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

        이선미(Lee Seon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논문은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온라인 도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원격수업과 온라인 도구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온라인 도구를 원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도구를 ‘원격 교실 온라인 도구’와 ‘수업 활용 온라인 도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실 공간 대체 온라인 도구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하나의 교실을 대안할 수 있는 것으로 교실로의 활용이 가능한 도구로 보았고, 그 외에 교실 내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도구는 수업 활용 도구로 구분하였다. 본고는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을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활용 방안을 논하였다. 각 단계별유용한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단계별 특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사용으로 원격수업에서 실재감을 높이며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수업 목표 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선택과 활용 방법이 원격수업을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대면 수업에 있어서 온라인 도구 활용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online tool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usic remote learning. First of al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mote learning and online tools were explore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for applying online tools to remote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online tools categorized into “Remote classes” and “Online tools for application to learning”. The tools for video classroom space alternative online deal with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priority. And it wer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classroom and tools for application to classroom and the others as class application tools for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lassrooms. This paper classified educational approaches to online tools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finishing step and explored utilization methods. It also purposed to present useful online tools for each step and subsequent class examples. Furthermore, it can be intended to improve the sense of reality in remote classes by using online too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and promot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er.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appropriate online tool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ubjects and lesson goals suggest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lead remote learning to succ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som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utilizing online tools in face-to-face learning.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강성배(Sungbae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을 활용한 교육정보화는 교육혁신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대유행은 인류의 삶과 사회, 경제, 문화 그리고 교육에 대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 변화와 사회적 요구 속에서 시작된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학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조금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수업으로 급하게 전환되면서 교육환경, 제도, 인프라 등에 많은 문제점과 구성원들의 지식 및 경험부족 등으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으로 진행된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결과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대학의 원격수업 운영방안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온라인 원격수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실시간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원격수업으로 운영된 교과목을 대상으로 운영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수강생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 운영적인 측면에서 원격수업을 위한 학습 플랫폼과 수업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평균 4.55, 4.22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해당분야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 ‘학생 소통, 참여 장려를 위한 다양한 방법 활용’, ‘수업자료에 대한 충실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토의/토론, 상호작용, 피드백, 강의자료 등이 중요하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 운영적인 측면에서 원격수업을 위한 학습 플랫폼과 수업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격수업은 대면수업과 비교 시 동일한 장소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과 피드백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과 관련 특성을 고려하고 실질적으로 운영방안을 탐색해보고 향후 원격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Education information using new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being used as a policy tool for educational innovation. The COVID-19 pandemic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structure of human life, societies, economies, cultures, and education. Notably, distance learning started with this paradigm shift and now social needs show promise as a new alternative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However, with the hasty transition to online learning, many issues related to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s, and infrastructure, along with academic faculty members’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to successfully teach online, have aris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sults and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synchronous or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and deduce plans to utilize and improve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e literature on distance learning has been reviewed and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tance learning, have been analyzed. Moreover, a student perception survey has been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three-fold. First,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earning platforms for distance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es, that is whether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is synchronous or asynchronous. Second, the result of the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howed average ratings of 4.55 and 4.22, respectively.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field,” “utilizing various ways to keep students engaged and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and “the use of learning materials” are important. Finally, the results of the open-ended questions showed that debate/discussion, interaction, feedback, and course materials are also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rning platforms for distance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es, that is whether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is synchronous or asynchronous sh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and feedback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re crucial because in distance learning the students and the professor are not in the same pl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explores plans to operate practically,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의 인식

        모주순(Mo Joo-soon),함형인(Ham Hyung-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교과 원격수업을 경험한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22부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원격수업 유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었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은 EBS 온라인 클래스였다. 둘째, 기술교사가 느끼는 원격수업의 어려움은 학생들의 원격수업 준비 부족과 원격수업 진행을 위한 물리적 환경 부족이었다. 셋째, 기술교사들은 기술교과 원격수업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수업용 플랫폼 개발이라 응답하였으 며, 원격수업에 가장 적합한 기술교과 영역은 통신기술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자신의 원격수업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사용하고 있는 원격 수업 플랫폼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격수업에 관한 교육부 및 교육청의 지침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술 교과 원격수업의 전략과 이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기술 교과 원격수업의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for technology teacher sin the context of online start-up due to COVID 19.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122 technology teachers were collected in October using online survey. The online instrumen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technology classes by technology teacher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tform most frequently used by technology teachers in online technology classes due to COVID 19 was the ‘EBS online class’ and technology teachers use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most for online technology classes. Second, the difficulty of online classes felt by technology teachers was mostly students’ lack of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and they were found to be having difficulty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upport. Third, technology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online instruction and online platforms they were using. On the other hand,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on regarding online instruction. This study could be a basic data on the future direction and studies of improving online classes in technology education. In addition, continuous discussion and studies on online teaching strategies and issues in technology education are needed.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사례 분석

        도재우(Jaewoo Do),김수진(Sujin Kim),문제웅(Jewoong Moo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접촉이 제한된 상황에서 교육부는 학습결손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 개학을 시행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원격수업을 통해 정규수업을 제공하였다. 특히, 원격수업 수업 유형 중 하나인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은 높은 잠재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해당 수업 유형에 대한 낯섦과 설계자원의 부족이라는 한계로 인해.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사들의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이 가진 장점(실시간 피드백, 상호작용 촉진, 높은 교육효과성 등)으로 활용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교수자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실제 원격수업 사례로부터 교수자원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이 공개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사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사례별 다른 구성항목, 낮은 접근성과 내용 구체성 문제 등으로 개별 사례로는 기존 수업사례가 수행하던 교수자원으로서의 활용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수집된 사례들로부터 교사들이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설계 및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교수자원을 도출하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자연어 처리기법을 활용하여, 총 57개의 사례에 대한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고 이어서 의미연결망 분석을 진행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외에도 원격수업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들이 분석 결과에 대한 질적 해석을 통해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의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원격수업 활용을 위한 교수자원 제공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쌍방항 원격수업의 활용 현황과 수준을 질적연구적 시각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 연구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활용의 시사점을 제언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llustrate the key features of instructional resources for synchronous online course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run full online classes for the current semester to prevent learning disruption of students amid COVID-19. Although the government encourages in-service teachers to design and implement synchronous online courses during the semester, both teachers’ unfamiliarity and a lack of relevant templates on synchronous online courses limit its integration in schools. However, the needs of synchronous online courses is growing due to its benefits (e.g. prompt feedback, high interaction, and robust effectiveness on learning). Considering such needs,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the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support synchronous online courses for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s gathered a total of 57 sample cases that demonstrate the current integration of synchronous online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To resolve several data-handling issues from the sampled cases (i.e. low data accessibility and concreteness, unorganized formats of case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visualize keywords from individual case into a network model. The goal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to better extract meaningful instructional resource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synchronous online courses. To corroborate the result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expert reviewers carefully reviewed the networks and then presented those qualitative findings. Also, this study finding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use of synchronous online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이옥화 ( Okhwa Lee ),유민선 ( Minseon Yoo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완화를 위해 2020년도 4월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전국의 학교에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일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이 보인 인식의 변화,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 새로운 교육적 기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4월과 8월에 수집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고, 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온라인 원격수업의 형태는 학기 초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을 포함하는 혼합형 수업이었으나, 학기말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바뀌었다. 관심을 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도입은 학기 내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교사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이 온라인 원격수업의 장점을 잘 살리는 수업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원격수업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학기초에는 EBS 제공 동영상이나 교사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학기말에는 민간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직접 제작이 학생을 위해 좋다고 생각하나 학기 내내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지속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온라인 원격수업의 기술적 우려는 학기초와 비교해 학기말에는 크게 줄어들었다. 디지털 교과서나 다른 기술 사용은 용이성이 기술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교사들은 학기 초에 온라인 원격수업 운영의 큰 애로사항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부여 및 참여 유도와 같은 수업 활동을 꼽았고 이는 온라인 원격수업의 적응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교사들은 이로 인해 수업 전문성이 발현되기 어려웠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이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나오므로, 에듀테크를 통해 학사관리나 수업 운영을 지원받는 환경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비대면 수업 기간 동안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별학습으로 지원하여 교육격차를 완화시키는 기회로 삼는 창의적 적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been forced in 2020 April to alleviate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while experiencing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used two survey don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pril and August 2020,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distance learning, a “combined learning format” (including a content applied instructional model) was the most used, b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contents applied” format was most common.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though it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it draws most of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contents mostly used were teacher produced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BS videos, but at the end private sector produced contents were the mostly used.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 made video contents are effective but they were exhaus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o produce their own contents any more. At the beginning, teachers perceive how to motiv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online learning management as the most difficulty task for online instruction and it remained until the end of the semester. Teachers claimed that those difficulties prohibited teachers’ practice of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Teachers asked the support of EduTech to deal with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academic activities. Teachers recognized th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chools and showed creative adoption by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to release educational gaps.

      • KCI등재

        대학교 한시 전공 온라인 원격수업의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2020년 1학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이국진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9 No.-

        This article looked back upon the online class mode of majoring the Sino-Korean poemexecuted on the 1st semester of 2020 when they entered suddenly in the online educationworld due to the COVID 19, and groped its improvement plan. This showed that students'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online remote class, easy and activecommunica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s,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raisingthe attention and interests were the core elements of class of raising the learningperformance. Therefore, I think it is important to embody effectively in the online remoteclass the teaching method constructed so far, and use the strength of online remote class. It is necessary to use actively several digital data in that the Sino-Korean poem isa literature genre in which the musical element and pictorial elements stood out. Throughthis, students could reach the deep understanding of meaningful element when they feelthe Sino-Korean poem interesting and sympathize even with its emotional element. Moreover, the teacher should make more effort to his role of helping students to translatethe work in person, talk actively about their feeling and appreciation, think what meaningit has in their life and this world, and to share this learning activity among students. Through this, if putting the online remote class as the motive for a creative changeof teaching the Sino-Korean poem, I expect that the abundant artistry of the Sino-Koreanpoem and several literature contents would come nearer to today's students. 본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행한 2020년 1학기 한시 전공 온라인 수업 방식을되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생들의 반응을현장감 있게 확인할 수 없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온라인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중요함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의 능동적이고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주의력과 흥미를 높이는학습 콘텐츠 활용 등이 학습능률을 높이는 수업의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시는 음악적 요소(운율)와 회화적 요소(심상)가 돋보이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다양한디지털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업 방법은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한시를 흥미롭게 느끼고 그 정서적 요소(분위기)까지 공감하게 되면, 의미적 요소(주제, 생각, 사상등)에 대해서도 이해력이 깊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작품을 직접 번역해 보고, 적극적으로 느낌과 감상을 얘기해 보고, 그것이 나의 삶과 오늘날 세상에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러한 학습활동을 학생 간에 나눌 수 있도록 교수자가 도와주는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온라인 원격수업을 한시 교육 방법의 창의적인 전환의 계기로삼는다면, 한시의 풍부한 예술성과 다양한 문학 콘텐츠들이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실태 및 운영 방안 탐색

        김현집,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distance learning operation, and to explore the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plans for mor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the research, the author conducted a convergent parallel mixed study that complemen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distance learning operation of 3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recently conducted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xt,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research or data production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the most utilized type of distance learning was content utilization class. The platforms mainly utilized in the class were ZOOM and e-learning sites. The teachers mainly used self-produced contents because they could not secure sufficient amount of contents for special education or had difficulties in individualization for special students. The average time for one class preparation was 63 minutes, and average class was 25 minutes in length.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distance learning was more difficult to operate and brought heavier workload compared to face-to-face education. Teachers had been challenged not only by lack of digital literacy, but also by copyright issues and the burden of revealing classe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degree of student understanding, as it was difficult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or interact with the students in class. For these reason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low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as a demand for mor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various distance learning contents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special education distance learning platform(LMS) which is easy to accumulate and access special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They also hop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self should be designed to enable distance learning, and digital literacie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ltogether should be strengthened. As a means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insisted that life-oriented curriculum for distance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local community support for education and childcare should be conducted. Also, they recommended measures to utilize EduTech 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uggested utilization plans of remote control or macro settings in computer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cent research on distance learning, the author discussed the needed measures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원격교육의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고, 원격교육 운영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며,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특수교육 원격수업 운영을 위한 요구 및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질적 연구를 서로 보완하는 수렴적 병렬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최근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353명을 대상으로 원격교육 운영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다음으로, 특수교사 8명(특수학교 교사 4명, 특수학급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교육 운영 현황 및 실태와 관련하여, 특수교사가 가장 많이 활용한 원격교육 유형은 콘텐츠활용중심수업이었고, 혼합 유형을 선택한 경우에도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격수업에 주로 활용한 플랫폼은 ZOOM(실시간쌍방향수업)과 e학습터(콘텐츠활용중심수업)였고, 주로 활용한 콘텐츠는 교사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였다. 한 차시 수업 준비 시간은 평균 63분, 수업 소요 시간은 25분 정도였다. 둘째, 원격교육 운영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특수교사는 원격교육이 대면교육보다 더 어렵고, 업무과중도도 더 높아졌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원격교육 운영과 관련한 요구 및 방안을 알아본 결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특수교육용 자료를 모을 수 있고, 장애학생도 접근이 용이한 LMS형 특수교육 원격수업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최근 이루어진 원격교육 관련 연구 등을 토대로 특수교육 원격수업의 효과적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추후 국가별 특수교육 원격수업 운영 관련 현황 분석, 원격교육 수업모형 개발, 디지털역량 및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漢字語’ 및 ‘語彙’에 대한 원격수업 설계 및 운용 -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용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이 글은 우리나라 대학 교양수업 중, ‘한자어’와 관련한 ‘원격수업’을 여하히 준비하여 유익하고 효과적인 학업-성취도를 이뤄낼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된 것이다. 다만, 글의 성격 상, 학술적 논의나 혹은 이론적 典據를 제시하여 논증하였다기보다, 실재 필자의 대학 교양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임을 차제에 밝힌다. 이미 우리나라는 2019년 감사원의 지적에 따라, 〈고등교육법〉 상 대학內 ‘원격수업’을 20%로 제한시켜 놓았다. 이유는 ‘출결 관리 미흡’, ‘고등교육의 질 저하로 인한 학력 격차 우려’, ‘시험 관리 부적절’ 등,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작년(2020)부터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원격) 수업이 점차 확대되면서, 기존의 우려는 필연적 과제만을 남겨놓았고, 교양과 전공을 불문한 채 다양한 강좌에서 다소 결이 다르기는 하나 문제점과 대안들을 내놓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대학 교양수업 중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한자어’와 ‘어휘’를 어떻게 분류·선별하여 가장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지를, 실재 수업 사례를 예시로 작성되 었다. 요즘 중·고교 현장 교사들도 학생들의 기초 학력 부재로 인하여 모든 교과마다 학업 성취도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라고 한탄한다. 그러나 이는 대학교육에서도 마찬가지며, 원격수업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기도 하다. 이에 필자는 “원격수업은 인터넷 강의가 아님”을 전제하고, “원격수업 설계부터 학습전략, 그리 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보았다. 그리고 교수자가 원격(교양)수업에서 ‘한자어’와 ‘어휘’는 어떻게 선별함으로써 학습자들로부터 관심과 흥미를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하여 언급 해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교육의 질은 교수자(교사·교수)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명제는 대면수업 이나 원격수업에서도 결코 외면할 수 없음을 인지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이 원격수업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큰 요소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글의 결말을 맺었다. This article is described with a focus on how to prepare ‘online classe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during Korean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to achieve useful and effective academic-achievemen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article, it is first revealed that it was written based on the actual case of my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rather than by presenting academic discussions or theoretical grounds. In accordance with the criticism of the government supervisory authority in 2019, Korea has already limited the “online classes” within universities to 20% under the Higher Education Act. The reason was that various problems could arise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ck of attendance management,” “concerns about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poor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inappropriate test management.” Moreover, as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Pandemic” gradually expanded from 2020, existing concerns left only inevitable tasks, and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in various courses regardless of liberal arts and major. In the face of this situation, this article was written as an example of how to classify and select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during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and learn most effectively. These days,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lso have no basic educational background of learners, so they lament that it is a series of vicious cycles in which grades fall in all classes. However, this is the same in university education, and in this way, ‘online classes’ have been the biggest cause of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I systematically organized “Online class design, learning strategy, and efficient operation method” on the premise that “Online class is not an Internet lecture.” And I mentioned how the instructor can attract interest and interest from learners by select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in online classes. Above al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position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surpass the quality of instructors (teachers and professors)” can never be ignored even in face-to-face classes or online classes. And the article ended by emphasizing that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s the biggest factor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remote classes.

      • KCI등재

        원격수업 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유정,최고은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원격수업은 소통의 동시성을 기준으로 크게 실시간(synchronous) 수업과 비실시간(asynchronous) 수업으로 구분된다. 그동안 원격수업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고등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거나 실시간과 비실시간 환경에서의 소셜미디어 활용, 토론 등 수업 이외의 활동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최근 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원격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간 쌍방향 중심의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기반의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매개로 교사의 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실시한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교 3학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요 교과인 국어, 수학, 영어별 약 6,000여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원격수업 상황에서 교사의 교수활동, 원격수업 만족도, 학업성취도로 구성된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1) 모든 교과에서 교사의 교수활동이 원격수업 만족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2) 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에 다섯 가지의 교수활동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크기 차이가 존재했으며, 3) 비실시간 수업에서는 교과 전반에 걸쳐 교수활동 중 수업자료가 수업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학업성취도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원격수업 및 교수활동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온라인 교사의 메타버스 기반 원격수업 운영 사례 연구

        도재우(Do, Jaewoo),유정헌(Yu, Jeongheon),한원영(Han, Wonyoung),최선혜(Choi, Sunhye),박규리(Park, Kyuree),김태영(Kim, Tae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메타버스란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공간에서 사람·사물이 상호작용하며 경제·사회·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세계(플랫폼)를 말한다. 사회 전반에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 분야 또한 메타버스 활용방안을 학문적으로 탐색하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실증적 연구의 부족과 제한된 시각에서의 활용방안(성인학습자 대상, 행사 및 비교과 활동 운영 목적) 탐색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기반의 원격수업 사례를 소개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메타버스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의 원격수업 사례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수업 사례는 교수자에게 수업설계 및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교수자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수자원으로서 메타버스 기반 원격수업 사례 개발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각 온라인 교사의 메타버스 기반 원격수업 사례를 수업설계, 수업운영, 교사성찰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온라인 교사의 메타버스 기반 원격수업 운영 사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교과별 실제적인 메타버스 기반의 원격수업 설계전략, 운영전략을 제공한다. 연구결과는 자신의 수업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수업설계 및 운영에 대한 이해과 전략 개발을 돕는 교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Metaverse refers to a world(platform) in which people and objects interact and creat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a space where virtual and real worlds are fused. Interest in the use of metaverse is increasing. The field of education is also exploring ways to use metaverse, but existing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lack empirical research and explore ways to use them from a limited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ases of metaverse-based online course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cases of metaverse-based online courses to support teachers use of metaverse in their online courses. Course cases are one of the useful teaching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operation for instructors. This study explored metaverse-based online course cases of each online teacher as teaching resources by course design, course operation, and teacher refle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cases of online courses based on metaverse by online teachers of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practical metaverse-based online course design and operation strategies for each subject.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teachers who want to adapt metaverse in their own courses understand instructional design and operation and develop strategies for metaverse-based online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