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해양공간관리계획에 대한 법적 고찰

        김은환(JIN YINHU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江原法學 Vol.53 No.-

        해양공간관리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통합적인 해역의 이용과 생태계의 효과적인 보존을 위해서 해양공간관리계획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중국은 20년 전인 1980년대 후반부터 국가 차원에서 해양공간관리대책을 모색해 왔고 2002년부터 관할해역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국해양기능구획” 및 11개 연안지역 성급해양기능구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전국해양기능구획은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등 전체 해양공간을 포괄하고 있는 광역 해양공간 관리정책으로 해양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전을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해양환경보호법과 해역사용관리법은 해양기능구획을 해양공간관리의 기본제도로 명문화하고 있으며 국가 또는 지방정부에서 해양이용에 관한 계획수립 또는 허가 등을 할 때에는 전국해양기능구획 및 성급해양기능구획의 내용에 적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해양기능구획에 따른 기능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술지침과 환경기준을 제정하여 해양이용을 규제하고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을 예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해양을 둘러싼 다양한 이용요구와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해양공간을 용도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해양공간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는 2017년 12월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더불어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의 해양공간 편성과 관리에 있어서 나타나는 법적 쟁점들을 검토하고 해양이용 간의 갈등, 해양이용과 환경 보존 간의 갈등을 어떻게 조율해나가는 지를 집중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의 방향과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Around the world many countries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marine spatial management. Some of the countries have adopted and implemented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 for comprehensive marine utilization and effective conservation of ecosystems. Since the late 1980s, China at the national level has sought marine spatial management solutions. Since 2002, China has established the ‘National Marine Functional Zoning’ and 2011 ‘Provincial Marine Functional Zoning’ to efficientlymanage the waters under the jurisdiction of China. Through using of the wide marine space management policy Chinese National Maritime Functional Zoning is aimed at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resource utilization. The scope includes domestic water, territorial sea, connected water area,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 etc. In addition,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Act and the Sea Area Utilization Management Act stipulate that marine functional zoning that is to be the basic system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When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formulate or authorize plans for marine utilization, they should obey National Maritime Functional Zoning and Provincial Marine Functional Zoning. Zoning which accord to the marine functional zoning standardize marine utilization by establishing marine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environmental standards, prevent marine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am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marine utilization demand by law, Korean government has also established Marine Spatial Planning for zoning and management. After enforcing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arine Environment " in December 2017,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for the legislation of “Act about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how can China solve the legal conflicts in zoning and management. Think about how to adjust conflicts among demands and how to 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inally, find out the implication for Korea"s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directio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공간계획 자치권에 관한 연구

        김보미 한국지방자치학회 2017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9 No.4

        Establishment and approval of the metropolitan city planning, the city basic plan, the city management plan which is the basis of the spatial planning has been transferr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 Nonetheless,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expand the autonomy of planning and secure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patial planning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prescribed by law for Seoul. As a result of analyzing 25 plans of 24 laws and ordinances including urban, traffic and environment, the central government still has a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patial planning. Local governments formulate spatial plans, but their format and content are determined by the guidelines esta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re are many plans approv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also designed to allow the central government to participate in the plan if it was deemed necessary for the country. In addition, when establishing a high-level plan, there was no provision for local government participation, or it was only possible to present opinions except for metropolitan city planning, regional zone development plan, pollution management plan, and sewer maintenance plan. Especially, in the situation that the system such as linkage between upper planning is unclear, the spatial plan of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by upper plan and guideline lies in a structure which is incompatible with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plans established by state and local government. The absence of the authority and the means to coordinate this in local governments led to formalization of plan prescribed by law and establishment of plan not specified in la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to plan the space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lan by making it function effectively. 지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공간계획 자치권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공간계획의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결정권한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공간계획 자치권 확대 및 실효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질적인 공간계획의 자치권 확보를 검토하기 위해 도시계획뿐만 아니라, 공간과 관련된 계획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갖고 있는 법·제도 상의 공간과 관련된 계획 자치권(수립권, 승인권, 조정·참여권)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한 공간계획의 수립 및 운용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도시, 교통, 환경 분야의 총 21개 법령의 25개 계획을 살펴본 결과, 공간 관련 계획의 수립 및 승인과정에서 아직까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중앙행정기관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에 수립되는 많은 공간계획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수립하지만, 중앙행정기관이 승인하거나, 국가를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계획에 참여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또한, 지역단위 계획의 골격을 제공하는 국토단위의 상위계획 수립 시, 광역도시계획, 지역생활권발전계획,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외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참여에 대한 관계규정이 없거나, 의견제시만 하도록 되어있어 계획 수립에 대한 참여도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계획 및 지침에 의해 수립되고 있는지방자치단체의 공간계획은 상위계획 간 연계성 등 체계가 불분명함에 따라 계획 간 모순과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고권을 보장하고, 이것이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법정계획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위계별 적용가능성 분석

        이상호(Sangho Lee),임윤택(Yountaik Leem),김희영(Hee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와 Eco City에서 파생된 U-Eco City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계획요소로부터 도출된 서비스의 공간적용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도시공간을 ‘건물’, ‘가로’, ‘시설’ 그리고 ‘지구’의 4개 위계로 구분하였다. 이들 공간은 각각의 용도 등에 따라 보다 세분화한 후 분석에 적용하였다. U-Eco City의 계획요소 중 U-City의 계획요소는 도시의 활동에 따라 생활(Living), 일(Working), 이동(Moving) 및 놀이(Playing) 부문별로 총 228개 단위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Eco City 서비스는 태양과 빛, 물, 녹지, 공기와 바람, 토지와 토양, 식생과 생태 등 자연요소와 에너지, 환경오염, 소음, CO2 및 가스, 환경폐기물 그리고 경관 등 자연요소 55개 부문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U-Eco City 각 계획요소의 공간적용성은 U-City 및 Eco City 계획요소가 어떤 공간단위에 적용되는지를 교차분석(Cross-tabu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U-City 계획요소는 도시공간 중 ‘지구’ 단위(35.7%), Eco City 계획요소는 ‘건물’ 단위(38.8%)에 적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각 계획요소의 공간적용성은 공간의 위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U-City와 Eco City계획요소가 공간에서 융합된 U-Eco City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간위계에 따른 차별적 계획요소를 도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 및 설계지침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U-Eco City services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easiness of application in urban space. The most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design and planning guidelines for integrated U-Eco City. This study progress as follows; First, U-Eco City concept and their services were defined and the spatial units of U-Eco City were distingu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U-Eco City spaces a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uch as building, street, facility and district. Finally,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was analyzed together by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cross-tabulation. 35.7% of U-city services was serviced in urban district and 38.8% of Eco City services was applied to Building. U-City and/or Eco city services were ada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Those services should be appli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designing and planning U-Eco City.

      • KCI등재

        유럽연합(EU) 海洋空間計劃의 法的 問題

        정남철(鄭南哲 Chung, Nam-Chul) 韓國土地公法學會 2014 土地公法硏究 Vol.67 No.-

        Die maritime Raumordnung hat heute wegen okonomischer und okologischer Interessen im Meeresbereich Bedeutung erlangt. Im Juli 2014 haben das Europaische Parlament undder Rat eine Richtlinie zur Schaffung eines Rahmens fur die maritime Raumordnung(2014/89/EU) erlassen. In der Richtlinie sind Umsetzung der maritimen Raumplanung, Mindestanforderungen an die maritime Raumplanung und Beteiligung der offentlichkeit etc. enthalten. In Bezug auf integrierte Meerespolitik fur die Europaische Union wird 2007 das sog. Blaubuch veroffentlicht. Die integrierte Meerespolitik basiert sich vor allem auf dem Grundsatz der “Nachhaltigkeit”. Des Weiteren wird im Jahre 2002 eine Empfehlung des Europaischen Parlaments und des Rates zur Umsetzung einer Strategie fur das Integriertes Kustenzonenmanagement (IKZM) verabschiedet. Die Rechtsgrundlagen der maritimen Raumordnung auf EU-Ebene finden sich nur mittelbar in “territorialem Zusammenhalt” oder “Umwelt” im Europarecht. Daruber hinaus steht der Europaischen Kommission keine originare Zustandigkeit fur die maritime Raumordnung zu. Obwohl der Lissabon-Vertrag auch daran nichts geandert hat, werden die Kompentenzen der Europaischen Union fur die maritime Raumordnung immer wieder verstarkt. Als raumordnerische Instrumente zu Wasser stellen sich also planerische Mittel, informelles Instrumente und Monitoring etc. dar. Die maritime Raumordnung auf der EU wird aus meiner Sicht wegen zunehmender Interessenkonflikten im Meeresbereich, insbesondere der Forderung von Investitionen oder des Umweltschutzes usw. hervorgehoben. 해양공간계획은 해양에서의 경제적 또는 생태적 이익으로 인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2014년 6월에는 해양공간계획에 대한 요강마련지침이 제정되었다. 여기에는 해양공간계획의 회원국법으로의 전환, 해양공간계획의 최소요건, 그리고 공중참여 등에 관한 규율을 포함하고 있다. 2007년에는 포괄적인 통합해양정책(IMP)을 마련하는 청서를 발간한 바 있는데, 이러한 통합해양정책은 유럽연합의 해양공간계획에 관한 기본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으로서 지속가능성의 원칙에 근거로 하고 있다. 그 밖에 2002년에는 유럽에서의 통합연안구역관리(IKZM)에 관한 권고를 발하였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해양공간계획에 관한 직접적인 법적 근거는 없으나, “영토적 결합”이나 “환경” 등에 관한 조항을 간접적 근거로 삼고 있다. 나아가 유럽집행위원회는 해양공간계획에 관한 시원적 권한을 여전히 갖지 못하고 있다. 비록 리스본조약 이후에도 이러한 사정은 변함이 없으나, 해양공간계획에 관한 유럽연합의 권한은 앞으로 점차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 차원의 해양공간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는 계획수단, 비공식적 도구, 모니터링 등이 제시되고 있다. 투자의 촉진이나 환경보전 등을 둘러싸고 해양공간에서의 경쟁과 갈등이 점증하고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 차원의 해양공간계획은 앞으로도 더욱 강조될 것이다.

      • KCI등재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의 구조와 한계 ― 해양공간계획법을 중심으로 ―

        김현귀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1

        기존의 연안관리법상 연안통합관리체계를 통합하여 지금의 해양공간에 대한 계획과 용도구역지정의 체계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2019년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부터이다.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동안 전국 주요 지역의 관리계획이 수립되며서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 체계가 완비되었다.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해양공간을 이용하거나 개발하려고 할 때 해양공간적합성협의를 의무화하여 우선 개발주체 스스로 해양공간 적합성 검토를 해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려하도록 한다. 이어서 그 검토결과를 해양수산부장관이 검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특성을 평가하고 해양용도구역을 지정하는 형태로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지금의 해양공간관리계획은 자료제공적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해양공간적합성협의의 결과에 법적 구속력이 없어서 해양공간의 이용・개발 및 보전행위를 상당히 느슨하게 통제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 과정에 이해관계자 등의 참여를 보장하는 절차는 기존의 국토계획법의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해양공간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도 못하였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해양공간의 이용과 개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들이 고민되어야 한다. 거버넌스의 구축을 비롯하여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 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다양한 법적・정책적 방안들에 대한 소견을 밝히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 KCI등재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 - 경기도 일원에의 사례 적용 -

        최희선,박주현,김현,Choi, Hee-Sun,Park, Ju-hyeon,Kim, Hyeo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최근 국가적으로 환경정보들을 DB화하고, 체계화하며 통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도시 및 지역차원에서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더욱 용이하게 하며, 이는 공간의 관리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써 토지의 보전은 물론 이용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 간의 상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합의하는데 용이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환경요소 중 가장 민감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환경 계획 수립방안은 계획과정을 고려해 크게 1)기본방향, 2)공간정보의 수집, 3)공간환경현황 작성, 4)공간환경 관리계획 수립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현황파악 및 계획수립 시 필요한 공간정보는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목록화 하였다. 계획수립 시 고려되는 현황도는 토지이용(토지피복)과 자연생태 우수자원/지역 현황 작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광역생태축 계획과 보전, 복원지역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를 모색하였다. 기존연구 및 사례들을 통해 마련한 현황 및 계획방안은 경기도 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계획은 관련 공간개발계획 수립 시 생태적 가치와 중요도를 고려한 계획안 마련에 기여함은 물론, 지역 내 개발사업 추진 시 계획의 적정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초자료와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ward databasing, systematizing, and unify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efforts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officially planned a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evels. This in turn clarifies the management direction of space, thereby serving as an effective tool with which to not only conserve land, but also provide a reasonable compromise to all the related solutions at odds with one another. As such, this study forwards a method for inclus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lace, with in such a planning method, of the natural ecosystem, arguably the most sensitive arena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can be broadly divided as follows: first, basic direction; second,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third, compilation of status of spatial environment; and fourth, management strategy for spa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second phase, namely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elineates clearly spatial information hitherto amassed by government agencies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he ensuing lists facilitate maximum utilization of the previously accumulated data. Used during the planning phase, status map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status of land use(land cover), but also systematic data on the superior resources of the natural ecosystem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given spatial environment. Establishing plans for ecological networks, thei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spects, this study sought to formulate ways in which to spatialize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that encompass consideration for the natural ecosystem. Devised based previous studies and examples, the compilation of status and plans as stated, applied to Gyeonggi Province, afforded an examination of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usability of the proposed plans. Ultimately, these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encompassing consideration for the value and level of significance of the given natural ecosystem in spatial development planning, but als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nvestigating appropriateness of plans and validity of location in any regional development plan.

      • KCI등재

        도시 친수공간 활성화를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안양천을 중심으로-

        박신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Rivers and stream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viding cities with economic bases and spatial support. However, until now, development methods for urban waterfronts have focused on improving physical functioning to affect production. It has therefore been difficult to perceive these waterfront areas as living or cultural spaces. Recently, however, some development cases have emerged that emphasize human and environmental harmony,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ing, which achieve a balance of local culture and natural waterfront scenery. Currently, urban activity seeks to regenerate various attractions of the waterfront in order to reform waterfront spa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some user problems, such as the presence of bridge support structures in rivers and streams, and to suggest a spatial plan of the public sphere that can enhance the living and cultural space where necessary. (Method) The design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he Anyangcheon and Hakeuicheon, and the streams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design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waterfront theories, including concepts and values related to waterfront areas,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development cases to prepare the basis of the design direction. Second, as a basic plan,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nyangcheon, and analyzed its competitiveness and prospects. Third, in terms of a basis for design, the study suggested a spatial design that first set out the basic design concepts and promotional strategy, followed by a detailed design plan. (Results) First, to constitute the spatial plan, the study made use of natural, ecological elements that existed on the urban waterfront. Since the Anyangcheon is close to the urban center, the study planned the site to include an expansion of natural elements as the foothold of the public sphere. Second, in terms of scenery, the study allowed for greater accessibility for citizens to add value to the waterfront. In addition, it maximized openness and publicity regarding the stream, and eliminated the dreariness associated with the lower parts of the bridge, embankment and levee. To achieve this, a color plan connected the lower parts of the bridge, embankment, and levee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Through the use of moderate, low-saturated colors and monochrome, a stable mood was created, intended to provide users with convenience and pleasantness around the public facilities. By actively using natural elements, the design aimed especially for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Conclusions) It is possible to bring local characteristics alive by linking waterfront areas that lack identity with surrounding areas, and using them to build community. It is also possible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through waterfront activation spatial pla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a concrete spatial plan for a public sphere to support urban activity along urban waterfronts. Its limitation is that it doesn’t sufficiently connect the city to waterfront regener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하천은 도시의 경제적 기반과 공간적 토대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그동안 도시 친수공간 개발방식은 생산기능 위주의 물리적 기능개선에 치중하여 왔다. 그로인해 친수공간을 생활·문화공간으로 인식하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리적 기능개선 뿐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강조하고, 수변경관 속에 그 지역문화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는 개발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친수공간조성을 통한 도시 활성화 의미는 친수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매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천 내 교량 구조물 하부 등 이용자 측면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한 구간에 생활·문화공간으로 인식 할 수 있는 공공역역에서의 공간계획을 제시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디자인 범위는 안양천 및 학의천 일원으로 구간은 세장소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디자인 방법은 첫째, 친수공간 이론적 고찰 단계로 친수공간의 개념 및 가치를 살펴보고, 국내·외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설정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디자인 기본계획을 위하여 안양천을 대상으로 안양천의 현황을 파악하여 안양천의 경쟁력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셋째, 디자인 기본방안으로 디자인 전략과 디자인 기본개념, 추진 전략을 설정하고, 세부 디자인 계획 순으로 공간디자인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공간구성계획으로 도시 속에서 친수공간이 가지는 생태적, 자연적 요소를 활용하였다. 안양천은 도심에서의 근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 요소를 공공영역의 거점으로 확대시켜 장소를 계획하였다. 둘째, 경관조성계획은 친수공간의 가치를 확장시키기 위해 시민들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계획을 하였다. 또한 안양천의 입지조건의 개방성과 공공성을 극대화 시키고, 교각하부 및 축대, 제방의 삭막함을 제거 할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주변경관과 연계하고 교각하부의 삭막함을 순환시키기 위한 색채계획은 주변경관과 연계하여 저채도, 단색조의 색채 사용으로 적용색상의 절제화를 통해 안정된 분위기를 유도하였다. 공공시설물을 통해 사용자들이 편리성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특히 자연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위한 디자인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결론)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는 친수공간은 주변 지역과 연계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커뮤니티 조성전략으로 활용 가능하며, 친수공간 활성화 공간계획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 친수공간을 대상으로 도시활동을 지원하는 공공영역으로써 공간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친수공간 재생에서 도시의 관계성의 접근이 부족한 점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들 수 있겠다.

      • 해양공간계획체제와 갈등관리

        이혜영(Hyeyeong Lee),최희정(Hee-Jung Choi),김선미(Sunmi Kim),남정호(Jungho Na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해양공간계획은 해양에서 활동의 시간적 공간적 배분을 통해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과정으로<sup>1)</sup> 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계획을 통해 해양활동을 관리함으로써 체계적으로 해양을 이용하고 갈등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체제로서 세계 각 국은 해양공간계획 체제로 해양관리 메커니즘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sup>2)</sup> 우리 정부도 해양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와 선점식 해양 이용에 따른 갈등이 확대함에 따라 해양공간계획 체제를 국내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우리 정부는 해양공간의 통합관리와 계획적 이용체계 구축을 국정과제(84-5)로 선정하고, 2018년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을 제정하여 해양공간 통합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우리나라 해양공간계획 제도는 해양공간기본계획에서 전 해역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시·도의 해역과 배타적 경제수역·대륙붕의 해양용도를 정하여 관리하는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이 기본이 된다. 해양공간계획 제도는 해양공간관리 지역협의회 및 지역위원회, 공청회 등 지역의 이해관계자와 시민이 정책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해양용도구역 지정 시 정보·분석의 제약을 최소화하고, 갈등 발생요인을 사전에 검토하여 정책 수용성 확보에 기여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참여를 통해 지역의 갈등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논의할 수 있는 체제는 우리 해양공간계획 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을 중심으로 해양공간계획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인접 시·도와의 협력은 미흡하게 다루어 지고 있다. 해양공간계획 제도에서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관리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대하여 시·도 공동으로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3) 해당 지역의 설정하는 기본원칙이나 기준이나 일반원칙이 부재하여 명확한 행정 기준으로 기능하기 어렵다. 한편, 해양공간의 이용ㆍ개발 및 보전 활동을 합리적으로 배분ㆍ관리하기 위하여 9개 유형의 해양용도구역을 지정하고, 해양용도구역 별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현행 제도는 우리 해양의 현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현행의 단편적 해양용도구역 체제는 해양의 복합적 가치와 해양 활동의 다양한 규모와 강도를 포괄하는 관리수단으로 기능하기에 미흡한 일면을 보인다. 해양공간계획이 해양공간 통합관리의 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도간, 경합하는 해양 활동간 갈등관리를 위한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해양공간계획의 갈등관리 기능과 효과를 진단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는 갈등관리 수단 및 방식을 검토하고, 부산 해양공간관리계획 사례에서 해당 수단과 방식이 효과적으로 기능하는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Marine Spatial Planning (MSP) is a public process of analyzing and allocating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human activities in marine areas to achieve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objectives that are usually specified through a political process (Ehler and Douvere, 2011). As MSP tries to minimize maritime conflicts through management by planning engaging interested parties and the public in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siderable number of countries has been adopted MSP system into their political framework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mechanism has been mainstreamed as the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Act was proclaimed on April 2018. The MSP system of the ROK provides policy direction over its jurisdictional sea through adopting Marine Spatial Framework Plan (MSFP), and offers a framework for managing Marine Use Zones specified in the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 (MSMP) resulting from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ial seas. Since each Marine Use Zone reflects the dominant value of the space, the conflict of interests is expected to be major. Therefore, the MSP of the ROK provides participation process to render a platform for discussion before confirming marine spatial plans to minimize the conflicts. However, as the current MSP system focuses on interaction of interested parties within a province upon the provincial agendas, it hardly take accoun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s. Although it enables the provincial governments to jointly adopt the MSMP whenever necessary, the standard to test the necessity is not specified. Moreover, the Marine Use Zone framework formulating zone-based management seems insufficient for resolving conflicts between marine users. Although the area-based management gives a great support to political decision making by visualizing marine management tools and activities, categorizing diverse and dynamic activities and actions carried out in seas into 9 types does not provides enough information for the conflicting parties. Therefore,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incorporated in MSP process, analyzes the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Act which provides institutional fundamentals for it, and assesses how the measures are being taken in practice through a case study on the MSMP for Busan province.

      • KCI등재

        시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한 주거공간 조명계획에 대한 연구

        김묘철,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temporary lighting is not limited to the simple function of illuminating spaces, but pres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pace and user needs. With regard to the issue of aging—the biggest problem facing human society at present—guidelines for a lighting plan in residential areas is required for elderly people with decreased visual function. The daily lives of the majority of elderly people are inconvenienced by decreased visual function. However, the importance of lighting that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indoor space is not properly recognized. Nevertheless, most of the lighting plans currently being universally applied are standardized and dir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ge group.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measure for a lighting plan in residential areas for the elderly with the decreased visual func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Method)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ing of visual acuity, color misperception, and glare in the elderly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ccordingly, it also examined illuminance standards and lighting plans in lighting environments and residential areas for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fun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illuminance standards for the elderly and presented items of a lighting plan. This study then proposed a lighting plan for the residential area of a 34-pyeong apartment house, with each space based on the proposed items of the lighting plan, and verified the result using computer simulation. (Results) In rest areas, environments for glare prevention and uniform illumination were constructed, selecting light sources and applying multi-directional diffusion system and direct/indirect lighting system for the uniform distribution of illuminance in the spaces. In workspaces, light sources that could prevent color misperception and control color temperature were applied so that the elderly could use them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while work surface illumination and uniform illuminance distribution in spaces were planned, and a top-down concentrated lighting system and a top-down diffusion lighting system were applied. For sanitary spaces, high color rendering type light sources were selected so that they would not feel inconvenient in activities and so that sufficient illumination was secured, while a top-down diffusion lighting system was applied. For other spaces, light sources with strong linearity were used, and a flow of human traffic was induced in moving between rooms, while a down-concentrated lighting system was applied. In doing so, measures for lighting plans were measured through simulation. In the derived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illumination value i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general residential areas, and it is argued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right lighting plan for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each space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and the method of the lighting plan. (Conclusions) Lighting plans in residential areas for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function should properly select light sources for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should the methods of lighting plans for the optimal use of each space to secure uniform illumination. Therefore, such a plan for lighting environments can be a measure for lessening the visual discomfort of the elderly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It is also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multidisciplinary reviews and studies of the selection of light sources and methods of lighting plans in more elderly facilitie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조명은 단순히 공간을 밝혀주는 기능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으며, 공간의 목적과 사용자의 니즈 등에 따라 연출된다. 현재 인류 사회에서 가장 큰 문제로 다가오는 고령화 문제에 대하여 시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한 주거공간 조명계획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시각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끼지만 실내 공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명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그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조명계획은 연령층을 고려하지 않고 평준화 되어 연출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시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한 주거공간 조명계획 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고령자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고령자의 시력의 노화, 색지각오인, 글레어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따라서 시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한 조명환경과 주거공간의 조도기준 및 조명계획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고령자 조도기준에 대하여 분석하고 조명계획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후 34평형 아파트의 주거공간을 제시된 조명계획 항목을 바탕으로 공간별 조명계획을 제시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휴식공간의 경우 공간의 균일한 조도분포를 위한 광원 선정과 다방향확산 및 직간접 조명방식을 적용하여 글레어 예방과 균일한 조도환경을 구성하였다. 작업공간은 색지각 오인 예방 및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광원을 적용하여 고령자가 기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하향집중, 하향확산 조명방식을 적용하여 작업면 조도와 공간의 균일한 조도분포를 계획하였다. 위생공간은 고연색성 광원을 선정하여 활동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하향확산 조명방식을 적용하여 조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기타공간의 경우 직진성이 강한 광원을 사용하고 하향집중 조명방식을 적용하여 실과 실 사이 이동 시 동선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은 조명계획 방안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일반주거공간에 비하여 평균조도 값이 크게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광원과 조명계획 방식에 따라 각 공간별 특성과 목적에 맞는 조명계획 방식을 적용하여 나타낸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 시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한 주거공간 조명계획은 고령자의 시각특성에 맞는 적절한 광원 선정과 각 공간의 사용 목적에 알맞은 조명계획 방식, 그리고 공간별 균일한 조도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명환경 계획은 고령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덜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고령자 시설에 대한 광원 선정과 조명계획 방식의 다각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륙숙이,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화 과정은 도시 환경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 도시화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인류는 도시개발방식을 재고하고 전환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는 현대 도시 계획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시의 사례를 분석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생태적 적응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도시 사례를 중점으로 분석한 후 미래의 공간적 적합성에 대한 제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학위 논문, 학술 논문, 단행본 등 학술 분야의 현대 도시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둘째, 현대 도시 계획의 원칙과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중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소를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 발전성, 도시 거주성의 5가지 공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중국 지속가능발전지수 체계(CSDIS)를 활용한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ble development of china(2023)》에서 종합순위 1위의 중국 도시 사례 항저우(인구가 가장 많은 5개 구역)를 선정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앞서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의 공간 요소를 심층 분석을 위한 분석 항목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대상이 되는 도시 사례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분명하다. 현대 도시 계획에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얻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발전성, 도시 거주성 측면에서 이들 도시가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인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도시 환경 공간설계는 자연생태계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쾌적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오늘날의 환경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및 관리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has significantly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prompting the need to address the resultant environmental and social pressures. Consequently, humanity has entered a critical phase of rethinking and transform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In this contex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s have emerged as the cornerstone of modern urban planning.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 case study of Chinese cities that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sound ecologically adaptive technolog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uture spatial design strategies aimed at fostering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s. (Method) First,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on modern urban planning and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al space design requirements in academic fields, such as theses and books, from 2004 to 2024. Second, through prior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Third, ecological adaptability, importan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elements in modern urban planning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we analyzed five spatial components of eco-friendly adaptable environmental space design in modern urban plann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livability. Fourth, the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 (2023) was used to select Hangzhou (the five most populous districts in Hangzhou), which ranked first in China's comprehensive score, as the analysis target; the five spatial elements obtain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were analysis projects as an in-depth analysis. The five spatial elements derived through the previous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items for in-depth analysis. (Results) Analysis of the research benchmarks in the design of ecologically adaptive urban spaces in modern city planning showed that these areas exhibi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cological adaptability,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ility, and urban livability. (Conclusion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ctively addressing public participation needs. Therefore, future urban environmental space design should not only aim to respect and protect natural ecosystems, but also strive to create comfortable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s that effectively address today's pressing environmental space issues. Moreover, adopting scientific and r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methods is essential to ensure the long-term success and resilience of these urban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