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동법에 동조했던 ‘공(貢)’의 경세 담론들

        윤석호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e Daedong Law(大同法), which replaced the tribute system implemen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ntinued for a long time as a nationwide tax system supported by a large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Approval for Daedong Law(大同法)’, various lines crossing this point can be revealed. Therefore this paper sets the understanding of the Old Law(古法) on tribute as a starting point and the goal of reform as an ending point, and distinguishes different routes of Statecraft discourses that passed through the ‘Approval for Daedong Law(大同法)’. Four different path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 discourse that agreed the method of Imposing Tribute upon Regional Products(任土作貢) as Old Law(古法), but also argued that it should be reformed to suit reality. This argument was presented mainly by Confucian scholars belonging to West Party(西人) such as Hwang Shin(黃愼), Lee Yoo-tae(李惟泰)and Kim Yuk(金堉). The second and third are discourses that reasoned Daedong Law(大同法) as a kind of Old Law(古法). These can be divided into two again: one is an opinion to accept land ownership(Jo Ik(趙翼), and the other is an opinion to achieve equal distribution of land through reformation into ‘Gongjeon System(公田制)’(Yu Hyeoung-won(柳馨遠)). The fourth is a discourse that reasoned Old Law(古法) on tribute as the occupational tax(職貢), which corresponds to Jeong Yak-yong(丁若鏞). He set the occupational tax(職貢) as the goal of Tax reform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industry struc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not mature enough to capture it, he agreed with Daedong Law(大同法) as a realistic alternative. In the gap between the Confucian ideals and the real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surrounding ‘Gong(貢)’, Confucian scholars were seeking methods of Statecraf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ir reinterpretation of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was expressed in a wide spectrum. 공납제를 대체했던 대동법은 조선 후기 다수의 유자들로부터 지지를 받는 전국적 단위의 세제로서 장기간 지속되었다. 그런데 ‘대동법에의 동조’라는 지점에서 본다면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겠지만, 그로부터 조금 뒤로 물러나서 전후의 맥락을 조망한다면 이 지점을 교차했던 다양한 담론들이 논의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고법(古法)에 대한 이해를 출발점으로 개혁의 지향(指向) 종착점으로 설정하고, ‘대동법에의 동조’를 경유했던 경세 담론들을 분별적으로 분석했다. 이로써 확인된 상이한 네 경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임토작공(任土作貢)을 고법으로 간주했으나, 현실에서는 이를 ‘시의(時宜)’에 맞게 경장(更張)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서인계 경세가들을 중심으로 한 유자들에게 비교적 널리 공유되고 있었다. 둘째와 셋째는 고법에 있어 임토작공(任土作貢)은 제후가 천자에게 납부했던 후공(候貢)에 한정되는 한편, 백성이 군주에게 진납하는 민공(民貢)의 경우에는 대동법과 마찬가지로 수미(收米)의 방식이 시행되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고법에 대한 동일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이는 다시 둘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토지 사유의 현실을 용인하는 바탕 위에서 대동법을 전조와는 별도의 세목으로 위치시키는 입장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토지에 대한 차등적인 재분배를 달성한 토대 하에서, 대동세의 명목을 전조의 일부로 용해시키는 입장이다. 넷째는 삼대에는 9직(職)이 전업을 이루었으며, 공(貢)은 이들에게 각자가 생산한 물품을 납부케 한 직공(職貢) 즉 직업세였다는 견해이다. 정약용이 이에 해당하는데, 그는 이러한 고법으로서의 직공을 경세의 지향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현실의 조선은 사회적 분업이 전업적 산업체계로 성숙되지 못했던 까닭에 이것이 당장 시행되기는 어려웠다. 이에 다산은 한편으로는 직공의 시행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조선 산업의 다각화와 전업화를 추동할 방안을 제시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동법이 비록 그에게 이상적인 제도는 아니었지만 직공 시행의 이전 단계에서 그것이 지니는 제도사적 의의를 긍정했다. 공(貢)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유학적 이상과 조선 후기 현실 사이의 간극 속에서, 유자들은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경세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로써 펼쳐진 스펙트럼은 경세라는 유학의 본령과 시대적 요구에 당시 유자들이 폭넓게 참여하고 있었음을, 또한 지향하는 목표의 근거와 모델을 고법의 재해석을 통해 ‘발견’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경세학을 유학적 이상과 조선적 현실, 그리고 미래적 지향 사이의 다층적 학술 담론으로서 입체적으로 해명해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최주희 ( Joo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17세기 후반부터 전국에 확대 시행된 대동법은 현물납에 따른 民役의 부담을 대폭 완화시켜준 조치였다. 각도 대동사목이 작성되는 과정에서 운송비[船馬價·태價]와 수수료[作紙·役價]의 일부가 大同儲置米(餘米)와 上納米내에 포함되었다. 문제는 선혜청이라는 대동세의 출납기구가 신설되고, 중앙의 공물조달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간비용이 창출되었다는 점이다. 군현에서 대동세를 상납할 때 선혜청에 人情米를 바쳤으며, 공인들이 왕실과 정부각사에 공물을 진배할 때에도 人情·作紙를 별도로 납부하였다. 또 대동세 수취시 잉미[1,000석 당 20석]를 더 거두고 공인에게 공물가를 지급할 때에도 空石價[1석당 2승]를 추가로 징수하여 선혜청의 청사유지비와 관원의 인건비로 썼다. 특히 공인들에게는 무상의 과외별역이 부과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이후 공인들이 조달시장을 이탈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공인들이 시장에서 공물을 구매하여 왕실과 중앙각사에 진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고 하더라도, 공물조달의 최종단계에 있는 왕실과 중앙각사는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현물[공물·진상]을 진배 받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로 인해 궐내·외 각사에서 각종 수수료·잡비를 징수하는 관행이 계속 유지되었으며, 공인들에게 공물을 추가징수하고 과외별역에 동원하는 폐단이 18세기 이후 가시화되었다. 정부로서도 한정된 대동세입을 가지고 정부관서와 지방관아의 행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양란 이후 왕실과 정부기구가 재편되고 관서행정에 필요한 각종 역을 고립해 쓰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중앙의 재정규모는 긴축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의 정책과는 달리 늘어나는 추세에 있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貢弊의 간행과 貢市人詢막을 통해 이러한 과외별역을 스스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19세기까지 지속해갔다. 18세기 이후 정부의 대공시인정책이 ``詢막``의 형태로 전개된 것은 이처럼 정부재원을 조달시장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인들이 겪는 과외별역의 폐단을 개선해줌으로써 공물조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타협책에 다름 아니었다. Existing transportation costs, fees, and labor costs linked to the collection of the Uniform Land Tax(Daedongse) were rolled into the Uniform Land Tax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law(Daedongbeop) nationwid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collection en bloc of various spot goods as well as military and corvee labor services under the Uniform Land Tax led to an easing of the abuse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of surtax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found itself having to ru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solely on the amounts collected through the Uniform Land Tax.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ought to overcome the deficit in general expenses by assigning extra corvee labor to the tribute men who paid the costs of tribute products in conjunction with important national events. However, this extra corvee labor privately assigned by government officials on top of the official national corvee labor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burden bore by tribute me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organized consultative meetings that had as their objective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ribute men and merchants. It also published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ribute men in a book called < Tribute Malpractice(gongpye) >. As such,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orm Land Tax Law,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exploitative nature of the extra corvee labor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bodies.

      • KCI등재

        대동법의 비합리적 조세 요인과 경제에 미친 악영향

        오기수 한국조세연구포럼 2018 조세연구 Vol.18 No.4

        Historians highly value enactment of Daedongbeop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study mostly agrees on such positive aspects of Daedongbeop, however, has objectively analyzed and criticized it from perspective of taxation, public finance, and economy. To start, incoherent taxation element of Daedongbeop was studied. Following are 3 subjects that should have been considered sufficiently before legislation and enactment, but Daedongbeop did not consider them beforehand. First, the real-estate tax was increased double than before, causing increase of tax on the common. Levying 16du of rice (Later, 12 du) on all farm, regardless of if it is rice paddy or field, is unjust taxation that does not reflect yield, production, and field price. Second, it is tribute that did not vanish after enactment of Daedongbeop. As time passed, bureaucrats did not follow legal process during its execution. Third, tax burden on tenant farmers increased due to delegating of taxation. In late Chosun dynasty, 60~70% of farmers were tenant farmers, in which all land tax was delegated to tenant farmers. As a result, all these incoherent taxation elements have very detrimental influence on economy of late Chosun dynasty in two aspects, as accordingly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aedongbeop ruined small independent farmers with field taxation. Second, Daedongbeop worsened national finance. In conclusion, such phenomenon occurred because tax rate structure, financial construct, and appropriate tax revenue estimation for equal taxation were not sufficiently argued during legislation. Even in the present time, tax law should be carefully legislated after sufficient argument on influence onto taxpayers, social foundation, and tax rate structure. 사학자들은 대동법의 제정과 시행의 역사적 의의를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동법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를 많은 부분에서 공감하지만, 조세학(租稅學)과 재정학 및 경제학 측면에서 냉정하게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먼저 대동법의 비합리적인 조세 요인을 살펴보았다. 세법을 입법하고 집행할 때 충분히 고려하여야할 사항들인데, 대동법에서는 다음 세 가지를 입법과 집행 과정에서 충분이 검토하지 못했다. 첫째, 기존 전세(田稅)보다 밭의 세율을 2배로 인상하여 서민증세를 가져왔다. 논과 밭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전답에 쌀 16두(후 12두)를 징수한 것은 생산물과 토지가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불공평한 입법이었다. 전세(田稅)는 밭의 경우 논의 2분의 1을 징수하였다. 둘째, 대동법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사라지지 않은 공물(貢物) 부담이다. 대동법을 시행하면서 모든 공납은 폐지된다고 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대동법의 규정들을 잘 지켜지지 못했다. 셋째, 조세 전가로 인한 소작인의 조세부담이 급증하였다. 조선후기에는 60~70%의 농민들이 소작인으로 전락한 가운데, 대동세를 포함한 결세(結稅)가 전부 소작인에게 전가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학자들은 대동법이 공평과세를 실현하였다고 높이 평가했지만 오히려 공평을 해쳤으며, 공물부담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무전 농민들은 대동세 등의 전가로 무거운 조세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다. 결국 이러한 비합리적인 조세 요인들은 본 논문의 연구 결과처럼 두 가지 측면에서 조선후기 경제에 좋지 않는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첫째, 대동법은 밭의 세금폭탄으로 자작(自作) 소농민을 몰락하게 만들었다. 둘째, 대동법은 국가재정을 더 악화시켰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대동법을 입법할 때 조세공평에 따른 세율 구조와 재정 형태 및 적정한 세수추계 등이 세밀하게 논의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현대에 있어서도 세법을 입법할 때 납세자 등에게 미칠 영향과 사회적 제반 문제 및 세율 구조 등을 충분히 논의하여 신중히 제정할 필요가 있다. 조세 입법의 합목적성만을 강조하다보면 대동법과 같은 세법이 탄생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조세부담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역사학 : 중국 대동사상(大同思想)과 근대교육 -캉유웨이의 「대동서(大同書)」를 중심으로-

        이영란 ( Young Ra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8

        중국 대동사상은 중국의 고대 경전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캉유웨이, 쑨원에 이르기까지 2천 년간을 이어져 왔다. 대동사상은 이처럼 중국에서 2천여 년 간 계승되었으며, 이것을 수용한 각 시대의 사상가들도 적지 않았다. 본고는 중국 대동사상의 평등사상과 공공 사상에 중점을 두고 무술변법시기 캉유웨이의 대동사상의 형성과 완성 안에서 교육적 내용을 살펴, 대동사상에 근거한 중국 근대교육의 중요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대동사상은 일반적으로 「禮記」 禮運篇으로 ``天下爲公``과 ``世界大同``이란 두 개념이 최초로 제시되었다. 「禮記」 禮運編에서 ``大道``가 실현된 사회를 ``大同``으로 말하고 있다. 대동 세계를 실현할 수 있는 군자 또는 현자의 존재 즉 인간이 그 선의 가능성을 개발시키기 위한 교육을 중국 고대 대동사상에서 강조하였다. 이후 중국 근대에 와서 무술변법시기의 주도자 역할을 했던 캉유웨이는 公羊三世說을 이용하여 ``大同世``를 사회개량의 최종목표로 삼고, 그것을 전문적으로 논한「大同書」를 저술하였다. 캉유웨이가 대동사회를 구상하기 시작한 것은 1884년부터이지만 그것을 구체화시킨 것은 무술변법시기였다. 무술변법시기 캉유웨이가 주장한 교육개혁 내용은 「대동서」의 대동사상에 근거한 평등교육, 국민교육, 여성교육이다. 19세기말 캉유웨이는 「대동서」를 통해 새로운 세계적 결합을 지향하여 근대서구의 영향에 유래하는 公理.公法관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시각을 토대로 캉유웨이는 사람들의 지혜를 계발하는 일을 우선으로 하여 학교교육을 중요시하였다. 「대동서」에서 人本院에서부터 小學院, 中學院, 大學院에 이르기까지 교육에 대해 언급하였다. 평등사상과 관련하여 그는 「대동서」에서 남녀, 계급, 경제, 인종의 차별 등의 방대한 평등사상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평등사상은 그의 여성교육에 대한 강조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당시의 과거제도라는 하나의 틀에서 벗어난 대동사상에 근거한 국민교육, 평등교육 그리고 여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중국 근대적 교육 내용에는 중국 대동사상과 관련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As the Great Unity Idea of China began to appear in ancient Chinese classics, it was passed down for 2,000 years from Kang Youwei to Sun Wen. It has been inherited for 2,000 years in China by a number of thinkers in different ages.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on educational aspects involving the formation and final form of the Great Unity Idea developed by Kang Youwei in the period of the Modern Reform Movement focusing on equality and the publicness of China to understand the effects and meanings of modern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Great Harmony Idea. The two concepts of ``Realization of Publicness`` and ``Great Global Unity`` were presented as the most typical expressions of the Great Unity Idea in Liyun of 「Liji」. In the Liyun of 「Liji」, the society where Datou is realized is called Daetong(Great Unity). Education to develop a man of honor who realizes the world of great unity and the possibility of good has been emphasized in the ancient Great Unity Idea of China. Kang Youwei, who was a leader of the Modern Reform Movement, targeted ``Daetongse`` as the final goal of social improvement using Kongyang Samsesol and discussed it specifically in 「Datongshu」. Although Kang Youwei planned a society of Great Unity from 1884, he specified it in the period of the Modern Reform Movement. What Kang Youwei suggested in that period was equality in national and female education based on the Great Unity Idea in 「Datongshu」. In the late 19th century, Kang Youwei made the concepts of public good and public law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the modern west orienting toward a new global combination through 「Datongshu」. Based on such a perspective, he put an emphasis on school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wisdom as a priority. The 「Datongshu」 mentioned Inbonwon, Sohakwon, Junghakwon and Daehakwon as educational institutes. With respect to equality, he broadly expressed equality for men and women, class, economy and racial differentiation. Such equality is revealed in his emphasis on education for women. Modern education of China has contents involving the Great Harmony Idea in that he emphasized education for the people, women and equality beyond the limited frame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閔百順의 『大東詩選』 연구

        林奎完(Lim, Gyu-wan)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5 No.-

        이 논문은 18세기를 대표하는 시선집 『大東詩選』에 대한 연구다. 『海東詩選』을 증보한 『대동시선』은 우리 시선집사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시선집이다. 존명배청사상이 이완되고 병세의식이 대두되던 18세기 시대상의 단면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대동시선』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당대 시단의 풍성한 성과를 충실히 반영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적인 색채와 개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농암과 삼연 형제 및 그 유파들의 시론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동시선』에는 중국과의 친연성을 가지는 작가와 작품을 대폭 수록하였고, 이를 통해 중국과 대등하다는 의식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문명의 東傳이라는 문화적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기자와 관련한 고가요와 신라, 고려의 국제적 인사들을 대거 부각하여 수록하였다. 셋째 당풍과 송풍, 7언 절구와 율시 등 시풍과 시체에서 비교적 균형감각을 가지고 안배하였으며 작품위주로 선발하여 객관적 설득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대동시선』은 한중 문화 교류의 결정으로, 18세기 시사가 집약되어 있다. 이후 쏟아지는 한중 문사 교류 및 한중 통합 시선집의 先聲으로서 18세기를 이해하는 핵심적 키워드가 곧 『대동시선』인 것이다. This Thesis is about DaeDongSiSun(大東詩選) which is a representative anthology of poetry in 18th century. Revised and enlarged with HaeDongSiSun(海東詩選), DaeDongSiSun(大東詩選) is very important in our history of poems. This reflects what the 18th century is like-the idea of 尊明排淸 disappears and contemporary idea appears. The features of DaeDongSiSun(大東詩選)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poetry achievements of the age, which leads to show characteristics of Josun Dynasty. NongAm, Samyoun brothers and those groups are in the stream of the times. Second, DaeDongSiSun(大東詩選) includes works of the China-friendly poets, through which it shows that people feel equal with china and proud of being newly cultural source. GiJa’ poems and those of Silla and Gogureu’ celebrities are included. Third, the poems of the time of Dang and Song, 7unjulgu(7言絶句) and ulsi(律詩) and others are equally collected and registered. DaeDongSiSun(大東詩選), the integration of 18th history of poems, is the fruit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is the first step of many books about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nations.

      • KCI등재

        “대동민주”와 조선주자학

        강경현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3

        Around the year 2000, it becomes prominent attempts that try to link Korea's "tradition" and "present" with the view on "Datong(大同)", which appears in the "Liyun(禮運)" section of Liji(禮記), as a concept. In these attempts, "Datong(大同)" works as an intermediary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taking the Korean Confucianism tradition into good consideration. And the "modernity" that lies at the intermediary point exists in an intermingled form of the western centric aspect and the so-called alternative modernity aspect that tries to overcome it. This attention to "Datong(大同)" actually was drawn from the discussion about "Datong(大同)", circa 1900. This is because a vivid trail of trying to confront the elements of the western modernity can be found at this point during the time whe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was dominant. By examining the recent concept of "Datong-democracy(大同民主)" proposed by Na Jong-Seok, "Datong(大同)" seems to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example, it is interpreted to bear the meanings such as publicity, political accountability, meritocracy, and equality, with focuses on "Tianxiaweigong(天下爲公)", "Minben(民本)" and "Anmin(安民)", "Xianneng(賢能)" and "Junping(均平)" 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Confucianism. With this, "Datong-democracy(大同民主)" comprises of concepts with implications of universal values derived from the Confucian tradition, and simultaneously, it plays a role of the criticism of reality in the framework of establishing the alternative modern system. This paper, prepared to provide responses to "Datong-democracy(大同民主)" with the perspectives of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attempts to demonstrate the skepticism in using the word "Datong(大同)" by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mainstream of Confucianism during Joseon Dynasty, until as recently as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t the center of such reluctance is the concern about the exclusion of the Confucian Rites(禮敎) which arises when "Datong(大同)" is regarded as the ultimate ideals on the structure of the contradictory understandings on "Xiaokang(小康)" and "Datong(大同)". By looking into the concerns of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on "Datong(大同)", it can be found that "Datong-democracy(大同民主)", which conceptualized "Datong(大同)" and interpreted it as an ideal of Confucianism of Joseon Dynasty and even Confucianism in general, is not considering the problems raised on "Datong(大同)" by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criticism on excluding Confucian Rites(禮敎). This problem can be approached in three different angles. First, there arises a gap between the concepts of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that acknowledged Confucian Rites(禮敎) and the concept of "Datong(大同)" that rejected Confucian Rites(禮敎). Second, due to this gap,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is excluded from the tradition as Korea's current conversation partner. Thir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Korean tradition that stems from the acknowledgement of Confucian Rites(禮敎) by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is neglected. This eventually leads to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non-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tradition of East Asia that is far from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on the flip side of the significance that "Datong-democracy(大同民主)" provided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Western-centered modernity debate by focusing on proving the continuity between Confucianism and Korea at present.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보이는 “대동(大同)”을 하나의 개념으로 바라보면서 한국의 “전통”과 “현재”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2000년 전후 두드러진다. 여기에서 “대동”은 한국의 유학 전통을 강력히 고려하면서 현재를 이해하도록 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매개 지점에 함께 놓여있는 “근대성”에는 서구 중심적 차원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소위 대안적 근대성의 차원이 혼재해있다. 이러한 “대동”으로의 주목은 사실 1900년 전후 “대동” 관련 논의에 착안한다. 유학 전통이 지배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구 근대적 요소에 대응하고자 했던 뚜렷한 흔적이 이 지점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최근 나종석이 제시한 “대동민주” 개념을 살펴보면, 이러한 대동은 중층적으로 조망된다. 예를 들어 유학의 전통적 맥락에서 천하위공(天下爲公), 민본(民本)과 안민(安民), 현능(賢能), 균평(均平) 등에 초점을 맞추고, 여기에 이미 공공성, 정치적 책임의식, 메리토크라시, 평등 등의 의미가 담겨 있었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동민주”는 유학 전통에서 유래한 보편적 가치의 함의를 지닌 개념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대안적 근대 체계 구축의 토대에 위치하면서 현실 비판의 역할까지 담당하게 된다. “대동민주”에 대한 조선주자학적 응답의 차원에서 기획된 이 글은 조선유학의 주류였던 조선주자학이 20세기 초까지도 “대동”이라는 어휘를 사용하는 데 대해 부정적이었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한다. 그러한 부정의 핵심에는 “소강(小康)”과 “대동(大同)”에 대한 대립적 이해의 구도 위에서 대동을 궁극적 이상으로 간주할 때 발생하는 예교(禮敎) 배제에 대한 우려가 놓여 있다. 조선주자학의 “대동”에 대한 우려를 염두에 둔다면, “대동”을 개념화하여 조선유학, 나아가 유학 전반의 이상으로 해석해낸 “대동민주”는 조선주자학이 대동에 대해 문제시한 측면, 즉 예교 배제에 대한 비판의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제는 세 측면에서 접근해볼 수 있다. 첫째, 예교를 긍정한 조선주자학과 예교를 부정한 대동 개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둘째, 그 간극으로 인해 현재 한국의 대화상대로서의 전통에서 조선주자학이 배제된다. 셋째, 조선주자학의 예교 긍정에서 기인한 한국 전통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한 포괄적 분석이 간과된다. 이는 결국 “대동민주”가 유학과 현재 한국의 연속성을 증명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서구 중심적 근대성 논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의의 이면에 조선주자학의 고민과는 거리가 있는 동아시아 내부의 비(非)-조선주자학적 전통과 접속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케 한다.

      • KCI등재

        ("大東亞" 談論と日本帝國の文學場 - 大東亞文學賞と芥川賞を中心に-)

        곽형덕 ( Kwak Hyoung Duck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6 No.-

        본고는 대동아문학자대회를 둘러싸고 당시 ‘내지’의 문학장이 어떻게 전개됐는지를 ‘대동아문학상’ 및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을 통해 실증적으 로 밝힌 글이다. 지금까지 대동아문학자대회에 대한 연구는 ‘일본문학보 국회’의 관여를 중심으로 일본제국이 ‘동원’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행동 양 태에 대한 언설 분석이 주로 이뤄져 왔는데, 대동아문학자대회에서 설정 된 ‘대동아문학상’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단독적으로 이뤄진 적이 없다. 이것은 대동아문학자대회 자체에 연구의 중점이 맞춰졌다는 점, 그리고 이 대회 자체에 대한 연구 성과의 축적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그 부산물에 해당하는 ‘문학상’에까지 연구자들의 관심이 미치지 못했던 것 때문이라 고 분석할 수 있다. 당시 이 대회는 ‘내지’에 의한 ‘식민지’ 문학자를 동원 한 것에 그치지 않고, ‘대동아문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와 관련된 ‘대동아문학상’을 분석하는 것은 필 수적이다. ‘대동아문학상’에는 일본문학보국회가 제시하는 전시기 ‘문학’ 이 가야 할 방향성이 내재돼 있었고, 이는 일본제국 지배 하의 식민지에서 의 문학 활동에 다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고에서는 대동아문학상이 ‘식민지’를 어떤 식으로 그려내면서 ‘아시아ㆍ태평양전쟁’과 관련을 맺었는지를 통해 당시 일본제국의 ‘문학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 보조선으로는 동일한 시기에 발표된 ‘아쿠 타가와상’ 수상작들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 대동아문학상 차상 공동수상작인 쇼지 소이치(庄司총一)의 『진부인(陳夫人)』과 오키 아쓰오 (大木惇夫)의 대동아시집 『해원에서 노래하노라(海原にありて歌へる)』를 분석했다. 또한, 같은 시기 아쿠타가와상과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서 당시 ‘내지’의 문학장이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의 추이와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것을 밝혔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일본문학보국회’가 ‘외 지’의 미디어와 단체를 통합해가는 과정이 ‘아쿠타가와상’ 수상작과 연동 돼 있는 것도 밝혀냈다. 특히, 『몽강문학』을 통해 몽골 지역이 ‘아쿠타가 와상’을 통해 ‘내지’와 통합돼 간 방식은 대동아문학자대회가 지향한 내지를 중심으로 한 외지(식민지)의 통합, 즉 ‘대동아공영권’이 표방한 방향성 을 잘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그 유사성이 지적된 적이 없었던 전시기의 대동아문학상과 아쿠타가와상을 접목시키는 것을 통해 당시 일 본 제국의 문학장이 지향해 간 ‘대동아’ 담론의 방향성을 읽어낼 수 있다. The Great Eastern Asian Writers Conventions (GEAWC) of 1941~1944, which mobilized Japanese and gaichi writers on a large scale through writers? collaboration with the military authorities, presented a rare situation in Japanese history. The GEAWC epitomized the extreme extrinsic focus of Japanese literature during the ten year Showa period (Showa-jyunendainihobungaku). The impetus behind this phenomenon was the desired integration of the gaichi literary sphere into the naichi. The first Great Eastern Asian Literature (GEALP) Prize was awarded at the second GEAWC in 1943 in Tokyo; no first place prize was awarded. There were six second place winners. Prize winning works by Japanese authors were Shoji Soichi The wife of Chen (chinhujin) and Oki Atsuo Sing in the Vast Sea (unabarade-utaeru)? The other winners were Shijun and Zaoching of Manchuira and Yuchi and Yuanxi of China. by his experiences living in Taiwan from the age of six. This novel indirectly portrays Japan Southeast Asian policies and marriage between Japanese and Taiwanese; through the portrayal of Yasuko perilous marital life with her Taiwanese husband, Chen. The conclusion of the novel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war propaganda literature. Rather, the representation of Southeast Asia is similar to that of novels depicting Manchuria as a fantasy in Korean literature of the 1930s. These vague portrayals reveal the illusion that functioned to relieve domestic unrest through the averting of people attention towards the new world, through representations of Manchuria. In contrast, in the 1940, it was Southeast Asia that came to be portrayed as the new frontier territory. Oki Atsuo collection of poems Sing in the Vast Sea (unabarade utaeru) was directly related to Southeast Asian war issues of the 1940s and to the author experience after his boat capsized outside Java, Indonesia. This collection includes fourteen poems, and conjure an exotic mood to portray Indonesia. These highly lyrical poems were intended to raise morale on the battle front, as well as to heighten the Japanese peoples-awareness of the war situation in Southeast Asia. From this examination of the Akutagawa and the GEALP prize winning works, we can conclude that these texts cannot be explained without examining their correlation to colonial narration. At the same time, it is evident that these works did not solely play a role as propaganda literature whose purpose it was to bolster the war atmosphere. Although they were far from disengaged from cultural policies, writers did attempt to protect literary value. The dichotomy between Japanese war propaganda and pure literature reveals writers-desire to protect the value of pure literature, asshown in The Wife of Chen and When the Wild Goose Flew. Through their comparative analysis, these works provide keys to understanding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 KCI등재

        《대동서》에 관한 `내향적(內向的)` 독법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文學 Vol.37 No.-

        康有爲是戊戌變法運動的領袖, 是中國近代一個有?大影響的ㆍ傑出的思想家ㆍ政治家. 他的著作?多. 其中《大同書》ㆍ《新學僞經考》ㆍ《孔子改制考》是最重要的著作. 如今關于《大同書》一般的評價如下; 《大同書》是戊戌變法時期中國近代思想一部光輝著作. 康有爲在其書中勇敢地揭露和激烈地?擊了封建專制制度, 幷從各個方面揭露和批判了歐美資本主義制度. 而且他說明資本主義制度不是永久存在的, 實現人類的理性社會就是變法的最終目標. 他在《大同書》中, 豊富的想象力, 對人類未來的理想社會作了多方面的設想. 可是, 有些論者把?認作一本欺騙人民的反動著作. 因爲《大同書》中所論述的內容帶有比較强烈的空想. 與此相反, 有些論者也肯定了《大同書》的歷史意義. 他們認爲康以爲的大同思想是一種偉大的空想社會主義, 在中國當時的歷史條件下有進步意義. 勿論肯定《大同書》也好, 否定《大同書》也好, 論者們都立足于《大同書》和當時政治的條件之關係來評價康有爲的大同思想. 我想, 這樣看法只是在理解《大同書》時可能的看法當中一個, 幷不是唯一的看法. 在本文提示的關于《大同書》之“內向的讀法”是其實例之一. 本文的目的是考察影響于《大同書》産生的各種“非政治的”要因: 比如, 大同思想的傳統淵源ㆍ康有爲的宇宙論與人性論ㆍ大同社會內部的下部結構來, 探討了“內向的讀法”的意義和其長處

      • KCI등재

        대동사회와 민주주의와의 결합적 관계성에 기초한 ‘대동민주주의’의 개념 설계: 시론(試論)

        윤황 한국행정사학회 2022 韓國行政史學誌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the concept of Daedong Democracy based on the combinatory relationship between Daedong Society and democracy. This study is conceived by the necessity of time and space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identified that Daedong Society has a combinatory relationship in the goal level of the political idea’s vision, and that democracy has a combinatory relationship in the practical level of the political realitiy's method. Second, Daedong Democracy is defined as a democracy practiced in a politically realistic way that secures a happy life for the people with the political idea’s goal of a Daedong Society in which all citizens live happy together. Third, the ideological goal of Daedong Democracy is proposed as building a Daedong Society in which we are happy and share happiness with each other. Fourth, the ideological value of Daedong Democracy is to accept the general principles of democracy and to emphasize that securing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s the basic ideology of value in Daedong Democracy. This is because the fundamental security of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for all people is the meaning of realizing the ideological goal of Daedong Democracy. Fifth, the basic principles of Daedong Democracy is proposed the people-centralism, inclusive-communication’s ideology, empathy-collaborationism and future-preparation’s ideology with basic principles of general democracy. At this time, the basic ideology and value of Daedong Democracy pursues 'Democracy of Happiness' by people-centralism, ‘Open Democracy’ by inclusive-communication’s ideology, 'Democracy of Symbiosis-Coexistence' by empathy-collaborationism and 'Democracy of Hope' by future-preparation’s ideology.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동사회(大同社會)와 민주주의(民主主義)와의 결합적 관계성에 기초한 대동민주주의(大同民主主義) 개념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는 촛불혁명 이후의 시간적 필요성, 공간적 필요성 등에 의해 구상되었다. 이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른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동사회는 정치이상적 비전의 목표 차원, 그리고 민주주의는 정치현실적 방식의 실천 차원에서 결합적 관계성을 갖고 있다고 규명했다. 둘째, 대동민주주의란 국민 모두가 더불어 행복하고 함께 잘 사는 대동사회의 정치이상적 목표를 갖고, 행복한 국민의 삶을 보장해주는 정치현실적 방식으로 실천하는 민주주의를 의미한다고 규정했다. 셋째, 대동민주주의의 이념 목표는 나와 너의 행복이 곧 우리의 행복이고 우리의 행복이 곧 너와 나의 행복이 되는 것, 즉 나와 너 우리 모두가 서로 행복하고 서로 행복을 나누는 대동사회를 만드는 것으로 제시했다. 넷째, 대동민주주의 이념가치는 일반적 민주주의 원리를 수용함과 동시에 그 중에 특히 행복추구권 보장은 대동민주주의의 기본적 가치이념이라고 강조했다. 국민 모두의 행복추구권을 기본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대동민주주의의 이념 목표를 실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동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와 함께 국민중심주의, 포용소통주의, 공감협력주의, 미래대비주의를 제안했다. 이때 국민중심주의는 ‘행복의 민주주의’, 포용소통주의는 ‘열린 민주주의’‘, 공감협력주의는 ‘공생공존의 민주주의’, 미래대비주의는 ‘희망의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대동민주주의의 기본 이념과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주자학과 대동사상

        나종석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1

        Recently, there has been heightened interest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cy of South Korea and Confucian traditions. This is accompanied by the emerging view that the thought of the Great Harmony(大同) is the core component of Confucianism formed by Confucius and Mencius, while Neo-Confucianism is a school of thought that curtails such a core component of Confucianism or overlooks it altogether. This approach is a departure from the existing mainstream framework in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thought of Joseon that bifurcated feudal and premodern Neo-Confucianism vs modern-oriented Silhak. This new and positive approach to the Confucian thought in the academic world may be identified as a branch of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as it finds the basic foundation of Confucianism in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Some academics who are of the opinion that the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is basically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insist that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completed by Zhu Xi), being contrary to the former, is merely Confucianism of Small Tranquility(小康) – this view of theirs extends even to Joseon Zhu-Xi studies, which served as the ruling ideology for over 500 years. However, even if one were to adopt the viewpoint that the ideal of the Great Harmony is the core element of the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whether Neo-Confucianism needs to be defined as a counterforce to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begs further deliberation. This article aims to question how logical it may be to define the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as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and Neo-Confucianism as Confucianism of Small Tranquilit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bstantiate that it is reasonable to point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of the Great Harmony. 최근에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와 유교 전통 사이의 긍정적 상관성에 주목하려는 시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런 흐름 내에서 공맹 사상의 핵심을 대동사상으로 이해하면서 주자학을 그런 공맹 철학의 핵심을 제한하거나 망각하는 학문 사조로 보는 인식이 새롭게 출현하고 있다. 이런 인식은 조선 시대 사상사를 봉건적 주자학 대 근대 지향의 실학이라는 이항 대립의 틀에서 접근하는 기존 사유 방법과 차이를 보인다. 지식인 사회에서 새로 등장한 유가 사상에 대한 긍정적 접근 방식을 대동(大同) 유학의 흐름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새로운 연구 흐름은 유학의 핵심적 사상의 얼개를 대동사상에서 구한다는 공통점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공맹 사상을 대동 유학으로 보는 관점을 공유하는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공맹의 대동적 유가 사상과 대비되는 이른바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송대 주자학은 물론이고, 그런 주자학을 500여 년 동안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 주자학을 소강(小康) 유학에 불과한 것으로 비판한다. 그렇지만 공맹 유학의 핵심을 대동 유학으로 보는 관점을 승인한다 해도 그것을 주자학과 대립적인 것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 공맹 유학과 주자학의 관계를 대동 유학 대 소강 유학의 틀로 접근하는 태도가 얼마나 설득력 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달리 말해 이 글은 주자학과 대동사상 사이의 긍정적 연관성을 강조하는 것이 나름 타당성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