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계(桐溪) 정온(鄭蘊) 서원배향(書院配享)의 제주교육사적 의미

        양진건(Yang, Jin-G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2

        제주도에서 동계 정온이 주력했던 자기교육활동에 대한 가장 구체적인 성과는 후일 귤림서원 배향으로 나타난다. 정온은 척화파로서의 삶을 살았고 이를 계기로 제주도 귤림서원에 배향이 되면서 경의지학이라는 남명학파의 유서라는 차원에서 자신의 교육사상을 제주도에도 계승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서원 배향은 곧 “서원에 가면 엄연히 그 사람을 보는 듯(入其堂儼然若見其人)”하여 후세대들로 하여금 그들처럼 되도록 감발흥기(感發興起)케 하는 교육적 동기를 갖고 있는 중요한 행사이다. 따라서 제주도 귤림서원 배향을 통해 정온은 200여 년간 제주도 교육의 큰 스승(經史大師)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무엇보다 제주도에서도 남명학파의 유서라는 차원에서 “경”과 “의”에 투철하고, 학문적 실천에 엄격했던 교육사상을 계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Donggye(桐溪) Jungon(鄭蘊) is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education in Jeju. While exiled to Jeju, he engaged in various teaching activities including the making of various confucian reading and study groups. In fact, it is his enshrinement to Gyulim Suhwon(橘林書院) that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Jeju’s confucian education. During the Manchu war of 1636, Jungon opposed to the reconciliation with Manchurians. He at last attempted to kill himself as Chosun made a peace agreement with Manchurians. Jungon was enshrined in Gyulim Suhwon, one of the major confucian memorial and lecture hall in Jeju, for this patriotic sentiment. Honoring a distinguished person at Suhwon is an important educational event in Confucianism. It is because the event inspires students to learn after the deeds of a great person. By enshrined in Gyulim Suhwon, Jungon had presented a model for confucian education in Jeju for more than 200 years. As a result, Jeju people could inherit the history of Namyung Confucian School((南冥學派).

      • KCI등재

        면암 최익현의 서원 관련 언행에 대한 일고찰

        김민재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ds and actions about seowon of Myunam Choi Ik-Hyun, a patrio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raised a righteous army against Japan in 1906 and was exiled to Daemado Island and died ther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his words and actions about seowon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items. ⓐ First of all, regarding the seowon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he thought that the function of seowon was originally education, and argued that eliminating seowon would have a bad effect on the royal family, and said that it was not desirable to eliminate clues that morality could be revived. ⓑ Subsequently, regarding the seowon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will to oppose enlightenment’, Myunam defined seowon as an organization that could face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churches, and set seowon as a medium even when directly expressing his willingness to resist Japan through a righteous army uprising. ⓒ Finally, regarding the seowon as a ‘passway to confirm identity’, he conducted it in seowon when revealing that the lineage of the Do(道) was connected to Joseon or emphasizing sacrifice for the nation, and strengthened his academic and family identity by frequently visiting the seowon and historical sites related to his ancestor, Goun Choi Chi-Won. 본 연구의 목적은 구한말의 우국지사로, 1906년에 항일의병운동을 일으켰다가 일제에 붙잡힌 뒤 대마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숨진 면암 최익현의 서원 관련 언행을 고찰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의 서원 관련 언행을 크게 세 가지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먼저 ‘교육 기관’으로서의 언행과 관련해, 그는 서원의 기능은 본래 제향이 아닌 교육이기에 이를 담당하는 서원의 숫자는 많아야 한다고 여겼고, 서원의 훼철은 왕실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서원을 대대적으로 훼철함으로써 도덕과 절의가 되살아날 수 있는 싹을 없애버리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였다. ⓑ 다음으로 ‘반(反)개화의 의지 표출 수단’으로서의 언행과 관련해, 면암은 그 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외세의 영향력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던 교회에 대응할 수 있는 기구로 서원을 규정하였고, 의병 봉기를 통해 척화와 항일의 의지를 몸소 표출할 경우에도 서원을 매개체로 설정하였다. ⓒ 마지막으로 ‘정체성 확인의 통로’로서의 언행과 관련해, 그는 도(道)의 계통이 조선과 연결되었음을 드러내거나 의리 정신⋅국가를 위한 희생 등을 강조할 때도 서원에서 하였으며, 선조인 고운 최치원과 연관된 서원과 사적들을 자주 방문하기도 하고 잘 보수,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학문적이고 가계적인 정체성 역시 서원을 통해 다지고 강화했다. 이상의 내용에 더해 본 연구에서는 후속 과제를 두 가지 제안하였는데, 하나는 면암이 속한 화서학맥의 서원 관련 언행 및 나아가 서원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삶과 사상을 현대의 상황에 알맞도록 재해석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제주 오현단의 진정성 제고를 위한 시설 및 식생관리

        노재현 ( Jae Hyun Rho ),오현경 ( Hyun Kyung Oh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제주 귤림서원의 후신(後身)이자 사묘(祀廟)인 오현단의 연혁과 변천과정의 고찰을 통해 이곳에 담긴 장소성을 파악하는 한편, 건축물과 시설, 바위글씨, 현존식생 등 문화경관요소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주의 성지이자 기념물인 오현단의 본질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현단은 제주도 유일의 사액서원이었던 ‘귤림서원 터’였다는 장소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제주 유배문화의 상징적인 공간인 점에도 주목된다. ‘귤림서원’이란 당호(堂號)에서 유추되듯이 도처에 위요되었던 과원(果園)들은 과거 오현단의 장소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조망경관 요소이다. 오현단의 핵심시설이며 오현의 위패를 상징하는 조두석(俎豆石)은 흔한 돌로 제단을 두른 뒤 토막돌을 세우고, 담을 둘러 정제된 장소를 만들었다. 이 절제와 검약은 성리학의 기본정신이고, 또한 제주의 조냥정신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오현단의 진정성을 역행하는 제주향로당과 다수의 비각 등 과설계되거나 장소성에 걸맞지 않는 시설은 적극 배제함으로써 오현단의 본질을 되찾기 위한 실천 플랜이 필요하다. 한편, 조두석은 물론 병풍바위에 새긴 ‘증주벽립’과 ‘광풍대’ 바위글씨 그리고 유천석 등은 오현의 정신 및 성리학적 가르침을 잘 보여주는 상징경관이자 제주에 뿌리내린 유가적(儒家的) 흔적으로 오현단의 장소 본질과 일치하는 문화경관이라 판단됨에 따라 적극적인 보존과 홍보대책이 요망된다. 이와 함께 경내에 잔존하는 소나무를 비롯하여 곰솔, 굴참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그리고 검양옻나무 등 노거수 등은 오현단의 성스러움과 기념물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경관요소이지만, 토지이용 변천과정에서 다수 고사 및 제거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지금이라도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등 철저한 개체목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귤림서원이 갖는 입지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설지 및 공한지에 귤림을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reasonable management plans to reinforce essence of Ohyundan(五賢壇: Five sprit tablets), a sacred site and monument of Jeju,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e.g. architectural structures, installation,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ctual vegetation, etc.) while grasping placeness contained in Ohyundan through consideration of its history and transition process of Ohyundan a future being and shrine of Gyulrim Seowon(橘林書院) in Jeju. Results derived from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Ohyundan is noted due to its placeness in that it was a place for Gyulrim Seowon, Jeju`s one and only Saaek Seowon(賜額書院) and it was a symbolic space of exile culture in Jeju. As it is inferred from Gyulrim Seowon, which is dangho(堂號: clan name) of Seowon, orchards surrounding all over places are a signature landscape element that shows placeness of the past Ohyundan. Joduseok(俎豆石: altar stone), representing a core installation of Ohyundan and ancestral tablet of five spirits, created a refined place by putting up common stones around altar and founding blocked stones to wall. This refinement and thrift served basic mind of Neo-Confucianism, and led to of Jeju`s Jonyang mind(spend-thrift mind). In conclusion, a practice plan is a prerequisite to restore essence of Ohyundan by actively excluding installations not suitable for placeness or overly designed such as Jeju Hyangrodang(a center for the elderly) and numerous monument houses. On the other hand, together with Joduseok, as letters carved on the rocks such as ‘Jeungjoo Byukrip(曾朱壁立)’ and ‘Gwangpoongdae(光風臺)`` and Yoocheonseok(劉穿石) serve as a signature landscape that well shows mind of five spirits and teaching of Neo-Confucianism, and also a trace from a confucian viewpoint deeply rooted in Jeju, they are judged as a cultural landscape corresponding to the essence of place in Ohyundan which requires proactive preservation and plans for public relations. Together with this, although many different old big trees such a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Quercus variabilis, Celtis sinenis, Zelkova serrata and Rhus succedanea are a landscape element that increases sacred Ohyundan and commemorative value, now required is thorough entity tree management by assigning serial number on them as many of them were dead or removed resulting from transition process of land use. Further, to reinforce quality of site location belonging to Gyulrim Seowon, a prerequsite is to review plans that create Gyulrim at reinstalled site of building and raw land.

      • KCI등재

        『남사록(南?錄)』에 나타난 청음 김상헌의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 Ho ),양진건 ( Yang Jeon G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제주 안무어사 시 기록한 『남사록』을 토대로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음은 제주 안무어사로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훗날 제주의 유일한 사액서원인 귤림서원(橘林書院)에 제주오현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어 제주 유림들에게 추숭(追崇)된다. 그가 보인 교육적 태도는 첫째,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애민정신(愛民精神)이었다. 특히 제주사람들과 다양한 대화와 소통을 통해 제주인의 어려운 환경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점에서 참다운 지도자의 모습을 엿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그가 안무어사 임무의 일환으로 시행한 시재(試才) 실행과 관련된 내용이다. 조선조 제주 교육에서 별시(別試)에 의해 제주인들이 과거에 입격(入格)한 예는 청음의 시재 실행이 처음이었다. 그러므로 청음의 시재 실행은 제주의 유림들로 하여금 조정의 배려를 처음으로 경험하여 감흥(感興)케 하였고 이로써 학습동기가 증진되어 결국 제주의 사풍증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그가 보인 제주의 역사·문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태도이다. 그것은 그가 제주를 주체적이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또 다른 모습이며 그의 역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불어 충암 김정을 추숭하는 모습은 제주 유림들에게는 큰 모범으로 다가왔을 것이며, 사문(斯文) 형성에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그의 교육적 태도로 인해 제주 유림들은 그를 귤림서원에 제주오현으로 배향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귤림서원에 배향된 이유를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의 측면으로 고찰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다시말해, 청음의 귤림서원 배향은 그가 평생 동안 보여준 의리정신의 삶의 태도에 대한 숭모의 의미와 함께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이라는 양자(兩者)의 결과가 합해졌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오현 배향에 대한 제주교육사의 주체성이 다소나마 확립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eongum Kim Sangheon`s educational attitude and its meaning based on ``Namsarok`` when he was a Jeju Anmuesa. While he was performing his duties as a Jeju Anmuesa, he had showed educationally meaningful attitude so he was respected as one of the Jeju Ohyun in Gyulim Seowon where it is the only Saek Seowon in Jeju island and worshiped by Jeju Confusion scholars. First of all, educational attitude that he showed was the positive perception and love for the Jeju people. Especially, the image of true educational philosopher was showed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the difficult surroundings through various conversa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Jeju people. Secondly, there is a meaning to practice material for poetry for his duty as an Anmuesa. It was the first example that Cheongum`s material for poetry was used to pass the exam. Therefore, by his practice, Jeju Confucian scholars experienced Josun dynasty`s consideration, and it contributed to make them study and enhance their spirits. Next, it was concrete attitude of awareness about Jeju`s history and culture. It was the attitude that he considered Jeju as a independent and positive island, and it could be a chance to consider his view of history. Furthermore, the aspect to respect Choongam Kim Jeong was the model among Jeju Confucian scholars, and helped to cultivate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 Jeju Confucian people respected him as one of Jeju Ohyun due to his educational attitude in Gyulim Seowon. This study has a big meaning that it can consider the reason that Cheongum Kim Sangheon was canonized with educational effects on Jeju. In other words, Cheongum was canonized in Gyulim Seowon because he showed attitude of loyalty spirit and educational effects on Jeju as well.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it offered the clue to establish identity of Jeju educational history.

      • KCI등재

        동계 정온의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학문태도와 선비정신 고찰

        강동호(Kang Dong Ho),양진건(Yang Jin Geon)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1

        조선시대 지방교육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제주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유배인들의 기록은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유배인이자 제주오현(濟州五賢)으로 추앙받고 있는 동계 정온의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학문태도와 선비정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동계는 10년 동안의 제주유배생활동안 280여제의 한시를 남긴다. 동계의 문학관은 문이재도론적(文以載道論的) 관점을 수용하기 때문에 그가 남긴 280여제의 한시들은 대부분 그의 생각·사상·생활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몇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동계의 학문태도와 선비정신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계의 제주유배한시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모습은 지경(持敬)의 태도를 견지하여 끊임없이 수기(修己) 하였던 모습, 학문에 침잠(沈潛)하고 독서와 저술에 매진하였던 모습, 사우(四友)를 통해 자기반성과 지조·절의를 지키고자 노력하였던 모습 등이었다. 조선조 참 지식인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동계의 이러한 학문태도와 선비정신은 그가 왜 제주의 유일한 사액서원인 제주의 귤림서원(橘林書院) 그리고 송죽서원(松竹書院)에 배향되어 오랫동안 제주교육의 사표로서 숭모(崇慕)받을 수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The data for examining local education of Joseon Dynasty is very limited, and it is true that Jeju is worse than any other areas. In this respect, Jeju exiles’ documents are very preciou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academic attitudes and Seon-bee spirit in Jeju exile poems of Donggye Jeong On who is worshipped as one of the Jeju “Five Sages”. Donggye left behind 280 works for 10-year Jeju exile. Those 280 works are important data to know his ideas, thoughts, and lifestyle, because Donggye’s literary point of view accepts point of Munijae. This study examined Donggye’s academic attitude and Seon-bee spirit by selecting a few topics. This study could check a few aspects which are constant self-development by prospecting attitude of ’Jigyung’, withdraw to academy and striving for studying and writing, and self-reflection through Sawoo and integrity. Donggye’s academic attitude and Seon-bee spirit with real intellectuals’ typical aspects in Josun dynasty became an opportunity to show the reason why he is held in respect as a guiding person of Jeju’s education based on Songjuk seowon, and Gyulim seowon which is the only Saek seowon in Jeju.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지역 교육기관의 성격과 교육활동 연구

        강동호 교육사학회 2023 교육사학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the reality of Jeju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schools built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ose schoo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ll schools in Jeju were built by the governor of Jeju Island. Therefore, all schools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ducational systems for public purposes. Hyanggyo(鄕校) played a central role in Jeju's schools, and Gyulim Seowon(橘林書院) and Samseongsa(三姓祠) were connected and operated around Hyanggyo(鄕校). In addition, Samcheonseodang(三泉書堂) and Sahakdang(四學堂), which are characterized by Yangsajae, were operated as schools for ordinary people except for the Sajok(士族). Until now, no research has identifie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in Jeju and the status of school members in Jeju's education histor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nje(旬題), Baekiljang(白日場), Gogang(考講), Geojip(居接), and discussions were held in schools in Jeju. However, more detailed data found in other areas, such as Gang Hoe-rok(講會錄), Geop-rok(居接錄), Jesul-Bangmog(製述榜目) and Gogang-Bangmog(考講榜目) have not yet been found in Jeju. It is expected to be found in Confucian scholars' collections in Jeju, families, or ancient private books.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지역 교육기관의 성격과 교육활동 전반을 고찰하여 조선시대 제주교육의 실제를 복원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제주 교육기관은 모두 제주목사에 의해 건립되었다. 흔히 사학(私學)의 대표적 학교라 불리는 서원도 제주에서는 지방관이 건립하였고 모든 재정적 지원이 관아로부터 나왔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지역 교육기관은 공적인 목적으로 건립 운영된 공교육체계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제주지역 교육기관은 향교를 중심으로 귤림서원, 삼성사가 연계되어 운영되었다. 그리고 양사재 성격의 삼천서당과 사학당이 사족층을 제외한 평민을 위한 학교로 운영되었다. 그동안 제주 교육사 연구에서 제주지역 학교의 연계성과 학교 구성원의 신분 대상을 파악한 연구는 없었다. 제주지역 학교의 공교육체제는 거재유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즉 서원과 삼성사, 서당 거재유생을 목사가 백일장을 통해 선발하고 교육하였다. 따라서 제주지역 교육기관의 연계성은 다른 지역보다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1732년에 반포된 조현명의 「권학절목」의 학교 체계와 비교할 때 제주지역 교육기관은 학교 형태의 기준으로 모두 군·현 단위의 학교에 해당한다. 거리상 기준을 고려하면 좌학당과 우학당만 면·리 단위의 학교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주지역 모든 학교는 공교육 체제의 양사재 성격을 지닌다. 또한 지금까지 향교와 서원을 비롯해 조선시대 제주지역 교육기관 교육활동의 구체적 모습을 탐색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 교육기관에서도 순제, 백일장, 고강, 거접, 토론 등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강회록, 거접록, 제술방목, 고강방목 등 다른 지역에서 보이는 조금 더 세밀한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향후 제주 유림들의 문집, 문중 또는 개인 소장 고문서 등에서 발견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제주오현 규암 송인수의 수기치인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h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제주오현 중 한 사람인 규암 송인수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의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송인수는 수기치인의 공부론을 바탕으로 평생 도학적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교육내용으로 『소학』과 『대학』을 중시하였으며, 존덕성(尊德性) 측면의 수양보다는 도문학(道問學) 측면의 학문을 통한 배움을 강조하였다. 성균관 대사성 재임 때에는 유생들에게 도학(道學)과 의리(義理)를 강론하였다. 전라도 관찰사 재임시 『소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정려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지방의 풍습 교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규암은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아파하는 애민정신의 모습으로 과도한 세금과 궁중의 사치를 개선할 것을 강하게 요청하였다. 그 역시 의(義)와 이(利)를 분별해 이록(利祿)을 탐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송인수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의 구체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송인수가 왜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工夫) and educational practice of Kyuam Song Insu, one of Jeju Ohyeon. Song Insu lived a moral life, following the Xiujizhiren(修己治人) theory of self-cultivation during his lifetime. He emphasized 『Sohak』and 『Daehak』as educational content and emphasized learning through studying Tao literature rather than cultivation in terms of dignity and virtue. During his service as an ambassador at Sungkyunkwan, he lectured in Dohak(道學) and Uiri(義理). During his service as a governor of Jeolla-do, he actively disseminated 『Sohak』and strived to edify local customs,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Jeongryeo. Kyuam strongly claimed adjustment of excessive taxes and royal extravagances for ameliorating the lives of people suffering from poverty. He also distinguished between justice and private interests and did not pursue private interests. This study helped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Song Insu's self-cultivation philosophy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understand the reason why Song Insu was enshrined in Gyulim Seowon.

      • KCI등재

        우암 송시열의 유배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김성태 ( Kim Seong Tae ),양진건 ( Yang Jin Ge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송시열은 송자라 일컬어질 정도로 조선시대 후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숙종의 세자 책봉에 반대하다 83세에 제주도로 유배를 왔다. 제주도는 변방인 데다 조선시대 동안 출륙금지령 때문에 교육을 비롯 하여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따라서 정치적 실 각으로 제주도로 유배 온 인물들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사대부는 정치인이자 교육자였기에 교육적 영향력도 상당했다. 송시열도 향교 에 보관된 책을 빌려 적소에서 손자를 비롯한 사람들과 함께 읽으며 토론을 벌였고, 시간적 여유를 활용하여 저술활동을 벌였다. 유배지의 한계에 머무르지도 않았다. 편지를 주고받으며 문인들과 학문적 토론을 나눴다. 비록 제주도에 머문 시간이 100여 일에 불과하였지만 교학활동에 이바지한 바가 커서 서원 배향이 금지되던 시기에도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다. 귤림서원에는 김정을 비롯하여 김상헌, 정온, 송인수가 배향되어 있었는데 송시열이 배향되면서 제주오현이 확립되었다. 제 주오현 배향은 제주교육사상사에서 도통의 계보를 확정 짓는 작업으로서 의의가 크다. 또한 송시열의 문인들이 행정가나 유배인으로 제주 도를 찾음으로써 송시열을 기리고 교학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 하였다. 이존중과 권진응은 조선 후기 인물성동이논쟁을 제주도에 알렸고, 김춘택은 저술활동을 통해 교육적 분위기를 높였다. 김정희는 송시열의 유배지를 찾아 시를 남겼고, 최익현은 독서, 저술, 교육 활동을 망라하는 다양한 활동으로 제주도 교육계에 기여하였다. Song Siyeol influenced late Joseon Dynasty as much as he was called ‘Songja’. He was exiled to Jejudo because he opposed King Sukjong’s decision of installation of crown prince. People in Jejudo had difficulty in getting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benefit including educational one because Jejudo is the frontier and there was the ban from leaving Jejudo. Knock-out politicians who were exiled to Jejudo wielded important influence. The Confucian nobility was politican and educator, so their educational influence was considerable. Song Siyeol also borrowed some books from hyanggyo, read and debated one another with people including his grandson, and wrote books spending free time. Additionally, he was not confined to a place of exile. Even if he stayed in Jejudo for about 100 days, his contribution to education in Jejudo was great, so he was canonized into a Confucian memorial hall, Gyulimseowon although canonization was strictly prohibited then. After Gim Jeong, Gim Sangheon, Jeong On, Song Insu was canonized at Gyulimseowon, Song siyeol was done , then five sages in Jejudowas decided. Canonization of five sages is significant as the work of confirming pedigree of Dotong. Moreover, some Song Siyeol’s studensts also stayed in Jejudo as administrators or exiles, celebrated their teacher and contribu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Yi Jonjung and Gwon Jineung introduced the debate about ident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human and matter, and Gim Chuntaek livened up the educational atmosphere by writing books. Gim Jeonghi composed a poem when he visited Song siyeol’s place of exile, andChoe Ikhyeon served the education in Jejudo by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teaching.

      • KCI등재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교육적 태도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양진건(Yang, Jin-Geon),강동호(Kang, Dong-H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조선시대 지방교육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제주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유배인들의 기록은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면암 최익현의 제주유배한시를 통해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것이 조선후기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면암은 17개월의 제주유배기간 동안 한시 15수밖에는 남기지 않았고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그마저도 몇 편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 몇 편의 한시에는 우암 송시열에 대한 외경과 의리사상의 문제, 그리고 서원에 대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가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이러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와 그 영향으로 조선후기 제주의 교학적 분위기는 기호학풍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제주에 척사위정사상이 확산되었으며 이는 훗날 제주의병운동과 집의계 등 제주항일운동으로 계승,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The data are very limited to provide the contents of provincial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is true that Jeju is more restricted than any other regions. In this respect, the records of the exile to Jeju are considered as valuable data. Through poems of Myunam Choi Ik-hyun, this study examined his educational attitude and the influences on the education of J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For 17 months in his exile to Jeju, Myunam Choi Ik-hyun wrote 15 poem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could be found only a few pieces. Though, his poem contained the respect to Wooam Song Shi-yeol and the educational attitude about Seowon,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of the era. Due to the impacts of his educational philosophy, the thought about expulsion of foreign powers was spread throughout Jeju for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Finally, it became a cause to develop anti-Japanese movement.

      • KCI등재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과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 Ho ),양진건 ( Yang Jin Ge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을 살펴보고 그가 제주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충암 김정은 기묘사화로 인해 제주에 유배된 후 사사된 기묘명현 중 한 사람이다. 충암은 제주의 귤림서원에 배향되어 제주 유림에게 오랫동안 사표로 추숭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에서 충암의 교육사상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충암의 제주 교육사적 위치를 고려할 때 충암의 교육사상을 살펴보고 제주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연계 선상에서 고찰하는 것은 필요한 작업이라 여겨진다. 충암의 교육사상은 16세기 초 조선 시대 성리학자들의 일반적인 교육사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주리론적 입장에서 본연지성의 회복과 확장을 추구 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발(發)하면서 사욕이 드러날 수 있음을 경계하였다. 즉 충암 김정은 ‘존천리거인욕 (存天理去人欲)’을 교육의 일차적 목적으로 보았다. 그런데 충암은 일반적인 수양론 차원의 ‘경’을 넘어서 모든 공 부의 본체로서 ‘경’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다른 학자들보다 유독 ‘경’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교육내용으로 써 『소학』과 『근사록』을 중시하였다. 충암을 비롯한 중종 대 사림들은 교육이론가이기보다는 교육실천가였 다. 따라서 충암은 기묘사림들과 함께 성균관의 개혁과 현량과의 실시, 향약의 보급 등 교육개혁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였다. 충암은 제주에 유배된 이후 정신사적인 측면에서 제주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제주 유림과의 교유를 통해서 제주 교육사상의 다양성을 확장했으며, 제주를 위한 현실주의적 교육 담론을 펼침으로써 제주인들의 교화에 도움을 주었다. 충암은 유배인이라는 신분적 제약과 1년 남짓한 기간의 한계로 인해 제주에서 직접적인 교육 활동과 개혁을 실천하지는 못하였으나 그의 교육사상이 제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펼쳐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교육에서 충암이 차지하는 위상의 면모가 확인되고 또한 명확해지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seeing Chung Am Kim Jung's educational thoughts and the influences he made on Jeju education. Chun Am Kim Jung is one of the Gimyomyeonghyuns after he was exiled to Jeju due to Gimyosahwa. Chun-am was enshrined in the Gullim Institute in Jeju and has been respected by Jeju Confucianists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to examine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hung-am. It is necessary to look at Chung Am’s educational thoughts and their influences on Jeju education so that the position of Chung Am in the educational history of Jeju is properly considered. Chung Am's educational though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general educational thoughts of the early 16th century Korean Confucians. In other words, from the standpoint of Juri theory, he pursued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the original intelligence. Also, he was wary of desires which would be revealed while the human mind was arose. Chung Am Kim Jung considered "Joncheonri Geoinyok" as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However, Chung Am emphasized “Gyeong” more than other researchers by showing the attitude of emphasizing the “Gyeong” as the main body of all studies beyond general Suyangron. Also, as educational content, he put high value on <<Sohak>> and <<Geunsarok>>.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the Confucians including Chung Am were educational practitioners rather than educational theorists. Therefore, Chung Am actively implemented educational reforms such as reforming the Sungkyunkwan and implementing Hyunlianggwa, and spreading Hyangyak together with Gimyo Confucians. After being exiled to Jeju, Chun Am had a huge psychosocial on influence on psychosocial perspective in Jeju.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Jeju Confucians, he disseminated realistic discourses and thereby expanded the diversity of Jeju's educational thoughts and helped the realities of Jeju education. Chung Am's educational thoughts and educational reforms, which were taken up in this study, were not directly practiced in Jeju due to the exile status constraint and the time limit of barely over one year. However, it is true that his educational thoughts widely spreaded in various way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spect of Chung Am’s position in Jeju education is checked and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