현이었다. 한편으로는 주체할수 없는 정신적 지위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에 대한 통렬한 반성이자 비판이었다. 나아가 당시 나라를 책임지고 있는 이들과 불교계 지도자들을 향한 각성의 촉구였다. 경허는 1899년부터 약 5년 가까이 지속된 해인사와 범어사 등지에서 이루어졌던 각종 불사와 결사를 통해 불교의 외연과 성불의 폭을 넓혔으며, 그리고 자신의 본마음을 비추어 보는 ``조심``의 기호를 통해 이 땅의 불교를 복원시키려 했고 이 땅의 사람들을 각성시키고자 했다. 경허의 사상적 벼리인 조심(照心)은 조료(照了)와 전정(專精)의 논리와 방식에 의해 ``소가 되고 말이 되어 밭을 갈고 짐을 나르는`` 피모대각(被毛戴角)의 보살행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본성의 소를 찾는 그의 심우행(尋牛行)은 머리의 단계에서 가슴의 단계를 거쳐 온몸의 단계로 확장되고 심화되고 있다. 결국 경허는 조료와 전정의 기호를 통해 ``마음의 근원을 비추어 깨닫거나`` 또는 ``마음의 근원을 돌이켜 비추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소와 말과 같이 남을 이롭게 하는`` 이류중행(異類中行)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경허는 조심(照心)을 통해 조선 중기 이래 낙조하는 중세선을 대한 초기의 새로운 근대선으로 개안시킬 수 있었다. This treatise is the conclusion of the history of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treatise which is valued as an introduction that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philosophy of Gyung-heo Sung-woo(鏡虛惺牛, 1846~1912). Most of the prominent philosophers have their own academic or philosophical topic. There can be only one topic or two, or one can be revealed as two sides. As the old Buddhist philosopher had already showed us, Gyung-heo, like the topic of Won-hyo, Ji-nul, and Hue-jung showed, showed us this kind of image. Gyung-heo integrated through the middle clause,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照了) the side of body[體] and body movements[用] that his topic has, or Reflecting-Mind ``which is closely observing``(專精). He considered his topic as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 the origin of mind``(照了心源) or ``which is recovering the origin of mind and lighting it up``(返照心源). In this topic, a disputant has extracted the sign, taken it as Gyung-heo`s philosophical keyword, and attempted to draw his topographical map. The Keywords of Gyung-heo`s philosophy is Reflecting-Mind and his logic or reasoning is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 and ``which is closely observing`` and his family tradition turned out to be Mido-Seon(尾塗禪) or Yemi-Seon(曳尾禪). Gyung-heo`s Reflecting-Mind which corresponds to Won-hyo`s wholeheartedness mind(一心), Ji-nul`s sincerity mind(眞心), and Hue-jung`s generosity mind(禪心) is the ``mind that reflects`` or ``reflecting the mind``. And it becomes the keywords of his philosophy. In addition,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 extracted from realizing and ``touching the heart``[了達] by ``recovering and reflecting``[返照] and ``which is closely observing``[專精] extracted from ``closely observing`` are the middle clause that joins the two sides together. Mido-Seon or Yemi-Seon refers to the whole body`s way of zen that beyond the head with a horn and chest in fur clothes hauls its tale to save human beings. On the one hand, his Buddhist disciplines of retrogression(逆行) and mock at the world(弄世) that he showed in hoseo(湖西) region for almost twenty years was the process of confirming his realization ``Reflecting-Mind`` and simultaneously, it was an expression of his solitude in the contemporary reality in which nobody recognized his realiz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severe self-reflection and self-criticism of himself who could not do anything even though he reached the overwhelming mental standing. Furthermore, it was the demand for people responsible for the country and Buddhist leaders to awaken. Gyung-heo widened the extension of Buddhism and attainment of Buddhahood through a variety of Buddhist services and associations done at Hae-in Sa and Bum-a Sa for almost 5 years since the year 1899, and, he tried to restore Buddhism and awaken people on this land by using the sign ``Reflecting-Mind`` which is reflecting the original mind of oneself. Gyung-heo`s philosophical index, Reflecting-Mind(照心) is continued to an action of bodhisattvas of Pimodaegak(被毛戴角) which is ``becoming a cow and horse and plowing the field and carrying burdens based on the logic and method of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照了) and which is closely observing(專精). In that process, his Simwoohaeng(尋牛行) of finding the cow of the original nature is extending and deepening. Therefore, Gyung-heo made efforts to ultimately realize Iryujoonghaeng(異類中行) of doing for the sake of other people by ``realizing by reflecting the origin of mind`` or ``recovering and reflecting the origin of mind`` by using the signs of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 and which is closely observing. Consequently, through Reflecting-Mind(照心), Gyung-heo could innovate middle ages seon falling since the middl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modern seon of the early Dae-han.

      • KCI등재후보

        중국의 조계회수운동과 왕정위정부의 참전

        김지환(Kim Ji-hwa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20 No.-

        아편전쟁 이후 중국은 반봉건, 반식민지사회로 전락하였으며, 따라서 조계의 회수와 불평등조약의 폐지는 근대 이래 독립자주의 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중국의 민족적 염원이자 과제였다. 중국이 처음으로 자국내 조계를 회수할 수 있게 된 것은 1차대전 이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가능할 수 있었다. 영미 등 연합국과의 연대를 선언한 중국이 전후 독일 및 오스트리아의 조계를 회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차대전 이후 중국은 치외법권조사위원회의 조직과 활동을 통해 조계의 회수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으며, 특히 남경국민정부의 수립은 조계 회수를 위한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해 공동조계에 밀접한 이해를 가진 영국과 만주 지역에서 배타적 이해를 독점하려는 일본의 반대에 직면하였으며, 결국 9ㆍ18만주사변과 만주국 수립 이후 조계 회수 운동은 일시 중지되었다. 그런데 중일전쟁 발발 이후 동아시아에서의 국제정세 변화는 조계 회수를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전략적 중요성에 비추어 미국과 영국은 대중국 유화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서 조계의 반환과 불평등조약의 폐지를 약속하게 된 것이다. 더욱이 일본은 왕정위정부에 조계의 반환과 불평등조약의 폐지를 약속함으로써 동정부의 참전을 유도하고, 나아가 중경국민정부가 주장해 온 조계회수의 열망을 왕정위정부로 하여금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항일의 명분을 와해시키고자 기도하였다. 결국 아편전쟁 이후 조계 회수 운동과 불평등조약의 폐지는 중국의 국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비로소 실현될 수 있었던 것이다. After the opium war, China fell into a semi-feudalistic and semi-colonial society resulting in a strong desire to push concession and demolish one-sided treaties; it aimed for a reconstruction towards an independent and self-reliant national state. The shift that has been drawn during World War I favored China and its goal to promote negotiations. Entering an alliance with U.K and U.S, China also looked into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such concession between Germany and Austria as the war ends. The establishment of the ‘Nanjing Nationalist Government’ represents China’s efforts to encouraged their goal and it well served as a turning point for the movement. Nevertheless, it encountered opposition from the UK due to its interest in Shanghai International concession and as Japan tried to monopolize an exclusive interest in the Manchurian region, eventually realizing a full stop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foundation of Manchukuo. The changing trend in international politics in East Asia after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provided a new turning point for the recovery of concessions. Recogniz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hina in East Asia, the U.S. and the U.K. adopted engagement policies toward China. Japan, on the other hand induced Wang Jing Wei regime to promote the common goal along with the Chongquing Nationalist Government. Brought by collective effor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ovement for concessions and the goal to put an end to inequalities prove to be triumphant.

      • KCI등재

        朝鮮佛敎禪敎兩宗과 朝鮮佛敎禪宗의 종헌 비교 연구

        김순석(Kim, Sun-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이 논문은 일제시대 불교계에서 자주적인 노력에 의해서 창종된 조선불교선교양종과 조선불교 선종의 종헌을 비교해 보았다. 이 두 종단의 설립은 총독부가 1920년부터 실시한 문화정치로 인하여 문화단체설립이 허용됨에 따라 시작된 불교계의 통일기관 설립운동과 맞닿아 있다. 두 종단 모두 설립의 주체 세력은 청년 승려들이었다. 청년 승려들은 불교계의 현실이 종단도 없고, 종헌도 없으며, 집행기구도 없을 뿐만 아니라 승려들의 행동 양식을 규율할 수 있는 법령도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제도와 법규를 제정하지 않고는 불교계의 미래가 없다는 생각에서 승려대회를 발의하게 되었다. 1929년 1월 3일부터 5일까지 개최된 조선불교선교양종 승려대회는 약 두 달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불교계의 근간을 이루는 종헌을 제정하고, 입법기관인 종회를 설치하고 중앙집행기관인 중앙교무원을 성립시켰다. 조선불교 선종 창종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승려들은 선학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비구승들이다. 이들은 일본 불교의 유입으로 대처승들이 늘어가는 현실에서 계율을 지키고, 선 수행을 통하여 정법을 널리 전파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은 조선불교선교양종의 주류를 이루던 대처승과는 차별성을 가지는 집단이었다. 이들은 전통 강원에서 수학하였거나 선방에서 선 수행에 전념하였던 선승들이었다.이들 가운데는 해방 이후 이른바 정화운동에 주역들이 많았으며, 종정을 지낸 승려들도 있다. 조선불교선교양종과 조선불교 선종의 공통점은 두 종단 모두 식민지 상황에서 자주권을 획득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조선불교선교양종은 현실적으로 움직이면서 교단을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강하였고, 조선불교 선종은 보다 원칙적인 입장에서 정법을 구현하려고 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mpared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and the last libation in a sacrifice of Zen Sect of the Chosun Buddhism which was developed by independent effort. The establishment of these two religious bodies are in relation to establishing drive for united organization of Buddhism as Cultural Policy had been allowed since 1920 by government general. The establishment of these two religious bodies were started by the young Buddhist monks. In the current situation at that time, there were no religious bodies, the last libation in a sacrifice, executive bodies and even legislation that can define patterns of behavior of monks. Therefore, with the spirit which made base to future of Buddhism, the young monks tabled a proposal which was Buddhist monk's general meeting. The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General Meeting, held from 3rd~5th Jan, 1929, was prepared for 2months to legislate the last libation in a sacrifice and establish a family meeting and Joongang Gyomoowon which was a central executive body. The monks who played a major role for creating The Zen Sect of the Chosun Buddhism are the Buddhist monks worked for Seonhakwon. In a period that the number of a married Buddhist priest was increasing due to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hese monks kept religious precepts and spread the right principles. There were different from the married Buddhist priest who made mainstream of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The monks were Zen Monks who studied in traditional Gangwon or concentrated on learning virtue. Among the monks, some led a cleanup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some became chief leader of the Buddhism.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and the last libation in a sacrifice of Zen Sect of the Chosun Buddhism which they tried to obtain autonomy. The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however, tried to protect the religious body with the thoughts of actuality and the last libation in a sacrifice of Zen Sect of the Chosun Buddhism tried to realize right principles as a general rule.

      • KCI등재

        승조의 상즉관에 대한 인도 중관학파적 리뷰

        김현구 ( Hyun Gu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이 글의 목적은 인도에서 전개된 중관학파(中觀學派)의 시각에서 승조(僧肇)의 상즉관(相卽觀)을 조명함으로써, 『중론(中論)』의 이제(二諦)적 사유와 중도(中道)적 관점의 중국적 변용을 다루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불교 전통에 근거한 승조 상즉관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에서의 검토하려는 대상은 중국불교사에 나타난 유와 무의 부정으로서 비유와 비무가 서로 상즉한다는 내용이 새로운 사실을 지시하거나 실유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는 해석 경향이다. 이는 인도 중관학파의 관점과는 다른 상즉관에 대한 이해 방식으로, 인도 중관학파의 중도적 성찰과 다른 특징이 엿보인다. 필자의 이러한 시도는 길장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승조 해석의 주류적이해와는 다른 것인데, 특히 스완슨(P. Swanson)의 입장을 빌려 주류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그에 따르면 비유와 비무는 이제의를 설명하기에 부적합한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승조가 이 개념을 통해 제일의제를 설명하려고 했기때문에 실유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비유비무의 존재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할 경우 새로운 지시 대상으로서 진제와 속제와는 또 다른 존재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겨난다. 하지만 스완슨과 같이 후대의 중국 주석문헌을 통해 비유비무의 특징을 이해하려할 때는 그럴 개연성이 있지만, 역으로 인도 중관학파의 관점에 따라 승조의 『조론(肇論)』을 해석할 때 승조의 상즉에 관한 입장을 더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승조의 이제관과 상즉관을 인도 중관학파 흐름 안에서 비교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두 전통의 사상적 유사성과 차이를 도출하려고 했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이 글에서는 중국적 변용의 과정으로서 승조의 상즉관을 인도 중관학파의 중도적 입장을 통해 살펴보았다. 승조의 입장에 따르면 진제로서 드러난 비유와 세속제로서의 비무는 제일의제에서 상즉한다. 이미 양훼이난(楊惠南)이 지적하고 있듯이, 공(空) 또는 부정의 형식에 의해 우리가 알게 되는 사실은 변증법적으로 알려지는 것이 아닐뿐더러 새로운 사실을 긍정하는 표현도 아니다. 결국 우리는 승조의 사상 속에 실체적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는지를 묻는 것과 승조에 대한 이러한 해석을 경계해야 하는 것인지 물어야 한다. 만약 이와 반대로 승조의 사상에 실유성을 긍정하는 해석의 여지가 없다면 이는 우리의 오독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제적 사유와 상즉에 의한 통합적 접근이 갖는 승조의 독창적 해석의 기원에 관해 분석하였다. 승조는 비유로서 세속제와 비무로서 진제에 관한 이제적 논의를 상즉원리로 통합하고 있는데, 이는 이제와 중도를『중론』에서 제기된 입장과 달리 해석한 청목(靑目)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제와 중도에 관한 이해의 변화는 인도 중관학파의 주석가들에게서도 발견되는데, 『중론』에서 제시된 이제시교(二諦是敎) 또는 약교이제(約敎二諦)로서의 용수(龍樹)의 이제관과 중도적 조망을 약경이제(約境二諦)로 발전시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인도중관학파의 중도적 관점을 따라 승조의 『조론』에 나타난 상즉관을 읽는 새로운 독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mutual identification’(相 卽) of Sengchao(僧肇, 384-414), as a transformed thought on the theory of ‘the middle way’(中道) and ‘the theory of two truth’(二諦論) shown in Mulamadhyamakakarika. In short, this is an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a view of Sengchao which reflects Chinese Buddhist tradition, from the lens of Indian Madhyamaka. Especially among the interpretive points of Sengzhao’s view, the targets will be put on his interpretive trends, postulating a new idea that ‘neither existent nor non-existent’(非有非無) expressed as a negation of ‘existence’(有) and ‘non-existence’ (無) is a ‘mutual identification(相卽)’ indicating new things or emphasizing an aspect of substance. It will be argued that this sort of interpretation can never be supported from the Indian Madhyamaka``s perspectiv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underlying causes from which this controversy has been raised. According to Swanson, the embers of these debate remains, since Sengchao attempted to explain the ‘Paramartha Satya’, despite the fact that a metaphor of ‘neither existent nor non-existent’ is an inappropriate term to describe the theory of two fold truth. To be more specific, if we admit the existence of ‘neither existent nor non-existent’ too actively, there comes out a room for understanding it as a new existence that can be indicated, separated from the ultimate truth’(眞諦) and ‘conventional truth’(俗諦). In some sense, it might be possible to consider a new referent if we understand the traits of the ‘neither existent nor non-existent’ from the approach of the next generation like Swanson. Yet, should we interpret the ‘Chao Lun’(肇論), following the perspectives of Indian Madhyamkas, Sengcho``s stance on mutual identification would be represented more clearly.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research compares the theory of two truth and the mutual identification of Sengchao, following the Indian Madhyamaka tradi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attempts to induce ide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raditions. For this, the idea of Sengchao``s mutual identification will be seen as a product of Chinese transformation of thought different from the view on the middle path of Indian Madhyamaka. According to Sengchao, ‘neither existent’ revealed as the ultimate truth and ``nor non-existent`` as the conventional truth is mutually identified in the Paramartha Satya. As 楊惠南 already points out, the fact that we find by the ‘empty’(空) or ‘negativeness’ is not a positive expression of new things, nor would be known by means of dialectic process. After all, we are supposed to ask whether the thought of Sengchao contains any controversial point of substance, or whether we have to keep an eye on these interpretations of Sengchao. If there is no room for interpreting ‘neither existent nor non-existent’ as indicating some new things or emphasizing an aspect of substance, this reading would be misleading. Further,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origin of this innovative thinking of Sengchao. He integrated the theory of postulating ``neither existent`` as the ultimate truth and ‘nor non-existent’ as the conventional truth following the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which seems to be influenced by Pingala(靑目: unknown) who interpreted the theory of two truths and the middle different from those of Mulamadhyamakakarika. This transformed understanding on the theory of two truths and the middle is also found in Indian commentators. And this seems to be a phenomenon fou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Nagarjuna``s idea of two truths and the middle which is based on the teaching of Buddha(約敎二諦),’ to the idea of two truths based on object(約境 二諦). Accordingly, I suggest a new reading of ‘Chao Lu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iddle way of Indian Madhyamaka.

      • KCI등재

        1920년대 조선체육회의 ‘전조선대회’ 성격과 한계

        임동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0

        This paper tri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atus and role of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which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becoming a central organization.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was founded in 1920 with the aim of becoming a central organization that guides and encourages sports activities.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tried to establish its status as a central organization that guides and encourages sports activities by hosting the ‘All Chosun Competition’. However, in the early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s ‘All Chosun Competition’, various complication continued, and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complication,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gradually weakened. And ‘All Chosun Competition’ had regional limitations that were limited to the Gyeongseong area. In 1924,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reorganized its operating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ll Chosun Competition’, and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branches and holding of local qualifiers.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the branch failed, and the local preliminaries could not be held.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abolished the local branch and postponed the establishment of the branch. Instead, it tried to secure authority as the central organization first. Organized sports events were expanded and comprehensive competitions were held.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朝鮮體育會) was a sports organization representing Korean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t it failed to function as a central organization in the 1920s. In the absence of a central organization, local athletic organization conducted activities based on the region. As a result, sports activities were actively developed nationwide, but national-scale competitions were not held because they were conducted in a dispersed form. 본 논문은 중앙기구를 목표로 창립된 조선체육회의 위상과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체육회는 1920년 스포츠 활동을 지도·장려하는 중앙기구를 목표로 창립되었다. 조선체육회는 ‘전조선대회’를 개최하여 스포츠 활동을 지도·장려하는 중앙기구로 위상을 확립하고자 했다. 하지만 초기 조선체육회의 ‘전조선대회’는 각종 분규가 이어졌고 분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조선체육회의 지도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그리고 조선체육회의 전조선체육대회는 경성지역에 국한된 지역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1924년 조선체육회는 전조선대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운영제도를 개편하고 지부설치와 지방예선대회 개최를 추진하였다. 하지만 지부 설치는 실패하였고 지방예선대회도 개최하지 못하였다. 조선체육회는 지방부를 폐지하고 지부 설치를 유보하였다. 대신에 중앙으로서 권위를 먼저 확보하고자 하였다. 주관하는 운동 종목을 확대하고 종합경기대회를 개최하였다. 조선체육회는 식민지시기 조선인 스포츠 활동을 대표하는 체육단체였지만 1920년대 중앙기구로 기능하지 못하였다. 중앙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지역체육단체들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을 전개했다. 그 결과 스포츠 활동은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지만 분산된 형태로 진행되어 전국적 규모의 대회는 개최하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