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rrell 모형을 활용한 MZ세대 공무원들의 (불)공정성 인식과 반응행동 :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연구

        김정인 ( Kim Jungin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4

        최근 공직사회에서 MZ세대의 (불)공정성 인식은 중요한 화두가 되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Farrell(1983) 모형을 활용하여 MZ세대 공무원들이 공직사회에서 (불)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그들의 (불)공정성 인식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성세대와의 비교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MZ세대 공무원들은 누구에게나 차별받지 않는 절차적 공정성과 배분적 공정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공직사회에 대한 그들의 공정성 인식은 기성세대 공무원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공정성 인식은 Farrell(1983)이 제시한 네 가지 반응행동(목소리, 충성, 태만, 이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공무원들이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 내에서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기하였으며,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충성도가 증가하였고, 업무태만이 낮았으며, 조직 이직의도가 낮아졌다. 즉 조직 내 공정성 인식이 높아질수록 MZ세대 공무원들은 건설적인 행동(목소리와 충성)을 강화하며 파괴적인 행동 (태만과 이탈)을 약화하였다. 또한 기성세대 공무원들과 비교했을 때 MZ세대 공무원들이 나타내는 목소리, 충성, 태만 등의 행동에는 절차적 공정성이, 이탈에는 배분적 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perception of (in)justice of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public service society, but research on it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Our study uses the Farrell (1983) model to examine how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perceive (in)justice in public service and how their perception of (in)justice affects their behavior through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with the older generation. Our result indicated that the civil servants of the MZ generation considered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not to be discriminated against by anyone, and their perception of justice in the public service socie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civil servants. Also, perception of (in)justi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ur response behaviors(voice, loyalty, neglect, exit) suggested by Farrell(1983).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justice among the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the more they actively raised their opinion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ense of belonging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ncreased, the neglect of work was low, and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justice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tronger the constructive behaviors(voice and loyalty) of the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and the weakening of the destructive behaviors(neglect and exi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behaviors such as voice, loyalty, and neglect expressed by MZ-generation civil servants and distributive justice on exit when compared with older-generation civil servants.

      • KCI등재후보

        육군병사들의 군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김진아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7 No.2

        본 연구는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병사들의 군 조직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군 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군 복무가 의무화 되어 있는 군대 조직에서도 민간 조직이나 공공조직, 그리고 군인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군 간부 조직과 마찬가지로 구성원의 조직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육군부대의 병사들 189명을 대상으로 군 내에서 인식하고 있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군 생활 적응도를 측정하였고, 분석 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군 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군대라는 낯선 환경에서의 적응을 위해서는 병사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접근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following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waren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military and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rmy soldi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wareness regarding organizational justic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a military organization – in which military service is compulsory – has similar effects on the overall life within the respective organization as seen in other private, public, and military officers’ organizations where the members are professional soldiers. In order to support this study, a total of 189 soldiers of the army forces in Gyeonggi-do were surveyed in regards to their awareness of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impartiality, interactional service justice, and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within the particular military organizat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impartiality, and interactional service justi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eneral adaptation to military life. Such results strongly imply that for the adaptation of soldiers to an unfamiliar environment like the army, not only is a psychological approach in terms of each individual soldier required, but also an organizational approach is direly needed. Based on the result soft his study, a list of constraints related to the study and a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were completed.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의 공정성 관련 쟁점과 제언

        이윤진(Yun-Jin Lee) 숙명인문학연구소 2023 횡단인문학 Vol.1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전반과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공정성’이라는 키워드가 한국어교육 분야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 조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분야와 그 인접 분야에서 ‘공정성’을 다룬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후속 논의에서 다루어야 내용과 방향을 제언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교육에서 공정성 관련 쟁점을 크게 ‘교재와 공정성’, ‘평가와 공정성’, ‘언어 데이터(인공지능)와 공정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자료가 편향됨 없이 개발, 사용,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 ‘언어 평가 시행과 평가 도구에 있어서도 공정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 ‘언어 데이터(인공지능)가 한국어교육에 다각도로 활용될 때 공정성의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본고는 한국어교육에서의 공정성의 문제를 전반적으로 조망한 시작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고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공정성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공정성 여부의 판단 기준을 세분화하며 실제성 구현과 공정성의 관계 그리고 문화 다양성 고려와 공정성의 관계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keyword “fairness,” which is constantly attracting attention in society as a whole and academia, relates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meaningful major issu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fairnes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adjacent fields. In addition, the content and direction were suggested to be addressed in subsequent discussions. As a result, issues related to fair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roughly divided into ‘textbooks and fairness’, ‘evaluation and fairness’, and ‘language data (AI) and fairness’.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1)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used, and evaluated without bias (2) it is important to secure fairness in language 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ools (3) the issue of fairness should be considered when language data (AI) is used in Korean education in various way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discussion to examine the issue of fair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verall. In the future, systematical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air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subdivide the criteria for judging fairness, and discuss in-dep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fairness,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와 집단수준의 조직시민행동

        고욱(Wook Ko),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1

        그동안의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OCB)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수준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와 OCB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과 OCB의 관계에 대하여 다룸으로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최근 집단(팀)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조직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가 분배, 절차, 상호작용 유형에서 모두 존재하는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이러한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에 대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국내의 79개 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수준에서 분배, 절차, 상호작용공정성풍토가 모두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팀몰입은 상호작용공정성 풍토가 집단수준의 대인대상 OCB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짐을 밝혔다. 특히 분배와 절차, 상호작용과 절차공정성풍토의 팀몰입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공정성과 OCB 연구의 분석수준을 집단수준으로 확대하였다는 점, 둘째,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 및 팀몰입이 집단수준의 OCB에 대하여 갖는 긍정적 효과의 규명하였다는 점, 셋째, 집단수준에서의 팀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t a group-level. Prior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level. Hence,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level of analysi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organizations are recently adopting a team-based work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we tried to identify whether justice climate existed in all three types, namely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existed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s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we pioneered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hose of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e sampled 79 teams from 17 Korean firms in several industries.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rganization (OCB-O), and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individual (OCB-I). Also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I was significant.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between interactional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was low. Also wh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a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e provided here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we identified several types of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CB. Second, we expanded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group-level phenomenon. Also, we fou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We also presen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중소제조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화자,황찬규,김종훈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5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소 제조기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환경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의 표집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표본 수는 269부이며 입력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작업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조직공정성의 하위 3가지 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의 3가지 하위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조직공정성의 하위 3가지 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 제조기업에서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변화하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조직공정성을 통해 직무만족을 높이는 조직 및 구성원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조직이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것이 개개인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많이 증가하게 되어, 조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노력하여 적극적으로 혁신 활동 참여와 헌신에 참여도를 높이면서 직무만족이 더욱더 큰 폭으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rganizational justice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organizational justice theory of Adams(1963).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SPSS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valid 269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domestic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Last, psychological owne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t is shown from this study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Job satisfaction for the growth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조직공정성 인식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냉소주의의 조절효과

        배규환(Kyuhwan Bae)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그 동안 조직공정성 연구에 있어서 제기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조직공정성의 관계와 결과변수인 적응수행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검증하였고, 조직공정성 인식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서 조직냉소주의의 조절 효과성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첫째, 상호작용공정성은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적응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상사와 부하, 구성원 간 상호처우나 사회적관계가 매우 중요하고 공정한 처우를 받는 구성원, 즉 상호간에 공정성을 지각하는 조직구성원은 직무환경의 변화에 따라 높은 수준의 적응수행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냉소주의는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과 적응수행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조직냉소주의는 분배공정성의 인식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응수행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부(-)적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불공정한 보상과 배분에 있어 불신을 가지게 되면 직무환경과 새로운 상황에 따라 자신의 행동의 적절하게 변화하게 하는 적응수행의 정도를 덜 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냉소주의는 절차공정성의 인식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응수행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부(-)적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조직에서 시행하는 보상 또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절차와 과정에 불신을 가지게 되면 직무환경과 새로운 상황에 따라 자신의 행동의 적절하게 변화하게 하는 적응수행의 정도를 낮은 수준으로 하게 되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실무적인 시사점은 첫째, 조직공정성과 적응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과업수행, 맥락수행 등의 개념에서 발전된 적응수행과는 조직공정성 연구가 부족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상호작용공정성은 적응수행에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조직공정성 인식과 결과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연구에 있어서 상황론적 연구가 일부 변수에 한정되어 있는 부분(허찬영·박정도, 2012)을 보완하였다. 조직냉소주의에 따라 구성원들의 공정성 인식과 적응수행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상황론적인 접근을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공정성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최소화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응답원천을 분리하기 위해 상사와 부하가 동일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고, 측정시기 분리를 위해 설문의 시기를 변수별로 달리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하였다. This study intensiv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the outcome variable to overcome questions posed on the studi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lso contro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among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daptive performance is verif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results of an empirical study, firstly, interactional justice positively(+) affects adaptive performan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do not have meaningful impact on adaptive performance. Interactional justice tells that mutual treatment or social relationship among superior, subordinates, and members is truly important, and that organizational members who are fairly treated, in other words, who recognize interactional justice, can achieve adaptive performance of high standard as the working environment changes. Secondly, organizational cynicism negatively(-) control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control effectiveness of interactional justice is refuted. Organizational cynicism demonstrated negative(-) control effect which reduces the degree of adap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distributive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this means that adaptive performance appears in a less degree which tells appropriate changes under the job environment and new circumstances if suspicion of unjust rewards and distribution occurred. Also, organizational cynicism showed minus(-) control effect which reduces the degree of adap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procedural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this tells that if distrust of procedure and process for rewards or decision making carried out in organization has arisen, adaptive performance appears in a low level which means relevant changes under the working circumstances and new environment.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following. At first, it confirms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Organizational justice studies have been short of cases of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developed from the ideas related to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but interactional justice came out to have impact on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this research. Secondly, it makes up for the lack of studies on the situation theory which are limited to some variables(Chanyoung Heo·Jeongdo Park, 2012) in researches on the causality of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 paramet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approach based on situational theory abou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daptive performance by member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ynicism could be different. Thirdly, it makes an effort to raise reliability of the study for minimizing common method bias 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 justice. Superior and subordinates were to answer the same questions to separate response source, and the survey periods were different for each parameter to divide measuring time.

      • KCI등재

        학교조직공정성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 분석(IPA)

        장희선,이재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조직공정성의 구성요인과 하위 요인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파악하고, 양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 교사 2,48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학교조직공정성 중요도와 실행도의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구성 요인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배공정성의 여섯 가지 하위요인, 절차공정성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상호작용공정성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학교조직공정성(분배, 절차, 상호작용)인식에 관한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조직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은 좋은 성과를 유지하는 영역으로 나타났으나, ‘절차공정성’은 약점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공정성의 하위 요인별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분배공정성에서는 ‘책임과 업무량 고려’, ‘업무상 스트레스나 긴장의 정도에 따른’이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요인이었고, 절차공정성에서는 ‘행정업무배분’ 요인이, 상호작용공정성에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편견배제’ 요인이 집중적인 개선을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조직의 공정성을 제고하여 일반고 교사들의 조직몰입과 협력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grasp how is the perception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bout composition of school organization justice and importance & performance per sub-facto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of 2,490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for such purposes, the researcher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justice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also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each sub-factors of those. Second, as a result of IPA matrix analysis of school organization justice(distribution, procedure, and interaction), although ‘interaction justice’ appeared to be the area that maintained good outcomes in the school organization, 'procedural justice' appeared to be a weak area. As the result of IPA matrix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 justice,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by means of ‘consideration of responsibility and workload’ and ‘degree of work stress or tension’ was factors to improve mainly. And the factor of ‘administrative work distribution’ in terms of procedural justice, and the factor of ‘exclusion of prejudice in decision making process’ in terms of interactional justice was analyzed to be the factors to improve mainly.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s basic research to prepare for measures to increase school organization justice which would lea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operation of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인이 조직으로부터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인식은 조직구성원의 행동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구체적이며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면, 그 결과로부터 실무에 주는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대기업에서 근무 중인 171명의 여성 비서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세분하여 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비서의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비서가 지각하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및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절차공정성이나 상호작용공정성보다 조직몰입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직의도에는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상호작용공정성보다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s of 171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firm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The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reveal tha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s.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than interactional justice. Trust in supervis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at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미국 방송법제상 공정성 원칙의 전개 연구

        이춘구(Lee Choongoo)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3 No.-

        공정성 원칙(Fairness Doctrine)은 방송국이 공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을 방송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방송하도록 할 것을 요구하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정책이다. 공정성 원칙은 판례법(case law)을 통해 발전했으며, 1949년 ‘방송국들에 의한 논평 문제’라는 보고서의 주제가 되고 여기서 공정성 원칙이 확립됐다. 1959년 통신법 제315조가 수정되면서 통신법상 공정성 원칙으로 조문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해석은 항소법원이 공정성 원칙이 조문화된 것이 아니라고 판결한 1986년까지 다수설이었다. 공정성 원칙은 인신공격 규정, 정치운동에서 공정성 원칙을 파생원칙으로 두고 있다. 그러나 많은 방송사들이 공정성 원칙이 지나치게 부담스럽고, 공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을 방송하는 그들의 능력을 억제한다고 불평을 했다. 공정성 원칙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공정성 원칙이 공적 지상파를 통해 활기찬 토론을 보장한다고 믿는다. 1974년과 1985년 방송사들에 대한 공정성 원칙의 영향을 점검하는 절차를 여러 차례 거친 뒤 FCC는 1987년 공정성 원칙을 폐기했다. FCC는 시장에서의 경쟁의 증가와 수정헌법 제1조의 관련성, 공정성 원칙이 언론을 촉진하기보다 실제로 냉각시킨다는 증명들이 공정성 원칙의 정책 폐기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추론을 했다. 1987년 상당기간 연구를 거쳐 FCC는 공정성 원칙을 폐기했다. FCC는 공정성 원칙이 대중매체의 경쟁증가로 더 이상 요구되지 않고, 방송사들의 자유로운 언론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지상파를 통해 공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을 방송할 기회를 줄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공정성 원칙이 폐기됐다고 해서 원칙의 합헌성과 공중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활용가능성과 관련된 영향에 대한 의원들과 학자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토론을 종식시키는 것은 아니다. 공정성 원칙을 부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의회 토론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에 하원통신기술 소위원회의 업튼(Frederick Upton) 위원장은 제나카우스키(Julius Genachowski) FCC위원장에게 공정성 원칙과 관련된 규제를 연방규제법으로부터 제거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제나카우스키 위원장은 공정성 원칙에 대해 지지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밝히고, 그 규제를 폐기하는 절차를 시작하는 데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공정성 원칙을 부활하려고 시도할 경우 합헌성 문제에 부딪치게 될 것이다. 공정성 원칙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원칙이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들을 침해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새롭게 제도화하는 공정성 원칙이 헌법 심사에서 살아남을지 여부는 여전히 의문이다. 1969년 연방대법원이 공정성 원칙의 합헌성을 지지할 때에는 다른 매체에 적용하는 것 보다 더 낮은 심사기준을 방송사들의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들에 적용했다. 미국의 공정성 원칙의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의 공정성 기준을 보다 현실적으로 정비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행정기관인 위원회, 우리의 방송통신위원회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월권 행사를 감시?통제해야 할 것이다. 방송의 공정성이 확립된다면 공적 토론장으로서 방송의 기능이 확충되고 자유민주주의도 보다 더 성숙될 것이다. Fairness Doctrine has been the FCC’s policy that has demanded the broadcaster to devote a resonable percentage of time to the coverage of public issues and that his coverage of these issues must be fair in the sense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presentation of contrasting points of view. It has been developed by case laws and was the topic of the report ‘In the Matter of Editorializing by Broadcast Licensees’ in 1949. Here Fairness Doctrine was established as the policy of FCC. It was codified in Communications Act § 315 in 1959. But there happened debates many times about the matter of codification. And Personal Attack Rule and Fairness in Political Campaign have been stemmed from Fairness Doctrine. It has been firmed by the cases of Red Lion Broadcasting Co. v. FCC and 1974 Fairness Report for public interest and on the base of scarcity. But broadcasters have said that Fairness Doctrine has burdened them too heavily to bear and have criticized that it has been inclined to chill the broadcasting of the issues of public importance on the belief of the invalidity of scarcity rationale. So FCC investigated several times the validity of Fairness Doctrine and published 1985 Fairness Report. Still 1986 it has been supported by majority. But it has been changed by the cases of Syracuse Peace Council v. FCC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and Action Center v. FCC. At last FCC eliminated Fairness Doctrine in 1987. Then FCC has assumed that the increasing competition in marketplace and the relevance to First Amendment, the chilling effect of it have justified the elimination. The Fairness and Accountability in Broadcasting Act, introduced in February 2005 by Representative Louise Slaughter, would restore the Fairness Doctrine as well as the FCC’s old “ascertainment” policy, which required broadcasters to elicit feedback from their communities about the issues that they should cover. Another House bill, the Media Ownership Reform Act proposed by Representative Maurice Hinchey, would also reinstate the Fairness Doctrine, although as just one piece of a broader effort to limit the size and influence of media conglomerates. Both of these bills are currently in committee, and ideally, that is where they will stay. It is necessary for us to arrange and to strengthen Fairness Standard in Broadcasting review on the base of U.S. theory and experience. We should monitor and control the enforcement of Korean Communication Commission and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Because we are afraid of their’s exceeding authority as commissions of administration. If the Fairness of Broadcasting will be established, then we will expect that liberal democracy will be blossomed more than now in Korea.

      • KCI등재

        미국 Red Lion 사건과 Syracuse 사건에 대한 연구 - 방송의 공정성 원칙의 헌법 논쟁을 중심으로

        이춘구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5 동북아법연구 Vol.8 No.3

        언론의 자유는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수정헌법 제1조를 근거로 하며, 매체발달에 따라 방송의 자유를 핵심으 로 한다. 방송의 자유는 방송사의 자유가 아니라 방송에 참여하는 모든 공중의 자유라는 인식이 그 기본전제 이다. 이를 제도적으로 표현한 것이 공정성의 원칙(fairness doctrine)이다. 미국이 방송질서 상 공정성 원칙을 도입한 것은 공중이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고, 그 정보에 따라 공동체의 의사결정을 제대로 하자는 것이다. 여 기에 방송이 공적 토론장으로서 사상의 자유시장을 활성화하기를 바라는 주권자의 의지가 담겨 있다. 공정성 원칙은 주파수대의 희소성 등을 근거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의 정책으로 운용되다가 판례법과 제정법 에 수용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그러나 매체출구수의 증가에 따라 공정성 원칙이 방송의 자유를 침해하고 결 국 수정헌법 제1조의 표현의 자유를 훼손하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논쟁이 일게 됐다. 이에 대해 Red Lion사건 은 공정성 원칙이 표현의 자유를 확대해주는 기준으로서 합헌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게 됐다. 이에 대해 방송사 들은 공정성 원칙이 방송을 제대로 못하게 하는 냉각효과(chilling effect)를 유발한다며, 공정성 원칙의 합헌성 을 문제 삼게 된다. Syracuse사건은 항소심 단계에서 공정성 원칙이 매체출구가 급증하는 현실 속에서 방송 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보고 위헌이라고 판결하게 된다. 이 판결을 전후로 공정성 원칙이 FCC의 정책에 서 폐기되고, 방송사들은 이 의무를 면하게 됐다. 그러나 두 판례를 조금 더 깊게 연구하면 이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두 사건의 재 판부가 수정헌법 제1조의 가치를 보호한다는 지향하는 점은 같지만 해석을 다르게 하기 때문이다. Syracuse 사건 재판부는 Red Lion사건 재판부의 의도를 정확히 인지하며, 시대 상황에 맞게 반대논리를 펴고 있다. Red Lion사건 재판부도 미래의 지침과 같은 역할을 깊게 고려한 흔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양대 사건의 판결을 중심으로 공정성 원칙의 형성과 폐기에 관한 법리를 고찰한 다. 또한 방송질서 상 맥락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공정성 원칙과 관련된 FCC의 정책과 의회 부활 입법 논쟁을 살펴본다. 이번 연구가 우리에게도 공정성 심의기준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Freedom of speech has been based on the First Amendment which protects freedom of expression in U.S. And accordingly media have been developed, freedom of broadcast constitutes the core of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broadcast is not a broadcaster’s but of the public who are participate. For this FCC had established the fairness doctrine as its policy. Under the fairness doctrine FCC wished the public to be informed and to participate to the decision- making. Here framers of the doctrine and the First Amendment presented their will to further the marketplace of ideas as the public forum. The fairness doctrine had been developed in many case laws, at last the parliament codified in Communication Law §315 in 1959. But in 1980s with the rapid increase of media outlets broadcasters argued that the doctrine abridged freedom of broadcast and freedom of expression. For this Red Lion court supported that the fairness doctrine expand firmly the public’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at it is constitutional in 1969.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FCC should enforce the fairness doctrine as the sincere manager of spectrum as scarce resources. But broadcasters have criticized the doctrine to induce the chilling effect and argued the constitutionality of it. So Syracuse court decided that the doctrine abridges the public’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at it is unconstitutional in 1989. After this decision FCC eliminated this principle as its policy and broadcasters are free from this obligation of the doctrine. The Red Lion case had clarified the doctrine firmly but the Syracuse case had abolished it. But if we try to scrutinize the doctrine more carefully, then we are easily able to find that the decisions of the courts are like a coin’s two sides. Both courts had tried to protect the values of the First Amendment in equal stance but had been different in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Syracuse court had recognized the intention of Red Lion court accurately and had tried to find to protect the freedom of broadc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media marketplace. Also Red Lion court had presented their deep thinking as the guide line for future developments in the media marketplace. In parliament some members have tried to codify it again, but till now not succeed. For me the fairness doctrine is alive like the Red Lion decision today in U.S. and Korea. While many authors argue that scarcity rationale was disappeared, I believe that it helps vividly to promote and to prot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freedom of broadcast. Especially in Korea it will be needed more for establishment of fairness standard in reviewing system. It is the right of the viewers and listeners, not the right of the broadcasters, which is param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