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 고찰

        홍용희(Hong Yong-hee)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는 ‘일본 사회 속의 북한 시’의 특성을 지닌다. 그것은 ‘재일조선문학가예술동맹’이 친북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산하기구로서 조총련의 기본 지침과 방향성에 대한 문학적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라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일본의 재일본조선인문단은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문예동)이 1959년 6월 7일 결성되면서 조총련의 지도 아래 김일성과 조선로동당의 문예정책을 받드는 작가, 예술인 대오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처럼 재일조선인 시는 기본적으로 북한 시와 근원 동일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시 창작의 방법론은 물론 위상, 역할, 평가 등이 북한의 주체적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사상적 무기로서의 특성에 직접 대응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시적 양상을 주제의식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대체로 일본사회에서의 정착과 시련, 조국에 대한 그리움, 김일성ㆍ김정일에 대한 송가, 남한 사회의 비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재일조선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민족 문학권의 중심에 있으나 아직 우리에게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시의 현황과 위상을 확인하고 아울러 북한문학의 미래지향적인 변화에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재일조선인은 폐쇄적인 북한과 달리 자본주의 문화의 첨단을 직접 접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거주한다는 분명한 변별성을 지닌다. 다시 말해,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는 북한식 사회주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미적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가 앞으로 전지구적 시장화에 대응해야 하는 북한사회의 개방화를 선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점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논법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북한문학의 일방적인 영향권에 놓인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이 앞으로 폐쇄적인 북한문학의 변화에 적극적인 충격과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도된 위상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는 세계정세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더불어 북한 주민에 비해 남한과의 원할한 소통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에 대한 논의는 이와 같은 한반도의 통일시대와 민족적 통합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평가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The poetry written by Korean-Japanese ha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etry in Japan society. That is directly appeared in the 'Art Community of Korean-Japanese literary people" which is the affiliate organization of 'Korean-Japanese Union', pro North Korean organization, and has an purpose on practicing literally about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The platform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suggests practice of reunification, protection of national interests of Korean-Japanese, contribution to world independency and so on based on the level as an subordinated organization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Japanese Literature Artist Union is formed in June 7, 1959, writers and artists supporting Ilsung Kim and literature policy of North Korean political party are centered and Korean-Japanese literary world in Japan was developed. As you may know under this situation, the poetry of Korean-Japanese has identification in their roots with North Korean poetry. Status, role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methodology of poetry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as ideological weapon for independent socialistic revolution of North Korea. As we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according to subject consciousness, they can be summarized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Korean-Japanese, conflicts with Japan society, emphasis on mother tongue use, anti American feeling and criticism on South Korean society, desire of reunification, praise of Ilsung Kim and Jungil Kim, shaping of ordinary life and so on. Among this characteristics except poetry about ordinary life, other poetry have their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ing ideological direction of Korean-Japanese society. Whe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they are still in the center of the Han race literature range but they have importances because we can confirm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Korean-Japanese poetry which remains as unsolved field, along we can watch the possibility to work as pure function to the future directed change.

      • KCI등재

        AI 디지털 시대와 디아스포라 한글문학의 방향

        곽효환 국제한인문학회 202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8

        세계화 시대를 맞이한 이후 가장 뚜렷한 문학 흐름이자 주목받는 경향 가운 데 하나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다. 이는 20세기적인 경계 해체, 사람과 노동과 자 본 등의 자유로운 이동, 통신과 인터넷의 고도화 등으로 요약되는 세계화된 지 구촌과 맞물려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세계화의 영향은 디아스포라 문학 역시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해서 나타나 는 것이 아닌 보편적이고 중요한 문학 흐름으로 자리 잡게 하고 있다. 이는 디 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20세기 디아스포라 문학에 서 민족정체성이 고정된 상수였다면, 오늘날 해외 한인문학에서는 문화적 차이 와 적응 과정에서 빚어지는 다양성과 새로운 정체성 등이 강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 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 으로 디아스포라를 겪었으며 이를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문학작품으로 형상화 해 온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이 가진 탈경계성,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 그리 고 혼종성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이것이 한국문학 에도 새로운 에너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최근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 된 전 지구적인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중 심으로 한 통신망의 고도화 그리고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간 AI(인공지능)의 급속한 확산과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식과 정보의 혼성과 동일화를 이루어 낼 것이라는 점에서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디지털혁명을 완성시킬 것 으로 보인다. 이는 문학 특히 디아스포라 문학에 커다란 변화와 발전 가능성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의 주요한 흐름과 특징을 정 리하고 디지털 시대의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One of the most distinct literary trends since the dawn of the globalization era is diaspora literature. This is a phenomenon bound up with the globalized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as the dissolution of borders in the 20th century, the free movement of people, labor, and capital, and the sophistication of tele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has established diaspora literature as a universal and important literary flow, no longer confined to specific countries or regions. This is similar in diaspora Hangeul (Korean alphabet) and Korean literature. While ethnic identity was a fixed constant in the 20th-century diaspora literature, today’s overseas Korean literature is reinforcing cultural differences and new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diaspora has been experienced in Russia, China, Japan, the Americas, and many other places around the world, and the transboundary, diverse cultural identities, and hybridity of diaspora Hangeul/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embodied as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literature, are expected to mark a new era, and this can be a new energy for Korean literature. Additionally, the global digitization that has become an irresistible reality in recent years, the sophistic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centered on the Internet, and the rapid spread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the expectation of infinite possibilities are expected to complete the digital revolution across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at it will succeed in blending and equ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s is likely to bring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al possibilities to literature, especially diaspora literature. Therefore, this article summarizes the mai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iaspora Hangeul/Korean literature and examines how diasporic Hangeul/Korean literature is being prepared for the digital age.

      • KCI등재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이중적 정체성과 한류의 역할론

        홍용희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the proposition of adaption and subjugation as natural assignments. The ultimate directivity for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to adapt to local major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it as the minor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So, how is it possible to solve the assignment about the impact and subjugation for local major literature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n’t it possible to find the exit for the subjugation against local mainstream through positive pursuit for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imagination in front of this question? Hallyu has an important meaning and value in this context. Because you can find the impact and subjugation against local mainstream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meaning and value for Hallyu. Because the ultimate directivity for Hallyu is not East Asia centered-hegemonism but renaissance in literature of Korea and every country in East Asia as well as it aims to create the culture for creative commonality with leading, inspiring and developing western culture.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ouble identity of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double attributes as Korean literature and local one as well. The possibility which combines this double boundary points is the intrinsic character of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he base of its potential possibility. In other words,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positively accepts the assets of Hallyu and its aesthetic value as well as it is located in easy foothold to seek the value for local mainstream. We have found the possibility to engraft Hallyu and studied different characters of Korean-Japanese, Korean-Chinese, Korean-American an literature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discussion for the desirabl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to spread philosophical and aesthetic meaning and value of creating civilized world which Hallyu is suppose to aim for in the future. And this work which engrafts to spread future-oriented directivity and cultural value of Hallyu has the meaning for ultimately seeking alterative culture to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in the global cooper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한민족디아스포라 문학은 ‘적응과 극복’의 명제를 생래적인 과제로 안고 있다. 현지의 메이저 문학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메이저 문학의 한계를 충격하고 이를 스스로 극복하는 것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마이너리티로서의 궁극적인 지향성이다. 그렇다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현지의 메이저 문학에 대한 충격과 극복의 과제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이러한 물음 앞에 한민족의 문화 예술적 상상력에 대한 적극적인 추구를 통해 현지 메이저문학에 대한 극복의 출구를 찾아볼 수는 없을까? 한류는 이러한 문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한류의 문화 예술적 의미와 가치를 통한 한민족동포문학의 현지 문학에 대한 충격과 극복을 모색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류의 궁극적인 지향성은 동아시아 중심의 또 다른 패권주의가 아니라 한국과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부흥은 물론 서구의 문화까지도 선도하고 추동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창조적 보편의 문화 창출을 지향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또한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이중적 정체성과도 직접 관련된다. 해외한인디아스포라문학은 현지의 문학이면서 동시에 한민족 문학으로서의 이중적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이중적 경계 지점의 포용적 통합의 가능성은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고유한 특성이며 잠재적 가능성의 토양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은 한류의 자산과 미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현지의 메이저문학의 가치를 동시적으로 추구하기에 용이한 거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재일본디아스포라문학, 중국조선족디아스포라문학, 미주디아스포라문학 등의 서로 다른 특성을 살펴보고 한류의 접목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들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한류가 지향해야할 문화세계창조의 철학적, 미학적 의미와 가치를 확산하는 전위로서의 가능성과 연관된다. 또한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미래지향적인 지향성과 한류의 문화적 가치의 확산을 접목하는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21세기 인류사회의 공존공영을 위한 대안문화 창출의 모색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

        김환기(Hwanki Kim)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의 구심력과 원심력의 관점에서 재일 코리안의 전세대로 일컬어지는 다치하라 마사아키 문학과 김석범 문학, 중간세대인 이회성 문학과 이양지의 문학을 중심으로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의 실천적 행보를 검토해 보았다. 다치하라 마사아키 문학은 인간실존의 문제를 단순히 고향의식, 조국과 민족, 역사와 정치이념의 정서만으로 접근할 수 없는 근원적인 측면이 존재하며, 김석범의 문학은 작가 자신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근간으로 해방정국을 제주도(제주4.3사건) 중심으로 피력했다는 점에서 대별된다. 굴절된 일제강점기와 해방정국의 극심했던 혼란상을 체험했던 두 작가의 문학세계 는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경계의식이라는 관점에서 대별되지만 기본적으로 인간실존과 보편성을 천착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제국과 식민, 중심과 주변으로 변주되는 국가/민족주의적 시선과 디아스포라의 중층적 이미지를 실존과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서사화한 예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회성과 이양지 문학은 “가장 재일조선인 문학다운 문학”을 보여준 예로서 특히 유민의식과 월경을 천착하고 자기정체성과 연계된 삶의 공간/장소와 언어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회성은 [유역]을 통해 ‘37년사건’으로 상징되는 구소련권 고려인들의 혹독한 디아스포라 의식을 형상화 했으며 이양지는 [유희] 등을 통해 이방인의식과 자기 찾기의 여정을 통해 경계의식을 형상화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재일 디아스포라의 문학적 특징은 전지구촌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과도 공유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문예잡지인 [캐나다문학](캐나다), [미주문학](미국), [연변문학](중국), [깎뚜스](멕시코), [안데스문학](아르헨티나), [열대문화](브라질), [삼천리](일본)가 그러하고, 아동문예지인 [한사랑](페루), [파랑새](파라과이), 그리고 구소련권의 [레닌기치] 등이 그러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간고함을 문학적으로 담아낸 예이다. 말하자면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은 경계와 혼종, 월경과 트렌스네이션등으로 표상되는 디아스포라 의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지극히 교훈적/시사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trajectory of transnation and boundary awar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centripetal force with the focus on the literature of Tachihara Masaaki and Seokbeom Kim who are called as the generation before Koreans residents in Japan, Heeseong Lee and Yangji Lee who are viewed as the middle generation. Tachihara Masaaki’s literature has some underlying aspect of human existence, which cannot be approached by any simple emotions such as hometown consciousness, homeland and people, and history and political ideology. Seokbeom Kim’s literature bases on the author’s own diaspora consciousness to express the post-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focus on Jeju Island (April 3 massacre in Jeju). In these aspects, the two authors’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The two authors experienced the refracted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extremely political chaotic situation after national liberation. Their realms of literature are distinctive from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fied oundary awareness on diaspora. However, basically, they are symbolic in probing into human existence and universality because, from the viewpoint of existence and realism, they are the narrtivization examples of multi-level diaspora images and nationalistic views varied into empire and colonization, and center and circumference. The literature of Heeseong Lee and Yangji Lee is the example of showing the nature of literature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the maximum extent. They are remarkable in probing into the consciousness of ruined people and crossing borders, in particular, and dealing with the issues of identity-related living space/place and language. Leeseong Lee, in his work [Yuyeok], gave shape to the severe diaspora consciousness of Korean resident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reas through the symbolic event of 37 year incident. Yangji Lee, in his work [Yuhee] and others, described the boundary awareness through the journey to find oneself and foreigners’ awareness.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iterature by Korean diaspora in Japan are shared by all other Korean diasporas across the world. Examples are literary magazines such as [Canadian Literature] (Canada), [Korean Literature of America] (US), [Yanbian Literature] (China), [Cactu] (Mexico), [Tropical Culture] (Brazil), and [Sanzenri] (Japan); children’s literara magazines such as [Han Sarang] (Peru), [Parangsae] (Paraguay); and the former Soviet Union’s [Lenin Gichi], literaturally describing the severe situation of Korean diasporas. It is that, so to speak,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deep lessons and implications in symbolically presenting diaspora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boundaries and hybridism, border crossing and transnation, etc.

      • KCI등재

        통일문학교육 제재로서 디아스포라 문학 역할 연구

        임인화(Im, In-Hwa)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국어교육 내 디아스포라 문학의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통일문학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디아스포라 문학이 문학교육에서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피고 디아스포라 문학을 세대 및 시기, 지역별로 분류해 특성을 검토했다. 이후 디아스포라 문학이 통일문학교육의 제재로서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기 위해 독일의 사례와 국내의 선행연구 사례를 통해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통일문학교육 제재 선정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이상을 바탕으로 통일문학교육 제재로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을 살펴보면 디아스포라 문학에 형상화된 북한의 모습과 탈북자의 고단한 삶, 통일 이후 디스토피아가 된 통일한국의 모습은 직접적 교류가 막힌 현 상황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간접적 체험의 장이자 남과 북의 이질성을 최소화하고 동질성을 극대화 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디아스포라 문학은 통일문학 교육 제재로서 세계문학과의 접점 확보를 통한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디아스포라 문학은 통일 한국 시기, 우리에게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기제로 작용할 것이다 남과 북의 통일과 함께 다문화 사회가 된 통일한국 사회가 겪을 수많은 갈등에 대해 디아스포라 문학은 ‘또 다른 나’의 시선으로 한국사회에 수많은 질문을 던질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함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확대함과 동시에 미래 한국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aspects of diaspora literature in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status and role of diaspora literature in unified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how diaspora literature is presented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aspora literature by classifying it by generation, time and region. Later,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aspora literature as a sanction for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the government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of sanctions on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unification education. Looking at the role of diaspora literature as a sanction for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North Korea"s image in diaspora literature, the hard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unified Korea, which has become a dystopia since unification, will serve as a venue for indirect experiences to understand each other at a time when direct exchanges have been blocked,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minimize the heterogeneity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 addition, diaspora literature is a sanction for the education of unified literature, and diaspora literature will exp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by securing contacts with world literature. It will also serve as a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a new identity for us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Korea. On the numerous conflicts facing a unified Korean society that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unific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Diaspora literature will ask numerous questions to Korean society in the eyes of "Another Me," and we will be able to expand the horizon of perception while at the same time forming a new identity demanded by future Korean society.

      • KCI등재

        박남수 시의 디아스포라적 특성 고찰

        남기택(Nam, Gi-tae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고는 미주지역 재미한인문학을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한 형태로 간주하여 접근하였다. 디아스포라문학에 대해서는 다양한 범주 설정이 가능하다. 오늘날 디아스포라의 양상 자체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바 미주지역 이민과 그 문화적 부산물인 재미한인문학 역시 넓은 의미에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형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박남수는 이주 이후에도 변함없이 생의 본질을 묻는 실존적 탐구를 지속하였다. 그 과정에서 디아스포라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 재미한인문단의 실정과 그에 관계되는 박남수의 문학적 이력 자체는 박남수 시를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으로 읽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전제가 된다. 이주 이후 박남수 시세계에는 인종과 공간의 다양한 경계 양상이 서로 충돌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도의 인종과 공간 지평은 결과적으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운명과 유비되면서 특유의 문학적 지평을 형성하게 된다. 무엇보다 디아스포라적 사건과 장소의 형상화 양상은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관점에서 주요하게 조명되어야 한다. 박남수 시는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이 여전히 구성적인 것이라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박남수 시는 재미한인문학이 전유해야 할 문학적 주제나 정체된 문학장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한다. 재미한인문학 연구는 국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의적 의미를 지닌다. 재미한인문학장은 민족국가 단위로 설정되었던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민족공동체에 대한 탈근대적 사유를 가능케 하는 물리적 기제일 수 있다. 이처럼 박남수 시는 시인의 삶으로부터 시적 주제에 이르기까지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을 대표하는 실정적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rk Nam-soo’s poetry in the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The recent growth in the Korean literature’s publication abroad demands the perspective of diaspora in the Stat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levels of meanings of the Park Nam-soo’s poetry published in light of the Korean diaspora. The topics of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the search for the placeness. It is related to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and the identity questions too. Sorrow or sadness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home countries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the identity questions, and the search for the ethnicity. Diaspora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culture. Diasporic event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ethnic ommunity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Especially, LA Riots of 1992 i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Such event inevitably results from diaspora. The Korean-America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iasporic meaning of the social attitude. The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involves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field of lit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meaning of the space and place.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immigrant lives and ethnic identity.

      • KCI등재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사적 이해와 창조적 소통의 모색

        홍용희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3

        고려인 디아스포라는 20세기 한반도는 물론 격동의 세계사적 비극을 함축하고 있 는 축도라고 할 수 있다.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에는 구한말 사회적 혼란과 연해주 로 이주한 유이민의 삶,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전진기지로서의 역할,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에 의한 참혹한 희생, 독소전쟁, 소련 와해와 독립국가 탄생 등이 복합적으 로 담겨 있다. 따라서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을 중심으로 세계사적 문제를 다양한 국면에서 성찰적으로 재인식하면서 미래지향적인 가치 규범을 모색하는 것은 21세 기 지구사회 문학을 구현하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인디아스포라 문학은 적응과 극복의 명제를 생래적인 과제로 안고 있다. 현지의 메이저 문학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메이저 문학의 한계를 충격하고 극복하는 것이 재외 한인디아스포라문학의 마이너리티로서의 궁극적인 지향성이다. 다시 말해,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은 현지의 단순한 주변 문학이 아니라 창조적 소수자 문학으로서 자 리매김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한인디아스포라문학은 현지의 주류 문학의 자산 과 미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한국문단의 세계적 보편화를 향한 신선한 활력과 성찰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한인디아스포라 문학의 미래지향적 의미와 가치를 염두해 두면서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사적 이해와 한민족 문학의 자산으로서 발굴과 소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사적 이해의 범주는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 형성과 이주 문학’,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와 문학적 복원’, ‘소비에트 와해와 문학하는 고려인’ 등이 중심을 이룬다.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학렬을 연구한 것이다. 김학렬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에서 허남기, 강순, 남시우를 잇는 2세대로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비평가인 동시에,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을 통체적으로 담아낸 대표적인 시인이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 『종소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학렬의 시세계는 2000년 『종소리』에 창간 이전까지는 북한문학의 지도노선에 충실하여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을 썼다. 하지만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총련>계 재일 다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동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im hak-ryeol,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im hak-ryeol`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Kim hak-ryeol`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im hak-ryeol`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과 쟁점 - 2000년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지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1

        2000년대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에 등장한 ‘디아스포라’라는 용어 및 인식틀은 한국문학의 속지주의(屬地主義)와 속문주의(屬文主義)를 비판하고, ‘한국문학 대 세계문학’이라는 위상학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족주의와 국민국가를 넘어서는 새로운 상상력을 펼쳐 보인 문학 현상이자 담론이었다. 이에 이 논문은 지난 20여 년간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이루어진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흐름을 조망하고 그 쟁점들을 재검토함으로써 이동/이주/이산에 관한 문학 연구의 향후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그동안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개념, 관점, 방법론은 한국문학의 영역을 확장하고, 민족과 국가를 이루고 있는 내외부의 경계들을 섬세하게 사유할 수 있게 해주었을 뿐 아니라 복합적인 학제적 대화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다수가 민족주의의 자장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디아스포라로 명명될 수 있는 존재를 발굴하는 데 집중하면서 이들을 쉽게 고정화하고 역사화하기도 했다. 따라서 민족주의적인 정서나 귀환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고, 다문화주의라는 이름으로 전개된 동화주의적 시각이 아닌, 디아스포라의 존재론이 지닌 문화정치적 기획 및 실천의 잠재성에 대해 다시 사유해야 한다. 재난의 일상화로 인해 난민화되는 삶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현재, 경계를 오가는 비결정적이고 불확실한 존재를 고정화하거나 추상화하지 않는 동시에 수난의 서사나 피해자 담론에 가두지 않으면서 이들이 지닌 저항과 해방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분석틀과 방법론이 요청된다. The term and conceptual framework of ‘diaspora’, which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field since the 2000s, was a literary phenomenon and discourse that criticized the attributable territory and native language principle of Korean literature, questioned the topology of Korean literature vs. world literatur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examine the flow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criticism in the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field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is paper tried to gauge the future direction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by reviewing the current discourse topography on movement/migration/separation. In the meantime, ‘Diaspora’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not only expanded the domain of Korean literature and allowed to think abundantly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that make up the nation and the state, but also enabled complex interdisciplinary dialogue. However,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discovering beings that could be named diaspora, and due to the work of this naming and classification, they were easily immobilized and historicized. As a result, no progress has been made beyond the initial discussion regarding the potential or movement for their ont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gain about the potential of cultural and political planning or practice of diaspora ontology, not a assimilationist view developed in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without presupposing nationalistic sentiment or the possibility of return. When discussions on refugees or refugeeized lives began to emerge, analysis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are required for those who have potential for resistance and liberation, without immobilizing/abstracting non-deterministic and uncertai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