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의료적 치유수단으로서 정원활동의 치유 효과

        박미옥,진혜영,서주영,이성준,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2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질환과 심리적 아픔에 대한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생활권 주변에서 일상적인 정원활동과 운동요법을 통해 정원의 녹색치유 활동을 통한 사회적 질병을 치유하고, 건강한 삶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원치유 프로그램은 정원이벤트 활동과 치유정원 조성 활동으로 구분하여 총 30회에 걸쳐 각각 3시간씩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사회적 질환에 노출되어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취약계층으로서, 65세 이상 노년층과 장애인 등 도우미 활동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사람들을 선정하였다. 효과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대조구는 사회적 질환 취약층 중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 중 선정하였다. 정원활동 대상지는 N대학교 정원과 정원드림프로젝트로 조성된 천안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정원활동을 수행하였다. 정원활동 결과, 스트레스 정도가 26.19에서 4.13으로 낮아져 정원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조구와의 비교에서도 0.1% 신뢰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여 정원활동이 특히 사회적 질환 민감취약층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유용한 녹색복지 도구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구광역시 하중도 국가정원 조성 기본구상

        이도은,권진욱,김영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3

        현대정원의 모습이 공공공간의 개념으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정원산업의 패러다임으로 국가정원이 제시되었다. 이는 정원박람회의 공간이 국가정원으로 발전하는 양상과 함께 국가정원으로 제1호 순천만국가정원과 제2호 태화강국가정원이 지정되었다. 이러한 국가정원은 현대 도시의 정원과 연계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생활환경의 녹색 전환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문화의 활성화와 미래환경 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국가정원의 기본구상과 발전 방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가정원 조성에 부합하는 대상지를 비교 분석하여 도출한 후, 대상지의 환경분석을 통해 설계전략을 마련하였다. 또한, 현재 조성된 국가정원이 갖는 기능적 요소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에 요구되는 공간프로그램을 구체화함으로써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와 국가정원을 종합하여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하중도를 국가정원 모델의 측면에서 설계를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대상지가 수변 문화적, 생태적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녹지거점과 정원문화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대구의 대표 국가정원으로 발돋음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shape of the modern garden evolved into the concept of a public space, the national garden was presented as a new paradigm for the garden industr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pace of the garden fair into a national garden, the first Suncheonman National Garden and the second Taehwa River National Garden were designated as national gardens. These national gardens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industries linked to the gardens of modern cities and are positioned as a key means for the green transi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garden culture and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 basic plan for national gardens applicable to future environmental citi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design strategy was prepared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arget site that meets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garde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aster plan by specifying the spatial program required for the garden fair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currently created national gard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signed the load map located in Buk-gu, Daegu in terms of the model of the national garden based on the study of the garden fair and the national garden. The target site can become a national garden as a representative large garden of Daegu, along with the positive role of creating green areas and improving garden culture.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전통정원 디자인의 종교 · 문화적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허희염(Xu, Xiran),김진오(Kim, Ji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정원은 사상철학을 바탕으로 조성된 일종의 생태문화 예술 공간으로서의 시대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시대의 사상관념은 직 · 간접적으로 동시대 정원 조경에 영향을 미친다. 예로부터 지리적으로 인접해 문화적 교류가 활발한 한 · 중 양국은 정원 설계에서 유사성이 높으면서 각각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주요 전통정원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와 현장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양국의 정원디자인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유사한 시기에 나타난 양국의 정원을 비교 연구하고, 정원의 입지 선정, 공간 배치, 건축 구성, 식물구성 등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해 분석했다. 문헌 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해 중국의 피서산장과 한국의 창덕궁은 양국의 정원 모두 지리적 자연환경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조성되었다는 유사점을 확인하였다. 중국은 과거의 의례 · 제도로 인해 정원 전반적으로 대칭적 배치를 보였지만, 한국의 정원 배치는 풍수와 자연주의를 중심으로 뚜렷한 대칭 배치를 보이지는 않았다. 한국의 건축물은 건축 구성의 측면에서 업무 기능과 휴식기능을 더 중시한다는 점에서 중국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은 다민족 간의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원에 각 민족과 종교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자주 등장하고, 건축 구성에 있어 다양한 문화의 융합과 다원화를 추구하고 있다. 정원디자인의 핵심소재인 식물의 경우 한국의 창덕궁은 자연과 어우러져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형태를 띠고 있지만, 중국의 피서산장은 행정과 레크리에이션이라는 두 가지 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어 왕실의 권위에 대한 상징이 더 강조되고 있다. The garden is an ecological, cultural and artistic space created based on the philosophy considering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time. People’s ide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style of garden landscaping at the same time. The cultural exchange and geographical proximity of China and Korea since ancient times have high research value due to their similarity and unique culture.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rden design in Korea and China we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Subsequently, a comparativ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gardens from both countries that were created at the same time and four aspects were examined: location, spatial layout, plant constitution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investigati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ountain Resort in Chengde, China and Changdeokgung Palace in Korea are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Korean architecture differs from China in that it focuses more on office and recreational function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ast etiquette system in China, the overall layout of the garden is symmetrical. However, the garden layout in South Korea is centered on Feng Shui and naturalism, and there is no obvious central axisymmetric layout. Also since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the buildings represent all the ethnic groups and religions that often appear in the garden to maintain peaceful relations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The plant structure is composed of evergreen tree species from Changdeokgung Palace in Korea and summer resort in China, and deciduous trees, shrubs and flowers form a community. The difference is that Korea’s Changdeokgung Palace is integrated with nature, showing a natural and soft form, but China’s summer resort has two functions: administration and recreation, and more emphasis is placed on the authority and solemn symbol of the royal family in the administrative region.

      • KCI등재후보

        정원박람회를 통한 실용형 생활정원 모델 조성

        이애란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1

        This study is aimed at creating a life garden with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garden based on the daily value of the garden for the exhibition model garden of the garden fai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writers' garden in Cheongju Garden Expo 2018, and the theme was “Your Smile” was set up to express the small joy in the garden, which is the theme, and it was designed as a garden of memories, a garden of colors, and a garden that was made together. The space plan brought to life the concept of space in the housing garden and was designed to view the rest area, grass yard,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entrance and the central section. It was created as a garden that was created, explained, and used by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and civic volunteers. It was created as a garden created and utilized by experts, college students and civic volunteers. Due to the high utilization of the gardens, regular maintenance of the plants and fac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empirical learning places for family and neighborhood living communities through green space in living environment by displaying garden model which is the subject of creation.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의 전시용 모델정원을 대상으로 정원이 가지는 일상 속 가치에 기초를 두고, 정원의 기능과 효과를 가진 생활정원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청주정원박람회 내의 작가정원으로 주제인 정원에서의 소소한 즐거움의 표현을 위해 ‘당신의 미소’라는 주제어를 설정하였으며, 디자인 전략으로 추억의 정원, 한국의 형과 색 담기, 함께 만드는 정원으로 하였다. 공간계획은 주택정원의 공간개념을 살렸으며, 입구부와 중정의 휴게공간과 잔디마당, 주변 환경을 조망하고 설계하였다. 전문가, 대학생과 시민봉사자가 함께 만들고 해설하며 이용하는 정원으로 조성하였다. 정원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 식재와 시설물의 정기적 유지관리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조성의 주제인 일상생활의 정원모델을 전시함으로써 생활환경 속 녹색공간을 통해 가족과 이웃의 생활공동체에게 정원문화의 실증적 학습장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9세기 독일 정원음악

        조연숙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풍경식 ‘자연’에 펼쳐진 무대에서 연주되는 모든 음악으로 정의될 수 있는 19세기 독일 정원음악 은 도시의 산업화로 독일 도처에 정원이 들어서면서부터 탄생된다. 이에 시민들은 도심의 좁고 밀 집된 실내공간에서 이루지 못한 ‘감성적 활동’을 자연에서 음악활동으로 시도하여 정원음악이 보급 된다. 당시 가벼운 작품들로 구성된 정원음악으로는 심포니, 접속곡, 춤곡, 합창, 민요 등이 선호되 며 정원악기로는 플롯, 기타, 리라기타, 에올스하프, 하프, 타악기 그리고 관악기그룹 등이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즉흥적 표현들', 풍부한 음향 그리고 감상적 선율 등으로 정원음악의 다양한 특징들이 표현되어진다. 이런 정원음악은 19세기 독일 시민들의 생활공간으로 확장되어진 정원문화의 결과물 로 자연의 시각적 그리고 음악의 청각적 소통을 잠재로 한 개인의 ‘생활정서음악’이자 타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오락음악’으로 사회적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19세기 독일 정원은 정원 그 자체의 의 미와 그에 따른 공간이 정원의 기능성을 높이면서 독일 시민들의 음악문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 하여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기대할 수 있는 ‘문화적 소리’를 담아낸 정원음악의 보편성을 성립시킨다. The 19th century German gardenmusic can be defined as all the music played on the stage in landscape ‘nature’, is created by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ity throughout Germany. In this context, citizens try to make 'emotional activities' that can not be achieved in the narrow and dense indoor space of the city as a music activity in nature. So, the gardenmusic spread throughout Germany. Some of the musical compositions composed of light works include symphonies, dance work, choral work, folk music, potpourri are preferred as gardenmusic at the time. And garden instruments are flutes, guitars, lyraguitars, aeolsharps, harps, percussion instruments, and wind instruments group. Various features of gardenmusic are represented by 'spontaneous expressions', abundant sounds, and sentimental melodies. This gardenmusic as entertainment music and emotional music of life holds social value for 19th century German citizens. Thus, 19th century Germany gardens establish the universality of gardenmusic with the 'cultural sounds' that can be expected in the space of nature by providing new possibilities for music culture to citizens.

      • KCI등재

        鄭元容의 기록정신과 著述

        권은지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6 No.-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cord spirit of Gyeong-san(經山) Jeong Won-yong(鄭元容, 1783-1873), who was a bureaucrat and intellectual in the 19th century, and to present and consider Jeong Won-yong's writings based on this. Although much has been said about Jeong Won-yong's recording spirit in previous studies, no detailed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background. In addition, research on the overall size and status of Jeong Won-yong's writings is insufficient. Feeling a problem consciousness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Jeong Won-yong's recording spirit and the overall status of his writings. Chapter two Looked at the background of Jeong Won-yong's record spirit in two aspects: family learning and his experience as a bureaucrat. Under the influence of family learning, he considered records important and looked at various literature.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various central government-led compilation projects during his official career, and led state affairs as prime minister several times since the enthronement of King Heonjo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he compiled writings related to national battlefields and systems needed to manage state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se are the basis of his record spirit. Chapter 3 considered the vast writings of Jeong Won-yong. Presented the remaining writings of Jeong Won-yong in a table. Among them, <Gyeongsanbukjeongnok(經山北征錄)>, <Hwanggakjangju(黃閣章奏)> which had errors in the existing explanation, were reviewed and modified. And divided Jeong Won-yong's writings into four categories and looked at them simplicity. 본 논문은 19세기 관료 문인이자 지식인이었던 經山 鄭元容(1783-1873)의 기록정신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원용의 저술을 제시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원용의 기록정신에 대해 많이 언급하였지만, 그 배경에 대해서는 자세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정원용이 남긴 저술의 전체 규모와 현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정원용의 기록정신의 배경과 저술의 전체 현황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 정원용의 기록정신의 배경을 가학, 관료로서의 경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원용은 서울에 대대로 세거한 동래 정씨의 박학과 문헌학에 기초한 학풍과 아버지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기록을 중시하며 다양한 문헌을 접하였다. 또한, 그는 70여 년간 벼슬을 하며 국가에서 주도하는 다양한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고, 헌종 즉위 이후 여러 차례 삼정승을 지내며 조정의 중심에서 국정을 이끌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철종 즉위 이후 국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국가의 전장, 제도와 관련된 저술을 편찬하였다. 3장에서 정원용의 저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정원용의 현전 저술은 모두 21종으로 이들을 표를 통해 시기별로 제시하고, 소장 현황을 밝혔다. 그리고 이 가운데 기존의 해제나 설명에 오류가 있었던 <經山北征錄>, <黃閣章奏>를 검토하여 이를 다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원용의 저술을 관료로서의 자의식을 중심에 두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느냐에 따라 ①관료로서의 삶을 기록한 저술 ②실제 정무 과정 및 관련 문서를 모은 저술 ③실무 관련 典章ㆍ制度를 상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한 저술 ④복합적 성격의 저술로 분류하고 간략히 고찰하였다.

      • KCI우수등재

        2017년 대한민국 조경ㆍ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정원선호도 분석 -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을 대상으로 -

        이동진,노희영,김민,조효진,이혜민,조동길,송유진,조혜령,전진형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6

        Gardeners have a desire to not only enjoy a garden but to create the garden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garden designer. However, they express a great difficulty in gardening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managing plants, the main materials of the garden, due to lack of expertise. Therefore, in order to encourage hobby garden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of the gardeners so that they can easily experience and create a garden,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gardening know-how and preferred plants according to places given high preference.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 for places and plan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eating a garde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visitors to the Korea Landscape and Garden Expo, expected to have been attended primarily by gardening enthusiasts. As a result, garden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ppraisal - purposed type, multifunctional type, and participation - purposed type. The group of appraisal purposed type preferred porches and terraces, and private home front yards as well as favored indoor places rather than outdoor places compared with other types. In selecting plants, they prefer plants that can be easily managed in an indoor environment and appreciate natural colors through the colors of flowers and leaves. The multifunctional type group preferred a private home front yard as a garden creation space.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it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unoccupied land in urban housing' and 'community garden' and was analyzed as a group having a high understanding of garden activities. In selecting plants, this group preferred fruit trees or productive plants such as homegrown crops. The participation purposed type group preferred porches and terraces as well as private home front yards as a gardening space. For plants, they preferred plants that are easy to manag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preferences for places and pla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reative purpose of the gardener and provided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place and the plant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 according to the gardener's type.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ㆍ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정원 수요자는 감상목적형, 다기능형, 참여목적형의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감상목적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실외장소보다는 실내장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실내 환경에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화색과 잎색을 통하여 자연의 색을 감상할 수 있는 소재를 선호하였다. 다기능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해서는 ‘공동주택 유휴지’와 ‘도심 내 커뮤니티 정원’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작물과 열매 수확이 가능한 유실수나 텃밭작물과 같이 생산성을 가진 소재를 선호하였다. 참여목적형의 경우,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였다. 수종에 있어서는 관리가 용이한 식물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조성 목적별로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고, 정원 수요자 유형별 정원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원 문화 확산을 위한 국립수목원 ‘정원놀이터’의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송정화(Jeong Hwa Song),진혜영(Hye Young Jin),맹희주(Hee-Ju Maeng),최우경(Woo Kyung Choi),송유진(Yu Jin Song),전윤창(Yun Chang Jeon),이정희(Chunghee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3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어린이정원에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조성된 ‘정원놀이터’의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를 성인 5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앞으로의 어린이정원 기능 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정원놀이터 만족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관람객은 정원놀이터에서 휴식하기보다는 실제적으로 체험하는 공간으로 이용하므로, 실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정원 도구들이나 재료의 양을 보충하여 만족도를 높여야 하며, 둘째, 교육 공간으로서 정원놀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원도구함 터널과 같이 생활 속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공간의 확대가 더 필요하다. 셋째, 식재 요구도 조사 결과, 정원놀이터에 열매를 먹을 수 있는 과일 식물이나 꽃이 예쁜 식물, 향이 좋은 식물을 충분히 식재하여 정원놀이터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식재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정원놀이터를 개선해 나간다면 정원놀이터에서의 환경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여 공·사립 식물원과 수목원의 모범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한 테마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a playground created to promote gardening culture by conducting a survey of 57 adults at Childrens Garden withi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functions of Childrens Garden for the future. The implications of improving the functions of Childrens Garden are as follows. First, visitors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 by installing more substantial tools and materials to the playground as they prefer to use it as an experience space rather than rest area. Second, to utilize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education, it is required to install more spaces, such as a garden tool box tunnel, which provides information that may be made available in their daily lives. Thir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food materials suggest, it is necessary to make food material plans by preparing more food materials, such as plants bearing edible fruits or pretty blossoming flowers and aromatic food materials. Results showed that garden the playground will be a model for other botanical gardens by maximiz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further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a theme based on the garden playground would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을 위한 치유정원 설계에 관한 연구

        고인규,이동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 및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치유정원을 설계하는 것이다. 치 유정원은 학생의 심리적 안녕화, 학습환경개선,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적 지원, 사회적 상호작용의 강화 등 여러 순기능을 가지고 있어 대학생 정서 안정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순기능을 대학 캠퍼스 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치유정원 설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 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및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치유정원의 개념, 치유정원의 효과, 치유정원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치유정원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를 통 해 설계된 치유정원은 그 특성에 따라 단독형 치유정원, 개별 가든형 치유정원, 집약 재배형 치유정원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유정원은 단순히 여가 활동의 장 내지는 놀이 공간의 가치를 넘어서는 것으로 사람을 회복시키는 ‘회복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이때에 회복은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모든 영역에서 총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치유정원을 단순히 심리적 치료적 수단으로 이해하는 것 을 넘어 인간의 삶 가운데 생명과 생기를 불어넣는 것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대학생을 위한 치유정원 역시 대학 캠퍼스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조성된 정원을 통해 대학생의 신체 및 심리를 총 체적으로 회복시키는 목적으로 계획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healing garde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y student. Healing gardens have many positive function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stress man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and strengthening of social interaction, contributing greatly to the emotional s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design of a healing garden that can apply these positive functions to university campuses is being emphasi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the healing garden, the effect of the healing garden, and the components of the healing garden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d based on this, a healing garden for university student was designed. Healing gardens desig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single-type healing gardens, intensive cultivation-type healing gardens, and individual garden-type healing garden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Healing gardens have meaning as a ‘restorative space’ that restores people by going beyond the value of a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or a play space. At this time, recovery takes place in all area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life, which defines the healing garden as something that breathes life and vitality into human life beyond simply understanding it as a means of psychological treatment. In this study, the healing garden for university student was also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body and mind of university student as a whole.

      • KCI등재

        AHP 기반의 치유정원 계획요소 도출 및 중요도 분석

        유현정,권진욱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2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치유정원의 계획 및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계획요소들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치유적 기능을 높일 수 있는 정원 디자인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치유정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치유정원의 물리적․심리적․사회적 측면의 공간 유형별 계획요소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설문 결과, 치유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치유정원 계획요소로는 물리적 측면(8개), 심리적 측면(5개), 사회적 측면(5개) 등의 분야에 총 18개의 계획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치유환경 계획요소에 대하여 조경 및 정원계획 및 설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치유정원 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측면의 계획요소(포장이나 조명, 정원시설 등)를 우선순위로 다루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정원의 물리적 측면의 세부계획항목으로 <이용자 안전을 위한 조명>, <밝은 색채>, <시설물 및 포장의 재질>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치유정원의 사회적 측면에서 공간의 세부계획항목으로 <활발한 교류 유도를 위한 지원시설>, <사회적 정보 교류 공간>, <취미활동 프로그램을 위한 고정식 시설(텃밭, 화단 등)>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치유정원의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세부계획항목으로 <자연소재의 친숙한 공간>,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 <자율성 있는 공간 및 시설>이 우선적으로 계획할 요소로 평가되었다. 연구의 결과, 치유정원의 물리적 요소의 지원을 통하여 사회적 교류를 유도하여 심리적 치유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치유정원 조성을 위하여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도출하고, 향후 쾌적한 복지환경을 위한 치유정원 공간계획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