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경제론의 식민지시대 역사인식 재조명

        조석곤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2

        사구체논쟁과 2차에 걸친 식민지근대논쟁을 통해서 우리는 식민지시대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었다. ‘1차 논쟁’은 개발과 수탈의 일면적 파악으로는 더 이상 식민지시대를 이해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2차 논쟁’은 경제성장의 양적 규모의 측정도 중요하지만,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의 변화 또한 중요함을 일깨워주었다. 이 주제를 다룸에 있어 박현채의 식민지종속형 자본주의라는 유형론은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이다. 그는 식민지하 자본주의의 발전을 인정하면서도 그 과정을 식민지하 ‘민족경제와 국민경제의 괴리’라고 인식하였는데, 이는 ‘2차 논쟁’의 쟁점 중의 하나였던 식민지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편으로 진행된 분배상의 불평등의 심화라는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는 성장의 과실을 재분배하는 시스템으로서의 민주주의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체제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장의 동력 또한 일본경제와 밀접한 분업구조 속에서만 작동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체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식민지체제의 유지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모순적인 경향은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의 장기지속성을 위협하는 요소였다. We can more deeply understand the colonial era after the social formation controversy in the 1980s and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the first one in the 1990s and the second one in the 2000s). The first one shows that neither the concept of exploitation nor that of development grasp the accurate aspect of the colonial era, the second one make us aware of the fact that we should focus on the standard of living of common people living in colonial era as well as the aggregate economic growth in that times. The theory of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argued by Hyunchae Park, is regarded as one of the useful analysing tools about the theme. The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was basically an system whose income inequality was deepened gradually, because the system did not have political democracy, a redistribution system of the economic growth. Nevertheless, because the motive of economic growth in the colonial era was generated by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within Japanese colonialism, the stability of this system was dependent on the continuance of the colonial rule. This inconsistency threatened the stability of the colonial economy in modern Korea.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조선(朝鮮),태만(台灣),중국신예작가집(中國新銳作家集))」(1936.1)과「조선현대작가특집(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문학안내」에 실린 “문학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장에 초점을 맞춰,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이 펼쳐졌음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제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했는가를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면서 제국 문단을 내면화하고 또 제국 문단에서 비껴난 접촉의 공간을 형성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주의 문학자들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그림자가 뒤엉킨 상황 속에서 ‘근로자 대중’이 직접 창작하는 문학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라는 잡지의 성격을 일종의 독자란인 「안테나」에 초점을 맞춰 규명한다. 둘째로 프로문학의 교조성을 탈피한 대중성, 출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근로자 대중의 현실에 기반하고 그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문학, 엄격한 검열에 대한 경계라는 양상 속에서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의식민지 문학 소개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1935년 10월부터 시작된 「새로운 보고」란의 식민지 문학 소개가 1936년 1월호의「朝鮮·台灣·中國新銳作家集」 과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국, 대만, 조선의 관계성 형성 속에서 고찰한다. 이때 대만과 조선이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고 제국 문단의 위계를 내면화 하는가를 비판적으로 논한다. 셋째로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 에 실린 작품들의 한국어 원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각각의 문학자들이 제국 문단에 소개되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어떤 지점을 드러내려고 했는가를, 각 문학자들이 지닌 내재적 논리(자본주의 비판, 식민지주의 비판, 식민지적 근대성 비판)를 통해서 드러내고, 이러한 논리들이 대만의 작가들의 전략과 어떤 공통점을 지녔는가를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것이 1940년대에 이것이 문학전집으로 묶일 때 무엇이 배제되는가를 1937년 2월 「문학안내」의 문학 특집과의 관련성이 강하게 보이는 「朝鮮文學選集」(1~3)(赤塚書房, 1940)의 편집의도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문학 특집과 문학 선집과의 제도적 연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1940년대라는 문단적 사상적 상황을 통해 드러내고, 1940년대에 만들어진 조선 문학 특집과의 비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1930년대 중반의 문단적 조건,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은 펼쳐졌다. 그런 점에서 문학특집은 포섭과 탈주가 공존하는 장이었다.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작가들이 제각각 지닌 논리(국제 사회주의 연대, 피식민지 지식인의 내면 묘사, 식민지 농촌 근대화 비판, 일본인들과의 다층적인 관계와 식민지 어촌, 하층민의 사투리) 등을 통해 번역했고 이것이 식민자로 하여금 새로운 소재=식민지 문학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있다. 또한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 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참조하는 과정을 밝혔다. In the middle of 1930’s, the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undergoing conversions, the print capitalism was emerging and the imperial censorship was strictly imposed. Under the harsh circumstances, Bungaku annai [Literary guide] carried special literary issues. I examine the works in them with the focus on colonial contacts. I notic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works in them adopted the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mselves to the imperial world, while comparing the original versions with the translated ones. Besides, I look into the temporal space in which Choson and Taiwan interiorized imperial literatures by implicating each other and twisted or foiled them at the same time. Firstly, Bungaku annai aimed to produce and publish literary works created by laboring masses. It contained the section called “Antenna” which carried the readers’ opinions, which complied with the magazine’s plan. Thus, I deal with the sec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goals of the magazine. Secondly, I show the processes in which the magazine designed the introductory sections for the colonial literature, based on popularity free from the ideological code of proletarian creativity stemming from the laboring masses despite the harsh imposition of censorship. The introductory section named “Fresh Report”, which began in October, 1935, developed into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35 and “The Special Issue of Contemporary Writers from Choson,” in February, 1937. I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 Taiwan and Choson, with a critical discussion about the way how they implicated, compared and stratified one another. Thirdly, the works in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have their original versions and translated ones.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brings to light the way how the writers strategically utilized the chances to be introduced to the imperial literary world, and their criticism against capitalism,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they fostered in their inner minds. I suggest the logics and strategies the Taiwanese and Choson writers shared in common through making comparisons. Fourthly, there appeared “The Special Issue of Choson Literature” in the magazine Bungei [Literary arts] in July, 1940. I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early 1940’s, when the language, together with themes, was beginn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mperial world and, thus, the “Choson” was “absent” from the colonial literary special issue. Then,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only in Japanese, whereas they, in the former days, could write in Korean and translate in Japanese. Here, they changed their strategies to represent their thoughts in the imperial literary situation. I treat the changing tactics they employed. Taiwan Koron [Taiwan opinion], which interiorized imperial literary systems, carried “The Special Choson Issue,” in December, 1943. None of the Choson writers, ironically, participated in arranging the Issue. However, Taiwan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colonial emotions like competitiveness, empathy, jealousy and others toward the Choson literature and culture. By carefully looking into the Issue, I reify the colonial conta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Choson. What is remarkable here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 victims of imperialist’s violence sold out their suffering experiences (or imparting their information) to the metropole of the empire which inflicted damages on them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the diaspora resisted the centrality the metropole sugge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riorized the empire. Now we ask a question how they appropriate or avoid them. I examine them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s well as between the colonized themselves. Together with them, I discuss the strategies the writers made use of when they translated their works into Japanese and expound their literary logics while deflecting the imperialist’s intents.

      • KCI등재

        토지로부터 분리된 농민과 투기자본주의 주체 사이

        권창규(Kwon, Chang-Gy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토지로부터 분리된 하층 농민들의 생존 모색 과정이 도박과 도둑질, 사기, 투기와 같은 일탈적 행위로 채워져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했다. 농민들의 일탈적 시도를 보면 김유정의 향토소설에 대한 전통적 평가에서처럼 농민의 건강한 생명력을 읽어내기도 어렵지만, 그렇다고 무지한 농민이 돈에 대한 탐욕으로 비인간화되어 가고 자본주의적 규율을 벗어난 대가로 징벌을 받게 된다는 해석에도 문제가 있다. 이는 하층 계급에 대한 식민주의적 해석에 합류하거나 피상적인 자본주의 논의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물들의 탈주를 농촌이 식민화되는 자본주의화 과정, 그리고 일제의 식민지자본주의와 투기자본주의 속에서 바라보고자했다. 하층 농민들이 보여주는 일탈적 시도는 식민지자본주의의 착취로부터의 탈피라는 의미를 갖는 동시에 위험이 일상화되고 동시에 일상이 위험에 처하는 오늘날 투기자본주의 속 일상의 모습을 예견하고 있다. 인물들이 맞는 예정된 실패의 결말 역시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주변인들의 말로를 보여주면서 자본주의의 비합리성과 투기성을 폭로한다. This study focused peasants isolated from lands and their illegal act of Kim you-jeong`s short stories. Many studies about Kim you-jeong`s work have discussed about proletarians" vital power or their desire for money. But both points of view are inadequate. It is not true that characters have vital power because they are proletarians. Also it is irrational that proletarians are dehumanized by their greed for money and executed because deviated from capitalistic discipline. This study discussed proletarians` deviation in the colonized rural districts as well as under the speculative capitalism during 1930"s. The transition from isolated peasants to speculative capitalistic people also announces speculative people"s appearance in the present.

      • KCI등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론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김남천 작 『사랑의 수족관』에 관한 논의는 주로 통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통속성의 문법을 채용한 결과 작가의식의 퇴보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작품에 대한 접근시각을 달리하여 ‘식민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의 식민지 경성은 식민지 경제성장을 위한 총독부의 정책과 경제공황 이후 만주진출로 인한 일본 경제의 급속한 회복으로 조성된 경제적․사회적 결과물이다. 조선의 공업화 과정에서 일본 대기업 독점자본이 한국을 경유하여 만주로 진출하게 되고, 조선인 자본가는 일본 자본과 결탁하여 유래 없이 막대한 이익을 취한다. 이 점에서 조선인 자본가의 영애인 이경희와 일본 철도회사 직원 김광호는 각각 조선자본과 일본자본의 수혜자인 셈이다. 한편 1930년대 경제성장은 ‘만주침략=만주진출’의 관계에서도 드러나듯 일본의 군국적 제국주의의 확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주붐으로 표현된 경제적 이윤추구 이면에는 제국주의의 확장을 위한 규율과 규범의 내면화를 가용하는 동일화의 논리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식민지 경성의 인물들은 이데올로기 장치의 ‘호명’되어 주체를 형성한다. 개인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화’라는 주체형성의 요구에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현상에 대한 분석을 결여한 채 감정과 인상에 의존하는 이경희의 시선은 대상을 이상화하고 욕망함으로써 동일화의 가능성을 열어둔 반면, ‘방관자’를 자임하여 분석과 해석을 통해 대상을 추상화하려는 김광호의 시선은 판단정지를 통해 전면적인 동일화를 유보하고 있다. 이경희는 자선사업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지만 결국 식민지인을 타자로 설정하고 통제하려는 식민당국의 논리에 동화되어 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무비판적인 동일화를 유보하던 김광호 역시 현실의 거대한 힘에 눌려 정신적인 방황을 거듭한다. 그의 분석적인 시선은 아직 식민지 자본주의 전체를 조망할 만한 인식능력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인물들이 외부 세계인 만주를 경험하고서 크게 변화한다. 만주는 식민지 본국의 독점자본세력과 군부를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 세력이 결합하여 건설한 근대적 공간이었다. 조선에 작동하는 자본주의와 식민권력의 복합작용은 내면화되었기에 쉽게 파악할 수 없었지만, 외부 세계인 만주에서 현실의 작동 원리를 목격하는 것이다. 이에 이경희는 자신의 신념이 내포한 허약성을 깨닫게 되고, 김광호는 시선의 방법론을 강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입각지를 마련하고서 경성에 복귀한다. 그러나 작가는 김광호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걷게 될 지는 미지수로 남겨둔다. 작가 스스로도 체제의 위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제 규율의 내면화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무비판적인 동일화라는 투항을 함몰되지 않고 비동일화의 가능성을 암시함으로써 우회의 방법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사랑의 수족관』은 단순한 통속성을 벗어나 진일보를 성취하고자 한 작가의식의 소산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Kim Namcheon's An Aquarium of Love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a respect of popularity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t's said that a grammar of 'popularity' which Kim adopted in his work made his critical mind as a writer blunt. But this thesis accepts the word 'colonial capitalism' as a keyword to understand the colonized Chosun. Kyoungseong is a city in which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employed the various policies to develop the colony and Japanese economy recovered through the advance to Manchuria. Japanese conglomerate's monopolistic capital went through Chosun to Manchuria and Chosun capitalists sponged on it. From this point of view, Lee Kyounghee and Kim Kwangho benefited from the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former is a daughter of Chosun capitalist and the latter is an official of Japanese railroad company.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velopment in 1930s, as you know it's achieved from the invasion to Manchuria, i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emphasized on and enforced the identification that people had to accept the rule of Imperialism to benefit from 'Manchuria Boom'. For instance, the colonialized are supposed to have the identities that were made by the 'interpellation' of Ideological Appuratus. This Process doesn't directly make the identities. The characters each response upon the call. Lee Kyounghee tried to accept the identity with the imperial self-consciousness with a point of impressive and sentimental view. She doesn't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only to idealize and desire them. For example, she has a conviction that she can develop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haritable works. But this conviction has the same logic that Imperial Japan can govern and control Chosun and Manchuria, the other. While, Kim Kwangho denies to accept absolutely the identity that imperial Japanese capitalism enforce. He, as an observer, tries to make the present situations abstract b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ut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reality makes Kwangho also wanders mentally because he has no analytic eyes to see the whole 'colonial capitalism' with. Characters' limitations are changed after their experiences of Manchuria, out of Chosun. Manchuria was the modern space that wa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lonial monopolistic capitalism and the Japanese militaristic imperialism. Characters in this work don't easily know the capitalism and the colonial authority because they internalized them in Chosun, while they can easily know them in Manchuria because it's outside of Chosun. So, Kyounhee perceives the fragility in her conviction and Kwangho comes back to Kyoungseong, which he can analyse with the methodological and objective eyes. Kim Namcheon, the writer didn't show Kwangho's future to us. It's left just a potential possibilities. Maybe even Kim didn't know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its representative Kyoungseong. But in An Aquarium of Love, Kim showed characters to us that denied the identification logic which the capitalism of imperial Japan enforced to them.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this work An Aquarium of Love results from the writer's critical mind to attain the progressive step forward from a simple popularity.

      • KCI등재

        식민지배와 민족국가/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에 대하여 : 『만세전』 재독해

        김항 ( Hang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이 논문은 염상섭의 『만세전』을 재독해함으로써 제국일본의 식민지배를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중첩된 본원적 축적이 담긴 텍스트로 재전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만세전』 독해는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핍진하게 묘사한 자연주의적작품으로 자리매김되거나, 그 자연주의적 시각에 식민자의 시선이란 한계가 내재된 작품으로 비판되거나 해왔다. 그러나 『만세전』에는 자연주의와 식민자의 시선이라는 기존 독해와 다른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 작품에 등장하는 장소들이 식민지배가 내장한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을 가시화시켜주는 방법을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식민지배와 민족국가 및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이 맺고 있는 상관관계를 다양한 이론적 틀과 고바야시 다키지의 『게 가공선』을 중심으로 일별한 뒤, 가장 최근의 염상섭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의 연구사적 위상을 가늠했다. 그 후 『만세전』에 등장하는 연락선과 부산이란 장소에 천착하여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이 식민지배 하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포착하는 방법적 시선을 추출하였고, 이러한 염상섭의 방법적 시선이 한반도에서의 식민지배를 비판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는데, 그 관점이란 민족을 주권의 담지자가 아니라 육체와 생명을 유린당한 존재로 사념하게 하는 ‘인민주권’과 ‘파르티잔 공공성’이다. 이 두 가지 개념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해 『만세전』의 현재적 의의는 새로운 조망 하에서 탐구될 수 있음을 결론에서 시론적으로 논했다. This article is to reexamne Yum Sang-sup`s Mansejeon as a text in which the primordial accumulation of colonial rule, nation state and capitalism in colonial Korea was thematized. Until today, the text have been read as one of the most well-made modern Korean novel on which naturalistic viewpoint to reality of colonial Korea, and recently was analyzed under so-called postcolonial methodology. In this article, another possibility of reading the text is examined, which is to read the text as a text in which the auther tried to capture the primordial accumulation of colonial rule and capitalism through a unique method that could be called ``the method of place`` where was the typical cites like a ship, the city Busan, or tombs in the novel. This methodological view point offers us a possible way for critic to colonialism by which we could escape from nation-centered criticism to colonial rule. In the final stage of reexamination of the text, this article present new concepts for critical approach to colonialism which are ``soveregnty of peple`` and ``partisan public practice.``

      • KCI등재

        동아시아 자본주의론의 진화와 마르크스주의의 기여

        정성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3

        마르크스주의는 옛 소련 붕괴 이전 동아시아 자본주의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이었으며, 21세기 오늘날에도 동아시아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진보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서 새롭고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글은 옛 소련 붕괴 이후 거의 망각되고 주변화된 동아시아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을 재발견하고 그 기여와 한계 및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먼저 20세기 이후 동아시아 자본주의론의 지배적 패러다임이 국가자본주의론, 발전국가론, 포스트 발전국가론, 새로운 국가자본주의론으로 진화해 온 것으로 파악한다. 그 다음 이들이 공유하는 문제점으로 방법론적 민족주의, 엘리트 발전론, 발전주의, 중국 모델론을 지적한다. 끝으로 노동 중심 접근과 포스트 발전의 관점에 기초한 포스트자본주의를 21세기 동아시아의 대안으로 제안한다. This article revisits Marxist contributions to theories of East Asian capitalism, which have been almost forgotten since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The article reconstructs the evolution of theories of East Asian capitalism during the 20th century as the succession of state capitalism, the developmental state school, the post-developmental state, and the thesis of new state capitalism. Existing theories of East Asian capitalism are shown to be problematic in that they share methodological nationalism, elite development theory, and developmentalism. Postcapitalism is proposed as a Marxist alternative to East Asian capitalism, as it adopts labor-centered and post-development approaches.

      • KCI등재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1980년대 후반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

        홍종욱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In the 1980s, Korea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Changes in Korean society came along with the global post-Cold War era. Japanese critical intellectuals tried to interpret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atoru Nakamura, a Marxist historian,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presented a new world history statue based on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Hideki Kajimura, who led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xplained Korea as peripheral capitalism that develops dependently. Until the mid-1980s, South Korean critical economist Ahn Byeong-jik adhered to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ety that denied Korea’s capitalist development. In 1985, with Ahn Byeong-jik’s study in Japan, a Korea-Japan joint research was planned to explore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Critical intellectuals from both countries put their heads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discussed repeatedly to historicize the colonial experience. Decolonization is possible by facing and historicizing the colonial experience. Ahn Byeong-jik accepted Nakamura’s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in the course of his joint research. However, this joint research cannot be simplified as the origin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 Korea-Japan joi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economy can be position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onial research that began in earnest after the 1990s in that it attempted various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es. 1980년대 한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뤘다. 한국 사회의 변화는 세계적인 탈냉전과 함께 찾아왔다.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한국 사회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노력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나카무라 사토루는 한국의 발전에 주목해 중진 자본주의론에 바탕한 새로운 세계사 상을 제시했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 근대사 연구를 이끌던 가지무라 히데키는 한국을 종속 발전하는 주변부 자본주의로 설명했다. 한국의 비판적 경제학자 안병직은 198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지 않는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을 고수했다. 1985년 안병직의 일본 유학을 계기로 한국 경제 발전의 역사적 조건을 탐구하려는 한일 공동연구가 기획되었다. 양국의 비판적 지식인은 처음으로 머리를 맞대고 식민지 경험을 역사화하기 위해 논의를 거듭했다. 탈식민은 식민지 경험을 직시하고 역사화함으로써 가능하다. 안병직은 공동연구 과정에서 나카무라의 중진 자본주의론을 수용했다. 다만 이 공동연구를 식민지 근대화론의 발원지로 단순화할 수는 없다.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는 식민지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이론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하는 식민지 연구의 원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자의 미학과 피식민자의 문학: 전체화하는 자본, 식민지 모더니즘의 문학주의

        최현희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5 No.-

        This paper regards Korean modernist writing during late colonial period (1937∼45)as literarist practice, which I understand as the only viable option to resist the Japanese empire’s totalitarianism. The meaning of the era in Korean history is often epitomized with the slogan of “Naisenittai” (Naesŏnilch’e, Japan and Korea in one united body), whose primary purpose was Korea’s complete integration into Japan. From Korean nationalist viewpoint, the era must be defined as the opposition between nation and empire. However, this was the era of the world war that culminated the macroscopic measures to overcom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t modernization throughout the world. In this sense, the opposition of capital vs. totality becomes much more crucial than that of empire vs. nation. The mainstream Japanese ideologues believed that capitalism’s main defect was its principle of individualism, which ignored society’s essential totality, and proposed the political totalitarianism as the only viable solution. Miki Kiyoshi,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is line of thought, converted from Marxism to this sort of totalitarianism. In his opinion, capitalism became irreparably self-destructive because it ignored the reality of society’s self-evident totality and gave in to the abstract ideal of individual autonomy. Miki’s plan of revolutionary transition from this pitfall was political realism that restored the value of totality in every individuals of society. However, he ignored the fact that capitalism is essentially transcendental in the sense that it establishes itself by actualizing the image of the individual whose only concern is to pursue one’s own profit. Once this image is realized, capitalism perpetuates itself by concealing the image’sorig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theoretical character of capitalist modernization, not to actually overcome it with practical-realist strategy. In other words, capitalism’s theory of self-generation is dramatization, by which it reduces everything transcendental to itself. To resist against capitalism, therefore, one needs a theory of re-dramatization, by which one reduces itself to capital’s theory of movement. What I mean by literarism is this re-dramatization and it is what I read from Ch’oe Myŏngik’s 1937 modernist fiction, “Musŏnggyŏkcha” (Man without Character). 이 글은 일제 말기(1937∼45) 한국 모더니즘 소설로부터 문학주의적실천을 읽어내고 이를 전체주의에 대한 적극적이며 유의미한 저항으로 평가한다. 일제가 중국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개막된 일제 말기는식민 당국이 식민지 조선을 본국인 일본에 강제로 동화시키는 ‘내선일체’의 시대로 규정된다. 따라서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일제 말기를 ‘제국’과 ‘민족’의 대립기로 파악하는 것은 온당해 보인다. 그러나 세계사적 차원에서 보면 이 시기는, 자본주의 근대화가 전지구적 차원에서 초래한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흐름이 전면화되면서 세계전쟁이 발발한 때였다. 이때 제국 : 민족의 대립보다 중요한 것은 자본 : 전체의 대립이다. 제국 일본의 이데올로그들은 자본주의 문제의 본질이 사회 전체의 레벨을 고려치 않는 개인주의에 있다고 보고, 정치적 전체주의가실현되면 자본주의는 저절로 초극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경향에 속하는 대표적 논자인 미키 기요시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마자 마르크스주의로부터 이러한 전체주의로 전향한다. 미키가 볼 때, 자본주의는사회 전체라는 ‘현실’을 무시한 채 개인의 자율성이라는 ‘추상’에 함몰되었기에 파탄 지경에 빠졌다. 따라서 그는 개인이라는 부분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정치적 현실주의를 취하는 데서 혁명의 실마리를 잡는다. 그러나 이는 영리를 추구하는 개인이라는 가상을 실현시키며 성립하지만, 일단 현실로서 자리 잡으면 그 가상성을 은폐함으로써 영속하는, 자본주의의 초월론적 성격을 간과한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문제를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 근대화의 철저히 이론적 성격을 드러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모든 초월적인 것을 자기 현실로 환원시키는 자본주의의 핵심 원리가 극화(劇化)라면,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자기를 자본이 운동하는 방식으로 환원시키는 방법, 즉 재(再)극화가 필요하다. 이 글은 이 재극화를 일러 문학주의로 명명하며 그 대표적 작품으로 최명익의 1937년 작 「무성격자」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에서의 오리엔탈리즘 - 1980년대 사회구성체논쟁 중심으로 -

        금인숙 ( In Sook Ku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3

        본 논문은 한국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의 재정립을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서 1980년대 사회구성체논쟁의 인식구조로 작용하고 있는 유럽중심주의의 오리엔탈리즘 양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회전체를 논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었던 사회구성체논쟁으로부터 주창되어 나온 한국사회의 성격론과 변혁론 가운데 사회운동권과 사회과학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동시에 지적 헤게모니를 장악한 4개의 이론에 대한 텍스트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인식틀과 개념틀은 서유럽의 자본주의 사회성격과 변모과정을 과학법칙과 보편사로 일반화한 반면에 한국사회에 이중의 타자성을 부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이었다. 주변부자본주의론의 인식구조는 유럽중심주의 시각의 교정과 비서구사회의 독자성의 인정으로 오리엔탈리즘이 어느 정도는 해체된 양태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완전한 해소가 아닌 변형으로 비서구사회에 대한 열등성 부여의 존재규정 개념이 주변부로 체계화된 수정주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식민지반봉건사회론에서도 인식주체의 관점이 서유럽에서 비서유럽으로 수정되었고, 한국사회의 독특한 생산양식과 모순구조에 대한 일반화가 혁신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5단계 사회발전설을 과학법칙으로 간주하는 인식틀과 개념틀이 그대로 남아있는 관계로 수정주의 오리엔탈리즘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은, 한국사회의 신식민성과 종속성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독점자본주의와 유사한 양태의 오리엔탈리즘의 인식구조에 머물러 있었다. 서유럽의 일부 사회에서만 국한되어 나타난 극히 특수한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변천과정을 합법칙성의 보편사로 간주하고, 그곳에서만 유일하게 핵심모순으로 작용한 노자간의 계급모순을 기본모순으로 이론화한 패권주의 오리엔탈리즘에 고착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통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한 변혁론에서는 북한사회와 남한노동자마저 타자화하는 자유주의와 엘리트주의 오리엔탈리즘의 양태까지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사회의 모순구조의 독특성과 함께 보편성이 담보된 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좌파지식인의 세계해석에 내재되어 있는 뿌리깊은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a precondition for reconstructing the Korean Marxist social science,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a variety of forms and contents of orientalism, which function as a cognitive frame in the disputes among Marxist social scientists on the social formation of South Korea in the 1980s. It did a contextual and textual analysis about four social formation theories, all of which gained intellectual hegemony from both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and the social scientific community. Its analytical outcome reveals that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y was shaped by a conventional form of orientalism, in which capitalism of western Europe was generalized as a scientific law and its development processes were universalized as world history, thus othering South Korea double. The cognitive structure of periphery capitalism theories have a form of revisionist orientalism in which Eurocentric viewpoints were revised and the ontological uniqueness of non-Western societies recognized, but the concept of inferiority to non-Western countries was systematized into periphery. In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al formation the orientalist framework of cognition was considerably deconstructed as well, because the angle of Eurocentrism disappeared and an innovative try, such as generalizing Korean peculiarities, appeared instead. But it was not totally free from orientalism by regarding Marx`s five-stage hypothesis of social development to be universal and scientific. Neo-colonial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ies show a form of orientalism as that of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ies. They remained expansionist orientalism considering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and its changing courses, restricted to some Western societies, as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rationality of scientific laws, and theorizing class contradictions between labor and capital into the fundamental. In addition, they disclose even some elements of liberalist and elitist orientalism by othering the working class people of South Korea as well as North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a prerequisite to deconstruct the orientalism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world interpretation of left-wing social scientists, in order to reconstruct Korean Marxism based upon the socially weak people`s lived experiences under the contradiction structure particular to Korea and applied to other societies.

      • KCI등재

        수전노,탕자,사회주의자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식민지 자본주의-

        강지윤 ( Ji Yun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이 글은 「삼대」와 「태평천하」라는 한국근대문학의 대표 장편소설이 재현하고 있는 수전노·탕자·사회주의자라는 형상을 아버지-아들의 관계와 자본의 상관성이라는 관점을 통해 문제적으로 읽어보고자 하는 시도다. 한국근대문학사에서 부유한 아버지와 방탕한 아들이라는 설정을 취하는 서사들은 대체로 착취 지주와 불노소득의 혜택을 입은 후손을 ‘탐욕적 개인’으로 재현한다. 이 글이 주목하고 있는 소설 속 수전노와 탕자의 인물형 역시 돈과 관련된 어떤 ‘과잉’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인물들은 과잉된 욕망을 가진 비윤리적 주체로 관찰된다기보다 자본의 기계적인 증식/소모 운동의 대리자처럼 나타난다. 이러한 독해는 이들이 하나의 거대한 메커니즘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켜준다. 말하자면 이 같은 포착은 자본에 대한 욕망을 개인이 체현하고 있는 과잉 욕망이나 부덕한 심성 등으로 환원하는 것보다 식민지 자본주의 경험을 좀 더 구조적으로 조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여기에 「삼대」와 「태평천하」에서 탕자 아들과 대비되는 사회주의자 아들/손자이라는 제 3항을 대입시켜 볼 필요가 있다. 사회주의자야말로 근대소설사에서 가부장으로부터 가장 확고한 단절을 이룬 인물이라는 사실은 아버지-아들 관계에 대해 자본이 가진 지배적인 영향력을 새롭게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염상섭과 채만식의 소설에서 사회주의자가 ‘자본’과 동시에 ‘아버지’로부터도 외재적(外在的)인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볼 수 있다. 자본주의적 경험이 인신지 배적인 계층제도나 가부장적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개인의 이동성을 확대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반대로 이 소설들은 식민지 조선에서 아버지-아들 관계가 자본에 의해 더욱 구속적이 되어버린 양상을 포착하고 있다. 이것은 식민지 조선이 충분히 자본주의화되지 못한 채 전근대적 잔재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적 착종을 드러내고 있는 지점으로 다시 분석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에서 돈의 힘이 맹목적이고 가치전도적이라는 것은 모든 것을 물질화한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가치체계와도 결합해 전도하는 침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selects “Miser”, “Prodigal” and “Communist” in Yom Sang-sup’s Sam-dae and Chae Man-shik’s Tae-pyoung-chon-ha as the problematic figures with regard to colonial capitalism.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a rich landlord father and his prodigal son is typically described as “greedy” individuals. However, skin-flint fathers and their prodigal sons in both novels reflect the monetary circulation of capitalist system while the fathers identify themselve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money and the sons show the anti-drive against their fathers’. This analysis can help to gain the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n problems of colonial capitalism. In regard to this, “Communist” figure can be interpreted as a narrative element revealing the involvement of “the capital” in father-son relationship, because the Communists were positioned external not only to capitalist system but also to “the fathers” in narratives. For the last, what is to be added is that “bourgeois patriarchs” appeared as positive figure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World War Ⅱ. Kim Nam-chon’s Sa-rangui- soo-jok-gwan and Park Tae-won’s Yo-in-sung-jang dealing with the theme of “happy marriage” seem to reflect the long existing discordance of father/capital-son relation and to try its symbolic reconci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