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위한 이론과 실천의 만남

        이연주,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4

        Individuals in a modern society are required to equipe themselves with a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critical reflection helps them overcome the old way of thinking, knowledge and approach to the problems from new perspective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dividual lives, is one of major goals in adult and higher education. Also, improvement of critical reflection is considered as both the final goal of learning and important function of facilitators. However,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be decisive on the outcome of learning, has not been given enough academic consideration. Thu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mportance of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theories of critical reflection, an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courage facilitators of the field to reflect critically. The previous literature has shown that critical reflection of facilitation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acilitators' own critical reflection. This ambiguity of facilitation requires facilitators to critically reflect on two things: First, a facilitator should reflect critically, which is to objectify himself for the improvement of himself. Second, a facilitator should encourage the learner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mselves, which is for the better outcome of education. A facilitator should be aware of both sides of critical reflection.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a productive environment for the facilitation. Finally, in order for individual’s critical reflection to be connected with community and our society should make great efforts to build a climate conducive to the 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은 개인의 삶에서부터 사회공동체의 발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성인교육과 고등교육의 목적으로 중시된다. 학습자 편에서는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학습의 최종 목표이자 퍼실리테이터의 중요한 역할이다. 최근에는 교실을 넘어 일터에서의 생산적 성찰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에 관한 이론적 고찰은 일천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학습에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을 검토하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착수되었다. 지금까지의 문헌 분석 결과, 퍼실리테이터는 조직학습을 이끄는 동시에 자신의 삶을 스스로 촉진하는 개인학습자이기도 하다. 이러한 퍼실리테이터의 양면성은 퍼실리테이터에게 두 가지 비판적 성찰을 요구한다. 내적으로 퍼실리테이터는 자신의 성장을 위해 스스로를 대상화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비판적 자기 성찰(주관적 재구성)이 요구된다. 외적으로 퍼실리테이터의 효과적 역할 수행을 위해 학습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실천면에서 퍼실리테이터로서 스스로를 퍼실리테이션 하는 비판적 자기성찰과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을 돕는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퍼실리테이터와 학습자가 만나는 학습현장을 비판적 성찰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야 할 책임이 퍼실리테이터에게 있다. 끝으로 비판적 성찰이 개인수준에서 공동체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와 조직에서 비판적 성찰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이희수,정미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pathways of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the core constructs in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which has integrated psychological as well as sociological perspectives in adult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light of the theoretical transition from a psychological approach to a sociological perspective in adult learning scholarship. In doing so, Lewin's Change Theory (1951)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oretical pathways and Finger & Asún's categories of adult learning theory (2001) was adopted for the scope of adult learning theories to be examined. In particular,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Symbolic Interactionism,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and Critical Pedagogy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eoretical pathways. In the Unfreezing stage, the conceptual nature of reflection focused on individual problem solving with the dominant influence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adult learning, such a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Symbolic Interactionism. In the next Moving stage, psychological perspectives were still dominant, especially according to Mezirow’s view,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were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before with their particular emphasis on communicativ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f adult learners in social context. In the final stage of Refreezing, sociological perspectives such as Critical Theory and Critical Pedagogy became dominant as the theories for social transformation and self-emancipation. Through these stages of perspective changes, the focus moved from reflective thinking for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growth to critical reflection through consciousness and questioning for social emancip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we could adopt the examined adult learning theories and concepts such as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diverse adult learning practices, especially in the social context of organization. 이 연구는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을 통합시켜온 전환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인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개념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 중심에서 사회학적 접근으로의 관점 이동과 연관지어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Lewin(1951)의 3단계 변화이론을 준거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계보 분석의 범위를 한정짓기 위해 Finger & Asún(2001)이 제시한 성인학습이론 분류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는 경험학습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전환학습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비판적 교육학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해빙단계에서는 경험학습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이 우세한 개인 중심의 문제해결적 성찰 개념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으로 이동단계에서는 Mezirow의 전환학습이론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이 우세하지만, 사회학적 관점이 부가되기 시작한 과도기적 단계로,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적 성찰과 개인의 자기성찰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결빙단계에서는 비판이론과 비판적교육학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사회학적 접근이 우세하고, 비판적 성찰과 사회 변혁을 위한 해방적 성찰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해빙단계에서 이동단계를 거쳐 재결빙단계로 이동할수록 지식 획득과 개인성장을 지향하는 성찰적 사고 중심에서 비판적 문제제기를 통한 의식화, 해방을 지향하는 비판적 성찰 실천 중심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실천현장에서의 성찰과 비판적 성찰 탐색, 집단적, 조직적 성찰 과정과 조직 구성원으로써의 개인의 자기성찰 탐색, 그리고 조직내 비판적 성찰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들이 요구된다.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이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이연주,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reflective learning on facilit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whil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other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study is facilitators of South Korea including lecturers, teachers, coaches, consultants, helpers, leaders in education and business organizations.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via e-mail and traditional paper-and-pencil survey method. A total of 621 questionnaires have returned, of which 541 are used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reflective learning has a direct and positive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But, two levels of reflective learning (non-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have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m. Non-reflection tends to decreas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while critical reflection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m. Second, facilit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s reflective learning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Specifically, when facilitators' reflective learning is on non-reflection leve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negative mediating effect. But if the level is on critical reflection level, the direction of mediating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is opposite. In other words, when a facilitator does not know how to refle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tually decreases the level of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현대사회의 전문가는 기존의 사고방식과 지식을 뛰어넘어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비판적 성찰능력이 요구된다. 전문가의 성찰수준은 교육, 의료, 사회복지, 경영 등의 여러 분야에서 구체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퍼실리테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그 중요성이 증대하는데 비해 퍼실리테이터의 성찰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연구는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이 긍정심리자본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 사이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퍼실리테이터 541명을 설문조사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이 무성찰일 경우 긍정심리자본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비판적 성찰일 경우는 두 요인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역시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에 따라서 무성찰과 비판적 성찰일 경우 각각 부적 매개와 정적 매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퍼실리테이터의 성찰학습수준이 무성찰일 경우 비판적 성찰업무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퍼실리테이터의 성찰수준이 미치는 영향력을 환기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이 부정적일 경우 결과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비판적 성찰과 공공생활 : 학부생을 대상으로한 리더십 스킬 교수법

        Alma Blount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7 숙명리더십연구 Vol.5 No.-

        비판적 성찰은 리더십 스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비판적 성찰은 어떤 사건과 행동의 중심에서 자기반성적 자세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비판적 성찰은 자신을 경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 상황에 대한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현재에 초침을 맞추고 근거를 둔 접근이다. 공적 리더십과 집단적 행동을 요하는 정책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 일 때에는 이런 스킬을 함양하는 것이 굉장히 필수적인 일이다. 비판적 성찰은 상대적인 과정이다. 비판적 성찰은 학생들이 사회문제의 복잡성을 이해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어떻게 문제가 되는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배우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장 중심의 경험은 개인적, 대인적, 공공적 리더십 문제들을 주관하는 비판적 성찰의 중요한 원료가 된다. 비판적 성찰의 개인적 영역은 회상과 반성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공적 리더십 단계에서의 성찰은 한 개인의 아이디어를 주변과 공유하고, 공적인 논의의 장에서 공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고, 복잡 다양한 사회 이슈를 프레이밍하는 것, 또 개인의 정책 분석과 그것에 대한 건의 및 추천을 이야기하는 것을 말한다. 듀크에서의 학생 리더십 개발 접근방식은 세 가지의 서로 얽힌 구성요소로 되어있다. 즉, 고품질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몰입경험, 경험으로 배우는 것과 학교수업이 함께 어울어지는 비판적 성찰의 엄격한 과정, 더 많은 청중들에게 효과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무엇을 배우게 되는지 평가하기 위한 학생분과위원회인 "going public"이다. SOL 혹은 리더십 봉사기회에서 지역, 국가 혹은 세계의 현장에서 경험을 쌓는 것은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근로 과정이다. 봉사로부터의 조사 경험은 희망적이고 중요한 교수법이다. 또한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멘토링은 성찰 연습에서 필수적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인 복잡한 조직적 문제들을 분석하기 위한 리더십 틀을 제안하는 것이 결정적인 요소이다.

      • KCI등재

        성인학습이론에서의 성찰개념 분석

        신기왕(Gi-Wang Shin),안병환(Byung Hwan Ah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성인학습이론의 전개 속에서 성찰의 개념을 분석하고, 성찰에 대한 인지적·비판적·철학적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성찰은 경험학습 담론에서의 인지적 성찰에서 출발했다. 경험학습에서의 성찰은 사전 지식과 관련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생성하고자 하는 성찰이다. 성찰이 지향하는 최종목적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우리의 이전의 믿음과 가정,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담론을 통해 편견을 없애려고 노력하며, 증거와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의 정당성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성찰이 완전하고 객관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없을 지라도 그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다수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성찰개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성찰개념은 학습과 관련된 접근방식을 확장시켰다. 둘째, 성찰개념은 우리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성찰개념은 학습을 인간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다. 넷째, 성찰은 학습을 교수자의 어떤 의도나 예상을 뛰어넘는 개인적·사회적·조직적 변형과정으로 확대시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급속한 변화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찰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의 종합적 사고능력을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정이다. 성찰은 단순한 지식습득을 넘어 종합적·총체적인 인간 성숙을 추구한다.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적 신념으로 성찰학습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flec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the development of adult learning theory an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reflection. Reflection started from cognitive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is reflection that seeks to generate meaningful results by relating it to prior knowledge. The ultimate goal of reflection is not only to acquire knowledge, but to think about our previous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eir meaning. They try to eliminate prejudice through discourse, and they make decis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evidence and arguments. Although reflection may not reach a complete and objective result, it can ultimately reach a rational and ideal result that the majority can trus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First,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the approach related to learning. Second, the concept of reflection suggests a learning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cope with structural changes in our society. Third,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learning to work at all levels of human society. Fourth, reflection extends learning into a process of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hat goes beyond any intention or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 The society we live in is facing rapid change and complex problems. Reflection is a necessary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in children as well as adults. The concept of reflection goes beyond simple knowledge acquisition and pursues comprehensive and holistic human maturity. It's time to begin the discussion of reflective learning with positive beliefs about human nature.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전환학습의 이론적 탐색: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이정훈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1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Vol.- No.18

        수업 활동은 계획된 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업 상황에 따라 맥락적이고 역동적인 관계 안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유아교사는 유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활동을 전개해나가기 때문에 비판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 수업활동을 돌아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수업전문가로서 예비유아교사에게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살펴보고 비판적 성찰을 위한 전환학습의 이론적 활용가능성을 탐색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전환학습 이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판적 자기 성찰 과정’을 중요시하는 Mezirow의 전환학습 이론이 ‘비판적 성찰’이 요구되는 예비유아교사에게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전환학습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과정의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액션러닝에서 성찰의 조직화 사례 - A사의 리더십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안동윤(Ahn Dong-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4

          기업에서의 리더십 개발에 성찰 활동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액션러닝은 변혁적 리더십의 개발을 위해 비판적 성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찰이 어떻게 액션러닝 내에 조직화되어 있고 효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 기업의 액션러닝 사례를 통해 성찰 활동이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과정에서 나타난 조직화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인 A사의 액션러닝은 임원후보들을 대상으로 약 3개월 간 운영되는 것이었으며, 세 개의 성찰 활동이 과제수행기간 전반에 걸쳐 조직화되어 있었다. 세 개의 성찰 활동은 성찰회의, 행동유형분석 워크숍, 리더십 코칭이었으며, 각각의 성찰 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부 활동과 학습의 초점을 파악하였다. 액션러닝에서 성찰을 조직화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학습의 과정과 성찰을 적절히 조화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any Companies use reflection for leadership development. In particular, Action Learning is used to foster critical reflection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in a corporate sett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for the reflection activities and its effectiveness in Action Learning.<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flection and to identify its problems in ‘A’ company"s Action Learning. The reflection system of Action Learning was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major activities; reflection meeting, workshop for analysis of behavioral types and leadership coaching. The detailed events and learning points of each reflective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issues of reflection were discussed. The integration between the learning process and reflection is suggested for the success of Action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화법 성찰 교육을 위한 이론적 기반 탐색 - 성찰에 관한 범학문적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

        박성석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6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화법 성찰 관련 교육 목표가 강화되었지만 그 개념에 관한 학계의 합의가 미진하므로 범학문적 문헌 고찰을 통해 화법 성찰 교육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논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찰은 개념상 맥락과 결부된 지식을 탐구하는 사고 작용, 경험 기반 학습을 위한 사고 작용, 상위 인지적 사고 작용, 인식의 준거 틀에 대한 비판적 사고 작용이다. 발생 시기에 따라 행위 후 성찰, 행위 중 성찰, 사전 성찰로, 사고 수준에 따라 내성, 내용‧과정 성찰, 전제 성찰로 대별할 수 있다. 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으로는 충격적인 경험, 규칙적인 습관과 같은 성찰의 계기, 자기 주도성 및 자율성이 보장되고,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가능성이 있으며, 비밀이 보장되는 학습 환경을 들 수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학습자의 개방적 태도와 상대주의적 관점을 들 수 있다. 화법 성찰 교육이 필요한 까닭은 전략 중심 접근법을 성찰 중심 접근법으로써 보완할 수 있고, 성찰이 발화 의미의 불확정성에 대한 최적의 대응 방법일 수 있으며, 성찰을 통해 기능적 인간을 넘어서 윤리적 인간과 바람직한 사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다양한 담화에서의 화법 성찰 양상에 대한 관찰 연구가 활성화되고, 궁극적으로 태도 교육을 넘어선 사고력 교육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educational goals related to reflection in and on oracy (RIAOO) have been strengthen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insufficient academic consensus on the concep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RIAOO education through a cross-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Reflection involves exploring knowledge tied with context, experience-based learning, meta-cognitive thinking, and critical evaluation of one’s frame of reference. It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reflection on action, reflection in action, and prior reflection based on the timing of occurrence, and further classified by introspection, content/process reflection, and premise reflection based on the level of thinking. External factors affecting reflection include triggers such as perplexing experiences and routines, and learning environments that ensure self-direction, autonomy,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and peers, and confidentiality. Internal factors include the learner's open attitude and relativistic perspective. RIAOO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complements a strategy-oriented approach with a reflection-oriented approach, addresses the uncertainty of utterance meaning, and fosters the development of ethical individuals and desirable societies beyond mere functionality. Future research should encourage observational studies on RIAOO across various discourses, aiming to advance thinking skills beyond attitud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여대생의 Self-authorship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신정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에 촉진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도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써, 성찰적 글쓰기 활동의 효과적인 지도를 통해 그 목적을 성취하고자 한다. 성인기의 인지적·정서적 발달 개념인 self-authorship은 이미 북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적절한 학문적 용어로 번역되지 않은 상황이며, 학문적 논의와 연구 활동이 미흡한 시점이다. Self-authorship은 성인이 인생 전반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적 상황과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겨나가는데 필요한 내적 능력을 의미한다. 성인기의 인생을 설계하고 자아실현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에게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의 촉진은 개인의 성취를 자극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데 견고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서울 소재 여자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포함하여 운영되고 있는 교양필수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 중 자발적으로 심층면접에 참여한 3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교육활동이 참여자들의 self-authorship 발달에 촉진적인 효과를 미쳤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했다. 연구자료 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심층면접은 성찰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탐색했다. 더불어 참여자들이 작성한 성찰적 글쓰기 산물을 문서 분석하여 과제 수행 중에 참여자가 경험한 비판적 성찰의 깊이와 self-authorship 발달의 증거를 탐색했다.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참여자의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으로 글쓰기 활동이 시작되기 전과 종료된 후에 반복적으로 self-authorship 설문지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참여자들에게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고, 깊이 있는 비판적 사고에 몰입한 참여자들에게서 self-authorship 수준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했다. 그 과정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들의 탐색은 유사한 목적을 띄고 있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디자인, 실행 및 평가 방법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여자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행되어 그 결과의 일반화가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연령대와 전공, 그리고 남학생을 포함한 참여자 그룹을 접근하여 후속연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While the literature on self-authorship has illuminated how pedagogical efforts can facilitate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e.g., Baxter Magolda, 2001, 2003, 2004), we hardly know about how this developmental concept can be promoted in Korean context. The concept of self-authorship is articulated as the foundation of many modern life demands that adults should successfully achieve. For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is related to their internal capability that meets specific challenges they may encounter in their present college lives and future career.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nd in a large women's university in Seoul. Research data were drawn from 33 voluntary participants who were taking mandatory general study course I or II for a semester.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affected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development during a semester and what factors make a differenc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participants’ reflective writing experiences. Participants’ reflective writing product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y of critical reflection that participants involved in the writing process. Self-authorship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stimulated participants’ critical reflection that is conducive to their self-authorship development. In addition, influential factors that may facilitate or hider critical reflection have been illuminate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potential to guide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imilar liberal education programs that aim to facilitate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further research on self-authorship development across different settings that include both genders, different age groups, and a variety of majors found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형성에 관한 실행연구

        김효숙(金孝淑),이경화(李慶和)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이 자신이 처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변혁하기 위한 주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Freire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한 문제 제기, 대화와 토론, 실천, 성찰의 단계적 순환과정을 개발하여, 법무부 산하 글로벌 센터의 결혼이주여성 중 한국어 중급이상의 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 제기 단계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침묵문화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였으며, 경청해주지 않는 주변의 태도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였다. 대화와 토론의 단계에서는 개인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연계시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비판적 사고와 다양한 관점, 공감능력을 나타냈다. 실천단계에서는 작은 실천과 공유를 통해 불평등한 관계와 소외극복을 위한 노력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율권을 위해 노력하였다. 성찰단계에서는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편견, 차별에 대한 저항 방법을 공유하고, 저널 쓰기를 통한 비판적 성찰의 과정이 활발하였으며 의존적인 삶에서 조금씩 벗어나려 노력하면서 미래에 대해 계획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앞으로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실시될 경우에는 이들이 당당한 삶의 주체로서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ubjectiv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to transform social inequalities by recognizing and critically reflecting their problems through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e conducted a step-by-step process of problem-posing, dialogue, discussion, praxis, and reflection based on Freire’s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r six married immigrant women of the global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The result was that the married immigrant women began to escape from a silent culture,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people don’t listen. In the stage of dialogue and debate, critical thinking, diverse perspectives, and empathy were demonstrated while linking personal problems to social dimension and identifying the causes. In the practice stage, we focused on efforts to acquire autonomy for life and overcome unequal relationship and alienation through small practice and sharing. In the reflection stage, critical reflection through journal writing was activated, planning for the future while escaping from dependent lif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should be to form the subjectivity as the subject of the dignified life by executing critical literacy education beyond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