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이혜정(Hye-Jeong Lee),유규창(Gyu-Chang Yu)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의 의미와 역할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대라는 기준을,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에 있어 일의 가치를 주요한 선행 요인으로 보았다. 세대를 기준으로 한 이유는 Y세대에게 일과 삶의 균형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상의 주요한 이슈로 등장한 이유에서도 찾을 수 있으나 일과 삶의 균형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세대에 따른 구분에 의해 Y세대에 초점을 둠) 차별화된 특성 및 니즈를 파악할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일의 가치를 주요한 선행 요인으로 본 이유는 일과 삶의 균형에서 가장 근본적인 부분의 영향력인 일을 통해 무엇을 추구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일과 삶의 관계 조율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상태의 정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Y세대의 일의 가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세대별로 다르게 두고 있는 일의 가치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Y세대에게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은 직무성과 및 동기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세대별 인터뷰를 통해 각 세대가 갖고 있는 일의 가치의 특징과 이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상태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이 직장생활 및 전체 삶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과 삶의 관계에서의 일의 가치의 역할을 탐색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다양한 대상 관점에서 이해가 가능한 개념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이 단순히 육아 및 보육지원, 맞벌이 여성지원이라는 기존 시각에서 유연한 근무환경, 더 나아가 ‘좋은 근무 환경’을 만드는 것을 포함한 넓은 시각에서 이해가 필요하며 인사 기능과의 연계를 통한 ‘관리’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상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value and the role of the work-life balance of Generation Y. For such purpose, the generation, a criterion, and the work value are set as an important leading factors for the work-life balance. A reason for having the generation as a criteri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work-life balance of Generation Y is appeared as an critical issue for corpor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However, the other reason is to propose the necessity to fin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each group subjected to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reason to see the work value as a critical leading factor is the adjustment of rela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state of work-life balance is considered to be impacted depending on what is pursued through the influential work of the most fundamental part in the work-life balance. The goals of this study are: First, to find the work value of Generation Y. Second, to understand Generation Y"s meaning of the work-life balance by checking on how the work-life balance is perceived by each generation for its work value set differently. Third, to find what is the role of the work-life balance to Generation Y regarding its work performance and motivation. Through interviews for each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k value of each generation, the state of work-life balanc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and the difference existing in the criticality of the work-life balance counted in the work life and the overall life are confirmed. Through such result, the role of the work value in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life is explored and the theoretical meaning that the work-life balance is a understandable concept is suggested. This study also points out that the understanding should be broaden from the existing angle that the work-life balance is simply for the child care, the support for child care and the support for the double income family"s woman to an extensive angle covering the flexible work environment and, furthermore “good work environment” while necessit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e human affair function and a practical suggestion is made for Korean companies regarding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군 조직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

        강태호(Kang, Tae Ho),이지만(Lee, Ji Man),이주일(Lee, Ju I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3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수많은 연구들이 일과 삶의 균형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다면적인 측면을 살피지 않아서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구성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온전히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일-성장, 일-가정, 일-여가 균형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군 조직에서 부대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은 군부대원들의 사기를 진작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대원들의 고양된 사기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 낼 것으로 예측한다. 즉, 본 연구는 사기진작이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주장한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이 사기진작에 미치는 효과는 부대원의 근무환경(경계부대 대 일반부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무환경의 조절효과와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이와 같은 가설들을 검증하고자 220명의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4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성장, 일-여가 균형과 사기진작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기진작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성장 균형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와 일-여가 균형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사기진작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성장 균형과 사기진작과의 관계와 일-가정 균형과 사기진작의 관계는 일반부대원에 비해 경계부대원에게서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일-성장 균형이 부대원의 사기진작을 통해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에서 근무환경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해서 논의한다 Along with the burgeoning interest in work-life balance,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individual consequences. Since these existing studie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multifaceted work-life balance, we inadequately understand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organizational members. Building on the prior literature on work-life balance, thus, we classify work-life balance into thre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work-leisure balance, and explore how those influence organizational members in military organizations.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work-life balance helps individuals in military organizations enhance their morale and that such heightened morale leads to organization-dir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n other words, we contend that morale-enhance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directed OCB. Also,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on morale-enhancement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urity versus general forces). Thus, we examine the moderating of morale-enhancement and eventually tes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orale-enhancement.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of 220 military officials, and used 214 survey questionnaires excluding unfaithful and incomplete response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u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morale and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leisure balance. Second, morale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oriented OCB.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organization-oriented OCB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organization-oriented OCB are mediated by morale-enhancement, respectively. Fourth,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morale and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morale become weaker for organizational members in security forces, respectively. Fifth, we find strong support fo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orale-enhancement. Finally, we discus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정홍인(Jeong Hongin),이효섭(Lee Hyoseop)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규명을 위하여 서울 지역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0부를 배포하였으나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71부였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유지될수록 생활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자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타인과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는 사회적자본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 역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인과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될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즉,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에게 일과 일 외의 균형적인 삶이 확보될수록 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일과 삶의 균형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적 활동들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related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ident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in Seoul.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bu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27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life balance is maintained, the mor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also affects social capit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s with others. Third, social capital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capital with others is formed.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work-life balance and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increases as an organization member ha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work.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order for the work-life balanc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must be form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more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통합과 분리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Over the past decade,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balancing work and life” in Korea. However,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w people seek the balance in reality. This is why we hav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as a tool for analysis to explore people’s subtle ways of coordinating work and lif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life, people integrate or segment the two domains, and this balancing ac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s referred to as “boundary work” (Nippert-Eng, 1996).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work, this research examines how people find their own balancing point on the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continuum.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onsultants who practice relatively high autonomy within their work in terms of time and spac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n IT security solution consulting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ltants at seven other consulting compani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1 cases of in-depth interviews provided us with three types of data source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aily schedules. The grounded theory cod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which resulted in dividing people’s of integrating and segmenting domains methods of work and life into two dimensions: (1)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within each domain and (2)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the two domains. Furthermore, the former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s: workplace, relationship, and routine behavior. The latter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two sub-dimensions: habitual preparation behavior for transition between the domains and commute as a transitioning act.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chieve balance in work and life by moving toward the segmentation poin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Even those who were inclined to integrate the domains of work and life suffered from work encroaching on life as the boundary of life remained ambiguous yet the boundary of work relatively was found to be clear. The tendency to segment the two domains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to keep what is left of life from being swallowed by work which has continuously intruded on life through various means. That is to say, people’s inclination to segment the domains of life and work is not an innate predisposition but a result of a conscious choice which is to protect life from the overly intrusive domain of work in modern society and to recover balance in work and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depth how people coordinate work and life in reality and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treats matters of work and life as objects of managemen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한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화두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과 삶을 조율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두 영역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통합과 분리의 연속선 위를 오가면서 두 영역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활동(boundary work)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경계활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업무수행 시 작업시간과 공간의 활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한 보안 솔루션 업체의 컨설팅 부서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그 외 7개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들과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총 21명의 심층면담과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3개의 자료원천(면담, 참여관찰, 일과기록표)을 확보하였으며,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과 삶을 통합 혹은 분리하는 양식을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것은 (1) 일과 삶, 각각의 영역 내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와 (2) 이들 두 영역을 오가는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로 나누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서 통합 혹은 분리하는 행동은 다시 세 개의 하위차원(일하는 공간, 관계 맺기, 습관적 행동)으로, 그리고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의 행동은 두 개의 하위차원(전환을 준비하는 반복행동과 전환이 이루어지는 출•퇴근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적 틀을 활용해 도출된 자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통합-분리의 연속선에서 분리의 방향으로 경계활동을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점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록 일과 삶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삶 영역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일 영역의 경계는 상대적으로 명확해 일이 삶을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끊임없이 삶의 영역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로부터 최소한의 삶의 영역을 지키려는 일종의 자구책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일과 삶을 분리하는 경향은 인간의 내재적 경향인 아니라 삶의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해 들어오는 현대사회의 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 선택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경계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과 삶의 양립문제를 경영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통합의 관점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분석

        이소담(Lee, So Dam),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김정운, 박정열(2008)이 개발한 직장인 대상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은 유사한 반면, 전반적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 근무시간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 전체 혹은 일부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결혼여부, 월급여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근무기관이 공립단설유치원인 경우에 일과 삶의 균형이 낮았으며, 근무시간이 길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낮았고, 경력이 적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기 위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and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ir personal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2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search tool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Work-Life Balance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was below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cores of ‘work-life harmony’, ‘work-leisure harmony’, and ‘work-growth harmony’ were similar, whereas the score of ‘overall work-life rating’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total score of work-life balance and the scores of all subordinate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kindergartens and hours of duty. In addition, the total score of work-life balance and/or the scores of some subordinate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and education le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ir marital statuses and salaries. In other words, teachers working at an independent public kindergart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work-life balance than teachers working at other types of kindergartens; teachers who had longer working hours showed lower work-life balance; teachers who had short teaching career or high education level showed a tendency of higher work-life balance than ot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continuous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is essential, and practical support to increase their work-life balance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상담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이소립,최한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의 세 가지 하위요인(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의 균형 수준에 따라 상담자들의일과 삶의 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분류된 유형 간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 지역에서 일하는 상담자 31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과 삶의 균형과 심리적 소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일과 삶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세 가지 변인들에 대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된 유형별 심리적 소진의 차이 검증을위해서 일원 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일과 삶의 균형과 심리적 소진 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을 ‘만족하는상담자’, ‘평균적인 상담자’, ‘성장 과집중 상담자’, ‘과부하 된 상담자’의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 전체 평균 및 모든 하위요인별 평균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성장 과집중 상담자’는 ‘평균적인 상담자’보다 심리적 소진의 요인 중 정서적 고갈이 더 많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상담자의 일-성장의 균형이 만족스럽더라도 일-여가의 균형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정서적 고갈을 나타내기 쉽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상담자가 심리적으로 소진됨을 예방하고 소진 되었을 때 회복하기 위하여 일과 일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시간과 에너지 분배를잘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삶의 영역에 있어서도 자기개발에 대한 노력 뿐 아니라 개인으로서의 삶을 즐기고 자신을 돌보는 활동을통해 삶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 : 인구ㆍ사회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강보미,김경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1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targeted, 115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is research used Lee So-dam (2017)'s tool,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work-life balance" scale for office workers developed by Kim Jung-woon and Park Jung-yeol (2008), to suit infant and chil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normal. Second, the overall work-life bal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the order of the following sub-factors, work-leisure balance, overall evaluation, work-family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Third,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according to age. Teachers in their 20s showed higher awareness of work-life balance than teachers in their 30s. Fourth,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of working institution type, total number of children, age in charge, and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institution, kindergarten teachers had a higher 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than daycare centers. The higher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the higher the 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As for the age in charge, teachers in childhood classes had a higher 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than those in the toddler class. As for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the shorter the working hours, the higher the 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work-life bal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ir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to maintain the work-life bal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construction and content of their social support systems.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과 인구ㆍ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담임교사 115명을 대상으로 김정운과 박정열(2008)이 개발한 직장인 대상의 ‘일과 삶의 균형’ 척도를 영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한 이소담(201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하위요인인 일-여가균형, 전반적 평가, 일-가정균형, 일-성장균형의 순서대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배경 중 연령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0대 교사가 30대 교사보다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사회학적 배경은 근무기관유형, 전체 원아 수, 담당연령, 일평균 근무시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어린이집보다 유치원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전체 원아 수는 많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담당연령은 영아반 교사보다 유아반 교사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일평균 근무시간은 근무시간이 짧을수록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이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기위한 제도ㆍ정책적인 지원과 더불어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과 내용을 고려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 Lee Ji Young ),이정미 ( Lee Jung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4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과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일과 삶의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연령, 교육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하위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행복감은 하위변인에 따라 교사의 연령, 결혼유무, 학력, 경력, 학급연령,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행복감은 밀접하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의 하위 요인 중 일과 가정, 여가, 성장, 전반적 평가는 행복감의 하위 요인인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성장, 삶의 목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행복감의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과 삶의 균형 중 일과 성장 균형은 행복감의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로서 일과 삶의 적절한 균형은 행복한 교사가 되기 위한 필수조건임을 알 수 있으며 일과 삶의 균형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var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happiness. A total of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throughout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work-life bal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ed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career and type of institution. Happiness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institution. Second, the work-life bal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happiness. Among the sub-factors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life balance, work and family, leisure, personal growth, and overall evaluat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actors contributing to happiness. These factors include autonom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trol over one's environment, personal growth, and life purpose.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life balance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ir sense of control over their environment and purpose in life. Among work-life balances, achieving a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growth impacts self-acceptance, autonomy, control over one's environ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hieving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is crucial for teachers' happines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exploring various support mechanisms to achieve work-life balance.

      • KCI등재

        목표 중심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과 삶의 균형 매개효과: WLB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경화,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특성 변인으로서의 목표 중심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목표 중심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 및 일과 삶의 균형 관계를 살펴보았고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 있어 일과 삶의 균형 (WLB)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16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불성실 응답 대상자 16명을 제외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목표 중심 자기조절은 일과 삶의 균형 및 삶의 만족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고, 일과 삶의 균형은 삶의 만족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며, 일과 삶의 균형은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 있어서 WLB 조직문화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WLB 조직문화가 좋을수록 조직원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삶의 만족을 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워크 환경구축 및 복잡성,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경영층의 리더십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웅기,박정열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7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은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른 기술적복잡성은 근로자에게 테크노스트레스를 주고 있으며,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과거일 중심의 리더십에서 시대변화에 따른 일과 삶 균형 관련 경영층의 리더십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근로자의 일과 삶의 불균형은 근로자의 다양한 불만은 많아지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온라인 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하여 20∼50대남녀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전문조사 기관에 의뢰하여, 인터넷 설문방식으로 2023년 7월 25일부터 31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SPSS 28.0을 이용한 빈도분석과 AMOS 28.0을 이용한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하였다. 본연구에서 스마트워크의복잡성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영층의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여기는 가치와 이를 지원하려는 노력(WLB리더십)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점을 확인하였다. 아울허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이 올라가면 근로자의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워크의 복잡성에 기인한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련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직을 고려하는 요인으로 개인의 성과에기반한 임금과 승진 등의 관점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유연한 업무환경을 선호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이직 가능성이 올라간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companies are building a smart work environmen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technical complexity accordingly puts technostress on workers, and research on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ffect of management leadership related to work-life balance of workers and the effect of workers' work-life imbalances on workers' job turnover intentions. Research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50s by requesting an online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Measurement test & hypotheses test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28.0 and AMOS 28.0. Results in Research: In this study, the complexity of smart work and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the management's WLB leadership and work-life balance,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Research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work-life balance due to the complexity of smart work was stud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has verified this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