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고시마현 3대 무사가옥군의 관광콘텐츠 활용현황 비교 연구

        김현정 한일군사문화학회 2020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9 No.-

        가고시마현에는 3대 무사가옥군이 있다. 사쓰마센다이시의 이리키후모토 무사가옥군, 이즈미시의 이즈미후모토 무사가옥군, 미나미사쓰마시의 지란 무사가옥군이다. 같은 가고시마현 내의 무사가옥군임에도 불구하고, 무사가옥군이 위치한 도시의 활용 의지에 따라 활용 현황은 아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장 활발한 활용 현황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쓰마센다이시의 사무라이 투어리즘이다. 사무라이 투어리즘은 사무라이 체험을 중심으로 한 관광코스를 말한다. 무사가옥군에서는 무사의상과 기모노 체험, 다도 체험, 향토요리 체험, 이아이도 체험 등이 이루어지며, 이것들이 무사가옥군의 분위기와 잘 매치되고 있다. 이즈미시에는 일본 최대의 무사가옥군이 있지만, 관광콘텐츠로서 무사가옥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편은 아니다. 다만 이즈미시의 경우 이즈미후모토 무사가옥군이 규슈올레 코스의 일부로 포함되었기 때문에, 규슈올레와 연계된 관광콘텐츠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미나미사쓰마시의 경우는 무사가옥군에 대해 시에서 인식하는 관광지로서의 중요도가 매우 낮아서, 관광콘텐츠로서의 활용도가 가장 낮은 편이다. 이처럼 같은 현에 위치한 비슷한 성격의 문화유산의 경우에도 관광콘텐츠로서의 활용도는 전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사무라이 투어리즘과 같이 문화유산 자체의 특징을 최대로 살리면서 그것을 관광콘텐츠에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로도 연결되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Kagoshima prefecture has three major samurai residence. It is Irikifumoto samurai residence town of Satsumasendai city, Izumihumoto samurai residence town of Izumi city, and Chiran samurai residence town of Minamisatsuma city. Despite the same samurai residence town in Kagoshima prefecture, the use of the city i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efforts of the city where the samurai residence town is located. The most active utilization is Satsumasendai’s Samurai tourism. Samurai tourism is a sightseeing course centered on a samurai experience. Izumi has the largest samurai residence town in Japan, but it doesn’t use samurai residence town actively as tourism contents. However, in the case of Izumi, since Izumihumoto samurai residence town was included as part of the Kyushu Olle course, tourism contents linked to Kyushu Olle were included. It is characteristic that it is utilized as. In contrast, in the case of Minamisatsuma, the utilization of tourism contents is the lowest since the importance of tourist spots recognized by the city for samurai residence town is very low. Even in the case of similar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the same prefe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zation is very different as tourism contents. Samurai tourism takes full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s features and uses them appropriately for tourism contents.

      • KCI등재

        근세 일본 무사의 직분과 사도론 : 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사도론(士道論)을 중심으로

        구태훈 ( Tae Hun Ko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1 No.-

        이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일본사회를 대상으로 무사가 어떻게 존재했는지, 또 당시 지식인들은 무사가 어떻게 존재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주로 사상사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戰國時代에 형성된 무사의 에토스가 에도(江戶)幕府에 의해 새로운 敎學으로 수용된 儒學과 어떻게 결합되면서 평화 시대에 적합한 규범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전국시대 무사는 전장에서 싸우기 위해 존재했다. 그들에게 전투는 명예의 원천이며 직업이라는 관념이야말로 무사를 다른 존재와 구별하는 것이었다, 에도 막부가 성립되면서 무사의 성격이 변화되었다. 전투원이었던 무사가 위정자로 자리매김 되면서 무사의 관료제적 편성이 진전되었다. 전투원이었던 무사가 위정자로 자리매김 되면서 무사의 관료제적 편성이 진전되었다. 전투원으로서의 무사보다 文的 교양을 갖춘 행정 관료가 필요했던 것이다. 하지만 오랜 역사 과정을 통하여, 전투원이라는 독특한 생활환경 속에서 형성된 습속은 쉽게 바뀔 수 없는 것이었다. 17세기 전기에는 전국시대의 실전에 입각한 병법적 무사도론과 유학자에 의해 새롭게 제시된 도의를 강조하는 士道論이 대립하고 있었다. 전자는 武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실용적인 것이었고, 후자는 文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관념적인 형식주의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런 두 방향의 논의를 종합해서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무사도의 내용을 보존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유학의 형식주의를 도입하여 새로운 무사도론을 제시한 것이 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사도론이었다. 야마가 소코 사도론의 핵심은 직분론이었다. 그의 직분론에는 특히 근로 윤리가 강조되고 있다. 서민은 생업에 종사하느라 여념이 없는데, 무사는 마치 일하지 않고 봉록을 받으며 편안하게 생활하는 것으로 비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소코의 직분론에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는 생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철학이 있고, 또 맡은바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윤리관이 내재하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코의 사상은 17세기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한 무사 가문의 가훈에도 반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how samurai existed and how intelligence at the times thought what samurai should be like in Japanese Society of seventeenth century in terms of history of ideas. Particularly, to Search the process of forming proper norm for peaceful period while ethos of samurai form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fused with Confucianism accepted as teaching and learning. Samurai existed to fight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fight is the origin of getting fame for them and concept of Duty distinguished them from others. As Edo bakufu established, characters of samurai have changed. As samurai once fighters had a role as governors, bureaucratic organization of smurai progressed for meeting demands of the times for administrative officer rather than fighters. However, character formed already in unique environment as fighters could not be changed easily. In the early of seventeenth century, the Bushido theory from military tactics during Warring states period and Shido theory introduced by Confucian were opposing. The former is practical to prior to value of military tactics and the latter is conceptual to prior to literary. New Bushido theory to synthesize these theory for conserving traditional Bushido and introducing formalism of Confucianism is the Shido Theory of Yamaga Soko(山鹿素行). The core of Shido Theory is Duty theory highlighted for work ethics. While ordinary people work hard to get a living, samurai seem to live with revenues, not working. Duty theory of Soko have philosophy to work hard to live for everyone and ethics to work faithfully. This theory of Soko were reflected in samurai home disciplines published in late Seventeenth Century.

      • KCI등재

        『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 의미와 근대적 신체인식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1

        In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change of body consciousness through martialarts and the book's written meaning of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published by Jasan Ahn Hwak in 1940.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is worth comparing with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 written by Japanese Nitobe inajo (新渡戶稻造) and 『中國之武士道』 (1904) written by Chinese Lyangchichao (梁啓超). This book can be seen in important writings that understand the spiritual axis of the modern oriental martialarts spirit. The martial arts awareness of Ahn Hwak that added national consciousness was influential enough to make a public lecture for Joseon young people together with Yeo Un Hyeong in 1935. hrough this book, the Joseon people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ark colonies through spread of martialarts spirits. And he tried to account for the need to remodel and develop for the modern people. Specifically, as a measure to be able to overcome the reality of Joseon colonization through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through martial arts traditionally trained by Joseon such as Archery, Sword, Horse racing, Kicking balls and Kyugu, Stone fighting he explained how to make advantage of martialarts spirit. he explained the framework of modern body consciousness based on anatomy. It also highlighted the heroes that were not noticed so far, like women and slaves. This also explained the cultivation of modern citizen consciousness. 본 연구는 1940년에 자산 安廓이 발간한『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의미와 무예를 통한 신체문화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글이다. 『朝鮮武士英雄傳』은 일본의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가 쓴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과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쓴『中國之武士道』(1904)와 함께 동양삼국의 근대 상무정신의 축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저술로 볼 수 있다. 민족의식을 가미한 안확의 무예 인식은 1935년 몽양 呂運亨과 함께 조선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무예인식 변화를 통한 대중강연을 진행할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다. 안확은 이 책의 저술을 통해 조선 민족이 무예와 무예정신의 함양을 통해 암울한 식민지 현실을 타파하고 근대국민으로의 개조 및 발전해야함을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朝鮮武士英雄傳』에서 弓術·擊劍·柔術·競馬·蹴球/擊球·石戰 등 한민족이 전통적으로 수련해오던 무예를 통해 武士的 기풍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근대적 신체인식의 틀로 설명하였다. 또한 여성이나 노비와 같이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민중의 영웅을 부각시킴으로써 근대적 시민의식의 함양까지도 저술에 녹여내었다.

      • KCI등재

        마쓰에시(松江市)의 ‘무사(武者)’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전략 고찰

        김현정 ( Kim Hyunjung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8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6 No.-

        마쓰에시는 일본이 지정한 국제문화관광도시로, 공업보다는 관광이나 상업 등이 더욱 발달한 도시이다. 마쓰에시의 경우, 최근 중요 관광콘텐츠나 축제 등의 전반에서 무사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것이 결과적으로 마쓰에 시의 관광과 경제발전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마쓰에시에서는 마쓰에 관광협회가 주최가 되어 ‘마쓰에는 무사의 마을’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 6월에 일본 최초로 6월 4일을 ‘마쓰에 무사의 날’로 공식 선언했다. “무사와 만날 수 있다, 무사가 될 수 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는 마쓰에시에서는 ‘마쓰에 젊은 무사대’ 및 ‘마쓰에 무사 응원대’, ‘마쓰에성 시대안내인’ 등의 마쓰에 무사들을 구성해서 조직적으로 활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은 무사 옷을 입고 마쓰에성에 대한 가이드 활동을 하고, 쇼를 보여주며 거리에서 퍼레이드를 한다. 또한 마쓰에시의 각종 행사에 참가해서 무사의 마을이라는 이미지를 더욱 강하게 인식시키고 있다. 마쓰에시에 있는 국보 마쓰에성과 옛 무사의 마을인 시오미나와테, 무사의 저택 등은 ‘무사의 마을 마쓰에’에 어울리는 유산이며, 특히 마쓰에성에서는 무사 복장을 한 안내원을 만날 수 있고, 무사 복장을 하고 전통결혼식을 올릴 수 있는 콘텐츠도 활용되고 있다. 무사콘텐츠가 축제와 연계된 대표적인 예로는 마쓰에 무사행렬이 있으며, 이외에도 호리오마쓰리, 매의 발톱단의 성 공격 in 마쓰에성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무사콘텐츠가 활용된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Matsue city is a city designated by Japan government as ‘city of international culture and tourism’, which is more developed in tourism and commerce than industry. In the case of Matsue city, it is actively utilizing samurai contents in the tourism contents and festivals in recent years, and as a result, it has successfully supported the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of Matsue city. In Matsue city, the Matsue tourism association is hosting the project called ‘Matsue is a city of Samurai’. As part of the project, Japan government was officially declared June 4 as the ‘Day of Matsue Samurai’ in June 2016. In Matsue city, where the slogan ‘You can meet Samurai, You can be Samurai’ is operating systematically by Matsue Samurai same as ‘Matsue Wakamusyatai’, ‘Matsue Musya Oentai’ and ‘Matsue Castle musya guide’. They dress up Samurai guards, conduct guided activities for Matsue Castle, show shows, and parade in the streets. In addition, it participates in various events of Matsue city and recognizes the image of the village of Samurai more strongly. Matsue Castle in Matsue City, Siominawate, the old samurai village, and Bukeyashiki are the heritage sites of Matsue is a city of Samurai. Especially, it is also using content that allows applicants to dress Samurai and promote traditional weddings in Matsue Castle. Besides, the Matsue Samurai parad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amurai contents linked with the festival. There are also Horio festival and Eagle Talon’s Shirozyme in Matsue Castle and all this is a good examples of Samurai contents for tourism development strategy.

      • KCI등재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신종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2

        지금도 일본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습의 전통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이것은 일본 사회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중에는 무사와 관계있는 것들이 많다. 에도시대 막부 (幕府)나 번(藩)에서는 세대를 초월하는 고용 방식으로 무사의 토지와 가문의 명예를 영 원히 보장해 주었다. 이것이 무사 신분이 세습되는 전통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 한 세습의 전통은 기업의 연공서열과 종신고용 방식으로 이어졌다. 일본은 스페셜리스 트(Specialist)가 많고, 제너널리스트(Generalist)가 적다. 관공서나 기업에서는 현장 실무 자나 전문가에게 맡기는 경향이 있다. 평소에는 현장 전문가가 기안한 안이 의사결정 과 정에 최종안으로 결정되는 품의제(稟議制) 방식의 의사결정을 선호한다. 이러한 의사결 정 방식은 현장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장 실무자, 즉 스 페셜리스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인정신을 이야기할 때 지배 계급과 의 관련이 깊은 나라는 일본이 유일하다. 무사, 특히 하급 무사의 70% 이상은 부업에 종 사했다. 이것은 일본에는 전문직 장인뿐만 아니라 부업을 하는 장인이 많았다는 것을 의 미한다. 지배 계급이 장인정신의 당사자였다는 것은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일본만의 특징이다. 하급 무사의 부업에서 시작된 기술이나 공예가 그 지역과 국가 를 대표하는 전통 공예가 된 것이 많다. 이처럼 일본에는 전문직 장인에 의해 계승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농민이나 지배 계급인 무사, 특히 하급 무사들에 의해 전승되고 발전 되어 온 전통 공예나 문화가 많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세대를 초월해 이어져 오면서 일 본에서 장인 문화가 발달할 수 있는 요건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It is said that Japan still has many hereditary tradition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out Japanese society. Many of them have something to do with samurai. In the Edo period, the shogunate and domain guaranteed the honor of samurai's land and family forever through a system of employment that transcended gener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created a tradition in which samurai status was inherited. This tradition of hereditary succession also leads to the seniority of companies and the lifetime employment system. What was learned and shared by the ruling class leading the society was accepted by the common class, and some of them became behavioral and cultural customs of the people of that country. Korea's high enthusiasm for educa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Confucian tradition of highly evaluating people with knowledge and personality. At its foundation, it is largely due to the history and culture that have longed for Seonbi, a flawless personality that embodies Confucianism. The tea ceremony, which was a status symbol of warlords in the Sengoku period,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etiquette for merchants in modern times and women in modern times, and is still handed down as a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Japan. Occupation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human life are one of them. In the Edo period, it is easy to think that there was no freedom to choose a job in a society fixed with samurai,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However, except for court nobles and daimyo, they were able to choose their occupations quite freely depending on their own efforts. Moreover, there were quite a few people who had side jobs. Apart from specialists, there were samurai and farmers who worked hard on manufacturing as a side job. Japan is a country where there are many long-lived enterprises rarely seen in the world, and there are many craftsmen who are confident in their skills and stubborn but have an honest professional mind about their work. The professionalism of craftsmen is called craftsmanship. Craftsmanship i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Japan. Skillful technology is accomplished by success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e is stubborn and unyielding, strict with himself and others, has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has the same professionalism as samurai. It is well known that low-ranking samurai had side jobs. An expression of a strong sense of pride and professionalism inherent in a person who has excellent professional skills and makes things by hand. Similar expressions include artisan spirit, and craftsmanship.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amurai who were forced to work part-time and craftsmanship. This is to find out how the Edo bakufu's principle of banning career choice was actually changed.

      • KCI등재

        日本武士道の戦争と平和思相

        平石直昭(히라이시 나오아키),임태홍(번역자)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2

        무사도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니토베 이나조는 무사도를 일본인의 근본적 윤리의식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그는 이 무사도가 현대에는 무용하며, 새로운 지도원리로 기독교를 강조했다. 그후 무사도는 일본의 팽창적 군국주의와 더불어 일본의 국민정신으로 고창되었다. 그러나 일본국민의 내연을 형성하지는 못했다. 일본의 전통적 무사도는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케라이형은 주군과의 이해관계에, 케닌형은 충성에 기초하고 있다. 에도시대의 무사도는 관료로서의 직업윤리로 변형되었다. 그러나 명치유신을 즈음하여 무사도의 전통이 부활하여, 일본의 근대국가 형성을 위한 현실적 동력이 되었다. Nitobe Inazo, the modem interpreter of Bushido, understood Bushido as the Japanese basic ethos. But, he denied the modem meaning of Bushido. He presented Christianity as a new ethics to Japanese people. Around late 19th century, Bushido was revived as a new national spirit to support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it had failed to make a Japanese internal personality. The traditional Bushido was separated into two types: the first, the Kerai(家禮型), the second, the Kenin(家人型).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ord and subject, the first was based on bargaining, and the second on loyalty. In Tokukawa era, Bushido was rebuilt into the ethics of bureaucrat. But, at the time of Meiji Restoration, its tradition was resurrected and gave a real and strong motivation to the political activists who hoped to make a new modem nation,

      • KCI등재

        무사와 활구의 관계에 대한 재고- 연속성의 관점에서

        마해륜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discontinuity between “observing word”(Kanhua 看話) and “nothing to Do(Wushi 無事)”, this paper examines “nothing to Do” and “living Phrase” as the homogeneous developments derived from the same tradition focusing on their conceptual continuity. In doing so, I aim to highlight how multifarious the concept of “nothing to Do” has been and trace the trajectory for the concept of “nothing to Do” to have expanded its horizon in later days. Particularly, through reexamining Thoughts of “living Phrase” whose establishment has been considered as the overcoming of Wushi Chan(無事禪) from a perspective of seeking continuity, I contend that Kanhua Chan(看話禪) is not a simple denial or overcome of Wushi Chan’s direction but a continuum despite their seemingly heterogenous features. In this paper, my goal does not lie in restoring and reconsidering the status of Wushi Chan per se. Instead, by casting a new light on the transformation of Zen Thoughts, I aim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Wushi Chan and Kanhua Chan often associated with thoughts of “Living Phrase” to gain a balanced view on the Chan(Zen) Thoughts before and after the Song dynasty. 선종사에서 무사는 활구의 사상이 등장하기 전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경향으로 서술된다. 무사를 비롯한 간화선 이전의 선법은 간화선의 등장을 통해 극복된 불완전한 어떤 것으로 간주되면서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고 미리 선취된 결론 안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거나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무사와 그 이후의 선에 나타난 불연속을 강조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연속성에 주목하여 무사와 활구를 동일한 전통의 전개로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무사의 다층적인 면모를 제시하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이후의 시기까지 지평을 확장하는지 제시한다. 활구를 무사와 연속적인 관점에서 재고함으로써 간화선이 무사를 단순하게 부정하거나 극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기틀로 재정립함으로써 이후에도 무사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긍정하였다는 기본적인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무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송대 전후의 선사상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사와 관련하여 활구는 단순히 무사를 대체하지 않고 오히려 무사의 지향을 재정립하여 앎의 범주를 전제하지 않는 완전한 작용의 현전이라는 본래적인 가치를 회복시키는 장치가 된다.

      • KCI등재

        자산 안확의 조선무사영웅전에 대한 체육교육학적 가치 탐색

        김용국(Yong Kook Kim),박동수(Dong Soo Park),정현도(Hyun Do J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3

        독립 운동가이자 국학자로서 안확은 어학, 문학, 정치, 역사, 철학, 종교, 음악, 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며 학술지, 교양지, 신문 등에 대소의 글들이 도합 160편을 상회 한다. 특히 『조선무사영웅전』이라는 한국 근대체육사와 무예사에 선구적 업적을 남겼으며, 이 책은 조선무사도의 원류와 발전, 무사적 덕성 그리고 무사체육 등 조선의 무(武)문화와 무사도를 집중적으로 소개한 최초의 서적이다. 이 책의 저자 안확은 체육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창신 학교에서 직접 운동부를 창설하며 체육교육에 있어서도 이론만이 아닌 교육현장에서 실천적인 교육에도 앞장섰다. 현대에서의 무(武)는 곧 체육이며 무사정신은 인성과 윤리사상이다. 조선의 무사에게 요구되었던 기풍은 사회의 안정과 국가발달에도 큰 영향력을 주었음을 『문무(文武)의 정반합』이라는 조선의 무사도와 윤리사의 발달과정을 통해 안확은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무사도를 무사체육과 관계하여 보았을 때 무사도는 무사체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최종 목표이자 목적이었다. 무사도는 무사의 정신이며 덕성인데 이 무사적 덕성을 취하지 않는 무사체육은 그 의미 자체가 없었다. 따라서 무사적인 덕성을 이루기 위해 무사체육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무사도는 심신이 건강하여 사회에 안정과 국가 발전을 지향시키는 무사적인 성향을 지닌 인재들을 양성할 수있으며 또한 올바른 사회적 기풍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조선의 무사도는 충분한 체육교육학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Ahn Hwak made achievements in the variety fields such as linguistics, literature, politics, history, philosophy, religion, music and physical culture, carrying over 160 long and short articles of his on scholarly journal, general culture magazine, newspaper, etc. Especially, he made a pioneering achievement in Korea`s modern history of physical training and history of martial arts through, the first book in history that focally introduced Chosun`s military culture and chivalry, including its sources and development, warriors` morality and physical training. Such martial arts mean physical education nowadays and the warrior chivalry means humanity and ethics. On the 『Thesis-antithesis-synthesis of literary and martial arts, Ahn Hwak says the ethos which was demanded to the Chosun`s warrior has effects on the social stability and national development. Warrior chivalry was the ultimate goal and purpose to want to achieve through the warrior physical education. Thus, the warrior physical education without warrior virtues was meaningless. To achieve the warrior virtues, warrior physical education was necessary thing. On <Business Young Adult Group >, The warrior chivalry can foster healthy young generation both in mind and body so that make stable society and improve and set correct social ethos. Thus, Chosun`s warrior chivalry is valuable for the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한중일 삼국의 ‘사(士)’ 개념 비교 고찰 — 선비⋅신사⋅무사 개념의 형성을 중심으로 —

        임태홍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선비(文士)⋅신사(紳士)⋅무사(武士)는 그 개념이 처음 생겼을 때 매우 애매하였다. 지칭하는 대상도 미미하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그 의미가 강해지고 그 대상이 세력화되었다. 선비의 경우는 고려시대(11세기경)에 학자들 사이의 ‘선배’라는 존경어로부터 시작하였으며, 무사는 헤이안 시대 말엽(10세기경) 동일본 지역의 무사들로부터 시작하였다. 한편 중국의 신사는 송나라 때의 사대부 전통을 이어받은 명나라 초기 향촌의 지식인들이 그 시작이었다. 이렇게 시작된 선비⋅무사⋅신사는 시간이 흐르면서 각 사회의 중요한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선비⋅신사⋅무사는 그 개념과 계층의 형성에 주자학이 깊은 영향을 미쳤다. 조선에는 고려 말엽에 주자학이 전래되고 조선 초에 숭유억불정책에 의해서 주자학이 국교와 같은 위상을 확보하였는데, ‘선비’ 개념은 바로 그러한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선배’ 개념이 ‘선비’ 개념으로 바뀌고 선비로서의 자긍심이 강했던 것은 바로 주자학자들의 자의식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였다. 일본에서도 에도시대 초기에 조선의 주자학, 특히 퇴계학이 전래되었는데, 덕목과 윤리를 강조하면서 새롭게 정립된 ‘무사’ 개념은 그러한 주자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중국의 신사 역시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바탕으로 한 송대 사대부의 정신적인 영향을 받았다. 선비⋅신사⋅무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 국의 사회와 함께 변화, 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선비⋅무사⋅신사 개념은 근대에 들어와 형성된 것으로 실지로 전통시대에 이들 개념은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선비는 조선시대(1392-1897) 기간 중에 형성되었는데 조선시대는 남북으로 외세의 침략은 있었으나 왕권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선비’가 ‘무사’나 ‘관료’적인 방향이 아니라, 문사(文士)적인 방향으로 발전해나간 것은 이러한 사회상황과도 밀접히 관련된다. ‘무사’는 그것이 형성된 뒤에 가마쿠라, 무로마치, 전국 시대 등 무사정권을 거쳐서 에도시대(1603-1867)에 이르렀다. 이들 무사는 에도시대에 새로 들어온 유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사농공상’의 계층적 신분질서를 자신들의 입장에서 적극 대응함으로써 다른 계층에 ‘사(士)’적인 지위를 빼앗기지 않고, 자신들의 것으로 쟁취하는데 성공하였다. 중국에서 ‘신사’의 경우도 명청시대(1368-1911)를 거치면서 향촌의 권력자이면서 지식인계층으로서 자기들의 위상을 확보하였다. 그들은 청나라 중기, 말기를 거치면서 그들의 향촌 지배는 더욱 강화함으로써 관료적인 성격이 더 강해졌다. 선비⋅신사⋅무사는 전통시대가 지난 뒤, 근대에 들어와서 그 의미가 재평가되고 미화되었다. 선비의 경우는 조선이 멸망하고 일본의 식민지를 겪으면서 유학과 함께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가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선비’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선비정신’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선비’에 대한 미화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무사에 대해서도 서양의 기사도와 대응하여 ‘무사도’라는 이상적인 이념이 제시되어,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무사’보다 더 이상화된 모습이 제시되었다. 중국의 ‘신사’에 대해서는 선비나 무사와 같이 그 대상 및 개념에 대한 전면적인 미화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신상(紳商)’에 대한 재조명, 청말의 유 ...

      • KCI등재

        혜심의 무사실천 수행연구

        하영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5 No.-

        Hyeshim (慧諶, 1178-1234), a Seon monk active in the late Goryeo period, wrote Gujamubulseonghwaganbyeongron (狗子無佛性話看病論) , which recorded the tips for Muja(無字) Hwadu Chamgu and presented cures for sicknesses and pains. For the first time in Goryeo, he engraved and published Seonmumyeomsongjip(禪門拈頌集) in which words of comments (著語) such as Yeom(拈) and Song(頌) were added to the questions-answers, and occasions of successive patriarchs from the perspective of Ganhwa-Seon, and he is the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Ganhwa-Seon discipline by producing Jogyejingakguksa-analects(曹溪眞覺國師語錄) , the best existing analects in Korea. Generally speaking, Ganhwa-Seon discipline is known to be a way of discipline to do Chamgu for Hwadu, and get to doubt what it means, and after achieving enlightenment through this way of discipline, there is not enough grounds to specify in detail how they lead their daily or general lives. Based on the fact that Hyeshim recorded those who achieved enlightenment through Ganhwa-Seon discipline as Musa-in (無事人) in the Seon register (禪籍), this study observes the similarity between successive patriarchs of Namjong-Seon who also recognized those who achieved enlightenment through the way of discipline called Ganhwa-Seon as Musa-in or ordinary Musa-in (平常無事人) etc. and the form expressing the preservation (保任) life of a person who achieved enlightenment. This type of study is to study that Musa-in mentioned by Hyeshim was influenced by Namjong-Seon. Also, what Musa is, and the mindset that discipliners should have prior to Ganhwa-Seon discipline and the fact that Musa-in's life is recorded in several Seon registers written by Hyeshim confirm that successive patriarchs of Namjong-Seon took the same form as those who achieved enlightenment. 혜심(慧諶, 1178-1234)은 고려후기에 활동한 선승으로 무자(無字)화두 참구 요령을 기록한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看病論)』을 지어 병통과 치유법을 제시하였고, 고려에 처음으로 역대 조사들의 문답과 기연을 간화선의 관점에서 염(拈)과 송(頌) 등의 착어(著語)를 붙인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을 판각및 간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최고 어록인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 眞覺國師語錄)』을 제작하여 간화선 수행의 초석을 마련시킨 인물이다. 일반적으로 간화선 수행이라고 하면 화두를 참구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의심해 가는 수행법으로 알고 있고, 이 수행법으로 깨달음을 이룬 후 그들의 일상생활 혹은 삶을 어떻게 영위해 나가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해 놓은 근거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혜심이 간화선 수행을 하여 깨달음을 이룬 자를 무사인(無事人)이라고 선적(禪籍)에 기록한 것을 근거로 하여, 남종선의 역대 조사들도 간화선이라고 하는 수행법으로 깨달음을 이룬 사람을 무사인 혹은 평상무사인(平常無事 人) 등으로 깨침을 이룬 자의 보림(保任) 생활을 표현한 형태와 유사함을 조망한다. 이러한 연구는 혜심이 언급한 무사인은 곧 남종선에서 영향을 받았음을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무사가 무엇이며 간화선 수행에 앞서 수행자들이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혜심이 저술한 여러 선적 등에서 무사인의 삶을 기록하고있는 것은 남종선의 역대 조사들이 깨달음을 이룬 사람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