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 大山 李象靖의 「考終時日記」를 중심으로

        오용원 (Oh Yong-won )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이 글은 고종일기류 자료의 몇 가지 성격과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대산의 「고종시일기」를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먼저 考終者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등 기록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하였다. 완성된 전모를 갖춘 고종일기는 죽음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내용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어나는 제 행위를 기록한 부분과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 관련 과정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후에 행해지는 일련의 상장례 관련 과정을 기록한 것을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라고 하는데, 이는 일기 형식을 갖추어 날짜별로 기록한 경우도 있지만, 전 과정을 절차별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범례이다. 대부분의 고종일기는 門人이 그 기록자였다. 왜냐하면 현존하는 다수의 고종일기가 스승의 죽음을 기록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결국 일기의 내용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나 환경을 기록하는 경우에 가족과 관련된 내용보다는 師弟間의 관계에서 죽음을 맞는 스승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쩌면 血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기보다는 學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기는 현실의 일상적인 생활을 기록한 반면, 고종일기는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일상을 기록한다. 일기의 내용 역시 제한된 공간에서 고종을 맞는 사람의 일상만을 기록한다. 그 기록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병세와 문병자의 명단, 門人과 後孫들에게 남긴 遺訓, 고종자가 맞는 죽음의 태도, 고종자의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와 관련된 일 등을 기록한다.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大山 李象靖(1711~1781)의 「考終時日記」를 통하여 죽음을 맞는 그의 日常을 살펴보았다. 대산의 「고종일기」의 내용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청학한 문도들에 대한 기록이며, 이러한 기록을 통하여 죽음을 목전에 둔 당대 거유의 관심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의 위중한 병세보다 문전에 찾아와 청학하는 문도들에게 좀 더 많은 가르침을 주려는 그의 학문적 배려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죽음을 맞는 그의 태도이다. 그는 육체적인 병고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문병자 뿐 만아니라, 자식들에게 조차 順天의 진리를 역설하였다. 결국 그는 死生 有命의 천리를 순종하며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하였고, 순천자의 모습으로 正終之義를 몸소 실천하였다. 일기는 현실성과 사실성 그리고 일상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인문학은 좀 더 일반 대중들과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단순한 이념이나 이론에만 얽매였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각양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일기류 자료에도 관심을 가져봄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접근해야 하고 새로운 자료를 많이 발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고종일기는 아직 학계에 언급된 적이 없는 자료이며, 인문학 전반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까지 역사적 거대담론에서 바라보았던 선인들의 삶과 죽음을 ‘고종일기’라는 실기문을 통하여 좀더 가까이서 실상을 바라본다면, 그들의 일상에서 새로운 면면들이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studi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deathbed diary material and analysed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deathbed diary of Daesan(大山李象靖, 1711∼1781), which is the model of deathbed diary. Deathbed diaries which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the dying men were named in Chinese character differently according to recorders, for example,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Fully equipped deathbed diaries have two major parts in their contents. One records the things and matters happened until death and the other records the services and processes of funeral after death. The records of after-death processes, called as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were written usually by processes not in sequence of date. Most of existing deathbed diaries were written by disciples - students recorded teachers' death. Therefore, the diaries usually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dying master from the viewpoint of disciples not of family members. It can be said that deathbed diary is the work of academic relation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Common diary records everyday life while deathbed diary records only the affairs of dying man before and after death. Main contents of deathbed diary include the condition of a disease, visitors' list, dying injunctions for disciples and descendants, attitude of dying man toward death and funeral ceremonies and services after death. This paper examined the daily life of dying Daesan through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typical deathbed diary. The most distinctive content of it is the record about disciples who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ir study. The record tells what the dying great Confucian scholar was interested in. He wanted more to give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than taking care of his serious condition. His attitude toward death was adaptation. He emphasized to visitors as well as descendants on following the law of nature. He prepared his inevitable death with obeying the nature law and practiced his teaching by himself. Diary secures actuality, reality and generality. Our humanity needs to find more routes to sympathize with the public.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interest to diary material that show various daily lives than the researches centered on theories or ideologies. For it, wide rage of material should be accessed and more material should be found newly. Deathbed diary has not been introduced till now but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overall humanity field. If the lives and deaths of Song Si-yeol, Lee Sang-jeong or Choi Ik-hyeon were reviewed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ir deathbed diaries, unknown aspects of their daily lives will be known.

      • KCI등재

        1873년 고종의 통치권 장악 과정에 대한 일고찰

        김성혜 ( Sung Hy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1863년 12월, 고종은 12세의 나이로 신정왕후의 지명에 의해 조선의 제26대 군주에 올랐다. 즉위할 당시, 고종은 아직 유약하고 제왕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전례에 따라 신정왕후의 수렴청정이 행해지게 되었다. 1866년 2월에 수렴청정이 끝나자, 이번에는 실부인 대원군에게 정권이 위임되고, 고종은 성학에 힘을 쏟는 한편 대원군의 정책 결정과 추진 과정에 관여, 협력하게 되었다. 그러나 1870년대에 들어서 더욱 강화된 대원군의 권력 집중과 독점은 고종에게 위기 의식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고종은 대원군의 여러 가지 통치 활동이 군주 권력의 안정과 확립에 기여한다고 믿고, 권력을 위임해 협력하고 있었지만, 대원군은 고종에게 통치권을 돌려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권력을 확대해 갔다. 그러자 고종은 대원군의 행동에 의구심을 품고 군권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어, 주변에 외척 중심의 측근을 배치하고 반대원군적인 여론의 형성과 분위기를 조성해 갔다. 이때, 청에 파견되었던 사신으로부터 청황제의 친정과 친정에 대한 백성의 큰 기대에 대한 소식은, 고종에게 자신의 친정에 대한 포부를 키우고, 1873년 10월 최익현의 상소를 계기로, 고종은 실질적인 친정을 선포했다. 고종의 친정 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은 그의 최익현 처벌에 대한 정부 관료의 반대가 컸기 때문에 고종과 정부 관료, 또는 친대원군 세력 간의 권력 쟁탈로 전개되었다. 정부 관료가 고종의 최익현 처벌에 반대한 표면적인 이유는 국청을 설치해 최익현의 불순한 의도를 상세하게 조사하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원군의 퇴진을 저지하고 정권을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대원군을 퇴진시켜서 통치권을 회복하려고 하는 고종과 현 정권의 정당성을 주장해 자신들의 지위를 지키려고 하는 정부 관료의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정쟁이었고, 양쪽은 서로의 입장을 양보하려고 하지 않았다. 결국 고종은 계속해서 최익현의 국문을 통한 조사를 요구하는 영중추부사 홍순목, 좌의정 강로, 우의정 한계원을 파면시키고, 의정부를 영의정 이유원과 우의정 박규수로 새롭게 구성했다. 이것으로 1873년 10월에서 11월에 걸쳐 일어난 고종과 정부 관료 간의 갈등 국면이 진정되고, 대원군이 정계에서 은퇴해, 고종의 친정 체제 구축 작업이 일단락되었다. In December 1863, 12-year-old Kojong(高宗) rose as the 26th monarch under the nomination of Shinjeongwanghu(神貞王后). Because Kojong was still young, fragile, and has yet to receive training and education on becoming an emperor at the time of his enthronement, regency by the queen mother commenced, also based on precedent. With the end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February 1866, political power was transferred over to Daewongun(大院君), Kojong`s real father, and Kojong continued to concentrate on autocratic education while partaking in and collaborating with Daewongun in his policy-making decisions and progress. During the 1870s, however, Kojong began to see Daewongun`s increased convergence of power and monopoly as a threat. Kojong believed that Daewongun`s numerous political activities served the stability and security of sovereign authority and even entrusted Daewongun with authority of the monarch. Daewongun, however, refused to return sovereignty to Kojong and instead focused on expanding his own power base. Kojong then became apprehensive about Daewongun`s actions and sought to restore his own sovereign power. Kojong surrounded himself with relatives, mostly from his maternal side, and worked on creating anti-Daewongun sentiments and atmosphere. At this point, Kojong received a private message from China, stating the Chinese Emperor`s return to power and the Chinese people`s great anticipation for the emperor`s return. This message served as an inspiration for Kojong, who in October 1873 took advantage of Choi Ik-hyeon(崔益鉉)`s appeal and announced his actual rule. The formation of Kojong`s ruling system led to power struggles between Kojong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opposed Choi`s punishment and between Kojong and pro-Daewongun forces. On the surface, government officials claimed they opposed Kojong`s punishment of Choi Ik-hyeon because a state tribunal needed to be installed to conduct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Choi`s rebellious intentions but, in actuality, the officials wanted to deter Daewongun`s withdrawal and maintain their hold on the government. This was a war between Kojong, who wished to relieve Daewongun and restore the sovereignty,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claiming the validity of the incumbent government in an attempt to protect their positions. In this struggle over national leadership, neither side gave way to the other. In the end, Kojong dismissed those officials who kept on insisting a trial for Choi Ik-hyeon and a newly structured Uijeongbu(議政府). With this, the conflict between Kojong and government officials that transpired throughout October and November 1873 was subdued and Daewongun retired from politics to complete the first phase in the buildup of Kojong`s rule.

      • KCI등재후보

        고종시대 군주권 위협 사건에 대한 일고찰

        김성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8 No.-

        고종은 한국근대이행기 43년간 군주의 자리에 있었다. 그의 즉위는 신정왕후와 대원군, 그리고 고종이 즉위한 이후에도 여전히 정권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안동김씨 세력의 결탁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방계왕족으로 철종이 아닌 익종의 대통을 잇는다는 정통성의 결여와 실부가 살아있다는 문제, 또한 제왕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자격 문제 등이 맞물려 그는 즉위 직후부터 군주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입지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특히 자신을 군주로 추대한 실부인 대원군이 권력을 한층 강화하며 정치를 전단하는 가운데, 수많은 반대 속에서 한 달 간의 정쟁 끝에 스스로 친정을 선포해야 했던 경험에 더해 친정 직후 시작된 정계와 정책 개편에서 정부관료 및 유생들과 치열한 정쟁을 벌이면서 군주권 확립과 강화를 직접 이루어야 한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고종이 친정을 선포한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급격하게 변화되어 갔다. 이때 조선 내에서는 전통을 유지하자는 세력, 고종의 개화정책이 오히려 지나치게 온건하다는 세력이 팽팽히 맞서며 그를 압박해 왔다. 그리고 이는 고종이 군주로서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한다고 판단되어 군주권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친대원군세력은 고종을 폐위시키고 그의 배다른 형인 이재선을 즉위시켜 정권을 장악하려는 쿠데타 음모를 계획하게 되었고, 개화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신식군대와 구식군대와의 차별문제로 군인들이 봉기해 대원군이 재집권하는 일도 발생했다. 일부 급진개화파 세력들은 자신들이 정치를 주도하고 고종을 상징적인 존재로 규정해 국가의 구심점으로 삼으려는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결국 친정 선포 직후 친군주세력조차 확보하지 못한데다가 즉위 초기와는 다른 전통과 서구와의 충돌이라는 복잡한 정세 속에서 제반 정치세력들과 각종 정책을 둘러싼 이견까지 가시화되면서 고종은 보다 강력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친정을 스스로 선포한 과정에서 드러나듯이 고종은 강한 권력욕의 소유자였고, 따라서 각종 위기와 도전 속에서도 끊임없이 실질적인 군주권 장악에 대한 의지를 표방해 갔다. 이런 상황에서 끊임없이 발생한 군주권에 대한 도전은 고종으로 하여금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차단하고 군주권을 확립․보전하기 위해 군주권 내용에 대한 통합 필요성을 절실히 깨닫게 만들었다. 한편으로는 군주권 유지에 가장 강력한 지지 기반이어야 하는 존재들이 또 한편으로는 언제든지 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딜레마는 고종으로 하여금 항상 군주권 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인식․추진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군주권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존재하는 사회를 통제하면서 자신에게 권력을 집중시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군주권을 성문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판단해 이를 구체화시키고자 했다. 을미사변 이후 아관파천을 단행해 반군주세력을 정부로부터 축출하고 일단 군주권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와 황제 등극을 통해 스스로에게 권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고, 군주권에 대한 성문법 정비에 더욱 박차를 가한 결과, 즉위 36년째인 1899년, 대한국국제를 제정·반포해 국가의 모든 통치 권력을 황제에게 집중시키는 데 성공하게 되었다. Kojong(고종) had been a monarch for 43 years to the transition into Modern age of Korea. In that time, Kojong had some problems what was lack of legitimate from succeed to the Royal line not Cheoljong(철종) but Ikjong(익종) as a collateral royalty, his real father still alive, and also he did not get the education of a monarch. So directly after assession to the throne, he had been faced situation that he had to make the use of monarch's ability and strengthening his position. In particular, Kojong had experiences what Deawongun(대원군) who have himself as the monarch strengthened more power and decided to politics arbitrarily, so he had to proclaim direct royal rule by himself. Therefore Kojong had became to realize he had to achieve to establishment and consolidation of royal power by himself. Kojong continuously claimed to will for hold real power while it happened these crisis and challenges because he had a strongly desire for power. In these situation, challenges to his royal power occurred in succession made him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synthesis about the nature of the royal power for blocking attack from external and establishment of royal power. After a reign of 36 years, 1899, he became succeeded in concentrate all sovereignty to empire to establishment and promulgation Constitution of the Great Han Empire(대한국국제) as a result of his efforts to spurred to establish a statute.

      • KCI등재

        무인정권, 그리고 전란 속의 왕권 : 고려 고종(1192-1259) 연구

        윤용혁(Yoon Yang Hyuk)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고려 고종은 13세기 몽고 전란기, 그리고 무신정권 하에서 반세기동안을 왕위에 있었던 인물이다. 최씨정권은 고종의 왕권을 자신의 정치권력 유지에 이용하였으며, 특히 13세기 다난한 대외관계의 전개는 이점에 있어서 매우 유효한 점이 있었다. 반면 고종은 사실상 최씨정권의 보호 하에 국왕으로 지명되고 그 지위를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고종과 최씨정권 양자의 관계는 서로를 뒷받침해주는 상보적 입장에 있었다. 고종은 자신이 몽고와 직접적 외교 주체로 대두되는 것을 기피하였다. 이점에 있어서 고종이 대외관계의 외교적 사안을 이용하여 왕권의 회복을 추구하였다는 견해는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고종은 보기 드물게 가정적이고 성실한 자기 신변 관리를 다했던 군왕이었다. 그러나 현실의 모순과 문제를 개혁하기보다는, 상황에 순응하는 소시민적 의식이 그를 지배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청년기까지의 성장과정과 시대적 상황에 의하여 체득되어진 하나의 삶의 방식이었다. 이점에 있어서 고종의 왕위 재위는 이 시기의 역사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mperor Gojong of Goryeo dynasty was a person who was on the king's position during the half 13th century that went with Mongolian invasion and military power regime. The military power regime of Choi's family used the king's power of the emperor Gojong to keep their political power taking good advantage from the overseas relation that went with many difficulties and troubles in the 13th century. In fact, however, the emperor Gojong was appointed to an emperor and kept his position under the protection of Choi's family. This point indicate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emperor Gojong and the power of Choi's family was to help each other. The emperor Gojong avoid becoming the main body directly for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Mongolia. In this point, the opinion that the emperor Gojong used some diplomatic issues in such overseas relation to seek restoration of king's power does not look proper. Unlike most of the other kings or emperors, the emperor Gojong was family-oriented and faithful to manage himself. It is, however, thought that he had mainly petit bourgeois style consciousness in sympathy with the current situations rather than reformed the real conflicts and problems. Such consciousness was a kind of life style that he gained through his growing-up process he experienced till his youth time an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n this point, his reign period is thought to reflec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his times.

      • KCI등재

        19세기 진찬의례와 군문의 재정 활용

        최우혁(崔祐赫) 한국국학진흥원 2021 국학연구 Vol.- No.45

        순조~고종대에 이르는 동안 진찬의례進饌儀禮의 이래전移來錢 규모 가운데 군문의 재정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군문의 재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간이 흐를수록 줄어들고 국왕의 내하전內下錢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우선 순조대인 1829년(순조29) 2월에 설행된 진찬의례에서는 호조와 내숙설소의 재정이 이래전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헌종대인 1848년(헌종14) 3월의 진찬의례에서는 총위영總衛營의 재정이 크게 활용된다. 헌종憲宗의 친위군인 총위영에서는 창설 직후 둔전을 경영하는 한편, 군수에 필요한 물력을 중앙의 다른 관청으로부터 빌려옴에 따라 재정이 점차 증가하였다. 그 결과 진찬의례를 설행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의 대부분을 총위영에서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철종대 진찬의례에서는 군문의 역할을 확인할 수 없다. 1849년(헌종15) 헌종이 승하하고 철종哲宗이 즉위하면서 총위영이 혁파되는데, 친위군의 혁파는 진찬의례의 비용 마련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고종대에는 19세기에만 5차례의 진찬의례가 설행되었다. 첫 번째로 1868년(고종5) 12월에 진찬의례가 설행되었는데, 운현궁雲峴宮의 돈이 총 이래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1877년(고종14)에 이르면 다시 헌종대처럼 진찬의례에서 군문의 재정이 활용되기 시작한다. 고종高宗은 친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친위군인 무위소武衛所를 창설하고, 다른 군문과 관청으로부터 물력을 이급해왔다. 그 결과 무위소에서 진찬의례에 사용된 총 비용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마련할 수 있었다. 1887년(고종24) 1월의 진찬의례에서도 군문의 재정이 활용된다. 그런데 이전과는 달리 진찬의례에 들어가는 총 비용 가운데 고종의 내하전內下錢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군문의 재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1892년(고종29) 진찬의례의 이래전 규모에서도 군문의 재정이 아닌 고종의 내하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893년(고종30) 10월의 진찬의례에서도 군문이 아닌 호조가 진찬의례를 주관하였던 것으로 봤을 때 군문의 이래전 비중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각 관청과 군문이 스스로 경비를 마련하지 못하여 고종의 내하전이 이를 보충하고 있는 상황에서 진찬의례에 필요한 비용도 이전처럼 군문에서 대규모로 마련할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고종의 내하전이 진찬의례의 전체 이래전 중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군문의 재정은 일부에 불과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조선의 상황을 헤아려보면 재정적인 여유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왕이나 세자가 왕실 어른들의 경사를 기념하기 위해 군문 재정이나 내하전 등의 상당한 물력을 투입하여 주도적으로 진찬의례를 설행하였다. 즉 진찬의례는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종대(1863-1894)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정지연 교육사학회 2023 교육사학연구 Vol.33 No.1

        This study focuses on grasping the significances of the operation of the Seonggyungwan-Guasi(成均館 課試) by examining its concrete aspects during King Kojong's reign(1863-1894). Chnunchudogi(春秋到記), Jeolilje(節日製) and Hwanggamje(黃柑製) as the Regualr Guasi(定例的 課試) were conducted by the existing rules, but the scale of the benefits was expanded. Each Jeolilje was given the intrinsic role with Hwanggamje. Hwanggamje’s status was on a par with Dogijesul(到記製述)’s in regard to the level of the benefits. Ilchajeongang(日次殿講), Ilchajesul(日次製述) and Eungje(應製) as the Irregular Guasi(非定例的 課試) were shown King Gojoing’s period’s characters. Especially in Tongbangwe(通方外) Ilchajesul and Gwanhakyusangeungje(館學儒生應製) were awarded the benefits including Baccalaureat(小科)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大科). And their number of the benefits usually was one hundred that it was much more than the other kinds of Seonggyungwan-Guasi’s. The characters of the Seonggyungwan-Guasi in King Gojong(高宗)’s period appeared from Gojong’s 24th year(1887). Those were the expanding number of the benefit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benefits corresponding to Baccalaureat. Through these the more candidate not only who lived nearby the capital but also in the provinces could take the part in the Seonggyungwan-Guasi and Joseon Dynasty could select the person who it needed. 본고는 고종대 성균관 과시를 정례적 과시와 비정례적 과시로 구분하고 각 과시의 시행 빈도 및 시행 기간, 은사규모, 은사종류, 응시자 수 등을 검토함으로써, 고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고종대 정례적 과시 중 춘·추도기, 절일제 및 황감제는 헌종‧철종대 이래의 규정을 준수하되 은사 규모가 이전 시기보다 확대되었다. 고종대 늘어난 소과 관련 은사는, 절일제 및 황감제에서는 고종21년(1884) 이래로 소규모로 내려졌다. 또한 절일제 및 황감제는 응시자 수, 은사의 규모나 직부전시의 부여에서 차이가 있어, 각각에 고유한 역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절일제 및 황감제에서 은사자 규모가 가장 큰 것은 삼일제였으나 직부전시의 은사를 일정하게 가장 많이 내린 것은 황감제로, 황감제는 은사와 관련해서는 그 위상이 도기제술과 비슷하였다. 국왕의 의지가 실시 여부에 주요했던 비정례적 과시 중 일차전강이나 의례참반유생응제는 고종대에 은사자 규모가 확대된 것 외에 별다른 특징을 보이지 않았다. 고종대 과시 운영의 특징은 다른 비정례적 과시들에서 주로 보여진다. 고종14년(1877)에 처음 시행된 일차제술은 고종17년(1880)부터는 응시대상을 통방외로 확대하고 고종24년(1887)부터는 시행 횟수나 시행 시기가 일차전강과는 분리되어 운영된다. 일차제술에서는 대개 100명에게 은사를 내렸으며 대과와 소과의 은사를 모두 아우르는 은사를 내리곤 했다. 고종11년(1875)에 시행된 시작된 관학유생응제도 대부분 통방외로 시행하면서 일차제술과 거의 동일한 규모와 종류의 은사를 내렸다. 고종24년(1887) 이후에는 이 두 과시 외에 지역유생응제와 왕세자 관련 특정연령유생응제에서도 100명 이상의 은사자 및 소과 및 대과를 아우르는 은사가 내려졌다. 고종24년(1887)부터 주요하게 나타나는 고종대 성균관 과시의 특징은 은사자 수의 확대와 은사 종류의 다양화, 즉 소과 관련 은사의 부여다. 이 과정에서 정례적 과시 및 비정례의 의례참반유생응제는 성균관 과시 운영의 안정성과 고정성을 담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차제술 및 관학유생응제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비정례적 과시에서는 대과와 소과를 아우르는 은사를 내리면서, 소규모의 식년시·증광시를 성균관 과시로 시행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성균관이나 사학이 관리하는 유생 혹은 근기(近畿) 지역의 유생뿐만 아니라 전국의 유생들에게 보다 많은 성균관 과시 응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고, 국가에서는 필요한 인재의 후보군을 보다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윤소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6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말까지 한국의 전국에서 일어난 3ㆍ1독립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건은 1919년 1월 21일 아침에 일어난 고종의 갑작스런 죽음이었다. 그런데 실제 국내의 언론 보도에는 고종의 사망 일시를 1월 22일 오전 6시 30분으로 보도했다. 이에 고종독살설이 널리 퍼졌고 이는 3ㆍ1독립운동의 기폭제로 작용했다. 그런데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고종 독살이 단순한 소문이 아니라 일본에 의해 저질러진 역사적인 실재로 수용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이 글은 고종의 서거 직후 보도된 한국과 일본의 신문, 잡지 내용을 비교 검토하여 고종의 서거 일시와 사인에 관한 문제가 어떻게 보도되었는지, 고종 독살의 정치적 동기가 존재했는지, 독살의 증거로 들고 있는 시신 부패 문제 등을 재검토하여 고종의 독살이 역사적인 실재인지를 분석하고 나아가서 ‘고종독살설’의 정치사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종 사망 직후의 보도 자료를 비교 검토해 볼 때 고종이 독살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고종의 발병 후 처음 진찰하고 사망 과정을 지켜보고 그에 대한 첫 진술을 남긴 도가와戶川 여의사를 비롯하여 고종의 촉탁의인 가미오카神岡 의사, 하가芳賀 총독부의원장 등의 진단은 일괄적으로 뇌일혈이다. 고종의 발병에서부터 사망까지의 병세에 관한 각 신문의 보도 내용도 뇌일혈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동일하다. 단, 가미오카 촉탁의의 진술에서 도가와 여의사가 제일 먼저 고종을 진찰한 내용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은 점은 수상하다. 도가와의 진술에 의하면 4, 5일 전부터 고종이 이상증세를 호소했는데 도가와와 가미오카는 이를 좌시한 것이다. 결국 대표 촉탁의로서 가미오카의 진료 소홀이 있었고 그 사실을 은폐하고자 했을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여의사가 왕을 진찰했다는 사실에 대한 보수적인 인식을 의식하여 이를 은폐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고종의 염을 1월 24일에 했을 때 이를 목격한 사람들이 증언한 시신 부패 문제는 사망 직후에 바로 염을 하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 시신 부패의 일반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무엇보다 순종이 1917년 이미 일본까지 방문하며 한국병합의 현실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고, 일본 육군 장교가 된 이은 왕세자와 일본 황녀와의 결혼을 앞 둔 상황에서 이미 퇴위하여 실권이 없는 고종을 일제가 암살해야 하는 정치적인 의미는 발견되지 않는다. 고종 서거 발표가 하루 늦게 발표된 이유는 1월 25일 거행 예정인 이은 왕세자와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황녀의 결혼식 참석을 위해 총독부와 이왕직 고관들이 모두 일본에 가 있던 상황에서 초래된 일이었다. 또한 일본 신문 중에는 고종 서거 일시를 1월 21일 오전 6시 30분으로 보도하여 의도적으로 사망 일시를 조작한 흔적도 없다. 그러나 1910년 한국강제병합 후 민중 사이에는 반일정서가 쌓여 있었고 고종의 갑작스런 죽음 소식을 접하자 고종 독살이 실제 상황이기를 바라는 대중의 의지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종독살설이 다양한 내용으로 윤색되면서 전국으로 퍼져 나갈 수 있었고 이에 분노한 민중들이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The most significant event that influenced th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that happened on March 1st 1919 lasting up to the last April is the sudden death of King Gojong on January 21, 1919. However, the domestic press reported that the actual date of the death of King Gojong was at 6:30 am on January 22nd. This wrong information produced a widespread rumor that King Gojong was poisoned to death, which eventually led to the March First Independent Movement.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outh Korean history circle considers the poisoning King Gojong not just as a rumor but a historical fact committed by Japan. This study compares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and magazines issued after King Gojong was dead to examine how two nations’ presses reported on King Gojong’s death date and cause. By reviewing whether there is a political motive that Japan had to poison King Gojong to death with, whether there is a scientific authenticity on the corpse decomposition of King Gojong that has been presented as a proof that he was poisoned to death, this study analyzes whether poisoning King Gojong can be considered as historical fact and what political meaning of “hypothesis of poisoning King Gojong” if there 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ing the press materials issued after King Gojong died, it is concluded that King Gojong was not poisoned to dearth. Diagnosis of Gamiohka, King Gojong’s doctor and of Haga, Government General along with doctor Dogawa who treated King Gojong’s illness since it occurred first and who observed the course of the death of King Gojong tell us King Gojong died of cerebral hemorrhage. The press articles that followed King Gojong’s illness from the first until he died reported that the typical symptoms of cerebral hemorrhage. According to Kamiohka’s statement, It is suspicious that Togawa did not mention the fact that she treated him first. According to Dogawa’s statement, King Gojong appealed abnormal symptom four to five days before he died but she and Gamiohka did not take it seriously. It is judged that after all, the representative doctor, Gamiohka neglected his duty as a doctor he might have tried to hide this fact. Another reason that it is assumed that she hid the fact that she was taking care of King Gojong is the negative and biased idea that the female doctor takes care of the king. The issue of decomposition of the body from the testimony of witnesses who saw King Gojong’s body when his body was cleaned and shrouded on January resulted from the fact that King Gojong’s body was not cleaned and shrouded just after he died. Most of all, there was no political meaning that Japan wanted to assassin King Gojong because King Sunjong visited Japan in 1917 and already agreed on annexation of the Korean, and in the situation where the Korea’s prince who became Japanese Army officer and Japanese princess would be about to get married and King Gojong lost his actual power. The reason that the announcement on the date of the death of King’s Gojong was delayed i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high ranking officials went to Japan to participate in the wedding ceremony of the Korean prince and Japanese princess, Nasimotonomiya scheduled on January 25. Also, there is no evidence that Japanese newspapers manipulated the date of the death of King Gojong on purpose. They reported that he died at 6:30 am on January 21. Despite this fact, since the anti-Japanese sentiment of Korean people was accumulated after coerciv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in 1910 and people wanted to believe that King Gojong was poisoned to kill. From these reasons, theory of poisoning King Gojong was wide spread to the nation and is believed as a fact through adding various stories. And eventually, it led to the independent movement generated by raged people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일제 식민사학의『고종실록』 편찬배경과 편찬과정 연구

        서영희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5

        『고종실록』은 일제에 의한 편찬이라는 근본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조선의 ‘전통’을 존중하여 『철종실록』을 모델로 편찬했다는 일본 측 주장과는 달리, 『고종실록』 역시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처럼 근대적인 사료수집과 편집과정을 통해 李王職에 의해 편찬되었으므로 식민사학의 범주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고종실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수되었는지 규명하는 것은 일제 식민사학의 근대사 인식 비판, 더 나아가 한국 근대사 연구의 사료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일본 궁내성은 고종 사망 직후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郎)에게 의뢰하여 『이태왕실록』을 편찬했으나, 공개하지 않은 채 비밀에 부쳤다. 또 이왕직에서 오다 쇼고(小田省吾)가 주도하여 고종·순종실록을 편찬하는 동안 조선사편수회에서는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가 『조선사』의 마지막권인 제6편의 제4권에서 고종 즉위년부터 1894년 6월까지 사료를 편찬했다. 일제의 고종시대사 편찬인 『이태왕실록』, 『고종실록』, 『조선사』 제6편 제4권을 면밀히 비교, 대조해 볼 필요가 있다. 『고종실록』은 아사미 린타로의 『이태왕실록』에서 선구적 모습을 보였듯이, 형식적인 왕실 의례를 부각시킨 왕조의 역사로 편찬되었다. 조선의 전통을 존중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편찬한 『고종실록』이 식민사학의 고종시대사 왜곡에 기본 토대가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특히 갑오개혁 이후 史官 제도가 폐지된 대한제국기 역사를 왕조시대 ‘실록’ 형식으로 편찬함으로써 대한제국기의 변화된 사회상과 일제의 국권 침탈과정은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舊慣조사 당시부터 수집, 정리한 방대한 규장각자료가 있고, 기쿠치 겐조(菊池謙讓)를 중심으로 수많은 근대 사료를 모집했으면서도 『고종실록』 편찬에는 주요 사료로 반영하지 않았다. 오다 쇼고 등 일본인들이 주도한 감수 기록이 나타나있는 『實錄編纂成案』을 보면 근거사료로 제시된 자료들은 대부분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혹은 『관보』이다. 대한제국 정부기록류를 비롯한 공·사문서들을 제외한 채 연대기 자료들만 발췌하여 형식적인 고종시대사를 편찬한 것이다. 반면 일제가 근대적인 학술사업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 제6편 제4권은 1894년 6월까지만 편찬하고 나머지 대한제국기와 병합전후사는 『고종실록』에 미룸으로써 해당 시기의 민감한 사료들을 낱낱이 공개하는 곤혹스러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의 형식을 취한 이왕직의 『고종실록』 편찬과 근대 역사학적 방법에 의거했다는 조선사편수회 『조선사』는 고종시대사 편찬에서 적절히 역할을 분담하며 식민사학의 근대사 인식의 틀을 형성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왕직의 실록 편찬과 조선사편수회 사업은 별개의 사업이 아니라 총독부 통치 방침 아래 긴밀한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식민사학의 고종시대사 왜곡은 사료의 선택적 배제 혹은 의도적인 맥락 배치로 이루어졌다. 방대한 양의 고종시대 자료들을 수집했다고 공표함으로써 마치 ‘실증’의 노고를 다한 것처럼 표방하면서도, 고종시대의 근대적 모습을 보여주는 사료들을 철저히 배제했다면 그것을 과연 엄밀한 실증이라고 ... 『The Annals of King Gojong(高宗實錄)』 has been widely used as pabulum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although it has fundamental limitation due to compil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Unlike Japanese claims that it was compiled by making 『the Annals of King Cheoljong(哲宗)』 a model in respect for the ‘tradition’ of Joseon, 『The Annals of King Gojong』 should be understood within colonial historical studies, because it was compiled by Yiwangjik(李王職) for the collection and editing process of modern historical records, like 『Joseon History』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It is imperative for the crtique of colonial historical studies within the colonial period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to historical records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to find out how 『The Annals of King Gojong』 was compiled.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宮內省) asked Asami Rintaro to compile 『The Annals of Yitaewang(李太王)』 immediately after the death of King Gojong, which was compiled, but never disclosed. While Oda Shogo took the lead to compile 『Annals of Gojong and Sunjong』 in Yiwangjik, Dabohashi Giyoshi compiled historical records from coronation year of King Gojong to June 1894 in volume 4 of chapter 6 in 『Joseon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Annals of Yitaewang』, 『The Annals of King Gojong』, and 『Joseon History』, which were compil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The Annals of King Gojong』 was compiled as the history of the dynasty, highlighting perfunctory royal protocals, whose pioneering figure was shown in 『The Annals of Yitaewang』 by Asami Rintaro, That is the reason why 『The Annals of King Gojong』 lays the foundation of distortion of King Gojong era, although it was insisted to be compiled in respect for the ‘tradition’ of Joseon. As the history of the Great Han Emipre was compiled as the ‘annals’ of the dynasty, in which the system of historiographer was abolished after the Gabo Reformation, it led to dwindle down transformed social aspects in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process of infringement of sovereignty by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massive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time of Old Customs Investigation, and Kiguchi Kenjo led the collection of modern historical records, however, those materials were not reflected in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Gojong』. In 『Sillogpyeonchansungan』, which was supervised by Japanese, including Oda Shogo, most of historical records were based upon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Ilsungrok(日省錄)』, and the offical gazette. The perfunctory history of King Gojong era was compiled by excerpting only from the chronicles without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including government documents of the Great Han Empire. 『Joseon History』 chapter 6, volume 4,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as compiled until June 1894, and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era before and after annexation were put aside for 『The Annals of King Gojong』. Thus they could avoid the embarrassment to open sensitive historical records in this era. As a result,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Gojong』 in the form of ‘tradition’ by Yiwangjik, and 『Joseon History』 based upon modern historical method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divided roles, and shaped the recognition framework of modern history by colonial historic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compilation of annals by Yiwangjik was not separate from the works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was pursued hand in hand. Distortion of history of King Gojong era was made by selective exclusion of historical records or intentional contextual arrangement. Fundamental question can be raised about whether it can be ‘actual proof’ in the strict sense when historical records showing modern images in King Gojong era were thorough...

      • KCI등재후보

        『高宗純宗實錄』과 『孝明天皇紀』의 편찬배경과 편찬체제 비교

        신명호(Shin, Myung-h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고종순종실록』과 『조선왕조실록』 사이에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가장 큰 유사점은 둘 다 편년체로 작성되었다는 사실이다. 반면 편찬시점, 편차배경, 편찬목적 및 편찬체제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점도 적지 않은데, 이 같은 차이점은 『고종순종실록』을 편찬한 배경이나 목적 나아가서 체제까지도 『조선왕조실록』이 아니라 『孝明天皇紀』에서 큰 영향을 받았기에 나타난 것이다. 명치유신의 정통성과 위대성을 고양하기 위하여 1905년에 『효명천황기』가 완성되고, 이어서 1907년 10월에는 궁내성 圖書寮의 직무에 ‘天皇 및 皇族 實錄의 編修에 관한 사항’이 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 규정이 일제강점기에 황족의 예로 대우받은 식민지 조선왕실과 직결되었다. 이에 따라 식민지 조선 왕실 사람 중에서 황족의 예로 대우받아야 할 사람이 사망하면 궁내성 도서료는 업무규정에 따라 해당자의 실록을 편찬하였다. 그런데 식민지 조선왕실 사람들 중에서 어디까지를 황족의 예로 대우하여 실록을 편찬해야 하는지는 분명하지가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21년(대정 10)의 궁내성 관제 개정에서 기존의 규정을 ‘天皇皇族王族及公族實錄의 編修에 관한 事項’이라고 바꾸었다. 식민지 시기 궁내성 도서료에서 편수한 王族實錄과 公族實錄은 조선시대의 왕조실록과는 많이 달랐다. 조선시대의 왕조실록은 편년체 실록임에 비해 식민지 시기의 王族實錄과 公族實錄은 한 인물을 대상으로 그의 일생에 대한 모든 사료를 수집한 후, 일정한 분류 기준과 목차를 가지고 기록된 편찬물이었고, 궁내성 도서료에서 보관, 관리하였다. 궁내성 도서료의 업무규정에 따라 1919년 고종이 세상을 떠났을 때 궁내성 도서료에서는 李太王實錄을 편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7년부터 이왕직에서 새로이『고종순종실록』을 편찬한 배경은, 겉으로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해서이지만 실제는 식민통치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문화통치의 일환이었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명치유신의 정통성과 위대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효명천황기』의 편찬배경과 다르지 않았다. 이 결과 『고종순종실록』은 『조선왕조실록』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못지않게 『효명천황기』와도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게 되었다. During 1927~1935,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silrok under the Iwangjik(李王職錄編纂委員會) collected about 6,000 books, published about 300 books and produced hundreds of official documments. At the same time, the compilation Committe of the silrok under the Iwangjik(李王職錄編纂委員會) published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has likeness and difference with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compilation model of Kojongsunjongsilrok(高宗純宗實錄) was cultural rule, annals of Joseon dynasty. But the Japanese colonial power controled the compilation of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That was why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has likeness and difference with annals of Joseon dynasty. Outwardly, the compilation purpose of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was to inherit the compilation tradition of annals of Joseon dynasty. But in fact, the compilation purpose of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was to praise the restoration of meiji during the cultural rule period. So, the compilation system of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was influenced strongly by annals of Japanese emperor. Specially by the compilation system of Komeitennoki(孝明天皇紀), Komeitennoki(孝明天皇紀) was published in 1905. And from 1907, the doseryo(圖書寮) should publish annals of Japanese emperor. Also from 1921, the doseryo(圖書寮) should publish annals of Japanese king and annals of Japanese duke. So, when king Kojong died in 1919, the doseryo(圖書寮) published annals of Japanese king. But during 1927~1935,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silrok under the iwangjik(李王職錄編纂委員會) republished Kojongsunjongsilrok (高宗純宗實錄) in order to praise the restoration of meiji.

      • 『高宗實錄資料原簿』의 법률관련 자료와 『高宗實錄』의 편찬

        정진숙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본고에서는 『高宗實錄』을 편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할 때 작성된 『高宗實錄資料原簿』에 수록된 법률관계자료를 선택하고 이 자료들의 위상과 한계를 알아보았다. 『고종실록자료원부』에 나열된 자료들의 수집 목적은 시대 배경 지식의 획득과 직접 인용, 그리고 주요 자료와의 비교 검토에 있었다. 1894년 이전에 만들어진 법률서는 『兩銓便攷』, 『大典會通』, 『六典條例』, 『銀臺條例』 등 있다. 이 중에서 『대전회통』은 조선의 마지막 종합법전이며 『大明律』과 함께 범죄 처벌의 근거법령으로 이용됐고, 『고종실록』에도 많은 기사들이 수록됐다. 나머지는 인용된 기사를 찾기 어렵다. 이들은 행정법과 행정체계를 이해하는 데에 활용되었을 것 같다. 1894년 이후의 법률자료로는 「陸軍法律」이 유일하다. 즉 『고종실록자료원부』에는 당시 법률로 이용되었던 『대명률』과 1894년 이후에 만들어진 각종 법률자료 및 『형법대전』은 참고 자료에서 빠져있다. 1894년 이후의 각종 법률자료 및 형법대전은 모두 『관보』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고종실록』에 인용된 내용 중 법 집행관련 부분은 대부분은 『관보』에 수록된 기사를 거의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그런데 『관보』조차 『고종실록자료원부』에는 나열되어 있지 않다. 『고종실록자료원부』에 나열된 법률 자료들은 1894년 이전의 자료에 편중되어 있고, 이후의 자료는 부족하다. 이를 통해 『고종실록』 편수위원들의 조선사회의 법치정책 및 고종시대 후기 개혁의 성과에 대한 무관심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legal sources in Gojongsillokjaryowonbu(高宗實錄資料原簿). The goals of collecting the legal sources for editing Gojongsillokjaryowonbu were to obtain the histor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for citation. Moreover, it was used for comparing and investing with the main sources. Before 1894. Yangjeonpyeongo (兩銓便攷), Daejeonhoetong(大典會通), Yukjeonjorye(六典條例), Eundaejorye(銀臺條例) were published. Daejeonhoetong was the last integrated Code of law of Joeson Dynasty, and it was used with Great Ming Code as an ordinance of criminal punishment. Certain amount of articles was collected in the annals of king Gojong. However Yangjeonpyeongo, Yukjeonjorye, Eundaejorye could not be found in another law books the annals of king Gojong. These laws were usually used in administrative law and administrative system. Moreover, Yukgunbeomnyul (육군법률/Military Law) was the only one published after 1894. In other words, Great Ming Code and almost all sources of laws which legislated after Kabo Reform was not recorded in the Sources for Annals of King Gojong. After 1894, All of the variety of laws and the Criminal Law Act had been published in the Official Gazette and most of law enforcement which quoted in the Annals of King Gojong were recorded in the Official Gazette. Nevertheless, the Official Gazette also was not recorded in Gojongsillokjaryowonbu. Most of sources archived in Gojongsillokjaryowonbu was mainly edited before 1894, and those which edited after 1894 was seldom found therefore, it reveals that the editorial committee of Annals of King Gojong ignored the constitutional policy of Joseon era and the results of the reformation from the late regime of Gojong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