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재정 성과관리의 예비 진단과 발전 과제

        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6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 교육재정 성과관리의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진단함으로써 결과중심의 성과관리체제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며, 향후 정착 과정에서 점검되어야 하는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정사업 자율평가가 추진되면서 평가 계획 수립 지침이 기획예산처의 주도하에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를 포함한 평가대상 부처의 의견이 적극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성과지표는 양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교육 조직 목표 달성과의 연계에서 한계를 갖는다. 또한 성과관리의 과정에서 교육의 특성을 무시한 채 효율성만을 극대화할 수 없으며 성과관리 결과 활용의 효과성 면에서도 성과관리제도의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결과지표가 가장 바람직하나 설정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현행 성과관리 시스템만으로는 교육재정의 성과를 측정할 수 없는 본질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재정 사업 성과관리가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조직의 문화와 풍토를 고려한 평가 기준 마련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review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operational method of educational finance programs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 by relevan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t also aims at suggesting a systematic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generally and obj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ducational finance programs.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al evaluation system which can be adopted.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systematized guideline for detailed tasks and the solutions of general process of evaluation including evaluation elements, method, criteria, and so forth. It has to be considered how the input of the programs is related to the output or outcome and how to improve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ability of the body through the evaluation of projects regarding the relevan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 KCI등재

        전산회계교육에서 교육환경특성과 학습자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한국상업교육학회 2020 상업교육연구 Vol.34 No.4

        회계정보시스템의 한 분야인 전산회계 교육이 직업교육으로서 중요성 대두되고, 그로 인해 대학에서의 기업이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전산회계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산회계교육에서 교육환경특성과 학습자특성이 수업만족도를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교의 교육환경, 교수역량, 전산회계소프트웨어 등의 교육의 환경적인 특성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크게 주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특성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학교의 교육환경특성보다 학습자가 수업에 참가하는 자기효능감이 높고 전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학습동기가 명확할 때, 수업에 더 몰입하게 되어 수업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수업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성과로 학점과 자격증취득 등의 객관적 자료를 변수측정도구로 사용하여 학생들이 기대하는 학점을 받지 못하였거나 자격증취득을 하지 못하였을 경우 학습성과에 대한 평가를 낮게 내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교육환경특성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되었다. 학교의 교육환경, 교수역량, 전산회계 소프트웨어 등이 잘 갖추어져야 학생의 학습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특성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되어 학생의 변인이 학습성과에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환경특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수업만족도는 완전매개효과가, 학습자특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수업만족도가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obel 테스트 결과에서도 수업만족도가 교육환경특성 및 학습자특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습성과체계도를 이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개발 사례연구

        박장희(Park, J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대부분 의과대학은 사명과 인재상 중심으로 성과바탕교육을 하향식으로 편성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과정이 형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성과체계 도를 이용해 성과바탕교육을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교육현실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구 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학습성과체계도를 문헌조사와 전문가워크숍을 통해 2016 년에 구성하였고, 교수와 학생대상 설문으로 내용 타당성을 2017년과 2018년에 조사하 였다. 졸업성과에 대해 2018년에 재학생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인타당도, 구인타 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공인타당도는 대학에서 개발한 졸업성과와 의과대학장․ 의학전문대학원장협의회의 졸업성과를 상관분석을, 구인타당도는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을, 그리고 신뢰도는 내적일관성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학년을 기초로 한 위원회에서는 2019년에 워크숍을 통해 그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고 목표 성취수준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성과체계도는 3개의 교육목표, 7개의 성과영역, 19개의 성 과항목으로 구분되고, 각 성과항목은 3단계의 성취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구인타당도 검증은 좋은 적합도를, 개발한 졸업성과와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의 기본의학학습성과와 상관분석으로 높은 공인타당도를, 그리고 높은 내적일관성신 뢰도를 보였다. 대부분의 졸업성과는 고학년이 될수록 성취수준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인재상을 기준으로 학습성과체계도를 먼저 구성하고, 각 학년별 도달수준을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은 대학의 교육과정을 체계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구성하는 대안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Most medical schools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outcome-based education which is commonly developed in a top-down manner reflected by mission and vision and determine whether medical students have achieved the graduate outcomes by the time of grad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by developing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and evalu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expert workshop, and the feasibility of the content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professors and students. The top level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graduate level,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for concurrent analysis, and Cronbach ɑ for reliability. After the valid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the content experts described the contents more specifically in the workshop.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consisted of 3 learning objectives, 7 categories, and 19 subcategories. The top level of 19 subcategories is graduate outcomes. The construct validity was analyzed wi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Equation Structural Modeling. The index of the structural model was a good fit. The committee consisted of the medical school professor described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specifically in the workshops. As a result of the survey, senior students were higher level than junior students in the most graduate outcomes, but the research and foreign languag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curriculum by setting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is an alternative method of organizing the college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realistically.

      • KCI등재

        대학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현식(Kim Hyeonsik),백송이(Beak Songyi),박인우(Park Inn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a university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i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as defined ‘academic performance’ as a combination of different factors such a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achieving goals, learnability (the difference of a student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graduate employability, and recruiting rate. After that, the open data from HESA was used to find the factors which affect academic performanc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that affected recruitment rate were the rate of land acquisition, registration fee, tuition, fulltime employment rate, ratio of classes taught by full time employee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verage credits opened per students, etc. Second, factors that affected graduate employability were the rate of land acquisition, books owned per student, education fee, ratio of classes taught by fulltime employees, ratio of smallsized classes, etc. However, many of thes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For example, schools with higher dormitory occupancy rates had lower employment rates, and the higher the fulltime employment rate, the lower the recruitment rate. Simply put, facility and human resourcebased environments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re showing opposite results. This suggests that academic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completely different factors, or that the graduate employability and recruitment rate are not suitable for measuring academic performance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의 교육성과를 정의하고, 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종속변인인 교육성과를 목표 달성의 효과성과 효율성, 학습 성과, 취업률, 재학생 충원율 등으로 정의하였고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기반시설, 재정지원, 교원, 수업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대학알리미에 제출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238개교 중 일반대학 164개교, 교육대학 10개교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독립 변인과 종속변인간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성과 중 재학생 충원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지확보율, 등록금, 강사료, 전임교원확보율,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 정부재정지원수혜액, 학생1인당개설학점수 등이었다. 둘째, 취업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지확보율, 학생1인당장서수, 교육비,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 소규모 강좌 비율 등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요인 중 다수가 교육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시설 및 인력 기반 환경이 반대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성과가 전혀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있던지, 우리나라 환경에서 재학생 충원율과 취업률이 교육성과로서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개발

        정철영,임정훈,김태환,임한려,임소현,이영광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anders(1980)의 4단계 모형을 기반으로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개념화, 모형 구축, 타당성 검증 과정을 통해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념화를 위하여 진로교육의 개념 및 목표, 성과평가의 개념 및 성과평가모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은 과정요인과 성과평가요인이 포함되고, 수준에 있어서는 개인 수준과 지역 및 국가 수준의 성과평가 준거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개념적 모형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진로교육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개념 및 내용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은 그간 개별 연구자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진로교육 활동의 효과성 분석과 산출 중심의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통합 및 발전시킴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마지막에는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및 이 모형의 활용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nceptual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conceptualization, construction, and validity test of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four-step model of Randers(1980). For conceptualization,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objectives of career education, the concept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found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could consist of the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model including process factor and performance factor, the performance criteria of career education at individual level and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 Finally, we developed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ceptual model, three experts in career education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concept and contents. We expect that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systemic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about some point of the conceptual model and proposed the themes further research needed.

      • KCI등재

        미용서비스교육이 헤어미용종사자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선민,고경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교육이 미용종사자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서비스교육훈련,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교육훈련은 직무성과와, 고객지향성은 서비스교육훈련과 직무성과는 서비스교육훈련과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서비스교육훈 련은 고객지향성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교육훈련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서비스교육훈련과 고객지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 서비스교육훈련의 하위요인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강사가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용종사자들의 교육환경과 강사진, 교육내용이 좋을수록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가 높게 나타나 충성도 높은 고객의 창출로 이어지며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beauty service training 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beauty industry worker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service training,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ork experience, and number of employees, job performance in age, work experience, and number of employees, and job performance in age, academic background, work experience, and number of employee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service training makes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factor that makes the greates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mong sub-factors of service training is educational content, and it can be seen that customer orientation increases when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instructo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higher.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service training and customer orientation mak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bett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ctor, and educational content of beauty industry workers, the higher the customer-oriented service, leading to the creation of loyal customers and can improve job performance as well.

      • KCI등재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대생의 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최보은(Choi, Boeu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들의 대학교육성과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선험적이거나 개인 적인 경험에 바탕을 둔 엇갈린 견해들만이 있을 뿐 실증적인 자료를 근거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여대 학생과 남녀공학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을 알아 보고자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를 중심으로 여대생 총 87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성과를 학업성과와 취업성과로 구분 하고 학업성과는 학점, 휴학, 자퇴, 대학시설만족도, 대학교육만족도, 학과에 대한 자부심, 학 교에 대한 자부심으로, 취업성과는 취업여부, 근무형태, 전공일치도, 업무만족도로 구분하였 다. 연구결과,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들 간의 대학교육성과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학교의 여학생 구성 비율에 따라 조금 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에 가정배경과 학교특성이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엇보다도 학업성과에 있어서는 수업태도가, 취업여부에 있어 서는 구직활동경험이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대학교육성과 전반을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여러 가지 제한 점도 가지고 있다. 즉, 자료의 한계로 여자대학 소속 학생들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였고, 근 무형태, 취업직종, 임금 등 취업성과가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못했다. 아울러, 대학교육여건 차 이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으며, 학교의 문화, 외부에서의 지명도 등에 관련된 부분이 설명되 지 못했다. 향후에는 이런 점을 개선․보완한 후속연구가 수행되어 보다 심층적인 여자대학 의 효과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coeducation and women'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its effectiveness have had little empirical studies while there are contradictory view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factors on female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the two types of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4th to 6th year (2007-2009)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with other resources. In total, 873 female students were under examin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Second, there were rel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Third,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learning attitude was an important factor on academic outcomes and job seeking activity was an important factor for 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ractic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encourage their students to be more engaged in classrooms, and to support students’ job seek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이용한 컴퓨터 교양교육 성과의 요인에 대한 연구

        김완섭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In order to improve the outcom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 cyclic process which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education and appl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education is required. So it is very helpful to collect various data which are relevant to the educational outcome such as classroom environment, professors, student’s colleges, department, sex and analyze these data for finding factors and relations of them.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work to find out the factors of computer libe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Computer-Practice1’which is an essential course at Soongsil university. In this ‘Computer-Practice1’ course, MOS(Microsoft Office Specialist) certification examination is used for testing eac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the data were used, which had been obtained from the 2,865 students who took the ‘Computer-Practice1’ course in 2011. And as the analysis method,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used. We could find out th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ed the outcome of the education by applying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the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 But becaus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could not be investigat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used the decision tree analysi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method in data-mining. There is a big advantage to use decision tree analysis because this method provides a tree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is tree model could be interpreted intuitively and provide useful applicable rules. In particular, three algorithms including QUEST, CRT and CHAID are used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which is weak in correlation of the input variables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Through the experiment, I found out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education period, professors, classrooms and class hours affect the educational outcome complexly. 교양교육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분석의 결과를 교육에 반영하는 순환 과정이 요구된다. 강의실, 담당교수, 학생의 성별, 소속대학, 소속학과 등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과 교육을 통해 도출된 학생들의 교육성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영향력의 관계와 정도를 규명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양교육의 운영에 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숭실대학교의 교양필수 과목인 ‘컴퓨터활용1’ 교과목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통해 컴퓨터 교양교육에서의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숭실대학교의 컴퓨터활용 교과목은 Microsoft사에서 인증하는 MOS(Microsoft Office Specialist) 자격증 시험으로 학업 성취도를 테스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강좌에서 분반 별로 객관적인 교육성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컴퓨터 관련 교양 교과목에서 실무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더욱 그렇다. 그러나 숭실대학교의 컴퓨터활용 강좌에서는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으로 진행되는 MOS 자격증 평가를 통해 각 학생들의 실용적 활용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각 학생들의 획득 점수를 교육성과 자료로 사용하여 교육성과의 요인을 발견하는 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컴퓨터활용1’ 교과목을 수강한 2,865명의 학생들의 시험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육성과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결정트리 분석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통계분석인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만으로는 요인들 간의 계층적인 관계를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Data-mining) 분야의 대표적인 분석법인 결정트리(Decision Tree)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정트리 분석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를 트리 형태로 제공해주며, 그 결과는 직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적용에 유용한 규칙들을 발견하는데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트리 분석을 통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트리 형태로 획득할 수 있었으며, 도출된 모델을 통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을 발견하고 강좌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규칙들을 도출하였다. 특히 결정트리 분석에서는 QUEST, CRT 그리고 CHAID의 3개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결정트리 분석이 입력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에 취약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입력에 사용된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특히 교육기간, 담당교수, 강의실, 강의시간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교육성과에 영향을 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김정아,남궁지영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 학교 2학년 학생을 교육성과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변화 추이(초등 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와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성과(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수준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계층은 전체의 23.3%를 차지하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우수집단), 두 번째 계층은 전체의 과 반수(55.0%)를 차지하며, 교육성과가 모두 중간 수준이었으며(양호집단), 마지막 세 번째 계층은 전체 의 21.7%를 차지하며, 모든 영역에 있어 교육성과 수준이 낮았다(부진집단). 우수집단과 양호집단 간 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비교적 적다는 점을 제외하면, 세 집단간 교육성과의 차이는 뚜렷하게 상, 중, 하로 구분되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인성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학교생활 행복 및 진로성숙도 수준은 점점 낮아졌다. 한편,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격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는데, 우수한 성과를 내는 학생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더 높은 성과를 내었고, 성과가 부진한 학생들은 점점 더 낮은 성과를 내어, 이들 간의 교육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었다.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학생들 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은 학생의 성별, 교육포 부수준,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학업무기력, 휴대전화 중독 등의 학생 개인 특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이 상당했다. 다시 말해,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이 낮고,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이 낮으며, 학업무기력과 휴대전화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부진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생의 개인특성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의 부진함 역시 학생 들이 교육성과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는데, 교사들의 수업의 대한 열의가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일수록, 협력적 학습태도 수준이 낮고, 학생회/학급 자치활동 및 동아리활동에 참 여하지 않는 학생일수록 교육성과 수준이 낮은 부진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우수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과 정확히 정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class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happiness in school life and level of character.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classified into higher outcomes (advanced group), intermediate outcomes (average group) and lower outcomes (weak group) in all areas.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outcome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came from lower-class families showed higher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weak group. More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lower ambition for education, lower self-concept regarding their physical aspect, families and society, higher learning helplessness and cell phone addict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weak group. Poo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tudents belonging in the weak group. Moreover, those who learned from teachers with low passion for instruction, or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low capac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or low participation in student council or club activities were also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weak group, with low educational outcomes. On the other hand,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advanced group proved to be the exact opposite of the weak group.

      • KCI등재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도구로서 티칭 포트폴리오 적용방안 탐색

        이은화(Lee Eun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도구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기 위한 교과목 티칭 포트폴리오의 세부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2014년 6월부터 2015년 2월까지 3차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은 환경 분석,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교육성과, 교육개선노력 등 5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영역의 세부 구성요소에 있어서, 환경 분석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자 진단 도구, 학습자 진단 결과 분석, 교과목의 교육과정상 위치 등 3가지였다. 교육목표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성과간 체계성, 교과목 학습성과 수행준거, 교과목 학습성과별 반영 비율, 교과목 학습성과 달성목표 등 4가지였다.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영역의 구성요소는 교과목 내용체계도, 수업계획서, 교수자용 수업자료 등 3가지였다. 교육성과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 계획, 학습성과별 평가도구, 평가도구별 평가기준, 학습성과 달성도 분석 등 4가지였다. 교육개선 영역의 구성요소는 과거 교육개선 계획의 반영, 미성취학생 지도 계획, 교육개선노력 실적, 미래 교육개선 계획 등 4가지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과기반 교육과정운영 평가를 위한 교과목 티칭 포트폴리오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se of the teaching portfolio as a tool to evaluate Outcome-Based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and to present the detailed components. To do this, we analyzed the precedent research and conducted Delphi survey on the experts by thre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ea of environmental analysis includes the tool to diagnose learners, analysis of diagnostic result, and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Outcome-Based Education curriculu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a is composed of the systematicity of learning outcomes, performance criteria for curriculum learning achievement, reflection ratio of the subjects in curriculum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goal of curriculum learning achievement. The contents of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 area contains the systematic map of curriculum contents,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for instructor. Educational performance areas includes the evaluation plan for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tools for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criteria using assessment tools, and achievement analysis of educational performance. The area of education improvement is composed of the reflection of the improvement plan, the plan for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he materials of the education improvement effort,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