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老舍의 《四世同堂》

        朴宰範 한국중국소설학회 2008 中國小說論叢 Vol.28 No.-

        老舍的《四世同堂》,跟在同时期中诞生的其他长篇个说比较起来,有更多、更复杂的内容,老舍抱着远大的目的和意图创作了这篇长篇小说。他把家族史和时代史融合起来,把传统和现实和教训装在作品了。《四世同堂》含有在家族史小说、世态小说和历史小说里显现的文学特点。 首先,《四世同堂》可以说是以三个家庭的家族史为核心题材与核心结构的家族史小说。老舍以祁老人的家族史、钱默吟的家族史和冠晓荷的家族史表现在日帝的暴压统治下过活的中国人的生活状态,重新构成了同时代的社会样态。老舍把中国人的精神气与息和中国传统文化纳入在他们的家族史,把同时代的社会现实与生活状态,即沦压陷缩时期北京的情况压缩在他们的家族史,以给《四世同堂》赋与作为社会缩影的意味与家族史小说的性格特点。 其次,《四世同堂》的文学性格不限於家族史小说。虽然作品的主要背景局限在一条叫“小羊圈”的胡同,它就以胡同为舞台,真实地程现了跟在日军的铁蹄下整幅的生活图象似的同时代的社会现实与生活状态。在作品里,老舍说明了胡同里的人们的生活状态代表、象微被日帝沦陷的地域特别在北京过活的中国人的一般、总体的生活情况。《四世同堂》总体地描写了在抗战时期和在被日帝沦陷的地域过活的中国人的生活真实与生活样态,所以它可以有作为世态小说的资格。 第三,《四世同堂》一边描破世态了,一边显出了历史性的教训。历史性的教训是由作家的强烈的爱国心做的。作家在作品的人物设定上以图式的、二分法的论理,强调了历史性的教训。为了克服现实而过正经的活,人们有甚麽精神与态度而怎麽行动上进,这就是在作品里作家隐密地强调的历史性的教训。老舍,在作品上,不仅以实际历史事件为背景,而且重视了这样的历史教,所以《四世同堂》可以说含有历史小说的特微。

      • KCI등재

        가족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함인희 ( In Hee Hah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이 글은 지난 50여년의 가족사회학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현재의 위상을 성찰해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가족사회학 연구 분야의 흐름을 시대별 주제별로 간략히 개관해보고 Ⅲ장에서는 가족사회학 연구의 미래 동향을 전망하는 가운데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과 더불어 새로운 연구 주제의 개척 가능성을 타진해볼 것이다. 지난 시기의 성과를 간략히 정리해보면 첫째, 가족사회학 분야는 1970년대 전반까지 완만한 성장을 보이다 1970년대 후반 이후부터 양적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면서,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시기별 부침(浮沈)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까지는 가족기능, 전통적 친족제도 및 동족, 가족계획, 신라·고려·조선시대 가족 등을 주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는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학적 논의, 가족주의, 성과 사랑, 부부중심적 가족관계의 특성, 주부의 삶에 대한 관심, 계급별 가족 특성, 가족문제 및 가족정책, 사회 구조와 가족과의 관계 및 가족의 변화양상, 가족이론 및 방법론, 그리고 북한가족등이 새롭게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IMF 외환위기를 거치며 21세기로 들어서면서는 가족을 바라보는 시선이 확장되면서 저출산 고령화와 연계된 위기의식, 결혼이주가족의 증가, 가족과 시장 나아가 가족과 국가의 관계 등이 가족사회학 영역으로 포섭되고 있다. 더불어 사회사 분야의 지속적 발전에 힘입어 가족사 분야 연구도 성과를 축적해가고 있으며, 보다 비판적 갈등적 시각에서 가족을 조망하는 연구 또한 다수 등장하고 있다. 현재 주목할 만한 가족사회학의 쟁점으로는 가족 위기를 둘러싼 해체 및 재구조화 논쟁, 전통적 가족주의와 탈근대적 개인화의 충돌 그리고 대안적 가족양식이 현재의 가족제도에 던지는 함의 등을 살펴보았고, 향후 과제로는 학제적 연구 모색 및 정책 지향성 강화 그리고 가족과 국가의 관계, 가족의 초국성 등 가족 연구 주제의 지평 확대와 다양한 연구 자료의 발굴 및 방법론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last 50 years of the sociology of family, and to suggest the future research agenda. Chapter Ⅱ briefly outlines the flows of the research topics during the specific periods, and chapter Ⅲtries to propose how to enrich the family studies from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and the books of sociology of family areas showed the slow growth until 1970`s, since then recorded significant developments. Until 1970`s, main research agenda were mainly limited to the such topics as the family function, traditional kinship system, and the family of Shinla, Korea, and Yi dynasty. However, after the 1980s research subjects moved toward more diverse interests such as the feminist critic of the patriarchy, familism, sex and love, conjugal family`s distinguishing features, full-time housewifery, family`s class background, family problems and family policy,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structure and family life, family theories and methodologies, and the North Korean family etc.. Beginning of the 21C, family studies embrace more broad concerns like crisis of the low fertility and the rapid ageing, incre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the state, and the market etc. Also the outstanding developments of family history area should be noted. Recently a couple of debate topics emerged from the academic community. The family disruption vs. family restructuring debate is a typical example, and the collision between traditional familism and postmodern privatization, and the meaning of alternative life style are another example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family studies, focusing on the family policy issues an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families, and digging up new type of research data and methodology are suggested as the future research agenda.

      • KCI등재

        蕺山 의 家族史 고찰

        신현승(辛炫承)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8

        본고 「?山의 家族史 고찰」 에서는 ?山 劉宗周(1578~1645)의 家族史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山 철학사상의 가족사적 배경과 그 성격의 一端을 고찰하였다. 그런데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개 학자 혹은 시상가의 학문이나 사상은 그 사람이 생존한 시대 또는 사회적 환경이나, 그 사람의 개성ㆍ교양ㆍ사람됨, 일상생활ㆍ인맥 등등의 상관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그래서 이제야말로 ?山의 사상체계를 이해하고자 함에 있어서는 이들 제 조건의 전체상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관점 및 방법상 본고는 ?山의 초기 생애 및 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문화사적 의의의 분석을 통하여 ?山 철학사상 형성의 한 단면을 형성사적, 혹은 사상문화사적 관점으로부터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고의 과제는 다음의 점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山 철학사상의 배경으로서 ?山 개인과 가족 및 초기 인맥 등, 제 관계를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사실 ?山의 家族史와 그 인맥 및 철학사상은 한 마디로 말하면 ?山 개인에게 있어서 고립해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동시대를 살은 그 주변 인물들과의 제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었다. 기본적으로는 ?山의 철학사상어 복잡한 인맥을 통하여 浙江ㆍ江蘇 지역에서 전개되고 발전해 갔다고 하는 점이다. 특히 절강 지역에서 형성된 여러 형태의 학맥 관계는 그의 철학사상을 지탱하고 있는 주춧돌이었고, 한 사람의 인생에 있어서는 가장 기본적인 관계라 할 수 있는 기족 관계를 출발점으로 하여 그의 철학사상은 사우 관계 및 문인 관계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자기 사상의 구축이라는 길로 향해 나아간 것이다. 이 때문에 즙산 철학사상의 배경으로서 우선 가족사를 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체로 본문에서는 즙산의 출생과 시공간적 배경 및 父系와 母系의 환경을 사상사적 내지는 사회사적 시각으로부터 검토하였다. 또 ?山의 성장 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어머니의 존재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기족사의 시각으로부터 ?山이라는 인물을 낳은 父系와 母系의 환경에 관하여 그 특질을 조명하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山의 유소년과 청소년 시기에 사상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끼친 인물로서 어머니 章氏와 외조부 章穎에 주목하였다. 주요한 문헌자료에 관해서 언급하면 즙산의 子 劉?과 姚名達이 각각 기록한 『年譜』 및 황종희의 『子劉子行狀』을 기본 자료로 해서 ?山의 성장 과정과 가족사 및 그 實像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대하소설의 창작 방법론

        이동재 ( Dong Jae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기존의 소설 창작론은 일반적으로 단편소설과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이 글에선 대하소설의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대하소설의 창작 방법을 모색해 본 것이다. 필자는 먼저 대하소설이 역사소설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소설의 발상은 대개 개인의 경험이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하소설은 역사소설일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작품의 발상의 근거가 역사적 사건이나 역사적 인물일 경우가 많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역사에 대한 태도다. 역사에 대한 태도는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의미인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대하소설을 통해서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가 결정되었다면 작가는 어떤 역사를 어떻게 호출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 지점에서 작가의 세계관과 시대정신은 충돌하거나 맞물리게 된다. 다음으로 대하소설의 구성 방식이 가족사·연대기 기법의 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토지』 처럼 수백 명에 달하는 등장인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사건을 구성해나가기 위해서 대하소설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구성 기법이 가족사·연대기 기법이다. 인물은 가족 단위로 묶고 사건은 연대기 방식으로 이어나가는 것이다. 시간적 순서대로 사건을 서술한 것을 스토리라 하고 사건의 인과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을 플롯이라고 하는데 근대소설의 구성은 주로 플롯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하소설의 구성은 플롯과 스토리가 적절히 혼합된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그것이 한국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특징이다. 가족사 소설엔 적어도 2대 이상의 가족이 등장하여 그 가족의 흥망성쇠나 세대별 부침과 변화의 과정이 그려지며, 여러 가족의 세대사가 동시에 얽히고설키면서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가족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또 때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대하소설로서의 가족사 소설에선 특정 가족이 작품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한 가족 내에서도 특정 세대가 구심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가는 개별 등장인물들을 한 가족의 가족사 안에서 서사화 하는 동시에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만남이나 다른 가족사와의 충돌 과정을 그려나가야 한다. 세대와 세대를 연결해주는 중심 세대의 인물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인물들이다. 대하소설은 이런 인물들을 통해 각 지역의 서사가 폐쇄적인 서사로 끝나지 않고 서로 연결되면서 대하적인 흐름의 서사로 거듭날 수 있게 한다. 대하소설의 작가는 이렇듯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과 감초 역할을 하는 인물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개별 가족과 개별 지역의 서사를 하나로 통합해 가는 구성의 과정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연대기 소설의 구성은 말 그대로 사건이 연대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건들 사이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는 근대 소설의 플롯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가는 소설의 구성이 지나치게 스토리적인 흐름으로 흐르지 않고, 구체적이고 세밀한 사건의 인과관계에 의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Most of the existing story creation theory is generally intended for short stories and full-length novels. In this essay I find ways to create stories laying stress on major features of saga. To begin with, I take note of the fact that a saga is a historical novel. In that ideas of novels are mostly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or historical facts, a saga can be a historical novel. It means ideas for stories are mostly based on historical facts or historical figures. At this point, what counts is the attitude toward history since it affects the writer`s intention and themes. Once what a writer is trying to say in a saga is decided, the writer has to think of what part of history to show and of how to represent them. In that moment, the writer`s world view and the spirit of the time clash or go well. Secondly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ormat or composition of a saga is closely related to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The saga like『Toji』has hundreds of characters and most of saga use novel techniques of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to manage all the characters effectively for the well-constructed novel. The basic unit of characters is family and events are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While ``story`` i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plot`` stresses o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Modern novels mostly use ``plot``, but a saga has its own ``story`` and ``plot``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novel of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A family history novel has at least two generations and shows the rise and fall of the family, ups and downs of the gener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s. At the same time it unfolds intricate, knotty problems of several generations of the family. These families are closely related with one another and sometimes live independent lives. A certain family in a family saga can play a pivotal role, and a specific generation in one family can play a leading part. Therefore a writer should describe individual characters in family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the meeting of other members and the process of clash with another family history. Characters who link space with space are as important as characters who link generation with generation. These characters make the saga interconnected description, not closed one. These characters of a saga playing important roles beyond boundary should be well arranged to unify the separate family and different region into one as a whole. Chronicle novels which literally focus on chronological order are often far from ``plot`` of modern novels which stress on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a writer has to pay attention to well-constructed novels that have specific events and well arranged with causal connection. (A writer should make the story specific and well organized with causal connectio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가족구조 변동의 기준과 가족사의 시대구분

        안호용 ( Ho Yong A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2 한국사회 Vol.13 No.2

        우리는 매우 급격한 가족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중기에 이미 가족의 구조적 변동이 실재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가족의 변동은 약 200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친, 위로부터의 계획적인 변화이며, 가족구조를 본질적으로 변화시킨 것이었다. 본고의 목표는 조선시대 중기의 가족변화 양상으로부터 전기와 후기 가족의 구조적 차이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조선후기 이후 근현대 가족사의 시대구분 문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가족사 연구 결과를 현재의 가족변동 연구에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현재의 가족변동을 가족사에 편입하여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변화를 비교하는 대상(기준), 변화 정도, 기준 시점 등을 고려하여, 본고는 이미 알려져 있는 조선 중기의 구조적 변화 내용을 가족의 형태, 가치, 행동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 결과 조선전기와 후기의 중요한 구분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가족형태 측면에서 부처제 혼인거주규칙(모처-부처제로부터 변화), 첩제를 허용하는 일부일처 혼인형태(일부다처제로부터 변화), 직계가족을 이상으로 하는 가족 유형(양변적 방계가족으로부터 변화), 가족가치 측면에서 가계영속성을 강조하는 태도의 확립(이전에는 없음), 가족행동 측면에서 이러한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장남우대 차등상속(균분상속으로부터 변화)과 가계계승을 위한 입양의 일반화(이전에는 없음). 근대 이후의 변화는 조선후기를 기준 시점으로 하여 이러한 기준들의 변화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시대구분이 가능하다. 이후의 변화는 혼인형태(첩제를 폐지한 일부일처제)에서 명확하고, 다른 측면들은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변화했지만 구조적 변화라고 하기에는 명확하지 않다. 부처제 혼인거주규칙과 차등상속은 유지되고 있으며, 입양이 감소하고 있다. 가족유형은 직계가족 비율이 감소하고 핵가족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직계가족의 구성원리가 폐기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조선중기가 전기와 후기의 ‘과도기’이었듯이, 한국 가족사에 있어서 근대는 조선후기와 탈근대의 과도기적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현재 경험하고 있는 일부 측면의 급격한 변화는 조선후기 가족과 원리적으로 상이한 새로운 가족제도로의 재구조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Korea is experiencing rapid and intense family change today.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is kind of change is not a unique feature of the contemporary era.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had already seen intense family change from the up throughout 200 years, which led to fundamental change in family system.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from the early to late Choson Dynasty, by reflecting the family change in the mid-Choson Dynasty. It then attempts to examine the question of period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family history. This paper looks into the known change of family system in mid-Choson, considering the object of comparison, level of change, and the reference point. Thereby, the paper provides the criteria of division between early and late Choson: 1) in family forms, change from matri-patrilocal residence to patrilocal, polygyny to monogamy tolerant of concubinage, and bilateral extended family type to patrilineal extended family, 2) in family values, emergence of a firm belief in genealogical perpetuity of a family, 3) in family behavior, emergence of patrilineal differential inheritance and adoption for succession as means to realizing those values. Periodization of family changes from the modern era is possible by evaluating the level of change in the above criteria with the late Choson Dynasty as its starting point. It is difficult to call the changes afterwards as structural.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modern era is a transition period from the late Choson Dynasty to post-modern era, like the mid-Choson period was a transition period from the early to late Choson Dynasty. The rapid changes we are experiencing today can be viewed as the process of re-structuralization of family system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late Choson Dynasty.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의 젠더인식: 가족사와 여성사 연구를 중심으로

        정현백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2

        Although there were a few of studies on family history since 1945, full-scale studies on women’s history started after the end of 1980s. At the time when feminism grew fast in Korea, the studies on women’s history were growing in volume by women. And since the mid-1990s, papers on family history or women's history were made intermittently by men. In order to, however, overcome the situation where the women’s history still remains on the fringes of historical studies, there was a need to illuminate the entire history from a gender perspective, one step ahead of work to fill in women’s history that was excluded from the existing historical studies, and to attempt ‘theorization of women’s history’. From an awareness of this issue, this study re-illuminated family history and women’s history studies that were made since 1945. First of all, most of studies by male historians contributed to an arrangement of the ground on which women’s history is described, positioning women’s history on a sectional history. Their studies, however, barely reveal a sensibility for sexual discrimination or gender. In contrast, studies by women on women’s history/family history had a quantitative growth for last thirty years, and showed a positive effort to reorganize history from a feminism point of view. With topic of studies diversified, there is an attempt to bring light on women’s labor, daily life, ordinary women’s history, female consciousness and culture, one step ahead of studies on an education of women or a women's movement. Studies on women’s history, however, are not reaching an introspection on bigger issues that restoration of women’s history should reinterpret the entire paradigm of Korean history, beyond searching and arranging concealed historical truth as ever. Other than a qualitative consideration of studies on women’s history, ‘theorization of women’s history’, advance into the gender history, and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study should be the future assignment. 해방 이후 가족사 연구는 조금 이루어졌으나, 여성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1980년대 말 이후이다. 한국에서 페미니즘 운동이 활발해진 시기에 여성들에 의해 여성사 연구도 양적으로 성장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남성 연구자에 의한 가족사나 여성사 관련 논문도 간헐적으로 나왔다. 그러나 여성사가 여전히 역사학의 주변부에 머무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의 역사학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의 역사를 채우는 작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역사학 전체를 젠더 관점에서 조명하고, ‘여성사의 이론화’를 시도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해방 이후 진행된 가족사와 여성사 연구를 재조명하였다. 먼저 주로 남성역사가들에 의한 연구는 여성사를 역사학의 분과사로 자리매김하면서, 여성사 서술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에서 성차별이나 젠더에 대한 감수성은 잘 드러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여성들에 의한 여성사/가족사 연구는 지난 30년 사이에 양적인 성장을 경험하였고,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에도 적극적이었다. 연구주제도 다양해져서, 여성교육이나 여성운동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여성노동, 일상생활, 보통 여성들의 역사, 여성의식과 문화를 구명하려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사 연구도 여전히 은폐된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고 정리하는 작업에서 더 나아가 여성사의 복원이 한국사 전체의 패러다임을 재해석해야 하는 보다 큰 문제에 대한 성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여성사 연구의 질적인 제고 외에도, ‘여성사의 이론화’와 젠더사로의 발전 그리고 학제적 연구의 확대가 앞으로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명재 윤증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 연구

        최윤정(Choi Yun Jeo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6

        명재 윤증(1629(인조7)-1714(숙종40)) 관련 연구에서 명재의 부친 윤선거의 강도지사(江都之事)와 어머니의 순절은 계속 거론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는 한 개인의 가족사가 정치이념적인 논리로 이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정작 명재의 입장에서 이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바라보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명재가 평생 정신적으로 의지하고 살았던 누나에 대한 논의도 영성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명재 윤증의 가문 여성 관련 작품과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살아남은 부친, 순절한 모친, 함께 살아온 누나에 대해 명재 윤증이 어떻게 평가하고 수용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명재가 감정적인 측면에서 내면을 통제하거나 노출하는 양상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당대 정치 세력 사이에서 이루어진 명재 부친의 살아남음과 모친의 순절에 대한 평가는 17세기에 더욱 강화되는 의리 및 열절(烈節)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다. 하지만 명재가 자신의 부친, 모친, 누나의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입장은 당대 이념적인 기준으로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명재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은 당대 정치·이념적인 부분에서는 포착되지 않았던, 명재 개인의 상처와 내면의 슬픔을 감정의 통제와 노출이라는 이중적인 표현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다. In the research of Myungje Yunjeung, one of the big issues is his father s activity (Gangdozisa) and his mother s dying for loyalty. This is the example that a family s history was utilized for political ideology. Yet there is no research how Myungje himself looked at this issue. Even worse there is very few research on his sister who Myungje soulfully depended on in his whole life. This research studied on Myungje s women family related literature and reviewed on his perception and expressions on his family. By concretely studying Myungje s literatures, we can understand Myungje s evaluation and acceptance on a survived father, a dead mother and a contemporary sister. Escpecially,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hen Myungje controled or revealed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The evalua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on Myungje s family affairs such as a survived father and dead mother was related on 17th century s recognition of the reinforced loyalty and chastity. Yet, Myungje s personal position on his family s life and death was understood only by the contemporary recognition. Myungje s perception on his family history was not easily captured from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int of view, but captured from his control or reveal of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 KCI등재

        가족 근대화의 모델 찾기에서 가족 ‘정상성’에 대한 성찰로 : 한국 현대 가족사 연구 동향과 과제

        소현숙 역사문제연구소 2021 역사문제연구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trends of current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family history and to suggest future tasks. Until the 1980s, research generally sough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clear family based on modernization theory.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Marxist and feminist analysis since the 1980s and the spread of everyday-life history and gender history studies since the 1990s, efforts have been made to break away from the modernizationist stance and explain changes in the family in a more complex wa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norm of the “normal family,” which has rarely been considered a problem in the past, and in the others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and excluded from it. As future tasks of family histo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amily, to explore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normal family,” and to deepen research on politics and family relationships. 이 글은 한국현대 가족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 경향을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까지의 가족사 연구는 대체로 근대화론에 입각하여 핵가족적 특성을 찾아내려는 입장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맑시즘과 페미니즘 분석이 도입되고, 1990년대 이후 일상사, 여성사 연구 등이 확산되면서, 근대화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가족의 변화를 보다 복합적으로 설명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시도들은 구조와 제도의 변화, 지배질서구축을 위한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개인의 경험과 가치관 등의 사이에 놓인 상관관계에 주목하면서 가족의 변화를 보다 중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거의 문제시 되지 않았던 ‘정상가족’ 규범과 그로부터 배제된 가족 경계밖의 타자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가족사 연구는 정치경제사 중심의 한국현대사 연구를 보다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살펴볼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데 기여해 왔다. 가족사 연구의 향후 과제로는 구체적인가족 실태 연구, ‘정상가족’상의 역사적 형성 및 변화과정 탐색, 그리고 정치와가족 관계에 대한 연구의 심화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형식과 이데올로기

        이혜령 상허학회 2003 상허학보 Vol.10 No.-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대하, 봄, 탑 등의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형식은 자연적 연속성과 역사적 목적론이라는 두 가지 시간적 계기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후자가 이들 소설의 소년 주인공에 의해 표상된 근대주의적이고 단선적인 시간이라면, 전자의 시간은 가부장에 의해 관장되는 시간으로서 자연의 순환론적 시간의 경향을 띤다. 이 두 시간적 계기는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역사를 사사화 하고 근대에 대한 성찰적 반성이 없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 결과, 가족사연대기 소설은 근대주의 양식과 전통적 모티프의 결합이라는 파시즘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낳게 되었다. 한편, 가족사연대기 소설은 하층민과 여성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남성 엘리트 중심적 방식을 드러냄으로써, 1920~30년대 한국근대소설사에 일관되게 나타난 재현의 질서와 그 메커니즘을 투명하게 보여주었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form and ideology of Korean family history- chronicle novels in the late 1930s, focusing on time consciousness. These novels, Kim, Nam Chun's A Large Liver[Daeha], Lee, Ki Young's Spring [Bom] and Han, Seol Ya's A Pagoda [Top], have common fea- tures in sense of that their form is made of time consciousness of na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teleology. The former is time conscious- ness controled by patriarches, while the latter is controled by modernism represented as young men in these novels. At the first glance two they seem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fact, they have common principles of privatization of histories and uncritical attitude of modernity, which is also appeared in oder and manner of representation of class and gender. In theses novels, patriarches and young men as elite men was repre- sented as ascetic self by contrast with females and subalterns. Consid- ering combination of modernist mode and traditional motif as a type of fascist ideology, form of these novels, mixing paternalism and moder- nism, cannot help causing in ideological effects of fascism. Moreover, order and manner of representation in these novels was based on imagi- native geography of Imperial Japan.

      • KCI등재

        낭만적 가족서사와 왜곡된 역사인식의 파토스 - 노라 크루크의 『고향. 어느 독일인 가족앨범』을 중심으로

        구연정 ( Gu Yeon Je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이 논문에서는 자서전적이고 시각적인 글쓰기를 통해 가족사에서 나치 과거의 흔적을 탐색하고자 한 노라 크루크의 그래픽 노블 『고향. 어느 독일인 가족앨범』을 작가의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독일계 이주민으로서 미국에 오래 거주한 작가는 독일의 공적 기억작업과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사적 차원에서 빈곳으로 남아있던 나치시대의 가족사를 기록하고자 한다. 내용적인 점에서 크루크의 작품은 손자세대의 가족사소설의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점은 포토 콜라주, 만화, 일러스트 등을 포괄하는 그래픽 노블이라는 시각적 서사 형식과 가족의 과거에 접근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작가의 가족사에 대한 감정적 접근방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시각적 기억작업의 성과와 한계에 주목하고 작가의 낭만적 감정이 역사 왜곡의 파토스로 변질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In diesem Beitrag versuche ich, die bildliche Erinnerungsarbeit in Nora Krugs Grafic Novel Heimat: Ein deutsches Familienalbum(2018) kritisch zu analysieren. Die Autorin, die lange Zeit als deutscher Einwanderin in den USA lebte, fragt sich, ob sie ihre Identität, dass sie nämlich ein Nachkomme von Nazi-Verbrechern ist, und die dadurch geerbte Schuld akzeptieren soll. Sie wendet sich ihrer Heimatstadt zu, um die Spuren der NS-Vergangenheit in der Familiengeschichte zu erforschen. Inhaltlich ähnelt Krugs Arbeit der Struktur des Familienromans der Enkel-Generation seit 2000. Der Unterschied liegt jedoch in der visualisierten Erzählweise der Grafic Novel und der Herangehensweise an die Vergangenheit der Familie. Dieser Beitrag zielt darauf, zuerst die emotionale Herangehensweise der Autorin an die Familiengeschichte und die Herausforderungen und Grenzen der darauf basierenden Visualisierungsarbeit zu analysieren, und schließlich den Prozess zu erläutern, in dem sich die nostalgischen Emotionen der Autorin in ein Pathos der historischen Verzerrung verwandel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