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지미영(Miyoung Ji),소애진(Aijin Xiao),책리하(Lixia ZHAI),서희(XI XU),윤희정(Heej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는 2025년 한국 고교학점제의 전면적 실행을 앞두고 점차 증가하는 교사들의 우려를 해소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들은 한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강하며, 20년 전부터 이미 고교학점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국에 주목하여, 중국의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고교학점제의 이해 정도와 운영 성과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이 중 운영 성과가 미흡하다고 판정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국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한국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2020년에 고교학점제 실행 방안을 재수립한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247명의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이 경험한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도의 이해, 운영에 대한 평가, 문제점의 원인 및 양상, 제도의 개선안의 영역에 대해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빈도분석, ANOVA 분석하였다. 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질적 자료는 주제어 분석과 축 코딩을 이용한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도와 근무 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응답 결과는 반 학생 수, 나이, 교직 경력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운영에 있어 주저해 요인으로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적합한 교수 역량 및 운영의 전문성 부족,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대입과의 연계성 부족 등으로 인식하였다. 그들이 제안하는 개선안으로 졸업학점 축소, 제도 간소화 및 자율화, 상주 전문교사 배치, 학부모 인식 개선, 교사의 전문성 교육 강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고교학점제를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국적인 안정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이는 이 연구의 결과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중국의 사례가 전면적인 도입을 앞둔 한국 고교학점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결론지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한국의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육공동체에 적극적인 고교학점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지도와 진로 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전담 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교사 연수 프로그램 기획 시 교사의 나이 및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의 졸업 이수 학점을 줄이고 학교별 또는 지역별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적 관리제도에 대한 정비와 합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address the growing concerns of teachers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is study focused on China, which has a strong cultural homogeneity with Korea and has already been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20 year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to Korean high school teachers prepar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causes and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of the Chines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eachers who judged that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7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Hunan Province, China, who re-established a plan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or the understanding, evaluation of the operation, cause and pattern of problems, and areas of the system improvement plan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25.0. Qualitative data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ystem were analyzed using the main word analysis and axis coding. Results Both Chines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of working schools were found to be moderate.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ss students, age, and teaching career. Chinese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teaching competence and expertise suitabl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factor of hesit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s they proposed were able to achieve results such as reducing graduation credits, simplifying and liberalizing the system, deploying resident professional teachers,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and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Despite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past 20 years, China still has not brought about national stabiliza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se Chinese cas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about to be fully introduced, and suggest as follow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ducate and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eploy a dedicated teacher with expertise in students' subject selec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The age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duce credits for graduation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trengthen autonomy by school or reg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agree on the academic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김지혜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3

        Currently, the most severe issue in high school education is its credit system. This system,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2025, is a high school innovation policy that seeks flexibl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focused on student growth. This is done by escaping from the uniform entrance-oriented education, expanding student’s options, and diversifying curriculum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linkage problems between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ollege entrance, among other issues surrounding the credit system, and the related challe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high school credit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have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student’s selection of subjects.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2018) announced plans to reorganiz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improve its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in order to prepa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ginning in 2025,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implemented b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cheme to all subjects. However,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evaluation systems seems to conflict with the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the college entrance announced in the 2019. In some ways, it is also a risk that functions as an obstacl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ormaliz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will greatly influence the status and 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reorganization into “Common subject (<Reading>, <Literature>)” and “Elective subject (<Speaking and Writing> and <Language and Media>)”, in the Korean language section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leads to a subject’s decrease in weight. Korean language subject has multiple identities as a tool subject, as well as a thinking and cultural subject.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ully discuss the nature and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 along with the weake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 bias.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should not only provide a basic education, but also have a career subject role. 현재 고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고교학점제이다. 2025년에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선택권을 확장하고 교육과정을 다양화함으로써 입시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학생 성장 중심의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꾀하는 고교 혁신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 중 고교학점제와 대학입학제도의 연계성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다가올 고교학점제로의 전환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고교학점제 및 대학입학제도는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편성 및 학생들의 교과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교육부(2018)는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해 대학입학제도 개편 방안과 내신 성취평가제 개선 방안을 발표하였다. 2025년부터는 성취평가제의 대입 반영 범위를 전 과목에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입학제도 개편과 2019, 2020년 교육부의 공정성 강화 방안은 고교 교육의 내실화 및 학생부종합전형의 취지와 균열을 보이는 지점이 있으며, 일부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 및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 또한 대입제도의 개편과 고교학점제는 국어교육의 위상 및 비중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공통(<독서>, <문학>)’과 ‘선택(<화법과 작문>중 <언어와 매체> 중 택1)’으로의 구조 개편은 국어 교과의 비중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국어 교과는 도구 교과, 사고 교과, 문화 교과로서의 다중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도입 및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있는 지금, 국어교육의 약화 및 과목 편중 현상과 함께 고등학교 국어교육의 성격과 그 역할에 대한 국어교육계의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국어교육은 기초 과목으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진로 교과로서의 역할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예술 교과로서의 문학 감상 및 창작 교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와 함께 실행될 내신의 성취평가제 및 수학능력시험의 개편 방향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부분도입기의 과제 :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 운영 결과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박지한(Park, JI-han),김아영(Kim, Ay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추진과정 중 나타나는 변화와 쟁점을 분석하고, ‘부분도입기’에 해소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고교학점제 추진 단계는 ‘제도기반마련기(~2021년)’, ‘운영체제전환기(2022년)’, ‘단계적적용기(2023년~2024년)’, ‘전면적용기(2025년~)’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운영체제전환기와 단계적적용기는 ‘부분도입기’로서,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제도적⋅문화적 과제를 해소해야 하는 단계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초 단계인 제도기반마련기에 수행되었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자료를 분석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예측되는 학교 현장의 주요 변화와 쟁점을 탐색하고, 부분도입기에 해소되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지정한 31개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2018년~2020년) 운영 결과보고서의 결론부에 기술된 고교학점제 관련 쟁점의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개인별 시간표 운영’, ‘자원 수급’, ‘성취평가제 도입’, ‘교사역할 변화’ 라는 네 가지 영역으로 쟁점을 범주화하고, 이후 각 영역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주요 과제를 고교학점제의 특성과 함께 검토하였다. 결과 영역별로 ‘시간표 상 공백 운영’, ‘지역 격차’, ‘미이수 관리’, ‘생활지도 약화’라는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관한 제안을 부분도입기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다. ‘시간표 상 공백 운영’의 경우, 시간표 상 공백에 대한 명확한 정의, 시간적 유연성 활용, 공강 지도 지침 마련 등이, ‘지역 격차’의 경우, 학기 당 운영 가능한 적정 과목 수 범위 도출, ‘학교 밖 교육’을 수행할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및 교류 등이, ‘미이수 관리’의 경우, 성취기준의 구체적 안내와 교사의 평가권 보장, 예방 프로그램과 보충과정 운영 방안 합의, 미이수 관련 학사 규정 보완 등이, ‘생활지도 약화’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학교 내 공동체 구성, 생활지도 방식 보완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부분도입기는 교육 체제를 고교학점제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로서, 고교학점제 추진 과정의 핵심적 단계이다.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 운영 결과보고서에 나타나는 쟁점과 관련하여 부분도입기에 주어진 과제들을 점검해봄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착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the school field by suggesting the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partial introduction peroid of the credit system(2022~2024), which is an intermediate stage in the promo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related tasks. Methods As the period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was coming to an end,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fiel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was analyz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field, and institutional changes promoted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were explored. To this end, we tried to analyze the text of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escribed in the research results report of 31 high school credit system primary research schools (2018~2020)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text analy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repara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the blankness on the student’s individual timetable in terms of daily school schedule operation, the regional disparity in terms of resource availability, the management of non-completion in terms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pplication, and the weakening of student life guidance in terms of changing the role of a teacher were carried out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credit system. Conclusions It seems it should be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is a transitional perio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t can be said to be a key ste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tasks given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it can be expect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settled.

      • KCI우수등재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김혜영,홍후조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본 연구는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고등학교에서 운영되는 학점제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 해 우리나라의 고교학점제가 잘 실행되기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 국에서 이루어지는 학점제에 대한 논의, 교육과정 운영상의 특징, 주요 교과목의 위계적 분류와 개설 및 수강신청, 단위 과목의 성공적 이수 규정, GPA, 필수과목 및 학점과 졸업시험 등 졸업요건, 대학 입학을 위한 최소이수요건, 학년 진급 요건, 부진 학생의 학점보충과 과목재이수 규정, 우수 학생의 AP나 IB 및 고교 대학의 이원등록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무제 및 쟁점을 정 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합의할만한 최소한의 공통적인 인식 및 정의의 필요성, 둘째, 학기제, 학년제, 무학년제와 고교학점제의 관계, 필수과목과 선택과목과 고교학점제의 관계,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와 고교학점제와 관계에 대한 기본 가정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일 정학점에 부여된 개별과목의 성공적 이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후속 처리하는 방안, 즉 개별과목의 질 관리를 한다면 얼마나 엄정하게 할 것이냐의 정도를 판단하는 문제로서, 과목의 성공적 이수 요건 과 성취기준 및 학년 진급과 졸업요건 규정이 필요한 점, 넷째, 학점제 실시를 위한 고교교육과정의 재정비로서 특히 교과별로 보다 충분한 수의 진로별‧수준별‧영역별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고, 나아가 평면적 과목 나열보다 위계적 과목 개설과 이수순서 및 진로별 학습체제의 정비가 요구된다는 점, 다 섯째, 진로진학교사제를 활성화시켜 학생의 진로별 학습을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 여섯째, 고교평준 화정책 및 고교체제개편과 고교학점제의 관계 재설정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eatures of North Carolina‘s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 for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researched education credit system, details concerning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 major courses, definition of course requirement to earn credit hours, GPA, graduation requirements, promotion requirements, credit recovery and repeating a failed course for credit, AP/IB and dual enrolme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redit system itself, before we regulate it to provide students more elective courses, to implement absolute evaluation. Second, High schools need to categorize hierarchical courses, establish learning system including sequence, future career. Third, High schools and Department of Education should prepare the course requirements, promotion requirements, and graduation requirements. Forth, Schools have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o are academically advanced and underachiev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etting on the role of Career and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 KCI등재

        빅 데이터를 통한 고교학점제의 대중인식 분석

        김소영,홍후조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cafes and blog posts of NAVER, DAUM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using Textom as the subject wor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is because, in 2020, as the situation in public education changes due to COVID-19, the trend of students' career search is likely to change as well. Word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refined and the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public recogniz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new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select and take courses in high school to prepare for career and further advancement'. In addition, high interest in subject selection and credit completion standa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network, an ‘classes, universities, teachers' have low frequency but high connection-oriented, so the public recognizes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 could see that I started doing i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ONCOR analysis to reveal the meaning inherent in the language network, four clusters were found: ‘Course tailored for career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greatest weight was ‘preparation of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connection with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the strongest, and issues are still being formed based on policy promotion and field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 stage in which awareness is mov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er design support system so that students can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nd strengthen individual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addition, the subject system for each career and level should be reorganized, and a concrete and practical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also be prepared. 본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에 대한 대중인식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를 주제어로 Textom을 활용하여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NAVER, DAUM의 카페와 블로그 게시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2020년은 COVID-19로 인해 공교육의 상황이 변화하면서 학생들의 진로탐색 경향 역시 변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추출된 단어는 정제 후,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 결과, 대중은 고교학점제를 ‘학생이 진로·진학 준비를 위해 고교에서 수강과목을 선택·이수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N-gram 네트워크에서 과목 선택, 학점 이수 기준 등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하였고, ‘수업, 대학, 교사’가 빈도는 낮지만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나 대중이 고교학점제의 실질적 측면을 인식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언어 네트워크에 내재된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 맞춤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고교학점제 운영’이라는 4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가장 비중이 큰 것은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이었으며,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과의 연결이 가장 두텁게 나타나 아직 정책 홍보 및 현장 연구 중심으로 이슈가 형성되고 있지만, 도입 기반 마련에서 전면 도입으로 대중의 인식이 넘어가고 있는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진로 설계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인 진로·학업 상담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진로별, 수준별로 과목 체계를 재구성해야 하며, 고교학점제에 대한 구체적·실제적인 대중 홍보 전략 역시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조용(Yo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의 어려움을 교원 및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하여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규모학교에서의 고교학점제 담당 교사 및 업무 담당 교육전문직원(지역청, 도교육청) 대상으로 1~9차 심층면담(2022. 5.~2022. 9.)을 진행하였다. 1차 면담에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담당자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고, 9차 면담에서는 지역 단위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면담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녹음 후 전사문을 작성하였다. 결과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에 대한 면담 분석을 통해 (1) 교과 신청 및 개설, (2) 교원 수급, (3) 업무 증가, (4) 학사일정 조정 및 학교 간 이동거리, (5) 학교시설 및 지역자원 활용, 공감대 형성 및 인식의 전환 등 여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사례,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운영 모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현재 지역 내 교과연구회 차원의 교류를 넘어 교육지원청 중심의 교사 간 소통이 일상화되도록 지역별 협의체를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부 강사 활용 인력풀 구축 및 안정적인 교원 수급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업무조직이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담당 교사의 업무량 적정성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experts on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by G Office of Educ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hods To this end, 1st to 9th in-depth interviews (May 2022 to September 2022)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and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in charge (regional offic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first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 small school and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school joint curriculum was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inth interview, cases of joint education courses between local unit schools were discussed, an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Results G Through interview analysis on small school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cases, (1) course application and opening, (2) teacher supply and demand, (3) work increase, (4) academic schedule adjustment and travel distance between schools, (5) Opinions were identified in six aspects, including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the formation of consensus, and the shift in perception.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in small schools, cas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between schools, demand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and demand operation model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Conclusions First, regional consultative bodies should be activate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centered on the Office of Education becomes routine beyond exchanges at the level of current subject research associations in the region. Second, it is urgent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pool using external instructors and improve the stable supply of teachers. Third, the school work organiz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ust be reformed. Fourth, the principle of adequacy of the teacher's workload should be applied.

      • KCI등재

        방송고 학점제 도입에 관한 요구 조사

        이은주(Eunjoo Lee),김수진(Sujin Kim),이주윤(Juyun L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pre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Open High School(OHS).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on teachers in 42 OHS to identify perception, needs, and requirements to implement the credit system. Among the sample of 168 teachers, 137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4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in Open High School.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consented to reduce the minimum credit requirement for graduation by about 20%, which conforms to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guideline. Second, teachers of OHS had negative perceptions towards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H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full-time teachers and the diverse student population. Third, the revised version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should ensure flexibility of the OHS curriculum along with the specific criteria for course completion. Forth,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RPL) in OHS should be maintained after the transition. Several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modes of school operations as an affiliated school of public high school should be reconsidered. Second, RPL in OHS should be maintained, although steps should be taken to revise and improve the system. Thir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OHS, a more gradual phase-in of the credit system is needed. Lastly, the operation of the credit system in OHS should reflect the 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이하 방송고) 교원들의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여 방송고에서의 고교학점제 운영 전략 및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국 방송고 42개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37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송고 근무 경력 및 연구학교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4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송고의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요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고 졸업 최소 이수 단위를 일반고의 80%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교원이 동의하였다. 둘째, 방송고 교원들은 방송고에서의 고교학점제 도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원 겸직 체제와 같은 방송고 운영의 특수성, 다양한 학습자 구성 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될 경우 방송고 교육과정 운영의 융통성 및 재량권이 확보되어야 하고, 교과별 이수 기준 및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추가적으로 방송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경험인정제가 고교학점제에 잘 흡수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고에 고교학점제 도입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현재 부설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방송고 운영체제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습경험인정제 제도 정비 및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방송고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방송고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방송고의 교육방법 중 하나인 원격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교학점제 적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민섭,전병운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eneral teache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school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head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o explore the impac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general teachers who worked for more than a year at a humanities high school where special classes were install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are four high-level categories: ‘Awarenes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pecial education’,‘trial and error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the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the upcoming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and 10 subcategories and 2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following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with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n opportunity, it is necessary to substantiat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y supporting the career and academic desig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a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research on evaluation management and completion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create an inclusive school culture by improving the awareness of genera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인문계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과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겪는 현실과 문제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인문계열 고등학교의 1년 이상 근무 중인 9명의 일반교사이며,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교학점제와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고교학점제 운영의 시행착오’,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요구’, ‘다가오는 고교학점제 시행’이라는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2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학업 설계 지원을 통한 진로·직업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고, 둘째, 고교학점제 취지를 고려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여야 하며,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관리 및 이수 기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 일반교원의 인식 개선을 통한 포용적인 학교 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김효선 한국미래교육학회 2023 미래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 하고 추후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 목적이 있다.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는 2017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2017년~2022년까지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논문 총 160편을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2022년 연구가 다소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71 편), 양적연구(60편), 질적연구(19편), 혼합연구(10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 가 게재된 초창기에는 이론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2019년부터는 실증연구의 비중이 늘고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교학점제 관련 주제분석을 통해서는 인식 및 요구 조사, 교육과정, 해외사 례 등의 순으로 논문이 많이 게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연구로는 대상과 관련하여 비장애인 학생, 농어촌 학생에 대한 경험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평생교육과 융합한 고교학점제 등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has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in the education commun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as been discussed in earnest since 2017. From2017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 explosion of research in 2021. A total of 160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analyzed from 2017 to 2022,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ies (71) and quantitative studies (60). In the early yea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related research, theory-driven research was dominant, but since 2019, the share of empirical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By analyzing the topic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order of awareness and demand research, curriculum, and overseas cases.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need for research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non-disabled students and rural students in relation to a specific subject. Additionally,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th lifelong education in relation to that subject will also be necessary. These research areas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equitable acc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 integration of lifelong learning in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홍후조(Hoo-Jo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최근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를 폭넓게 이해하고, 그것이 고교 교육에 의미하는 바를 교육과정 측면에서 천착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교육부가 정의하는 고교학점제를 이전의 단위제나 대학의 학점제와 비교 검토하고, 그 근원이 된 미국의 고교단위제를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최근 논의를 종합 비교해 보았다. 교육부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누적된 학점이 일정한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라고 하나, 엄밀히 말하면 고교 학점제는 필수과목이든 선택과목이든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이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과목에 부여된 학점의 성공적 이수와 등록학기를 누적하여 학년을 진급하고 졸업에 이르는 학사관리제도’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 중요요건은 과목이수요건, 학년진급요건, 졸업요건으로 보았다. 아울러 교원단체에서 고교학점제 선행요건으로 드는 교사별 평가권 확보와 절대평가 등이 지닌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교학점제가 단순히 수업이나 학습의 양적 계량이 아닌 질적 관리를 추구함에 있어서 도입목적의 규명, 정의와 대상 규정, 과목이수조건과 학년진급과 졸업요건, 나아가 성적평가와 후속조치 등을 탐색해보았다. The research aims to achiev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lately prosec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inquire into it s meaning to high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For the first step, we compared and weighed the Ministry s definition of the credit system to former unit system and college credit system. Then we continued to look in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e root of our new credit system. For the last, we collected discussions regarding the credit system and studied. The Ministry of Education claims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 system which a student may choose various courses by his or her aptitude and future career and graduate when accumulated credits reach above the threshold. However, speaking strictly, the credit system can be applied to both mandatory and elective courses. In this regard, we defined it an academic management system that graduation is reached by a combination of school years and accumulated credits assigned for individual courses . We sought that the crucial requirements were course completion requirements, grade promotion requirements, and graduation requirements. In addition, we studied issues and solutions to the prerequisites demanded by the teacher s associations including individual instructor s evaluation right and criterion-based evaluation. Moreover, in the pursuit of qualitative manage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lass and learning time, this research delved into establishing the purpose of adoption, the definition, the target, the terms of course completion, grade promotion, and graduation, furthermore, grade evaluation, and follow-up ste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