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말唐末 도통의식 변화 양상 ―왕통王通의 도통의식을 중심으로-

        이연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6

        The idea of Daotong suggested by Confucius leads the stream of Confucian ideas that cover every philosopher’s spirits of the times. I, the researcher, has concentrated on the idea of Daotong appearing especially in the era of Suí and Tang dynasties shows a practical viewpoint of Daotong in which such figures as Xunzi and Wangtong were arranged as the successors of universal truth (道). Especially the Daotong system of Pirixiu is noticeable as he regarded Xunzi and Wangtong as the successors of universal truth (道). His thoughts of Daotong does not only state the position and stance of Confucian school during such chaotic period of Suí and Tang dynasties but also suggest a practical idea of Daotong. The center of such Daotong system suggested by Pirixiu represents the philosopher Wangtong. I try to look into the stream and pattern of the thoughts of Daotong late in Tang dynasty through Wangtong’s idea. 도통(道統)은 유가 정신 근간의 주된 흐름으로 시대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도통 의식은 공자로부터 제출되어 유가 사상의 흐름을 주도하는 영역으로 사상 철학자들의 시대정신을 표명한다. 도통관은 요(堯) – 순(舜)- 우(禹)- 탕(湯) – 문무(文武) - 주공(周公) - 공자(孔子) - 맹자(孟子)로 이어오는 계보가 정통으로 알려져 있으나 시대마다 도를 규명하는 내용과 성격이 다르기에 도를 계승하고 자처하는 자들도 다르게 배열된다. 기존의 도통에 대한 논의는 주로 한유 주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정통계보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논자는 유가의 도가 정립되는 과정에서 수당(隨唐) 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도통관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 시기에는 순자 왕통과 같은 서민계급의 인물들이 계보에 배치되는 실용적인 특성의 도통관이 정립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나, 순자(荀子)· 왕통(王通)을 도의 계승자라고 여긴 피일휴(皮日休)의 도통 계보가 주목할 만한데, 피일휴의 도통의식은 수당 혼란기의 유가의 지위와 입장을 표명해주고 있으면서 동시에 실용주의적인 도통관을 제시하고 있다. 그 계보의 중심에 ‘왕통(王通)이라는 사상가가 있는데 그의 사상을 통해 당말 도통의식의 흐름과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韓ㆍ中의 朋黨士禍ㆍ文廟從祀ㆍ道統淵源의 社會政治的 兩面性

        권인호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현재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금융 자본주의의 도도한 흐름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이때 우리 한국을 둘러싼 내외의 현실은 여전히 급박하고도 어렵다. 국제 관계에서는 동서고금의 역사를 살펴볼 때 ‘영원한 우방도 영원한 적국도 없다.’는 것이 진리이다. 유학 특히 정주 성리학을 국가 철학내지 사회정치(통치)사상으로 채택한 것은 한국(고려말-조선조)⋅중국(송대-청대) 근세사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한 서구 근대화 과정에서, 이를 시대에 맞지 않는 사상과 이념으로 파악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여 그 부정적 측면을 많이 강조해 왔다. 조선 개국 후 100여년 될 무렵 무오년(1498년)부터 사화가 일어나서 이른바 ‘사대사화(戊午ㆍ甲子ㆍ己卯ㆍ乙巳)와 정미사화(1547년)까지 많은 조신(朝臣)과 선비를 도륙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꼭 20년 전인 선조 5년(1572년) 7월 19일 경연에서 이이(李珥)가 선조께 아뢰기를 붕당의 조짐을 예견하여 유차(遺箚)을 올려 우려한 이준경(李浚慶)에 대해 인신공격을 하였다. 일제는 그들의 조선 강점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조선 시대의 ‘정체성론’과 ‘타율성론’ 등 그 원인을 유교사상(성리학)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당쟁’이라고 강변하였다. 한국에서는 문묘(孔廟)의 대성전에는 공자를 위시하여 안자, 증자, 자사, 맹자 등 사성과 공문십철(孔門十哲), 송조육현(宋朝六賢)의 위패를 배향하였다. 동무에는 중국 명현 47위와 한국 명현 9인위를 종사하였다. 서무에도 중국 명현 47위와 한국 명현 9위를 종사하여 총 133인의 위패를 모셨다. 한국은 원대(元代) 허형(許衡) 이후로 명ㆍ청대 인물을 종사하지 않고 한국의 현인들 가운데 이른바 ‘동방십팔현(東方十八賢)’을 모신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도통의 논의와 그 영향은 조선조 시대 중종반정을 거치고 난 후 정몽주와 김굉필의 문묘종사 거론과 함께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중국의 도통연원에 연결하여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 김굉필ㆍ정여창 - 조광조로 이어지는 한국의 유학(성리학) 도통연원이 형성되었다. 이것은 다시 광해군 2년(1610년)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즉 이른바 ‘오현(五賢)’이 문묘에 종사되면서 더욱 확고해져 갔다. 한편 중국에서는 북송의 구법당이었던 정자와 양시 그리고 남송의 주희가 북송의 왕안석에 대하여 폄하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대성전에 배향되었던 왕안석의 위패는 양시의 주장에 의해 출향되었다. 요순에서 공맹을 거쳐 주돈이-이정(정호ㆍ정이)-양시-나종언-이동-주희로 이어지는 도통연원을 형성해 갔다. 그것은 송말원초에 허형에 의해 원나라에 전해진 정주 성리학의 관학화로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것은 명ㆍ청를 거쳐 약 700년간에 이르도록 관학의 형세를 유지하였다. 조선조 또한 마찬가지이며, 유교문화권내지 한자문화권이라고 하는 일본과 월남도 기간과 및 그 양상이 다를 뿐이지 비슷한 모습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도통연원은 학문사상이 역사에서 과거와 현재도 정당화하고, 나아가 미래까지 정당화하려는 의지의 발로일 것이다. 그러나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탈과 21세기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확산된 현재의 시점에 와서 세계적인 금융 자본주의 위기의 확산 및 비윤리적 확장과 파행은 우리에게 유학의 새로운 재조명과 인식을 요한다고 본다.

      • KCI등재

        이형부(李馨溥)의 「화양구곡도(華陽九曲圖)」에 대한 고찰

        이상주 ( Lee Sangju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尤庵 宋時烈(1607~1689)은 李德泗(1581~1636)의 딸과 혼인했다. 宋時烈(1607~1689)은 율곡 李珥(1536~1584)의 도통을 계승하고 기호사림의 도통계승의식을 助長하였다. 李奎象(1727~1799)은 이덕사의 5대손이다. 『幷世才彦錄』의 저자인 이규상은 근자 주목받고 있다. 전반적 정황으로 이덕사와 송시열가문은 여러 세대에 걸쳐 교유하면서서 도통을 계승했다. 이규상의 손자 李源順은 화양구곡에 대한 시를 지었으며, 華陽九曲圖를 그릴 생각을 했다. 이원순의 아들 李馨溥(1791~1851)가 1809년에 「華陽九曲圖」를 그리고 그림에 <題華陽九曲圖>를 썼다. 이 그림에 송시열의 10대손 宋洛憲(1891~1944)은 1924년 ‘華陽九曲圖’라 題目을 적고, 그 조부 宋達洙(1808~1858)가 지은 <華陽九曲次武夷棹歌韻> 10수를 써넣었다. 이 모두 道統을 계승 발현한 결과이다. 혼인으로 맺은 두 가문이 도통의식을 유지하고 후손들이 합작으로 구곡도를 완성한 사례는 처음으로 보인다. 이렇듯 이들은 「華陽九曲圖」를 그리고 거기에 <華陽九曲次武夷棹歌韻>을 追記하여 문학예술작품을 합작완성하였다. 이는 尊周大義와 朱子의 道統意識을 詩와 그림으로 창작계승한 것이다.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현존하는 화양구곡도는 2점이다. 權信應(1728~1787)이 그린 <화양구곡도>가 현존하는 최초의 화양구곡도이다. 그 다음이 이형부의 <화양구곡도>이다. 이형부가 그린 <화양구곡도>에는 이형부가 ‘箕山舊邦崇禎遺民’, 송낙헌이 ‘小巴山人大明軒宋洛憲’이라 인장에 새겨서 찍었다. 이를 통해 이들의 존주대의의식과 도통의식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 남는다. 이형부의 <화양구곡도>는 전체적으로 바위와 소나무로 구성했다. 바위는 불변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절개와 지조의 상징으로 砥柱石을 염두하고 시에 인용한다. 소나무도 흔히 『논어』 <子罕>편의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에 의거하여 절개와 지조를 대변한다. 이형부는 <화양구곡도>에서 바위와 소나무를 통해 우암이 존주대의의 의리와 존화양이의 지조를 중시했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묘사했다고 할 수 있다. 이형부는 <題華陽九曲圖>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았다. 明나라 황제의 업적과 우암의 崇明意識에 대한 비유, 朱子의 학문자세 강조, 孝宗에 대한 不忘心의 비유적 표현, 우암의 尊周大義意識의 聖地化에 대한 찬양, 중국과 대등한 天藏地秘의 땅, 송시열의 朱子에 대한 흠모심, 제갈 량과 우암의 동격화, 武夷九曲에 없는 신성하고 청정한 仙境, 巴串의 승경에 대한 극대적 예찬 등이다. 이형부는 <題華陽九曲圖>에서 화양구곡 9개 곡과 관련해서 그 내용을 직접 서술하지 않고 비유적 표현을 써서 강조했다. 이런 점이 <화양구곡도>와 <題華陽九曲圖>의 특징이다. 따라서 그 九曲圖史的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듯 이형부는 <화양구곡도>와 <題華陽九曲圖>를 통해 존주대의의식과 도통의식을 발현하였으니 그 구곡문학예술사적 의의를 인정할 수 있다. Uam Song, Siyeol(宋時烈,1607~1689)had married with Lee, Deoksa(李德泗,1581~ 1636)'s daughter. Song, Siyeol was formated Confucian Consciousness of succession by Gihosarim after succession of Confucian by Yulgok Yi, I(1536~1584). Lee, Gyusang(李奎象,1727 ~ 1799)is keeping paying attention as a author of 『Byeongsejaeeonrok幷世才彦錄』. Mainly, because of Confucian Consciousness, Lee, Deoksa·Song, Siyeol family had succeeded Confucian Consciousness through coming into close relation with them several generations. Lee, Gyusang's grandson, Lee, Wonsun was composed poems of Huayanggugok(華陽九曲), and he thought to intend to draw the picture of Huayanggugokdo(華陽九曲圖). His son Lee, Hyeongbu(李馨溥1791~1851) painted the picture of 『Huayanggugokdo(華陽九曲圖)』 in 1809. Song, Siyeol' s 10th descendants who was Song, Nakheon(宋洛憲1891~1944) wrote the title (題目) of the picture of 「Huayanggugokdo(華陽九曲圖)」 and his grandfather Song, Dalsu(宋達洙1808~1858) composed 「Huayanggugokchamuidogaun」(華陽九曲次武夷棹歌韻), 10 poems had written and contained. These all were succession and revelation results of Confucian(道統). It seems that the first case of completion for Gugokdo and the two family which joined marriage had kept Confucian consciousness(道統意識) subjected to several generations had produced conjointly. Like these, these people painted the picture of 「Huayanggugokdo(華陽九曲圖)」 and they added there 「Huayanggugok- chamuidogaun 華陽九曲次武夷棹歌韻」 and they had produced conjointly completely the literary arts works. These are to be creation and succession with poems(詩)and pictures of Jonjudaeui(尊周大義)Confucian consciousness(道統意識) by Zhu Xi(朱子). Until now, by the report at the academic world, presented existing Huayanggugokdo is two pieces. Kwon, Sineung(權信應1728~1787) had painted 「Huayanggugokdo」 is the first existing Huayanggugokdo. The next one is Lee, Hyeongbu's 『Huayanggugokdo』. Lee, Hyeongbu had emphasized by figurative expression of related contents of 9-piece-Huayanggugok. Like this, Lee, Hyeongbu(李馨溥)can be recognised the meaning of history in Gugok literary arts(九曲文學藝術) because of revelation as a creation such as Confucian consciousness(道統意識) through 『Jehuayanggugokdo題華陽九曲圖』 and pictures.

      • KCI등재

        16세기 善山(선산)지역 서원 건립에 나타나는 道統意識(도통의식) -金烏書院(김오서원)과 吳山書院(오산서원)을 중심으로

        임근실 ( Geun Sil Lim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7 No.-

        16세기 善山지역에서 서로 다른 도통의식이 반영된 松堂學派의 金烏書院과 退溪學派의 吳山書院이 건립되었다. 이 시기 선산에서 朴英을 스승으로 모시는 송당학파가 성립되었다. 1570년대 송당학파는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 의식이 반영된 금오서원을 건립했다. 금오서원은 선산이 고향인 길재를 주향으로 하고 김종직, 정붕, 박영이 배향되었다. 1580년대 柳雲龍은 길재의 묘소가 있는 仁同의 縣監으로 부임하면 서길재를 추숭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류운룡의 스승인 李滉은 조선 유학의 도통이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이언적’으로 이어진다고 파악했다. 이황 사후에 퇴계학파의 학자들은 오현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의 문묘종사를 추진하면서 이황을 도학의 계보에 연결하였다. 이와 같은 의식을 지닌 류운룡은 송당학파의 도통의식에 공감할 수 없었다. 류운룡은 퇴계학파의 도움을 받으며 길재를 모시는 오산서원을 건립하고, 오산서원의 서원지인 『吳山志』를 편찬했다. 특히 류운룡은 『오산지』에서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 는 도통을 명시하였다. 이는 오산서원이 퇴계학파의 도통의식을 바탕으로 건립되었고, 송당학파의 도통의식이 반영된 금오서원과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즉, 류운룡은 송당학파의 금오서원에 대안적 성격으로 오산 서원을 건립하였다. 이처럼 선산지역의 대표적인 두 서원이 서로 다른 도통의식을 가지고 건립된 사실은 이 시기 서원의 사상적 역할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In 16th-century Seonsan(善山), Geumoseowon(金烏書院) of Songdang School(松堂學派) and Osanseowon(吳山書院) of Toegye School(退溪學派) were constructed, which reflected different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 orthodoxy, Dotong(道統). At this time, Songdang School that respected Park Yeong(朴英) was established in Seonsan. In the 1570s, Songdang School built Geumoseowon showing their consciousness of Dotong, which was passed down from Jeong Mong-ju(鄭夢周), Gil Jae(吉再), Kim Suk-ja(金叔滋), Kim Jong-jik(金宗直), Kim Goeng-pil(金宏弼), Jeong Bung(鄭鵬) and Park Yeong. Geumoseowon mainly enshrined Gil Jae who was born in Seonsan; Kim Jong-jik, Jeong Bung and Park Yeong were additionally kept in the shrine. In the 1580s, assigned to a local governor of Indong(仁同) where the tomb of Gil Jae was located, Ryu Woon-ryong(柳雲龍) began work on posthumous admiration for Gil Jae. Yi Hwang(李滉), the teacher of Ryu Woon-ryong, figured out that Dotong in Joseon confucianism was succeeded by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oeng-pil, Jo Gwang-jo(趙光祖) and Yi Eon-jeok(李彦迪). After Yi Hwang’s death, conducting the enshrinement of the five confucian sages─ Kim Goe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Yi Eon-jeok and Yi Hwang─, scholars of Toegye School considered Yi Hwang as a heir to Neo-Confucianism, Do Learning(道學). Therefore, Ryu Woon-ryong could not agree with Songdang School, having such consciousness. Supported by Toegye School, Ryu Woon-ryong built Osanseowon which enshrined Gil Jae, and compiled Osanji(吳山志), the records of Osanseowon. Ryu Woon-ryong particularly stated his consciousness of Dotong, which was in succession to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o Gwang-jo. It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Osanseowon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oegye School orthodoxy;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s with Geumoseowon of Songdang School in Dotong. In short, Ryu Woon-ryong established Osanseowon in response to Geumoseowon. Accordingly, the fact that the two representative Seowon of Seonsan were founded on the different Dotong proves the ideological role of Seowon in this period.

      • KCI등재

        변용래(卞龍來)의 <화양청도가(華陽聽櫂歌)>와 <화양유기(華陽遊記)>

        이상주 ( Lee Sang-ju ) 연민학회 2018 淵民學志 Vol.30 No.-

        변용래(卞龍來, 1860-1917)는 우암 송시열의 9세손 송병준(宋秉璿)에게 수학하여 그로부터 존주대의(尊周大義)·존화양이(尊華攘夷)의 도통의식(道統意識)을 전수받았다. 그는 송환기(宋煥箕)의 문집 『성담집(性潭集)』 간행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1898년 화양구곡을 탐방했다. 이런 연유로 <화양유기(華陽遊記)>와 <화양청도가(華陽聽櫂歌)>를 지은 것이다. 변용래는 <화양유기>에서 화양구곡 9개 곡(曲)에 존주대의 등 송시열의 사상과 의식이 이입(移入), 표상화(表象化)되었다는 사실을 서술했다. <화양청도가>에서도 마찬가지로 이 점을 표출했다. 본고에서 논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용래는 존사(尊師) 도통(道統)이 인연이 되어서 화양구곡을 탐방했다. 둘째, <화양청도가>를 짓고 주자의 <무이도가>의 운(韻)을 따랐다. 이는 그가 도통 전수를 실천했다는 증거이다. 셋째 <화양청도가>에서 화양구곡이 존주대의와 존화양이의 성지(聖地)라는 점을 표출했다. 넷째, <화양유기>에서 우암을 ‘고산(高山)’에 비유하며 그가 화양구곡을 존화양이의식의 성지로 만든 점을 예찬했다. <화양유기>의 특징은 화양구곡 제1곡부터 제9곡을 우암의 학문적 덕성에 비유하여 묘사하였다는 점이다. 변용래는 <화양유기>와 <부유기(浮遊記)> 등 기문과 <경차서벽정원운(敬次棲碧亭原韻)>이라는 시에서 화양구곡을 탐방한 감회를 피력했다. 이러한 저술은 이른바 존도(尊道)·존사(尊師)·존화(尊華) 의식의 발현이었다. 이렇듯 변용래는 조선말 시국이 혼란하고 일제가 조선을 강점할 조짐이 농후해 가던 1898년 화양구곡을 탐방했다. 그리고 <화양유기>를 통해 화양구곡 9개 곡에 담긴 우암의 학문적 존화양이의 업적을 예찬했다. 또 <화양청도가>에 암송의 효과를 활용하여 존도·존화의식을 더욱 공고히 했다. 따라서 변용래의 <화양청도가>와 <화양유기>는 그 시대적 상황에 걸맞은 구곡문학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Byeon Yong-rae (卞龍來, 1860-1917) had studied under Song Byeong-seon (宋秉璿, 1836-1905) who was the 9th generation descendant of Song Si-yeol (宋時烈, 1607-1689). Byeon Yong-rae was initiated in Dotonguisik (道統意識, Neo-Confucian orthodoxy consciousness) of Jonjudaeui (尊周大義:zunzhoudàyì, feudal lords elevates the land of an emperor) Jonhuayangi (尊華攘夷:zunhuarangyi, to respect China while repelling barbarians). He had visited Huayanggugok Valley in 1898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project of Song Huan-gi (宋煥箕, 1728-1807)’s collection of literary arts-Seongdamjip (性潭集) published in Huayanggok. For this reason, he had left Huayangyugi (華陽遊記). Byeon Yong-rae described the facts that Uam Song Si-yeol’s idea and consciousness, such as Jonjudaeui and etc. were empathized into 9 curves pieces of Huayanggugok Valley to be emblematic. Actually, it’s rare to find such a case. Byeon Yong-rae had expressed such a point even in Huayangcheongdoga (華陽聽櫂歌). I can organize what a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synopsis is as follows: First, Byeon Yong-rae had visited Huayanggugok with a relation with a revered teacher Dotong (道統:daotong). Second, even the fact that he had written Huayangcheongdoga was the proof that he put Dotong into practice. Third, Huayangcheongdoga had been followed to imitate the rhyme of Jhu Xi (zhuzi)'s Muidoga (wuyizhaoge). Fouth, Byeon Yong-rae had expressed the point that Huayanggugok was the holy place (聖地) of Jonjudaeui and Jonhuayangi in Huayangcheongdoga. Like this, Byeon Yong-rae had visited Huayanggugok in 1898 during the period of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as chaotic, together with a strong sign of Japanese empire’s occupation of Joseon. He had spoken figuratively and adored Uam's scholarly Jonhuayangi accomplishment within 9 curves pieces of Huayanggugok Valley. And he had all the more consolidated Jondojonhuauisik by using recitation effect of Huayangcheongdoga. Therefore Byeon Yong-rae's Huayangcheongdoga and Huayangyugi can be recognized as the one having Gugok literature significance of his contemporary.

      • KCI등재

        박세화(朴世和)의 용하구곡(用夏九曲)과 관련 시(詩)에 대하여

        이상주 ( Sang Ju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6 No.-

        朴世和(1834~1910)는 1895년 8월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났던 그 해 겨울, 지금 충북 제천시 덕산면 억수리 用夏九曲의 상류인 불億山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書示書社同志>를 지었다. 이 글에서 그는 道를 따라 죽고 動搖가 일어나도 동요하지 않는 것이 義라는 점을 강조하고 경전을 공부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1898년 용하구곡을 설정했다. ‘用夏’라는 명칭은 『맹자』의 ‘用夏變夷’를 차용한 것으로, 그의 투철한 ‘道統意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박세화의 用夏九曲은 도통계승의식을 구곡의 명칭에 담은 현존 最初의 구곡이다. 그는 용하구곡 1곡부터 9곡까지의 바위에 朱子의<夷櫂歌>의 詩句를 4字語로 壓縮하여 새겼다. 또 1곡부터 9곡 중간 중간의 바위에도 ‘洗心瀑 ‘攝雲臺’등 道學的 내용을 담은 명칭을 새겼다. 그는 용하구곡에 用夏洞家塾을 건립하고 講書臺를 조성했다. 이는 ‘尊華攘夷’ ‘道統意識’을 강학하여 항일의지를 견강히하고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이 용하구곡에서 문도들을 모아 강학했으며, 용하구곡의 수려한 산수를 시로 읊었다. 용하구곡시도 지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어찌 된 사연인지 박세화의 용하구곡시는 그의 문집 『毅堂集』에 실려있지 않다. 李元雨(1880~1962)등 그의 문인들이 용하구곡시를 지어 도통계승의식을 문학으로 표출했다. 이렇듯 박세화가 용하동으로 들어가 용하구곡을 설정한 이유는 ‘존화양이’ ‘도통의식’을 강학하여 항일의지를 공고히하고 항일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그는 국난을 극복해야하는 조선말 일제강점기에 士林으로서 시대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문화재청은 2014년 8월 28일 목요일 용하구곡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 용하구곡의 자연경관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했다는 증거이다. 이에 용하구곡과 용하구곡 관련 시의 문학적 성과를 규명하는 것은 시대의 대세에 학문적으로 부응하는 것이다. 박세화는 용하구곡에 대해 읊은 시에 도학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 제자 이원우도 <用下九曲實記竝詩>에서 도통의 연원과 관련있는 내용을 응용하여 시를 지었으며, 그 표현기법에 있어서 비유법을 잘 구사하여 문예미도 잘 살렸다. 이렇듯 박세화는 조선말 일제강점기 ‘존화양이’와 ‘위정척사’의 도통의식을 강학실천하기 위해 용하구곡을 설정했다. 또한 박세화와 이원우가 지은 시에도 도학정신을 잘 표현하였으니 문학적으로도 용하구곡의 진면목을 잘 승화했다고 그 구곡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Park Sehua(朴世和(1834~1910) entered Buleok-mountain(불億山) which was upper valley of Yonghagugok(用夏九曲) which was located in Eeoksu-ri, Deoksan-myeon, Jecheon-si, Chungbuk at that times winter when Myeongseong Empress regicidal incident took place in August of 1895. And he composed <Seosiseosadongji(書示書社同志). In this writing, he emphasized that Eui(義)was that if tremble(動搖) took place, But did not tremble according to death of a duty(道). And he required to study the scriptures. He designated Yonghagugok in 1898. The term of Yongha (用夏) was borrowed Mencius(孟子) Yonghabyeoni(用夏變夷). We could Know his perspicacious sense of reason mastery. He carved the Yonghagugok rocks from 1rock to 9 rock with poems phrases(詩句) of <Muyidoga(武夷櫂歌)> by JuJa(朱子) as a condense(壓縮) four letters(4字語). And he also carved the terms which was contents of Confucian ethics(道學的) at the middle and middle rocks also from 1rock to 9 rock such as ``Sesimpok`` and ``Seopwundae`` and so on. He constructed Yonghadonggasuk(用夏洞家塾) at Yonghagugok and established Gangseodae(講書臺). In order to use these for headquarters an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he lectured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尊華攘夷)`` and ``Sense of reason mastery(道統意識)``, in order to make strong the anti-Japanese sentiment. He had gathered the diciples and studied at the Yonghagugok, and he had recited good-looking landscape of Yonghagugok. It seemed that Poem of Yonghagugok might be composed. But with how story his literary collection Uidangjip had not recorded Park Sehua(朴世和)`s Poem of Yonghagugok(用夏九曲). Lee, Wonwoo(李元雨(1880~1962))and so on, his literary men expressed literature, with succession sense of reason mastery through composing of poems of Yonghagugok. Like this Park, Sehua entered Yongha-dong and set up Yonghagugok. The reason of this point was done in order to use the base of an anti-Japanese movement by lecture of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 and of sense of reason mastery and through that it made firmly with the anti-Japanese sentiment. Therefore he performed faithfully to play the role of gentry majority(士林) in the late Joseon of colonial era. Park, Sehua reflected the contents of Dohak in the poems of reciting about Yonghagugok. His disciple, Lee, Wonwoo composed the poem which applied the related contnets of Dotong origin in Yonghagugoksilgibyeongsi(用下九曲實記竝詩). In expression technique, he excellently expresses literary art beauty through having a good command of metaphor. Like this Park, Sehua designated the Yonghagugok in order to practice of study of sense of reason mastery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nd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尊華攘夷) in the late Joseon of colonial era. And the poems by Park, Sehua and Lee, Wonwoo were well expressed the sense of reason mastery, it can be endowed the meaning such as good sublimation of intention of Yonghagugok designated.

      • KCI등재

        양웅揚雄의 도통의식과 제자諸子 비판

        이연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9

        양웅(揚雄)은 서한(西漢) 말 신학화(神學化)로 빠지는 경학의 폐단이라는 시대적 위기에 마주한 학자로, 유가 도통 의식을 제고하여 도통을 계승하고자 자처하며 그 임무를 담당한 인물이다. 양웅은 한유에 의해 그 사상적 의의가 평가되었는데, 그의 사상 철학의 핵심은 맹자를 존숭하고 공자의 뜻을 오롯하게 이어가는 것에 있다. 그는 맹자가 이단을 배격하고 유가 도를 지켜나가는 사상적 견고함을 본받아 제자(諸子)들의 사상을 조목조목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유가 도의 계승 여부를 평가한다. 그리고 이 평가의 지표를 공자가 구축하고 건립한 유가 정통의 ‘도’에 두고 유가의 도통 의식의 핵심에 공자의 도를 확고히 함으로써 자신만의 도통 의식을 표명한다. Yáng Xióng, a scholar who met the crisis of the times, the vice that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falling into the study of theologies late in the era of Xī Hàn, took the task of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the Confucian truth inheritance posing himself as the one who should inherit the Confucian truth. The meaning of Yáng Xióng’s ideology was estimated by Hán Yù, who thought that the essence of Yáng Xióng’s ideological philosophy was to respect Mencius and inherit Confucius’ will as it was. Following Mencius who was ideologically solid looking after the Confucian truth against heresy, he critically looked into his disciples’ thoughts in detail whether they were succeeding the Confucian truth. Putting such standard of looking into his disciples’ thoughts on the authentic Confucian ‘truth’ that Confucius established and built, furthermore, he defined that the essence of the consciousness of Confucian truth inheritance was the Confucius’ truth to express his own consciousness of Confucian truth inheritance.

      • KCI등재

        趙榥의 箕裘謠에 나타난 道統구현 양상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0 No.-

        우리의 문학사에서 조선 후기 사대부 작가들의 작품들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 또한 당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현실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오롯이 녹아져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조황의 〈箕裘謠〉를 유학의 핵심적 가치인 도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箕裘謠〉의 구성과 작품에 나타난 道統의 구현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조황의 도통 인식이 가지는 의미를 그의 현실인식과 창작의도를 통해 논의해 보았다. 조황의 기구요 는 자신의 아이를 교육하기 위한 목적에서 창작된 작품이다. 그러한 까닭으로 조황은 유학의 참된 도를 출처의 문제에서 찾고, 이를 온전히 실현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도통 계보를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학의도가 흔들리는 당대 현실 속에서 자신의 아이에게 유자로서 살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기구요 는 복고적 사유에 의한 수동적인 현실 대응이 아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을 통해 당대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 실천 행위였음을 알 수 있다. Jowhang(1803-?) is a writer who wrote a vast number of 111 Sijo in 『Samjuksaryu(三竹詞流). Nonetheless, he is still not properly assessed in our literature. The works of the authors of the late Choson dynasty need to be revised out of prejudice about the medieval aesthetic and retroistic tendenc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early grasp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of Sijo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is point of view, I examined the 〈Kiguyo(箕裘謠)〉 of the Johwang, which is Yeonsijo of the late Joseon Dynasty. 〈Kigyou〉 is the main subject of Dotong(道統), which is the core value of the Neo-Confucianism. Therefore it has value as an important data to grasp the inner consciousness of Johwang. Therefore,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system of 〈Kiguyo〉 and the genealogy of the Dotong in the works and examined the aspect of the Dotong. In addition, I discussed the features and meaning of the Dotong recognition of based on his perception of rea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discussion will help to expand the framework of understanding of the existent condition of the Sijo in the late Joseon literature.

      • KCI등재

        『성학집요(聖學輯要)』 진헌의 정치적 성격

        박홍규 ( Hong Kyu Park ),송재혁 ( Jae Hyeok S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5

        이 글은 宣祖초반 정국에서 栗谷李珥가 처해 있던 정치적 상황에 주목하여 『聖學輯要』의 진헌이 지닌 정치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책이 진헌된 선조 재위 8년(1576) 12월까지, 선조 초기 국정운영 속에서 율곡은 배제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聖學의 완성을 표방하고 있는 『성학집요』의 진헌 속에는, 율곡이 자신의 정치적 견해들을 종합하여 재차 선조에게 호소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선조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고자 했던 목적도 내재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율곡의 이러한 정치적 입장은 『성학집요』의 서두인 「進箚」와 종장인 「聖賢道統」에 집약되어 있다. 그는 「진차」를 통해 선조 초기 정국에서 자신이 처했던 정치적 상황을 술회하고 자신의 정견을 집약한 『성학집요』의 진헌을 통해 조정에 재출사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하고 있으며, 「성현도통」에서는 朱子의 뒤를 바로 자신이 잇고 있다는 道統의식을 표방하고 그러한 도통의 계승자로서 자신의 구체적인 정견을 선조에게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성학집요』의 모델이 된 退溪李滉의 『聖學十圖』 진헌과 이에 대한 율곡의 계승의식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성학집요』가 진헌되기까지의 시기, 즉 선조 즉위년부터 재위 8년까지 율곡이 배제되어 있었던 정치적 상황을 살펴본다. 이후에는 『성학집요』의 「진차」와 「성현도통」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적 입장이 각각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Yulgok Yi I(栗谷李珥)`s political intention through his presenting Seonghakjibyo(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 聖學輯要) to the King Seonjo(宣祖), paying attention to his political situation in early reign of the King. Until presenting the book to the King in December 1576(the 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Yulgok had been neglected from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King. So his presenting Seonghakjibyo, which basically professed the perfection of the studies of the Sages(聖學), to the King included another aim to convert the King`s negative view on him by synthesizing his political views and appealing to the King. Yulgok`s political views are intensively summarized in the book`s beginning “Jincha(進箚)” and the final chapter “Seonghyeondotong(聖賢道統)”. Through “Jincha”, he recalled the past of his political situation during early reign of the King and expressed his own will t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again by presenting this book that was the summary of his political views. Then through “Seonghyeondotong”, he suggested his own specific political opinions to the King as the successor of Taotong(道統) in Chosun by expressing such an ethos that he succeeded directly to Chutzu(朱子). This study firstly tries to identify Toegye Yi Hwang(退溪李滉)`s presenting Seonghaksibdo(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to the King and Yulgok`s successive will on it. Then we will review the times till presenting Seonghakjibyo to the King, 8 years of early reign of King Seonjo when he had been neglected from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King. Finally we will specifically analyze how his political views are expressed in each beginning and final chapter of th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