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불교교류사의 관점에서 본 『입당구법순례행기』: 일본 구법승 엔닌과 재당 신라인의 교유를 중심으로

        이춘희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2 No.-

        In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yjearch of the Law(入唐求法巡禮行記), this thesis was writt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monk Ennin(圓仁, 794∼864) and the Shilla people living in China(在唐 新羅人)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Buddhist exchange in Northeast Asia.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is a pilgrimage diary of Ennin, a Japanese monk who left for China in 838 and returned to Japan in 847. This book consists of four volumes. This book contains vast information on politics, economy, religion, society, culture, diplomacy, folklore, astronomy, geography, and language of the 9th century Northeast Asia world (Silla, Balhae, China(Tang Dynasty), Japan). During his pilgrimage to China[Tang Dynasty], Ennin met Shilla people living in China of various occupations. And he got their help at the right time and place. In particular, the Shilla monk Seongrim(聖林,?∼?), whom Ennin met at Chishan Fahuayuan(赤山法華院),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pilgrimage. Ennin decided to make a pilgrimage to the Mount Wutai(五臺山) through fellowship with Seongrim. Ennin also found traces of Japanese monk Laisen(靈仙,?∼?) and Balhae monk Jeongso(貞素,?∼828) on Mount Wutai. Jeongso crossed the sea at the request of his teacher, Laisen. Jeongso contributed to Buddhist exchanges between the three kingdoms (Balhae, China, and Japan). Ennin's record shows that people from four countries Silla, Balhae(渤海), China(Tang), and Japan at that time had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fields across borders.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fellowship between Ennin and Shilla people living in China in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Buddhist Exchange history in Northeast Asia.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 불교교류사의 관점에서, 엔닌(圓仁, 794~864)과 재당 신라인의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入唐求法巡禮行記』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는 그가 838년부터 847년까지 일본에서 중국으로 구법순례를 떠났다 돌아오기까지의 노정을 일기체로 쓴 기행문이다. 총 4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9세기 동북아시아 세계(신라·발해·중국·일본)의 정치, 경제, 종교, 사회, 문화, 외교, 민속, 천문, 지리, 언어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 엔닌은 입당구법순례 기간 내내 다양한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는 재당 신라인과 만났다. 그리고 적시적소에서 그들의 도움을 받았다. 특히 엔닌이 赤山法華院에서 만난 신라승려 聖林(?~?)은 그의 순례역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엔닌은 성림과의 대화를 통해 五臺山 순례를 결심했다. 엔닌은 오대산에서 일본승려 라이센(靈仙,?~?)과 발해승려 貞素(?~828)의 구법행적을 발견했다. 정소는 라이센의 요청으로 바다를 넘나들며 삼국(발해·중국·일본)의 불교교류에 공헌한 인물이다. 엔닌의 기록을 통해 당시 신라·발해·중국·일본인은 國境을 초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시아 불교교류사의 관점에서, 엔닌과 재당 신라인의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입당구법순례행기』 지명분석을 통한 圓仁의 路程 복원

        주성지(Joo, Sung-jee)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8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唐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재당신라인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에 따라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대한 연구는 동서양과 시대를 불문하고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닌의 路程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성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1990년대 말에 이르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역사학분야에서도 디지털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한국사 관련 사료는 대규모로 디지털화되어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끌었다. 역사자료가 디지털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은 활용 가치의 확장을 의미하며, 이러한 가치에 착목하여 새로운 역사학 연구방법론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디지털 역사라는 개념에는 디지털로 존재하는 사료 뿐 아니라 디지털로만 작성되는 사료가 등장함을 인식하고, 이의 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지명을 분석하여 현재의 관점에서 디지털로 복원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즉 지금까지는 전거자료에 근거하여 지명을 분석하였지만, 본고에서는 지명분석의 도구로서 디지털 지리정보를 활용하고자 한다.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분석방법은 정보화 사회와 역사자료의 디지털화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꾸준하게 축적된다면, 한국사 연구의 경계를 확장하여 결국 디지털 한국사의 영역을 구현하는데 진일보할 것이다.. Ennin"s Diary provides important historical data about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Tang and the activities of Silla in the dynasty in the ninth century in the position of a Japanese Buddhist pilgrim. Researches on Ennin"s Diary have produced various results regardless of East and West and different period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conducted comprehensive analysis of place names along Ennin"s itinerary.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began in the late 1990s,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has been much affected by their development. The historical materials about Korean history have, in particular, digitized in massive scale, which has led the growth of research achievements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When historical materials become digital, they claim bigger value for utilization, which raises a need to develop new methodologies for historical studies. The recent concept of digital history recognizes the emergenc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exist only in digital as well as those are digital as well, which raises a need for software education for their use and utilization. This study first aimed to analyze the place names of Ennin"s Diary and restore them in digital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at is, the study would make use of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as a tool to analyze place nam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place names based on reference data. Such analysis methods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will help to search for new methodologies in the current situations of digital era and the digit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f such attempts at new methodologies are accumulated consistently, they will facilitate the expansion of boundar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make a further step in the realization of digital Korean history as a domain.

      • KCI등재

        한일 구법승 기행문의 문학성 고찰-『왕오천축국전』과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

        강경하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일본문화연구 Vol.0 No.69

        동아시아의 대표적 여행기인 혜초(慧超, 704~780)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과 엔닌(圓仁, 794~864)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는 한국과 일본의 문학사에서 최초의 기행문으로 일컬어지는 작품으로 각각 인도와 중국을 순례한 구법(求法) 기행문이다. 본고는 종교적 임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자국이 아닌 타국으로의 여행을 통해 인간 본연의 심정이 어떻게 드러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 두 작품에 대한 문학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작품에서 혜초와 엔닌 두 사람은 자신들의 여행의 모습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그들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은 작품 속에 삽입된 시문과 이야기담 및 상서문, 편지글이었다. 이에 『왕오천축국전』의 시문과 『입당구법순례행기』의 부처와 관련된 이야기담과 상서문 및 편지글들을 중심으로 각각 구법적, 회구적, 인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두 사람의 심정 표출의 양상을 살폈다. 그러한 바, 두 작품의 서사 중심적 기술 방식은 구도승으로서 절제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힘든 고행 길에 따른 눈물과 쓸쓸함, 기쁨과 간절함 등 인간적인 정서를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舶部材 ‘누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성준 호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Japan despatched the Embassy to Tang China 15 times from the 7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Ennin(円仁), who was a Japanese Buddhist monk and accompanied the Embassy in A.D. 838, recorded the Diary of a Pilgrimage to Tang China in Search of the Law (『入唐求法巡禮行記』) in which includ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ailing from Japan to Tang China. It is ‘搙木我 ’ / ‘’, an unknown piece of ship’s parts, recorded on June 29 written in Ennin’s Diary that has attracted scholars’ interest. The Chinese letter ‘搙’ is same as ‘拄’ which means ‘support’ and the letter ‘槈’ is same as ‘鎒’ or ‘耨’ which means ‘hoe’, but the other Chinese letter ‘’ was not used in any of 3 countries of China, Korea and Japan. It caused many scholars to propose 搙木我 / as assembling structure near bottom(船底 結構), transverse beam or leeboard. This paper examines which part of a ship was 搙木我 / , a piece of ship’s parts, recorded in Ennin’s Diary. Section II summarizes how 搙木我 / was record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versions of Ennin’s Diary and Section III reviews which type of ship’s shape was the Japanese Embassy Ship to Tang China(遣唐使船).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presumed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to Tang China was likely to be a Chinese junk,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examined which part of ship would be 搙木我 / if the Japanese Embassy Ship was a Chinese junk,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uthor critically reviews the opinion that 搙木我 / was regarded as leeboard. In conclusion, the author deems that 搙木我 / was typographical error of 搙栿 which means supporting transverse beam. Some Japanese researchers presumed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would be a Chinese junk. But considering that there is none of separate transverse beam both near bottom and deck in a Chinese junk, it was likely that the Embassy ship might be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搙木我/ can be regarded as hunabari(船梁) in case of a Japanese ship, or garongmok(加龍木) and gamok(駕木, 橫梁) in case of a Korean ship respectively.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Japanese ship has a limitation on construction of large ship for accommodating more 100 passengers of the embassy, it seems likely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in 9th century was a Korean styled ship recorded as a ‘Baekje ship’(百濟舶) or a ‘Silla ship’(新羅船) in the Japanese Historical Documents. 일본은 遣唐使를 15회 파견했는데, 838년 견당사의 항해와 관련해서는 이에 동승한 엔닌(円仁)이 『入唐求法巡禮行記』를 남김으로써 그 항해의 전말이 상세하게 남아 있다. 이 기록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엔닌이 승선한 견당사선이 중국의 揚州 海陵縣 연안에 표착했을 당시 日記에 언급된 정체를 알 수 없는 船舶部材 ‘搙’ 또는 ‘’다.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東寺 觀知院 본에 ‘搙’로 표기되었으나 이것이 인쇄본으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로 오기되었고, 이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搙는 搙은 捻(비틀 ), 搵(잠길 ), 拄(떠받칠 ) 등의 의미가 있고, 槈는 鎒(괭이 ), 耨(김맬 )와 같으며, ‘괭이’나 ‘호미’를 뜻하지만, 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는 한자여서 ‘搙’나 ‘’는 글자 그대로 무엇을 의미하는 지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搙’ 또는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船底 結構, 횡강력재, 披水板(側板) 등 여러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이 논문은 『입당구법순례행기』에 기록된 선박부재 ‘搙’ 또는 ‘’가 무엇인지 살펴본 것이다. 먼저 II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여러 板本과 編譯本에 ‘搙’ 또는 ‘’가 어떻게 표기 및 해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III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일본의 견당사선이 어떤 선형의 선박이었을지를 추정할 것이다. 일본의 견당사선이 중국식 정크, 화선식 준구조선, 한선이었을 경우, ‘搙’ 또는 ‘’가 선박의 어떤 부재였을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搙’ 또는 ‘’는 搙栿(버틸 , 들보 , 즉 지지용 들보)의 오기로서 ‘횡강력재’로 판단했다. 일본 학자들이 견당사선을 ‘중국형 정크선’으로 추정하는 것과는 달리, 중국형 선박에는 선저와 갑판부에 각각 독립해 있는 횡강력재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견당사선은 和船形 선박이거나, 韓船形 선박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누아가 화선형 선박일 경우 후나바리(船梁), 한선형 선박일 경우 가룡목과 가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화선식 준구조선은 대형선을 건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日本史書에 百濟舶이나 新羅船으로 기록된 한선형 선박일 개연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엔인(円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선박부재(船舶部材) ‘녹□(搙□)’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성준 ( Kim Sung-jun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일본은 遣唐使를 15회 파견했는데, 838년 견당사의 항해와 관련해서는 이에 동승한 엔닌(円仁)이 『入唐求法巡禮行記』를 남김으로써 그 항해의 전말이 상세하게 남아 있다. 이 기록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엔닌이 승선한 견당사선이 중국의 揚州 海陵縣 연안에 표착했을 당시 日記에 언급된 정체를 알 수 없는 船舶部材 ‘搙□’ 또는 ‘槈□’다.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東寺 觀知院본에 ‘搙□’로 표기되었으나 이것이 인쇄본으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槈□’로오기되었고, 이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搙는 搙은 捻(비틀 ), 搵(잠길), 拄(떠받칠 ) 등의 의미가 있고, 槈는 鎒(괭이 ), 耨(김맬 )와 같으며, ‘괭이’나 ‘호미’를 뜻하지만, 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는 한자여서 ‘搙□’나 ‘槈□’는 글자 그대로 무엇을 의미하는 지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搙□’ 또는 ‘槈□’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船底 結構, 횡강력재, 披水板(側板) 등 여러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이 논문은 『입당구법순례행기』에 기록된 선박부재 ‘搙’ 또는 ‘槈□’가 무엇인지 살펴본 것이다. 먼저 II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여러 板本과 編譯本에 ‘搙□’ 또는 ‘槈□’가 어떻게 표기 및 해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III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일본의 견당사선이 어떤 선형의 선박이었을지를 추정할 것이다. 일본의 견당사선이 중국식 정크, 화선식 준구조선, 한선이었을 경우, ‘搙□’ 또는 ‘槈□’가 선박의 어떤 부재였을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搙□’ 또는 ‘槈□’는 搙栿(버틸 , 들보, 즉 지지용 들보)의 오기로서 ‘횡강력재’로 판단했다. 일본 학자들이 견당사선을 ‘중국형 정크선’으로 추정하는 것과는 달리, 중국형 선박에는 선저와 갑판부에 각각 독립해 있는 횡강력재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견당사선은 和船形 선박이거나, 韓船形 선박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누아가 화선형 선박일 경우 후나바리(船梁), 한선형 선박일 경우 가룡목과 가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화선식 준구조선은 대형선을 건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日本史書에 百濟舶이나 新羅船으로 기록된 한선형 선박일 개연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Japan despatched the Embassy to Tang China 15 times from the 7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Ennin(円仁), who was a Japanese Buddhist monk and accompanied the Embassy in A.D. 838, recorded the Diary of a Pilgrimage to Tang China in Search of the Law (『入唐求法巡禮行記』) in which includ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ailing from Japan to Tang China. It is ‘搙□’/’槈□’, an unknown piece of ship’s parts, recorded on June 29 written in Ennin’s Diary that has attracted scholars’ interest. The Chinese letter ‘搙’ is same as ‘拄’ which means ‘support’ and the letter ‘槈’ is same as ‘鎒’ or ‘耨’ which means ‘hoe’, but the other Chinese letter ‘槈’ was not used in any of 3 countries of China, Korea and Japan. It caused many scholars to propose 搙□/槈□ as assembling structure near bottom(船底 結構), transverse beam or leeboard. This paper examines which part of a ship was 搙□/槈□, a piece of ship’s parts, recorded in Ennin’s Diary. Section II summarizes how 搙□/槈□ was record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versions of Ennin’s Diary and Section III reviews which type of ship’s shape was the Japanese Embassy Ship to Tang China(遣唐使船).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presumed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to Tang China was likely to be a Chinese junk,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examined which part of ship would be 搙□/槈□ if the Japanese Embassy Ship was a Chinese junk,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uthor critically reviews the opinion that 搙□/槈□ was regarded as leeboard. In conclusion, the author deems that 搙□/槈□ was typographical error of 搙栿 which means supporting transverse beam. Some Japanese researchers presumed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would be a Chinese junk. But considering that there is none of separate transverse beam both near bottom and deck in a Chinese junk, it was likely that the Embassy ship might be a Japanese ship or a Korean ship. 搙□/槈□ can be regarded as hunabari(船梁) in case of a Japanese ship, or garongmok(加龍木) and gamok(駕木, 橫梁) in case of a Korean ship respectively.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Japanese ship has a limitation on construction of large ship for accommodating more 100 passengers of the embassy, it seems likely that the Japanese Embassy ship in 9th century was a Korean styled ship recorded as a ‘Baekje ship’(百濟舶) or a ‘Silla ship’(新羅船) in the Japanese Historical Documents.

      • KCI등재

        圓仁의『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해 본 항해신앙

        최낙민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Ennin's Diary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contains a lot of valuable information about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exchanges through the East Asian Sea in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In addition, it contains valuable data to infer how dangerous ocean navigation is for East Asians at a certain time when navigation technology has not developed, and how the desperate origins of the envoys to preserve their lives and fulfill their duties in such dangerous situations lead to marine faith activities. In the text, through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contents of the responsible ambassador prayers to the Avalokiteshvara and Bodhisattva Myogyeon to preserve the lives of himself and his party. In addition, examined the navigation faith activities in which officials and fortune tellers on the ship performed rituals to the Great Sumiyoshi God, God of Hachiman and God of thunder ministers of Japanese Shintoism. And looked at the prayers by officials to the local gods of mountains and islands, and the prayers posted by monks to the Dragon King, who guarded the five directions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And through Shoku Nihon K̄oki(續日本後紀) examined the royal family's faith activities for the safe navigation of The Japanese misses to Tang China (遣唐使, kentōshi). In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the general aspects of navigation faith activities were examined through the records of Japanese safe navigation from the Tang Dynasty, and based on this, marine faith activities in East Asian waters lacking historical sources were to be inferred.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는 9세기 전반 동아시아해역을 통한 정치, 경제, 문화와 종교 교류에 관한 많은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해에 필요한 동아시아해역의 기초적인 기상학적 지식조차 갖고 있지 못했던 당시 일본인의 원양항해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중요한 사료이다. 나아가 『巡禮行記』는 원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나침반과 같은 항해 장비와 기술이 발전하지 못했던 일정 시기 동아시아인들에게 있어 원양항해가 얼마나 위험한 일이며, 이러한 위험한 상황에서 목숨을 보전하고 맡은 바 사명을 완수하려는 견당사들의 간절한 기원이 어떻게 항해신앙 활동으로 이어졌는지 유추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본문에서는 『巡禮行記』의 내용에 근거하여 ‘承和 遣唐使’가 항해의 안전과 순풍을 기원하기 위해 불교의 항해 수호신인 觀音菩薩과 妙見菩薩에 기도하고 『灌頂經』에 의거하여 五方龍王에게 기원하였으며, 神道의 住吉大神・幡大神・霹靂神(雷神)뿐만 아니라 登州의 諸山島神 등 많은 신에게 제사를 지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續日本後紀』를 통해 ‘승화 견당사’가 출발하기 전 황실에서 國分寺인 香襲宮, 八幡大菩薩宮, 宗像神社, 阿蘇神社에 승려를 파견하여 견당사가 일본을 떠나는 날부터 일본으로 무사히 귀환할 때까지 『海龍王經』을 송독하도록 한 기록과 함께, 錄使 宗雄이 탄 배가 먼저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천황이 나머지 8척의 배가 무사히 귀환할 수 있도록 攝津國 住吉神, 越前國 氣比神에 폐백을 봉납하고 견당선의 무사 귀환을 기원했다는 기록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9세기 전반 동아시아해역에서 행해졌던 다양한 항해신앙 활동을 고찰하고 , 『巡禮行記』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했다.

      • KCI등재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體構成材 ‘누아 ’에 대한 小考

        허일(Ihl Hugh),崔云峯(Yunfeng Cu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5

        일본의 구법승 엔닌(圓仁)은 견당사선에 동승하여 入唐한 뒤 서기 838년 6월 13일부터 847년 12월 14일까지 당에 머무르면서 9년 반에 걸친 행적을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라는 일기에 남겼다. 이 일기에는 당시 당의 사회, 경제, 종교, 외교, 군사, 지리, 교통 및 행정에 대한 방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이 일기의 초입부분 즉 838년 6월 13일부터 7월 3일의 기록은 마치 항해일지와 같은 방식으로 기록되어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항해 및 조선 관련 용어들은 당시 고대선과 항해기술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등장하는 ‘槈 ’가 어떤 구성재인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대선박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Ennin was a Japanese buddhist monk who stayed in Tang from Jun. 13, 838 A.D. to Dec. 14, 847 A.D. in luna’s calender and wrote lengthy diary through the travel. This diary contained lots of information on the politics, economy, social culture, religion, diplomatic policies, militaries, geography, transportations and administrations of Tang China. Especially the beginning of his diary dated from Jun. 13 to July 3, 838 A. D. was recorded in the manner of ship’s logbook entries. Many terms of navigation and naval architecture appeared on i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m for studying ancient ship and its navigation skill.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Nu-A, (槈 아)’ obviously referring to some part of hull of the ship as the first step to annotate the terms of navigation and naval architecture which were appeared in the diary.

      • KCI등재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실려 있는 당대(唐代) 명절 습속(習俗)에 대한 고변(考辨)

        황도 ( Tao Hu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0 No.-

        일본 스님 원인이 쓴 ≪당나라에서 도를 찾는 여행기≫에서 그는 중국에서 9년 동안 보고 들은 당대 사회의 생활상을 기록하였는데 세시풍속을 기록한 것이 그 중 하나이다. 이 책에서 기재한 세시에는 추석, 원단(새해), 원소절, 입춘, 한식, 청명, 삼월삼짇날, 오월절, 중원절, 입추, 동지 등이 있다. 왜냐하면 추석, 원단(새해), 원소절, 입춘, 한식, 청명, 중원절, 입추, 동지에 대한 기제가 비교적 많은데 이는 이런 명절이 그 당시에 비교적 중요한 명절이기 때문이다. 그가 쓴 세시 풍속은 모두 불교 사원에서 지내는 것이며 세속의 명절생활과 대부분 비슷하면서도 사원 생활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그는 백중날의 우란분회와 당무종의 배불사건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기재하였고 글 속에는 배불정책에 대한 분개와 불교의 재난에 대한 동정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각별히 주의할 만한 것은 그는 조선에서 온 신라스님과 교민이 중국 당나라에서의 활동했던 부분과 8월 15일의 세시풍속을 기재하였다. 이 기록에서의 명절생활은 작가의 개인경력과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쓴 것이므로 사실적이고 믿을만하며 내용이 자세하고 풍부하여 당대의 세시의 민속을 연구하는 진귀한 자료이다. "Travel Notes in The Tang Dynasty for learning Buddhism" by Yuanren, a Japanese monk, having lived in China for more than 9 years, recorded what the author had seen and heard about social life in Tang Dynasty, such as festival custom. The festivals recorded in the book are New Year`s Eve, New Year`s Day, the Lantern Festival, the Beginning of Spring, the Cold Food Festival, Pure Brightness Festival, the March 3 Festival, the May 5 Festival, the Hungry Ghost Festival, the Beginning of Autumn, the Winter Solstice, etc. In addition, there are short accounts of Japanese Festivals and the August 15 Festival of Xinluo in the book. The accounts of festival life in the book are authentic and credible with rich details a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and knowledge. These are precious materials about festival folklores of Tang Dynasty.

      • KCI우수등재

        『입당구법순례행기』, 엔닌이 만난 길 위의 이름들

        김순배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3

        『入唐求法巡禮行記』(Ennin’s Diary) written by Japanese Buddhist monk, Ennin (圓仁) in the early 9th century is a diary-style travel writing which is the record of his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historical facts and personal feelings recorded in it, focusing on the names of people and nature which he had met on his way of a trip to Tang(唐) and Silla(新羅) dynasty. The theme of article is here discussed anthroponyms and toponyms in two separat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itled ‘The People on the Way’, I shortly introduce Ennin’s appearance as a cultural-historical geographer and the academic value of his travel writing, and then present the ordinary life of the Tang people and Silla residents in Tang on which official history did not tell all the particulars. In the second chapter named ‘The Nature along the Way’, I explain some geographical features of Wutaishan (五台山), Huanghe (黃河), Dayunhe (大运河), Tang’s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十五道), Changancheng (长安城), and the lowest administrative districts, Cun(村) in rural area and Fang (坊) in urban area. Finally, I basically analyze the see route and island names i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which Ennin had returned to his country, Japan. In particular, I identify the historical fact that he and his crew was not able to visit to Cheonghaejin (淸海鎭), the base of Jangbogo fleet force in Wando for political reasons at that time, and try to decide exact location of island names such as Goyi-do (高移島), Gucho-do (丘草嶋), and An-do (鴈嶋) on his homeward journey.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전반 일본인 불교 승려 엔닌이 당나라로의 구법 여행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행문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들과 개인의 감정들을 길에서 만난 사람들과 자연들의 이름을 중심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시아 한・중・일 삼국 사이에서 펼쳐졌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 속을 횡단했던 한 인간의 활동을 길과 이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엔닌이 구법과 순례의 여행길에서 만났던 이름들을 크게 인명과 지명으로 나누어 두 개의 장을 구성하였다. 첫째, ‘길 위의 사람들’이라는 장에서는 엔닌의 문화역사지리학자로서의 면모와 여행기의 학술적 가치를 간략히 소개한 후, 엔닌이 만난 당나라와 신라 사람들에 대해 관찬 사서들이 말해 주지 않았던 그들의 평범한 삶의 모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길 가의 자연들’이라는 장에서는 9세기 전반 당나라의 산과 강, 마을과 도시의 풍경을 오대산, 황하, 대운하, 그리고 15도(道) 행정구역, 장안, 촌(村)과 방(坊) 등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끝으로 엔닌이 귀국길에 경유했던 한반도 서남해안의 바닷길과 섬 이름을 기초적으로 분석하여 엔닌 일행이 정치적인 이유로 완도의 청해진을 방문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고 고이도, 구초도, 안도의 지명 위치 비정을 시도하였다.

      •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體構成材 “槈栰“ 대한 小考

        許逸(Ihl Hugh),崔云峯(Yunfeng Cu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엔닌(圓仁) 일본의 견당사선에 동승해서 구법을 위해 당에 도해하여 서기 838년 6월 13일부터 847년 12월 14일까지 머무르면서 9년 반에 걸친 일기를 남겼는데 이른바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이다. 이 일기에는 당시 당의 사회, 경제, 종교, 외교, 군사, 지리, 교통 및 행정에 걸친 방대한 기록을 남겼다. 특히 이 일기의 초입부분 즉 838년 6월 13일부터 7월 3일의 기록은 마치 항해일지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되어있다. 여기에는 항해용어와 조선용어가 나타나는데 이 용어들은 당시 고대선과 항해기술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선체구조의 명칭임에 틀림없는 “槈栰” 라는 용어가 두 번에 걸쳐 나타나는데 이 용어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이 일기에 나타난 항해 조선용어를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Ennin is a Japanese buddhist monk who traveled Tang from Jun. 13, 838 A. D. to Dec. 14, 847 A. D. in lunar's calender and wrote lengthy diary through the travel. This diary contained not only his wandering and triumphs but also politics, economy, social culture, religion, diplomatic policies, militaries, geography, transportations and administrations. Furthermore, the beginning of his diary dated Jun. 13, to July 3, 838 A. D. is recorded in the manner of ship's logbook entries. Many terms of navigation and naval architecture appears on i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m for study ancient ship and its navigation skill. This paper aims to invest the meaning of "nu-a, 槈栰" obviously refers to some part of hull of the ship upon first step to annotate the terms which are appeared in the di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