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김효수,진용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개 학교에 실행해보고, 그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협의문화 변화를 추동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 적용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과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수업나눔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수업나눔의 의미는 개인적 측면으로 수업의 본질 추구, 수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 교사의 자존감 회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등이 나타났고, 관계적 측면으로 격려와 지지의 공동체 경험, 학생과의 관계와 일상의 삶으로 확대, 마음의 연결됨을 경험, 존재로의 만남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계로는 시간부족, 강제성, 직면 단계의 어려움, 여전히 부담스런 수업공개가 두드러졌다.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도출 결과 자발성, 관계, 시간, 학교분위기, 관리자 마인드, 교육청의 지원 등이 있었다. 첫째, 자발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휠씬 수업나눔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았고, 수업나눔 적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원활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충분한 관계성이 형성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촉진되었다. 넷째, 외부촉진자와 내부촉진자의 선순환 역할이 중요했다. 외부촉진자인 수업코치와 단위학교 내에 수업협의 문화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 혹은 그룹인 내부촉진자가 있을 때 좀 더 수업나눔이 잘 정착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기반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8개학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실행해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수업협의문화 변화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other teachers and changing the customary class criticism at schools. The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coaching of teaching and apply that at 8 schools, and to compare the processes at schools to find factors of changing school culture, then to consider how to conduct the program at school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were able to be found by surveying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in terms of advantages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a teacher can seek the essence of clas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build self-esteem, get self-confidence in clas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relation, a teacher can benefit from a encouraging and supporting community, have out-of-classroom fellowship with students, have open hearts each other, and have personal and informal fellowship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time, unwillingness, tendency of avoiding objectively facing oneself as a teacher, negative feeling on showing one’s class to others. The promoting factors of the discussion-on-class-culture throughout the instructional sharing are one’s willingness, relation, time, school environment, the philosophy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assistance from an education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unit schools and to implement them for a long time in 8 schools. Based on thi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change and factors of school culture that teachers perceive.

      • KCI등재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나눔 경험이 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김안나(Kim an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수업나눔을 통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이 어떤 양상을 보이며, 어떤 의미를 주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K와 H유치원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에게 수업나눔의 경험은 단순히 교사모임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영상이 하나의 관찰 대상으로서 수업나눔을 준비하고, 수업나눔의 장을 펼치며 수업영상을 보며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수업나눔에 대한 각 개인의 경험 양상은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수업나눔의 경험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한편 유아교사는 수업나눔에 대하여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유아교사로서 반성하는 기회가 되었고, 수업전문성 신장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로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나눔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기폭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사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임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spects and meanings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in study community through class sharing. For this, ten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for K Kindergarten and H Kindergarten were surveyed. This study found that for kindergarten teachers, class sharing experience means preparing class sharing, performing class sharing and analyzing and evaluating a class watching video of a class beyond simply participating in teachers’ gather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lass sharing experience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urveyed but most kindergarten teachers give a special meaning to class sharing experience. Meanwhile, through class sharing experienc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awareness of a class,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mselves as a kindergarten teacher and considered class sharing experience as teachers’ study community to achieve common goal of improving class expertis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lass sharing provided to kindergarten teachers can play a role as catalyst for improving class expertise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clarify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study community.

      • KCI등재

        중등 수학 수업에서의 나눔 사례를 통한 수업 성찰문 개발 연구

        황혜정,문두열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4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해 성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 나눔을 통해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은 교사로서 온당한 일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성찰과 수업 나눔을 위해 기준과 초점을 제시할 수 있는 수업 성찰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최승현, 2007; 황혜정, 2012)의 수업 평가 기준을 토대로 수업 성찰 요소를 마련하고 수업 성찰문 초안을 마련하였다. 공동 연구자가 재직 중인 C고등학교의 3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동일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동료 교사 4명은 수업 성찰문 초안에 기초하여 수업에 대한 개인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나눔을 실시하고 해당 수업 나눔 사례를 분석하여 수업 성찰문(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수업 성찰문의 문항별 질문 의도를 사전에 공유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의 특정 요소에 국한, 집중하여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 작성과 더불어 수업 나눔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다. It would be reasonable as a teacher to make efforts not only to reflect on the class on their own but also to improve th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by reflecting on the class with fellow teachers through lesson reflection sharing. This paper attempted to develop a lesson reflective framework that can provide standards and focus for lesson reflection and lesson sharing. First, based on the class evaluation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class reflection elements and a draft of lesson reflection were prepared. In a class conducted on 27 third graders at C High School where the co-researcher worked as a teacher, four peer teachers at the same high school were required to write personal opinions on the class based on the draft of lesson reflection. Based on this, lesson sharing was conducted, and modifications of the lesson reflection framework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case of class sharing.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indicate the need to clarify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lesson by sharing the intention of each question in advance. In addition to writing lesson reflections, it is necessary to share classes simultaneously.

      • KCI등재

        반성적 수업나눔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과 변화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은남,안순주,김민선,임명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아시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수업나눔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변화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 학 습공동체에서 수업 성찰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활용하는데 실천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성적 수업나 눔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초등교사 7명을 대상으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는 3명의 합의자와 3명의 감수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반성 적 수업나눔 프로그램 참여 동기’, ‘반성적 수업나눔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경험’, ‘반성적 수업나눔 프로그램 참 여 후 수업의 변화’, ‘반성적 수업나눔 프로그램 참여 후 삶의 변화’까지 4개의 영역과 2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참여 동기는 수업 성장의 욕구와 정체성 형성 등 5개 범주가 나타났고 참여 과정에서의 경험은 깊은 내면 성찰을 통한 자아 회복, 신뢰하는 공동체 형성 등 6개 범주가 나타났다. 참여 후 수업의 변화는 수업에 대한 효능감 습득, 정체성을 찾고 원하는 수업 추구,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계의 회복 등 6개 범주가 나타났고 참여 후 삶의 변화는 자기 수용과 인식의 변화, 수업과 삶을 나누는 공동체 형성 등 6개 범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배움과 나눔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과학수업 학습능력 신장

        진영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1

        This study is fundamentally for increasing students' learning ability by overcoming present students' refuge phenomenon, in other words, class disruption and helping students to recognize science as a fun subject that is deeply related to our life. The teaching processes to achieve this goal are building relations of what our society is requiring, learning model of interaction posed by communication and sympathy applying to constructivist teaching theory which is the 'learning and sharing community class'.I divided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aring community class' into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greeting with a warm hello for smoo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n three minutes strategy which is setting study goals by oneself to get the main points of the class and lastly, triggering interest and suggesting the study direction by opening students' thoughts. The second step is understanding the study contents with the teacher, then 'solving by ourselves!' which is a step for strengthening the basics and lastly, a step called 'together with the group members!'. The last third step is internalizing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studying process by returning the process of debate and presentation class and recording the 'learning and sharing activities'. Students soon will be able to research the study work by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by network between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and teacher-student-teaching material thorough the planned studying process. Finally, increase of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ill naturally be executed within the process of consideration of others and cooperation. 이 연구는 근본적으로 지금의 학생들이 배움(수업)으로부터 도피하는 현상, 즉 학교붕괴(교실붕괴) 현상을 극복하고, 과학수업에서 과학을 어렵고 딱딱한 교과라는 인식으로부터 재미있는 과학, 우리 생활과 가까운 과학으로 인식시켜 과학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으로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관계형성, 상호작용에 의한 소통과 공감의 수업모형인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배움․나눔 공동체수업을 구안․적용하였다. 배움․나눔 공동체수업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눠진다. 1단계는 원활한 상호작용과 소통을 위한 따뜻한 인사 건네기-수업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한 스스로 탐구목표 세우기 3분 전략-생각열기를 통한 흥미유발 및 수업방향 제시이다. 2단계는 교사와 함께 수업내용 파악-기초다지기 과정의 혼자 풀어요!-점프, 도전과제의 모둠원과 함께해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 3단계는 되돌리기 과정의 전체토론 및 발표수업, 배움․나눔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수업과정을 정리하고 내면화한다. 이처럼 철저하게 계획된 수업과정을 통해 교사-학생, 학생-학생, 교사-학생-교재․교구와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수업내용을 탐구하고 문제해결력을 기르며 내면화하게 된다. 결국 서로를 배려하고 협력하는 과정 속에서 과학수업의 학습능력 신장을 가져오고, 공동체의식이 함양되어 인성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

        견주연(Kyun Ju-Yo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K대 유아교육과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수행한 4학년 예비유아교사 6명, 8년차 이상의 경력을 가진 현직유아교사 3명, 총 9명이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주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계획, 수행, 평가의 전반적 과정 및 집단면담,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분석, 수업비평 및 집단면담 등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유아교사의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는 1) 수업역량에 대한 ‘낮은 기대인식’에서 보다 ‘높은 기대인식’의 제공자로, 2) ‘저자극제’에서 ‘자극과 반성적 성찰의 기폭제’로, 3) ‘단순한 예비유아교사’에서 ‘함께 성장해가야 할 협력자’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직유아교사에 대한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는 1) ‘불안감과 떨림의 근원자’에서 ‘기대감과 자신감 상승의 지지자’로, 2) 갈팡질팡했던 ‘진로 고민의 무관련자’에서 ‘진로 확정의 조언자’로, 3) ‘그저 어렵고 불편한 존재’에서 ‘동행할 수 있는 동반자’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와의 수업나눔 경험이 이들 상호 간에 보다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가 보다 질 높고 다채로운 수업 실현 및 예비유아교사(교원양성기관)와 현직유아교사(유아교육현장)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하나의 기초 연계방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lesson-sharing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 fourth-grad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ho conducted mock classes at K university 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experience, and 9 in total.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mainly based on the overall process and group interview of th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s mock class plann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class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 review, and group interview.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lesson-sharing was changed positively. Seco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lesson-sharing was changed positively as wel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lesson-sharing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me a more positive and meaningful occasion for the chang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linkage plan for the realization of higher quality classes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숲교육에 대한 수업나눔 사례연구: 행복숲모임 세 숲선생님을 중심으로

        권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contains the theme of sharing forest education lessons. Lesson-sharing is an activity wherein forest teachers share videos of their teaching process and how it is shared with other teachers. It was attempted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lesson-sharing that the forest teachers talked about while showing their lesson videos to their fellow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rest education lessons were record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lesson-sharing. The collected data was continuously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reconstr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understanding forest education class sharing, the aspects of lesson- sharing are understood as sharing, conflict, and compromise. Three forest education video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teacher’s self-reflections identified three types of forest education aspects: farmer, fisher, and guide. The difference is that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the body-head-mind as an orientation for forest education is different. Through lesson-sharing, the teach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forest education and extend their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for forest educators to understand concrete forest education better than before through forest education lesson-sharing. Looking at the details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forest education, which will allow us to draw its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orest education. 이 연구는 숲교육 수업나눔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수업나눔은 숲선생님들의 자기 이해를 위해 숲교육 영상을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눈 활동이다. 숲선생님들이 자신의 수업영상을 동료교사와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던 활동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위해 숲교육의 모습을 촬영하고, 수업나눔의 모습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재구성하면서 연구결과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숲교육 연구에서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이해할 때, 수업나눔의 양상은 공유, 갈등, 절충으로 이해하였으며, 수업나눔에서 드러난 세 가지 숲교육의 공통점은 참가자를 존중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차이점은 몸-머리-가슴의 통합을 숲교육의 지향으로 바라볼 때 중점을 두는 것이 다른 것을 발견했다. 수업나눔의 결과 세 숲선생님이 생각하는 숲교육은 농부형 숲교육, 어부형 숲교육, 안내자형 숲교육으로 정리하였다. 수업나눔을 통해 숲선생님은 자신의 숲교육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동료 숲선생님의 숲교육을 함께 보면서 서로의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통해 이전보다 숲교육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은 숲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실제를 자세히 바라보는 일은 지금의 숲교육을 이해하게 하며, 이를 통해 숲교육의 앞날을 그려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숲교육다운 숲교육을 모색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와 그 특징

        김종훈(Jongh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이 연구는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사례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전문성 신장 방안의 전략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나눔사례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로 이루 어진 한 교사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는 무엇인지, 이들의 의미형성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 나눔의 의미는 ‘교수 실천에 대 한 성찰의 기회’, ‘협력적 학습의 장’, ‘공동의 수업 설계 과정’,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공간’이었다. 또한, 교사들에 의해 형성된 수업 나눔의 의미에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주요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향후 교사의 의미형성과 관련된 후속 연구와 교사교육 관련 제도 및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f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voluntary and continuous efforts of sharing pedagogical experiences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Specifically,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ning of ‘lesson sharing’ formed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teachers’ meaning-making. For elementary teachers, lesson sharing means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eaching practice’, ‘the field of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ocess of collective lesson planning’, and ‘the space to share emotional bonds’. In addition, the meaning of lesson sharing formed by teach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eacher education in relation to teachers’ meaning-making.

      • KCI등재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분석―수업 후 수업나눔 단계를 중심으로

        진용성 ( Jin Yongseong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3

        이 논문에서는 국어과 수업혁신을 위한 방안으로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수업코칭의 개념과 절차를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다루었다. 이는 3장에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는 틀로서 적용 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대화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4장에서는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에 나타나는 질적인 특징을 거시적·미시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코치와 수업자 사이의 적극적인 쌍방향의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둘째, 수업나눔의 단계는 선형적이지 않고, 다양한 패턴과 유형을 보였다. 셋째, 수업코치의 공감적 듣기와 수업자의 자기노출의 실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 instructional coaching conversat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s and procedures of instructional coaching and how we apply this model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conversations. In Chapter 3, we present methods of dialogue analysis. Chapter 4 analyze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structional coaching dialogu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tiv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coach and teacher; the execution of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sharing; effective emotional listening by the instructional coach; and self-exposure of the teacher.

      • 비대면 수업의 상상 세계

        홍영일 ( Hong Young 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 교육 환경의 디지털화를 앞당겼다. 특히 교실에서 일어나는 대면 수업처럼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화상수업은 교수실재감을 높여줌으로써 교실에서와 같은 소통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장점들이 확인되면서 이제 새로운 모임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비대면 요가 수업에서는 참가자들이 옆 사람 눈치를 안봐도 되므로 자신의 자세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비대면 등산 수업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서 따로 또 같이 등산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비대면 토론 수업에서는 화상과 채팅을 동시에 활용하며 모든 참가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의견을 쏟아내면서 활발한 소통과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비대면 수업의 경험들이 쌓이면서 서로 공유하는 모임도 활성화되면서 많은 교육자들이 자신감도 회복해나가고 있다. 향후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전면 등교 수업이 진행되더라도 이미 경험하여 장점을 맛본 비대면 수업의 요소들은 그대로 활용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video classes, which allow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such as face-to-face classes in classrooms, are now forming a new gathering culture as they are not only capable of communicating in classrooms but also have 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classrooms by enhancing teaching presence. In non-face-to-face yoga class, participants don’t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erson next to them, so they can be more immersed in their posture. In non-face-to-face hiking class, participants can enjoy the effect of hiking separately and together while keeping Social Distancing. In the non-face-to-face debate class, video and chat were used at the same time, and all participants poured out opinions simultaneously, showing that active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ere possible. As the experiences of these non-face-to-face classes accumulate, meetings that share with each other are also being activated, and many educators are also recovering their confidence. In the future,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held in the With Corona era, the elements of non-face-to-face instruction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nd tasted advanta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y 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