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감각론과 그 미적 함의

        조경진 ( Kyung Jin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감각론과 그것의 미학적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이 논문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이트헤드의 감각론이 저항하는 표상적 지각론과 그 미학적 난점, 화이트헤드의 감각론, 감각론의 미학적 함의가 그것이다. 이 논문은 몇 가지 전제에 기초하고 있다. 모든 미적 경험은 그 경험의 토대를 직간접적으로 감각적 경험에 두고 있다. 따라서 모든 미적 경험에서 감각경험이 공통적이라고 할 때, 감각경험에 대한 고찰은 예술의 가장 원초적인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를 줄 수 있다. 오랜 동안 미학자들은 미적 경험을 경험 일반과 분리된 특수한 영역으로 두려고 시도해 왔다. 칸트의 무관심성이나 클라이브 벨의 미적 정서의 개념이 대표적이다. 물질성을 비미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형식이나 내용에 우위를 두는 미학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나는 미적 경험 역시 경험 일반의 구조 안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다시 말해, 경험 일반의 구조로부터 미적 경험의 특수성이 구해져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이 화이트헤드의 감각론, 경험론을 예술과 미적 경험의 본성을 해명하기 위해 적용하는 이유이다. 논문이 도전하고 있는 것은 근대적 의미의 표상적 지각설로부터 비롯되는 감각개념을 암묵적으로건 혹은 의도적으로건 수용하는 미학이다.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핵심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경험은 기본적으로 정서적이다. 그것이 정서적인 것은 경험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감각 경험과 감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신체가 본래 정서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의 표상적 지각설과 그것의 과학적 계승자로서 과학적 유물론은 감각을 주관의 공허한 심리적 부가물로 취급함으로써 감각의 정서적 본질을 은폐했다. 감각이 그것의 물리적 성격, 정서적 성격을 상실하면서 감각 경험에서 시작해야 하는 미학 역시 형식화, 지성화, 이론화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감각은 본래 감각정서이며, 그것이 의식에서 단순한 개념적 표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신체와 경험 주체에서 추상적 변환이 일어난 것에 불과하다. 감각이 질적 변환을 거쳤다하더라도 감각의 본래적인 정서적 성격은 그대로 유지되고, 명석판명한 의식에서의 감각에 정서적 배경을 제공한다. 특히 감각정서는 물리적으로 전달가능하기 때문에 미적 경험의 지배적 토대, 즉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토대를 줄 수 있고, 미적 경험이 일어날 때, 항상 그 경험의 기저에서 정서적 원천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명제적 의미들은 이 감각정서와 정서적으로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에서만 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화이트헤드의 감각론을 참조할 때 얻게 되는 결론은 이 감각정서를 도외시하고서 미적 경험을 설명하려는 어떤 미학 이론도 불충분하다는 점이다. This paper challenges the aesthetics which intentionally or tacitly accept the assumption of representational theory of sense-perception originated from modern philosophy. My main poin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sense-perception is primitively emotional, while it is presented in the form of mere impression or conceptual representation without any subjective form in conscious perception. This is because sense-emotions based on physical and bodily operations lead to a qualification and an abstraction by both bodily and mental operation. However, what matters is the fact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ense-emotions do not disappear in conscious sensuous perception. In this view, regarding color as non-aesthetic, nonemotional, immaterial give cause for rendering emotions aroused by that color arbitrary or conventional at best. This overintellectualizes art eventually. But if we reconsider the nature of sense-perception from the Whiteheadian perspective, we can put physical and bodily foundation on emotional factors of aesthetic experiences.

      • KCI등재

        과학관 VR 전시공간의 감각론적 융합 특성 연구 -메를로 퐁티와 질 들뢰즈를 중심으로-

        이고은(Lee, Go Eun),이선정(Lee, Sun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시장의 성장과 VR 기술의 발달에 따른 과학관 내 VR 전시에 대한 관심확대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내 VR 전시공간에서 어떻게 감각을 추구하고 창조되는지, 감각론에 의거하여 과학관 내 VR 전시공간을 분석하여 VR 전시 커뮤니케이션 증진 방안을 모색, VR 전시공간의 개선점을 도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VR 전시공간의 감각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이지 않는 감각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 메를로 퐁티와 질 들뢰즈의 이론을 고찰한다. 질 들뢰즈의 저서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의 번역본인 「감각의 논리」(하태환 역)와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류의근 역)을 문헌연구 하여 감각 표현특성을 도출, 도출된 언어에 부합되는 과학관 내 VR 전시공간의 사례분석을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 과천 과학관, 국립 광주 과학관, 국립 부산 과학관 모두 정보 전달 및 컨텐츠 기획에 있어 관람자로 하여금 어떤 감각의 자극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과학관 고유의 특색을 살리면서 새로운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VR 전시가 필요하다. 둘째, 전시공간에서 VR 매체는 물리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전시공간을 끊임없이 움직이는 장으로써의 환기시키며 이러한 변화와 생성은 시, 공간의 확장을 만든다. 확장된 시, 공간 안에서 관람자는 감각의 전이를 통해 확장된 통합적 감각으로 전시물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셋째, 국립 과천 과학관, 국립 광주 과학관, 국립 부산 과학관 VR 전시물은 가상현실 유형 중에 프로젝션형과 시뮬레이션형 가상현실의 유형의 비율이 높았고 전시물 대부분이 스토리텔링이나 맥락이 없이 기술력, 새로운 VR 기술 도입에 중점을 두고 전시되어 있으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일방향의 정보 전달 위주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만을 앞세운 산발적인 배치가 아닌 스토리텔링 안에서 인간의 감각, 공간, 컨텐츠, VR 매체에 대한 통합적 고려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내 과학관만이 아닌 미국, 일본, 유럽 등 우수한 과학관 사례들과의 비교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growth of the virtual reality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VR technology,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interest in VR exhibitions in science muse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R exhibition space in accordance with sensory theory, find ways to enhance VR exhibition communication, derive improvements in VR exhibition space, and provide directions for moving forward. Therefore, this paper draws sensory expression characteristics by studying the translations of Jill Deleuze’s book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Ha Tae-hwan) and Merlofonti “Phenomenology of Perception” (Liquid Roots) in the literature., deriving sensory expression properties and implementing a case analysis of VR exhibition space in the science museum.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Gwangju National Science Museum, and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ll lack consideration for what kind of experience they will give viewers in information delivery and content planning. VR exhibitions are needed that can provide new interactions while emphas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museums. Second, in the exhibition space, VR media evoke the physically stationary exhibition space as a constantly moving field, and these changes and generations create an expansion of time and space. Within the expanded space and poetry, the viewer interacts with the exhibits with an integrated sense that extends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senses. Third, VR exhibits at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Gwangju National Science Museum, and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had a high proportion of projection-type and simulated virtual reality types, with most of the exhibits focused on technology and new VR technology without storytelling or context. It should be an integrated consideration of human senses, space, content, and VR media within storytelling, rather than sporadic deployment with technology alone.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hrough comparison with excellent science museum cas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as well as science museums in Korea.

      • KCI등재후보

        프랑스 고전 수사학 독본의 해제와 분석(2) - 18 세기 콩디악의 언어관과 서법을 중심으로 -

        이종오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By the mid-eighteenth century, Condillac maintained, from the ‘Essai surl‘origine des connaissances humaines’ through ‘Logique’, an empiricalsensationalism based on the principle that observations made by senseperception are the foundation for human knowledge. His works deal withsensation, communication and mind. He develops a qualified Locke’s theoryof knowledge. believing that there is no knowledge without language. In this paper, unifying by his spiritualistic sensationalism being articulatedaround three poles(the soul, the body, the signs), and studying the relationbetween the soul and the body through the three signs(accidental signs,natural signs, conventional signs), we explored his explanation of theorigins and developments of human knowledge. Moreover, the priorityCondillac gave to the language of action on the formation of though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body, the double languages of actioncould be defined as languages composed of gestures and natural cries. Wehave solved the problem of the origins of human language through thedouble languages of action, which are practical knowledge (first languageof action) and theoretical knowledge(second language of action). Lastly toestablish Condillac’s art of writing, we described, from the points of viewof the grammarian, the normative rule, and the role of deviation,irregularity, the norm in style, the movements against the arbitrariness oftaste(goût), etc. To close, this study led us to advance important and original views onCondillac’s theory of language, and to offer a more precise account of whatexactly is given to us by each of the sense organs than any that had beenoffered up to his day. Condillac’s contribution to linguistics is welldocumented, and has been explored quite throughly. For Condillac, whilenot a popular writer,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writing of many of theeighteenth-century philosophes. 본 연구는 18세기 프랑스 수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콩디악(Etienne Bonnotde Condillac)의 독본에서 그가 밝히고 있는 언어관을 이해하는 데 있다. 콩디악은 로크의 경험론을 이어받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언어 및 문법학자로서 그가 집필한 저서들은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언어관(철학적 문법론), 수사학, 논리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18세기 프랑스에서는 형이상학자들(뒤마르,보제)이 중요시했던 이론과 실천 중심의 이성주의와는 달리 콩디악과 디드로와 같은 급진적 경험론자들은 ‘관찰’과 ‘경험’의 입장을 우선하고 ‘영혼의 활동들’을 정의한다. 이들은특히 감각주의에 입각한 관념(idee)의 소통을 위해 언어활동들을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언어는 인간정신의 보편적이고 이성적인 질서속에서가 아니라, 기계적이고, 필요에 의해, 그리고 본능적 연관성이나 감각에서 발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콩디악의 감각론적 언어관을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의 저서들(『인간지식의기원론』,『감각론』,『논리학』,『서법』)에 제시된 감각론의 구성요소들, 즉 기호의 개념들, 언어활동의 원리, 서법 등을 중심으로 18세기 언어관(철학적수사학)의 일면을 고찰했다. 본 연구는 적어도 당사의 백과전서주의자의 언어관을 한 단계 뛰어넘어 또다른 18세기 프랑스 언어학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고, 이후 소쉬르를 비롯한 현대 언어학에 영향을 미친 콩디악의 언어관을 재평가 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 을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아교육의 사상적 배경 고찰

        민천식 ( Chun Sik M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아교육의 초기 감각론적 경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교육사상은 어떠한 것인가를 구명해 보고, 또한 이들의 교육사상을 받아들여 지적장애아 교육을 실시할 수 있었던 창시자들의 교육관을 살펴보려는 문헌연구로써,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아 교육의 창시자들에게 영향을 미친 감각론적 경험주의자들은 고전적 관념주의자들의 주지주의적 주입식 교수 방법에 항거하여 감각을 통한 인간 도야의 가능성을 확신시켰다. 특히, 촉각을 가장 기본적인 감각으로 생각하여, 훈련에 의해서 촉각을 어느 정도 정신생활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함으로써, 도덕교육에 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감각교육의 선구적 사상들은 의사인 Itard로 하여금 야생소년을 교육하는데 있어 그의 전 생애를 바치게 하는데 주요한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Seguin은 Itard의 야생소년 교육방법과 Pereira의 농교육 방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백치아의 생리학적 교육방법을 주장함으로써, 현대 지적장애아교육을 체계화할 수 있었다. 특히, 특수교육이 일반교육으로 발전하게 된 동기를 마련한 사람은 Montessori로서, 그녀는 Itard와 Seguin의 교육방법에 감명되어 그들의 방법을 깊이 연구하여 창안한 방법이 Montessori 감각교육 방법이다. Montessori의 감각교육 방법이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에서부터 출발한 점을 생각할 때, 초기 지적장애아교육의 창시자들이 사용했던 감각교육 방법은 특수교육 측면에서 재조명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sensory empiricist and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education founders who were able to educat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receiving educational ideas of sensory empiricists.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e contemporary situation at the time, pioneering thinkers of sensory empiricism were protest in the classical ideology of cramming teaching methods that have been dominated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ancient world. And they were convinced of the possibility of human improving through senses. Common views on these senses is that all knowledge can be obtained only through the senses. In particular, they think the sense of touch in the most basic sense, thus, by affects in the spirit-living through training of touch sense, that will be reach up to moral education. Second, such a pioneering ideas of sensory education were a major spiritual holding to dedicate young doctor Itard`s entire life to educating the wild boy. Seguin received a direct impact on the wild boy education methods of Itard and deaf education methods of Pereira, by insists the physiological educating methods of the idiots, could organize the education of the modern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Montessori provided the motivation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감각론과 유물론 사이의 디드로

        이충훈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70 No.-

        We discuss the real beginning of Diderot's materialism from his first philosophical masterpiece Letter on the Blind. Impregnated with Lockean empiricism, Diderot assumes the principle that all human knowledge results from sensation, while he keeps this distance with regard to the English theory of vision.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certain French philosophers began to integrate the principles coming from England into their system, not without being critical of empiricism. Diderot, at that time, seemes to have a great ambition to synthesize the sensational origin of human knowledge and the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for acquiring knowledge in order to compensate for defects that various competing philosophical systems were not able to overcome. Above all, in The Letter on the Blind, Diderot again and in his own way proposes Molyneux's problem by virtue of which Locke and Berkeley believed they had overcome the Cartesian theory of vision. According to Diderot, the Lockean theory of vision despises the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dimensions in order to have the object of hastily destroying the Cartesian philosophical system, but this negligence, according to Diderot, risks overturning the principle of empirism, which should necessarily be remedied and reinterpreted by Lametrian materialism and the radicalization of sensualism, both pending at the time of the Letter on the Blind.

      • KCI등재

        들뢰즈의 감각론의 관점으로 본 아이리스 반 헤르펜 패션에 관한 연구

        송해인 ( Haein Song ),김진영 ( Jinyoung K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0 패션 비즈니스 Vol.24 No.4

        Just as the name ‘aesthetics’ implies, the meaning of ‘aisthesis’ or ‘sense' in Greek,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modern social design. Gilles Deleuze emphasized sensory expression over the rational side of the body, and argued for sensory theory, which is the theory of how painting produces new s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sensory theory of Deleuze, which has given new value to the senses, apply it to analyze the body expression method shown in the Iris van Herpen collection, and derive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his sensory theory, Deleuze argued that the senses can be expressed by the embodiment of force and rhythm, and one can only create art through the senses. To develop one's philosophical logic through Bacon's painting, we divided it into Hysteria, Cops sans organs, Diagram, Becoming, and Paired figur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visualization of the senses in Iris van Herpen fashion resulted in hysteria, organ-free body, diagrams, and heterogeneity combinations. Analysis of the method of expression revealed rhythmicity, atypicality, scalability, and reproducibility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ying Deleuze's sensory theory to access experimental Iris van Herpen's fashion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n open system's accessibility. Deleuze's sensory theory, which has given a new value to the senses, will further help to understand modern fashion design in a wide and diverse way and discover the intrinsic value within i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시와 이미지의 역량 -시각 이미지와 빛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권혁웅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In this paper, the competency of images is theorized in terms of visual images. The first is projection. Projection is associated with the subject-image, where the senses play an important role. The second is polarization. A special device can filter out polarized light. Even in poetry, a specific image (meaning)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ubtraction of the gaze, and this principle is the principle of analogy. The third is diffraction. Light penetrates an object through diffraction. The superposition and interaction of analogies can be compared to diffraction phenomena. If the polarization is obtained by the subtraction of the seeing, the diffraction is generated by the addition of the seeing, thereby introducing community and historicity into the poetics. The Fourth is quantum. The world revealed through the quantized light is a world divided into one microscopic unit. In poetics, the quantized image is a time-image, whereby the image has an event. 이미지는 시각 이미지를 기원으로 삼기에, 시각 이미지는 이후에 전개되는 이미지의 역량을 잠재적으로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의 역량을 시각 이미지의 측면에서 이론화하고, 이의 실효성을 구체적인 시편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다. 첫째, 투사. 빛이 대상을 비추는 일반적인 현상이 투사인데, 투사는 동일성의 시학에서도 사용되는 주요한 개념이다. 그러나 감각에서 발원하여 세계-이미지로 현상하는 이미지의 본성을 염두에 두면, 투사를 동일시의 산물로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투사는 주체-이미지와 연관되며(‘보다’의 일반적 특성이 투사이다) 감각론과 관련된다. 둘째, 편광. 편광자를 이용하면 빛의 특정한 파장을 걸러낼 수 있다. 시학에서도 시선의 감산을 통해서 특정한 이미지(의미)를 얻어낼 수 있으며, 바로 이 원리가 비유의 원리다. 이를 통해서 비유의 단위가 이미지라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진다. 투사가 주체-이미지를 얻어내는 원리라면, 편광은 세계-이미지를 얻어내는 원리다. 셋째, 회절. 회절 현상을 통해서 빛은 대상에 스며든다. 비유의 중첩과 상호작용을 회절 현상에 비유할 수 있다. 편광이 시선의 감산에 의해 얻어진다면 회절은 시선의 가산에 의해서 생겨나며, 이로써 공동체와 역사성이 시학에 도입된다. 회절에는 이미지들의 역사, 공동체의 집단적 감각이 아로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넷째, 양자. 양자화된 빛을 통해 드러난 세계는 이처럼 하나의 미소(微小) 단위로 구획된 세계다. 시학에서 양자화된 이미지는 시간-이미지다. 이미지는 시간의 정지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이미지 자체가 시간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이미지는 사건을 품는다. 사건은 서사론의 단위이므로, 시학은 이를 통해서 서사론과 관련을 맺는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