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귀반사 요법을 이용한 20대 여성의 견비통 개선에 대한 연구

        안경민,조희숙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This research realized the effects of Ear-reflexology by applying it on shoulder pain patients, and in the precess, researched the perception people have on alternative treatment and Ear-reflexology. After putting Qi-tongseoks on the areas of the ear realted to shoulder pain of 30 women in 20's residing in Seoul in 5day intervals 5times, they executed a descriptive syudy of the results by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alternative therapy should 96.7% recognized the therapy, 50% had some experience and 53.3% had favorable intrest. The research result of Ear-reflexology should 66.7% recognized it, and 93.3% used it as remedy method. Overall, the recognition rate of alternative therapy and Ear-reflexology was very high. And we could conclude that Ear-reflexology was adaptabke in one field of alternative medicine. As a cure for shoulder pain, Ear-reflexology was applied and it was treated for 5times repeatedly. And after first treatment, 6.7% of applicants answered that it worked. The rate rose to 96.7% after treated five times. This shows that Ear-reflexology does work for shoulder pain , and it is much better if we apply it several times. In addition, 93.3% of the people who have received Ear-reflexology have shown reaction to recommend others the same treatment. Not only can this Ear-reflexology be a method to relieve shoulder pain, but also an easy remedy to improve health, and prevent diseases after in is studied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대체의학의 한 분야인 귀반사요법을 견비통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귀반사요법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귀반사요법에서 사용하는 기통석을 귀의 견비통반응구역에 5일 간격으로 5회를 부착한 후 그 결과를 설문지법을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체요법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96.7%, 이용 경험은 50%, 호의적 관심은 53.3%를 나타내었고, 귀반사요법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66.7%, 치료나 치료보조요법에 적용가능이 93.3%를 차지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대체요법과 귀반사요법에 대해 인지도가 높았으며, 귀반사요법이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견비통에 대하여 귀반사요법을 5회 적용한 결과, 효과가 있다고 답한 사람이 1회 적용 후에는 6.6%, 5회 적용 후에는 96.7%로 나타났다. 이는 귀반사요법이 견비통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귀반사요법을 적용 받아본 사람의 93.3%는 타인에게도 귀반사요법을 권유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귀반사요법은 견비통질환 뿐만 아니라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 개발한다면,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강증진 및 예방요법으로 더욱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귀어귀촌 현황과 지원정책 및 연구동향 분석

        진금주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2

        The 「ACT ON THE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RETURN TO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RURAL COMMUNITIES ACT」 enacted in 2015 to revitalize the attraction of new manpower to fishing villages facing the crisis of aging, hollowing out, and population extinction has made it possible to do many things. Although it has been 7 years sinc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is Act, this study analyzed this content focusing on data from the past 5 years becaus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academic research to examine the meaning of various changes and phenomena that have occurred.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concepts and terms related to fishing villages was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 definition of the term “Return to Fishery and Return to Fishing Villages” and it has henceforth been defined as “a person who had been registered as a resident under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for more than a year before moving to a fishing village”. In addition, by synthesizing the data from the last five year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ublished since 2016, the status and status of the number of Return to Fishery, upper-scale area of Return to Fishery, all residential area, households by number of Return to Fishery and Return to Fishing Villages’ households, age groups, occupation type, and concurrent work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Return to Fishery and Return to Fishing Village support policy was divided into “level of interest, desired stage, and settlement stage”, and research related to Return to Fishery and Return to Fishing Villages is limited to research service reports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Due to th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that individual researchers inevitably face in conducting research on returning to Korea,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turn to Korea based on official data. 고령화와 공동화, 더 나아가 인구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는 어촌지역으로 신규 인력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5년 제정된 「귀농어ㆍ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그동안 추진할 수 없었던 각종 지원 정책과 제도, 통계청 귀어인 자료 생성 등 많은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법의 제정·시행 후 7년째를 맞지만, 그동안에 발생한 다양한 변화 및 현상들을 종합하여 의미를 짚어보는 학술연구의 부재함을 확인하였기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의 귀어귀촌 관련 통계, 각종 제도, 연구물 등 공식 공개 데이터를 최대한 취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해 향후 보다 발전된 귀어귀촌 정책 수립과 추진 방향에 기여할 학술자료 작성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귀어귀촌과 관련한 개념 및 용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며 통상적으로, 또 공식적으로도 쓰이는 ‘귀어귀촌’ 용어에 대한 정의가 부재하다는 점을 지적, 이를 “어촌지역으로 이주하기 직전에 농어촌 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이 되어있던 사람이 어촌지역에 이주한 후 전입신고를 하고 어업활동을 하며, 혹은 어업 외 활동을 하며 거주하는 상태”라고 개념을 규정해보았다. 또 2016년부터 공표된 통계청 귀어인 자료 중 최근 5년간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귀어인 수, 귀어인 규모 상위 지역, 귀어 전 거주 지역, 귀어 가구원수별 가구, 연령대, 종사업종, 전·겸업 여부 등에 관한 실태와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내용을 해석하였다. 더불어 귀어귀촌 지원 정책 현황에 대해서는 ‘관심 단계·희망 단계·정착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현재 귀어귀촌과 관련된 연구는 국가 연구기관의 연구 용역보고서와 그 작업에 참여했던 연구진이 공동집필한 소수의 연구물로만 한정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이처럼 개인연구자의 단독 수행 연구물이 극히 드문 이유에 대해 밝혔다. 본 연구는 귀어귀촌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개인연구자가 필연적으로 부딪칠 수밖에 없는 자료 수집의 한계점들로 인해 귀어귀촌 실태 현황 관련 데이터는 현재 공식 발표된 통계청 제공 자료만을 기준으로 분석한 한계는 있지만, 주어진 연구환경 내에서 공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련 내용들을 분석해 본 최초의 시도였기에 이러한 부분이 본 연구가 가진 나름의 의미와 차별성이라고 판단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귀거래도(歸去來圖)>에 나타난 도연명(陶淵明) <귀거래사(歸去來辭)>의 은거생활(隱居生活)과 은자형상(隱者形象)

        강경희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2 No.-

        本文通過比較考察韓國和中國的《歸去來圖》來考察陶淵明的《歸去來辭》的接受史的一面。 本文就每部《歸去來圖》反映出對文學文本的闡釋而着眼, 考察韓國和中國的《歸去來圖》把《歸去來辭》的內容?樣形象化, 幷且比較考察其形象?樣呈現《歸去來辭》所表達的隱逸生活。 現存的《歸去來圖》之中, 以12世紀初傳稱北宋李公麟的《淵明歸隱圖》, 14世紀元初何澄的《歸莊圖》, 15世紀明前期李在, 馬軾, 夏芷的《歸去來兮圖》以及18世紀朝鮮時代鄭敾的8幅《歸去來圖》爲硏究對象, 進行考察, 而得到以下結論.. 第一, 李公麟傳稱的《淵明歸隱圖》和何澄的《歸莊圖》基本上充實地圖解文學文本的內容, 幷表現出歸鄕的樂趣和隱居生活的?适興趣。 第二, 李在, 馬軾, 夏芷的《歸去來兮圖》重視表現對文學文本的畵家的感受和情感, 幷描寫孤寂?逸的隱居生活和淸高飄逸的隱者形象。 第三, 朝鮮鄭敾的8幅《歸去來圖》是一幅非常獨特的作品。 這作品以故事人物圖變成爲山水畵之作, 其形式??新, 在中國的《歸去來圖》裏幾乎沒有。 該作品通過呈現沈着的?圍, 而表現在山水里?然自得的隱者形象。

      • KCI등재후보

        한국 귀면의 유형분류와 그 정체성

        김성구 한국기와학회 2024 한국기와학보 Vol.0 No.9

        귀면은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무서운 귀신의 얼굴로, 사귀와 재앙을 막아 인간의 삶과 죽음을 수호했다. 귀면은 인간생활을 위협하는 각종 재앙과 질병, 화마 등을 사악한 귀신의 탓으로 돌리고 이를 막기 위한 중요한 수단과 방책으로 신령스런 귀신의 얼굴을 형상화했다. 귀면 관련의 문헌과 가사(歌辭)는 근래에 조사되어 우리나라의 귀면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고려사절요』에 기록된 귀면을 비롯하여 귀면의 사자성어인 귀면나찰과 어두귀면 및 귀면불심, 그리고 귀두와 귀와 등 다수 발췌되어 중요시되었다. 우리나라의 귀면장식은 귀신의 독특한 표현방식에 따라 귀형과 귀두, 귀면과 유익귀면 귀목과 고리귀면 등 여섯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귀면이 전시기에 걸쳐 가장 성행했고 그 사용처와 형식적인 변화도 풍부하다. 귀면은 앞을 주시한 정면관의 얼굴위주로 대부분 묘사된다. 그리고 눈과 입을 무섭게 묘사해 사귀를 경계하며 위협했고, 이마에는 뿔이 돋았다. 그런데 인간은 사악한 귀신을 직접 상대하여 막아낼 수 없기 때문에 귀면으로 하여금 사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이귀제귀의 지혜를 발휘했다. 귀면이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사용한 일본말이고, 귀와(鬼瓦)가 ‘오니가와라’로 불리는 일본기와의 명칭으로 간주하여, 귀면 대신에 용면을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잘못되었다. 귀면과 귀두, 귀와는 우리나라의 여러 문헌과 가사에 나오며 국어사전에도 그 뜻이 풀이되었다. 따라서 귀면과 용장식의 비교를 통해 그 상위가 명확히 밝혀졌기 때문에, 용면은 귀면대신에 사용할 수 없는 근거 없는 신조어에 불과하며 하루빨리 철회해야 할 부적합한 용어이다. Monster-mask is the face of a fearsome monster with supernatural powers, believed to protect human life and death by warding off evil spirits and disasters. By attributing various calamities, diseases, and fires that threatened human life to malevolent spirits, monster-mask was a significant method and strategy to prevent such misfortunes. The face of the divine monster was thus personified. Recent investigations into literature and songs(歌辭) related to monster-mask provide important resources for the study of monster-mask in Korea. Notably, the monster-mask documented in "Goryeosa Jeolyo"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long with idiomatic expressions like GwimyeonNachal, EoduGwimyeon, and GwimyeonBulshim, as well as terms like Gwidu and Giwa, have been highlighted as critical sources. The decorations of monster-mask in Korea a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based on the unique expression of monster: Gwi-type, Gwidu, monster-mask, YuigGwimyeon, Gwimok, and Gorikwimyeon. Among these, monster-mask was the most prevalent throughout different periods, with diverse usage and formal changes. monster-mask is typically depicted as a frontal face with eyes staring ahead. The eyes and mouth are fearfully portrayed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horns often protrude from the forehead. Because humans cannot directly confront and repel evil spirits, the wisdom of Egui Jegui (using monster to control monster) was employed, with monster-mask acting as the direct deterrent against malevolent forces. The assertion that monster-mask is a term derived from Japanese u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at it should be replaced with Yongmyeon (dragon face) because monster-mask and Giwa (鬼瓦) are considered Japanese terms (Oni-gawara), is incorrect. monster-mask, Gwidu, and Giwa are well-documented in Korean literature and songs, and their meanings are clearly explained in Korean dictionaries. Therefore, comparing monster-mask and dragon decorations clarifies their distinction, and the term Yongmyeon is an unfounded neologism that should be promptly withdrawn as it is an unsuitable replacement for monster-mask.

      • KCI등재

        한자교육에서의 동원자(同源字)활용 -귀(鬼)와 외(畏)를 중심으로

        조은정 ( Eun Jeong Cho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이 논문은 鬼와 畏를 字形·字音·字義 세 방면으로 살펴본 후 두 글자가 同源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字形을 보면 畏는 鬼가 卜이나 복을 들고 있는 모형이며, 字音을 보면 畏는 影母微部에 鬼는 見母微部에 속하여 서로 통하고, 字 義를 보면 두려워하다는 의미를 지닌 畏는 鬼에서 분화되어 나온 글자이다. 본고는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鬼와 畏를 音符 혹은 意符로 하는 글자들의 공통 의미인 ``크다``, ``기이하다``, ``고르지 않다`` 등의 의미를 도출해낸 후 이러한 연구 결과와 한자교육과의 접목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gnate relationship between "Gui(鬼)" and "Wei(畏)" and tries to prove that they are from the same origin.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ructure, "Wei(畏)" is integrated with "Gui(鬼)" and "Bu (卜)" or "Pu(복)". The pronunciation of "Gui(鬼)" is categorized to the group of JianMu WeiBu(見母微部), and "Wei(畏)" is categorized to the group of YingMu WeiBu(影母微部). These two groups of pronunciation are closely relevant. The relationship of meanings of these two words are also relevant. "Wei(畏)" means fear, especially fear of "Gui(鬼)", the ghost. Later on, we found that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contain "Gui (鬼)" or "Wei(畏)" as their pictographic element or phonetic element have a semantic ingredient of "tall" or "bend". This paper also disscuses the use of these two words in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성과 계급, 신분, 집단 등에 따라 적대적으로 분열된 사회에서 귀신은 무언가 결여된 존재로 표상되며, 그것의 출현은 사회적 갈등과 모순을 환기시키고 불안과 공포를 유발한다. 이에 본고는 귀신을 사회적 적대의 증상적 표현으로, 귀신 이야기를 사회적 적대에 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무의식적 불안과 공포의 산물로 파악하고, 이를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의 분석을 통해 검토해보려 한다. 본론에 앞서 2절에서는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을 검토한다. 조선 후기 귀신 이야기의 주종을 이루는 조상의 신령에 관한 이야기가 거의 없다는 점, 반면 鬼物·妖物 등으로 불리는 기괴한 사물로서의 귀신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는 점, 그리고 민간신앙의 대상이기도 했던 이러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이야기가 많다는 점 등을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의 전반적인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조선 전기의 귀신 이야기 가운데 원귀 혹은 여귀로 분류될 수 있는 귀신 이야기 세 편을 중심으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적대의 문제를 분석한다. 먼저 『용재총화』에 등장하는 유계량의 원귀 이야기는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지배집단 간의 갈등과 투쟁, 승자와 패자의 원한과 죄책감, 그리고 패자에게도 울분의 근거를 인정하였던 민중들의 상보적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안생>으로 잘 알려진 여비의 원귀 이야기는 성적 차이와 신분적 차별에 의해 단절되고 가로막힌 소통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천담적기』 등에 수록된 현덕왕후의 원혼 이야기는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전도하고자 했던 민중의 상상력과 유가적 이념을 실현하고자 했던 16세기 사림의 문제의식이 상호 공명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끝으로 4절에서는 귀신 이야기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생성·유전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갈등과 균열의 역학에 주목한다.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는, 사대부들에 의해 기록된 것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민중의 상상력에서 생성되고 소문을 통해 유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는 유독 귀신에 지핀 사람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무속적·주술적 신앙에 매우 수용적인 자세를 지니고 있었던 하층 민중들이었다.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는 이들이 상상해낸 세계상과 응보론적인 도덕체계를 그 기저에 깔고 있는데, 필기 저자들인 사대부는 이러한 귀신 이야기에 동요되기도 하고 이를 검열하기도 하는 사후적 보고자였다고 할 수 있다. The ghost-the guishin(鬼神) called in Korean- was represented existence reminded the soci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aroused anxiety and f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tent social antagonisms in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shared The following features: The ancestral spirit(祖靈) almost did not appear, whereas weird thing(鬼物, 妖鬼) that were worshiped by the people frequently appeared. In sequence I analyze three lemures(寃鬼)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t reflected social antagonisms caused from the political struggle and sexual differe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Lastly, I analyze the dynamic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ghost stories. The subject that produced and distributed the ghost stor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people consisted of women and lower classes.

      • KCI등재

        한국 귀신 명칭의 명명 방식 연구

        홍기옥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85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귀신 관련 어휘 중 귀신 관련 명칭의 명명(命名)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귀신 관련 명칭의 어종 유형, 조어 유형,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관련 어휘의 유형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연구를 통해 언중들의 해당 대상에 대한 인지 양상과 명명 기반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귀신 관련 명칭은 ‘귀(鬼), 신(神), 귀신(鬼神)’의 한자어와 결합하여 ‘한자어+한자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외래어+한자어’ 형태로 표현한다. 둘째, 귀신 관련 명칭의 조어 유형은 바탕어(신, 귀, 귀신) 왼쪽에 구별표지(α)를 넣어 만든 ‘α+신’, ‘α+귀, ‘α+귀신’ 형태의 종속합성어 형태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구별표지인 ‘α’는 ‘자연 및 자연현상, 사람의 이름·지위·계층, 물체, 신체, 장소 및 위치, 초현실적인 대상, 종교 용어, 역할, 성별, 색깔, 수, 병명, 행위 관련어, 성질·상태 관련어, 음성상징어’ 등 범주의 관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만든다. 셋째, 귀신 종류 관련 명칭은 바탕어 ‘귀(鬼), 신(神), 귀신(鬼神)’을 포함하는 내심적 구성을 취하는 어휘가 외심적 구성의 형태보다는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 KCI등재

        ‘人鬼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살펴본 魏晉南北朝시기 鬼文化와 사회풍조 - 搜神記 , 幽明錄 을 중심으로

        이인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5

        “Sou Shen Ji(搜神記)” and “Yu Ming Lu(幽明錄)” are representative novel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refore, through the love story of the ghost of human in the two works, we can understand the society’s tendency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he people’s psychology at that time. The popularity of religious Superstition and ghost culture during the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as the reason for the large number of ghost stories, and this social situation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ghost love stories. The author of the novel tried to dispel complaints and social and political unrestand bleak reality through ghost stories. The stories are told in various novels about the period, as the issues of social success and love are also their main concerns. Since love and marriage are subjects that express people’s ideals and desires in detail, free love and desire for marriage, which are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are revealed through love stories of ghosts. The love story of the ghost, which unfolds as “a man who meets by chance – an exotic marriage – a man who returns to reality,” reflects the desire to rise in status that is impossible in the aristocratic society of the family. The love story of the ghost of a human being, which unfolds as “lover-death and soul-realistic love,” reflects the desire for free love and marriage. 搜神記 와 幽明錄 은 魏晉南北朝 시기를 대표하는 志怪小說의 秀作이다. 그러므로 두 작품의 ‘人鬼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이 시기의 사회풍조와 당시 사람들의 심리를 살펴보았다. 위진남북조 시기의 종교 미신과鬼文化의 유행은 鬼 고사가 대량으로 출현하게 된 원인으로, 이와 같은 사회적 상황은 人鬼의 사랑 이야기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당시 지괴소설의 저자들은 동란으로 인한 불안정한 사회정치와 참담한 현실에 대한 불만을 鬼 고사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다. 출세와 애정 문제는 그들의 주된 관심사였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은 이 시기 지괴소설을 통해 다양하게 서술되었다. 또 사랑과 혼인은 사람들의 이상과 소망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주제이므로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했던 자유연애와 혼인에 대한 갈망은 人鬼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표출되었다. 人鬼의 사랑 이야기는 鬼를 인간과 밀접한 존재로 부각시켜 당시의 사회현실과 생활을재조명하였기 때문에 현실성과 시대적 특징이 人神 사이의 사랑 이야기보다 훨씬 풍부하다. 그러므로 위진남북조 시기의 人鬼의 사랑 이야기는 현실성과 시대적 특징이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우연한 만남 – 異域에서의혼인 ‒ 현실로 복귀한 남성의 출세’로 전개되는 人鬼의 사랑 이야기에는 문벌귀족사회에서는 불가능한 신분 상승에 대한 욕망이 반영되었다. ‘생전의 연인 ‒ 죽음과 還魂-현실에서 이루어진 사랑’으로 전개되는 人鬼의 사랑이야기에는 자유연애와 혼인에 대한 갈망이 반영되었다.

      • KCI등재후보

        귀온열요법과 귀마사지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유정아,강경호,김수미,임미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3

        This study comparatively researched into the influence upon brain waves when carrying out ear-candle breathing method, thermal auricular therapy and auricular massage targeting adult women in their 20s-30s. After researching into general matters before experiment in all of three research groups, the brain waves, blood pressure, and pulse were measured. The group with ear-candle breathing did inhale for 10 minutes with having distance in 30cm from a user by shedding aroma in one ear candle with lying down sideways. The group with thermal auricular therapy maintained for 10 minutes with sticking ear candle in one-side ear with lying down sideways. The group with auricular massage carried out the smoothly auricular massage for 10 minutes with lying down sideways. In conclusion, the group with ear-candle breathing wasn't significant in all. The group with thermal auricular therapy was significant in pulse and stress quotient. The group with auricular massage was significant in pulse. Given seeing the findings, what there was no effect in the group with ear-candle breathing is considered to have no effect by inhalation because of being weak in aroma components, which are contained in ear candle. Also, the smell of being burned was stronger than the aroma scent when shedding ear candle. In light of this, the aroma scents within ear candle are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pulse as for the group with auricular massage. It is considered that user's psychological stability would be functioned because of having been carried out the smooth auricular massage, not acupressure. In the group with thermal auricular therapy, the smooth massage, sucking-up effect, and thermal sense gave the psychologically comfortable stability, thereby being considered to probably have influence upon stress quotient and pulse. 본 연구는 20-30대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귀마사지법과 귀온열요법, 이어캔들 흡입법을 실시하였을 때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 실험군 모두 실험 전 일반적 사항을 조사한 후 뇌파와 혈압, 맥박을 측정하였다. 세 실험군 모두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귀마사지군은 10분간 부드러운 귀마사지를 실시하였고 귀온열요법군은 한쪽 귀에 이어캔들을 꽂고 10분간 유지하였다. 이어캔들 흡입군은 이어캔들 한개를 발향시켜 피시술자와 30cm거리를 두고 10분간 흡입하였다. . 실험 전,후 귀마사지군은 혈압과 정서지수, 스트레스지수, 좌우뇌균형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맥박에서는 유의하였고 귀온열요법군은 혈압과 정서지수, 좌우뇌균형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맥박과 스트레스 지수는 유의하였다. 이어캔들 흡입군은 혈압 및 맥박, 정서지수와 스트레스 지수, 좌우뇌균형지수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귀마사지군은 맥박에서 효과적이었고 귀온열요법군은 맥박과 스트레스지수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이어캔들흡입군은 모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 KCI등재

        歸眞寺와 간행 불경 연구

        이상백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This study tried to note Gwijin-sa(歸眞寺) which is a temple at Mt. Goduk on Seoheung, Hwang-hae Province and the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by Gwijin-sa. Especially, this study aimed on the culture historical value of Gwijin-sa on Buddhism. First, this study examined Gwijin-sa’s historical concept, especially the relation of Gwijin-sa and Seongsu-sa(星宿寺), because these temples 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at the same time. Second, bibliographical features are examined by researching Buddhist scriptures directly. Gwijin-sa published twelve Buddhist scriptures and ten scriptures are remained. Third, this study was focus on the value of Gwijin-sa by examining Buddihist scriptures’ special features.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by Gwijin-sa is that this temple had a connection with famous monks such as Bou(普雨). These monks played a central role in Buddhism during king Myeongjong period in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Gwijin-sa was quite prosperous during king Myeongjong and this temple especially concentrated on publishing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through Buddhist scripture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famous monks who played a important role in Buddhism such as Bou had influence on Gwijin-sa’s publishing and managing. 본 연구에서는 황해도 서흥(瑞興) 고덕산(高德山)에 위치한 귀진사(歸眞寺)와 그 사찰에서 간행한 불경의 연구를 통해서 귀진사의 불교문화사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귀진사의 역사적 성격을 다루고자 하였는데, 특히 당시 불경 간행이 동시에 이루어졌던 두 사찰인 귀진사와 성수사(星宿寺)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보았다. 둘째, 귀진사 간행본들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서지적인 특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귀진사 간행 불경은 12종이 확인되며, 그 중 10종이 현존하고 있다. 셋째, 귀진사 간행 불경의 특징적인 면에 집중하여 귀진사의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귀진사 간행 불경의 두드러진 특징은 명종대의 보우(普雨) 등 불교 주요 위치에 있었던 승려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점인데, 그 점에 집중하여 귀진사의 당시 번성 정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귀진사는 조선 명종대에 상당히 번성했던 사찰이었으며, 특히 불경 간행에 집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행 불경을 통해서 당시 보우 등의 불교 주요 위치에 있었던 승려들이 귀진사의 불경 간행과 사찰 운영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