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서울 ‘중기 南社’의 결성과 활동 양상

        진민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4 규장각 Vol.64 No.-

        1784~1840년 서울 南村에서 활동하던 초기 南社(楠皐詩社)의 후배 문인들은 1832년부터 남촌의 시사를 계승하여 중기 남사로 활동했다. 중기 남사의 결성은 洪翰周의 글, <南園唱酬集鈔>(『海翁詩藁』 卷2‧3), 「南園唱酬集序」(『海翁文藁』 卷3), 「南園唱酬集」(『智水拈筆』 卷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1832년부터 1839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1기 활동기로, 이후 1839년부터 1865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2기 활동기로 비정한다. 1기와 2기를 나누는 기준은 <남원창수집초> 마지막 작품의 창작년도로 정한다. 2기 활동 양상은 19세기 서울 내 주요 시사의 창작시를 선별해 엮은 『槎橘』과 개인 문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기 남사의 1기(1832~1839) 동인은 洪翰周‧徐有英‧宋柱獻‧洪在鳳‧徐岐輔·徐世輔‧徐得淳‧崔憲秀‧李升遠‧洪祐吉‧洪吉周‧洪祐健‧李★土+喜‧李㘾 등 총 13명이다. 이들은 서유영의 자택 南園과 현석동 근처에 자리했던 홍한주 친인척 소유 별서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중기 남사의 2기(1839~1865) 동인은 기존 동인에 더하여 서울의 신진 문인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 權用正‧金尙鉉‧金永爵‧金在顯‧徐堂輔‧徐承輔‧徐種淳‧沈斗永‧尹正鎭‧李晩用‧李★土+敏‧任百經‧趙在應‧洪顯周 등이다. 2기는 19세기 중기에 형성된 서울의 대형 시사와 적극적인 교류를 이루었다. 주로 1860년부터 1865년까지 서유영을 필두로 남사의 문인들이 북사와 낙사 인물들과 시회를 벌이는 모습이 자주 포착된다. 중기 남사를 구성하는 동인의 성격은 첫째, 서울 남촌 거주 경화세족의 후예이지만 벼슬하지 않거나 말직에 있는 이들이다. 둘째, 같은 당파에 인척관계로 얽힌 경우가 많다. 셋째, 초기 남사(남고시사)의 후배 문인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世交를 통해 남사를 계승했다. 넷째, 경화세족‧몰락사족‧중간계층 문인 등 사회계급을 넘어선 문학 교유 활동을 펼쳤다. 이는 남촌의 지역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중기 남사는 다독과 박학을 추구하고, 장서에 취미를 두었으며, 훈고학을 중시하고, 이러한 문학적 취향을 반영한 시 짓기를 즐겨했다. 또한 19세기에 유행한 神韻論을 수용하고, 작품에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신운론은 작가의 개성만으로는 시를 짓기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학문 및 예술적 기호에 근거하여 격조 높은 시를 창작하는 것을 추구하는 문예론이다. 기왕의 연구에서 홍한주·서유영이 결성한 중기 남사의 존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그 실체를 깊이 고찰은 본고가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로 19세기 중반에 활동한 중기 남사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Junior Writers of early Namsa(南社: Namgo Poetry club(楠皐詩社))’s writers who were active in Namch’on(南村), Sŏul between 1784 and 1840 succeeded poet club in Namch’on from 1832 and made the mid-period Namsa. The formation of the mid-period Namsa is discernible through writings of Hong Hanju(洪翰周), such as Namwŏnch’angsujipch’o(南園唱酬集鈔), Namwŏnch’angsujipsŏ(南園唱酬集序), and Namwŏnch’angsujip(南園唱酬集). This paper delineates the first phase of the mid-period Namsa from 1832 to 1839, and distinguishes the second phase from 1839 to 1865. The first phase marks its inception with the final piece of Namwŏnch’angsujipch’o.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phase are discernible through Sagyul(槎橘), which was a selected collection of created poets of major poet clubs in Sŏul in the 19th century and other individual literary collections. Writers in the first phase(1832~1839) of mid-period Namsa were Hong Hanju, Sŏ YuYŏng(徐有英), Song Chuhŏn(宋柱獻), Hong Chaebong(洪在鳳), Sŏ Kibo(徐岐輔), Sŏ Sebo(徐世輔), Sŏ Tŭksun(徐得淳), Ch’oe Hŏnsu(崔憲秀), Yi Sŭngwŏn(李升遠), Hong Ugil(洪祐吉), Hong Kilju(洪吉周), Hong Ugŏn(洪祐健), Yi hŭi(李★土+喜), and Yi U(李㘾), totaling thirteen members. They were mainly active in Namwŏn(南園), the residence of Sŏ YuYŏng, and in the separate residence of Hong Han-ju’s relative, which was near Hyŏnsŏkdong. In the second phase(1839~1865) of mid-period Namsa, many new writers in Sŏul joined the club in addition to existing writers. Notable figures included Kwŏn Yongjŏng(權用正), Kim Sanghyŏn(金尙鉉), Kim Yŏng-jak(金永爵), Kim Chaehyŏn(金在顯), Sŏ Tangbo(徐堂輔), Sŏ Sŭngbo(徐承輔), Sŏ Jongsun(徐種淳), Sim Tuyŏng(沈斗永), Yun Chŏngjin(尹正鎭), Yi Manyong(李晩用), Yi min(李★土+敏), Im Paekgyŏng(任百經), Cho Chaeŭng(趙在應), and Hong Hyŏnju(洪顯周). These writers interacted actively with large poet clubs in Sŏul, which were formed in the mid 19th century. Particularly from 1860 to 1865, frequent gatherings between writers in Namsa such as Sŏ YuYŏng and those in ‘Puksa’ and ‘Naksa’ were ca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in mid-period Namsa were as follows : First, they were descendants of the prominent noble families residing in Sŏul(Gyŏnghwasejok 京華世族), but didn’t hold office or were in unimportant post. Second, they were in the same faction and entangled in relatives in many cases. Third, they were juniors of early Namsa(Namgo Poetry club)’s writers. Last, they have a literary companionship beyond social classes including the Noble families in Sŏul, the fallen nobility(沒落世族), and mid-class writers(中人階層文人). This was a result that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ch’on. It seems that Namsa adopted Sinunnon(神韻論) that was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and had willing to apply it to their works. Sinunnon is a literary theory that persues a high-quality poetry based on the academic and artistic tastes of different writers when a writer's personality alone is not enough to compose a poem. While the existence of mid-period Namsa that was formed by Hong Han-ju and Sŏ YuYŏng has been consistently acknowledged in some existing studies, there has been no thesis that study the substance of Namsa in-depth.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ould shade light on the activities of Namsa in the mid-19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문명의식: 홍한주, 이규경, 최한기를 중심으로

        김선희 ( Seon Hee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이 논문은 19세기 중반에 다양한 지적 정보들을 종합하고 재배치하고자 했던 세 지식인 홍한주, 이규경, 최한기의 사상적 작업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외부의 지적 자극과 정보들을 어떻게 내적으로 변용하고 지적 재배치를 시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외래의 지식에 대한 개입과 조정에 따른 후속적 결과가 아니라 개입과 조정의 전제와 지향성이다. 이 논문은 이를 문명의식으로 보고, 이를 통해 세 지식인들의 지적 태도와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치적 지향과 배제의 명분이었던 중화의식과 달리, 문명의식은 학문적 활동의 근본 전제로서, 올바르고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이념이자 가치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서학과 같은 외래의 자원과 전 시대보다 강화된 서양 강대국의 동진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이들의 문명의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이 변화가 이들의 지적 태도와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at how the three literati in the mid-19th century, Hong Han-ju, Lee Gyu-gyeong, and Choi Han-ki, tried to transform external intellectual stimuli and information internally and to realign those, by examining the works of the literati.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premise and orientation of such intervention and adjustment, not the subsequent consequences. This article regards it as civilization consciousness and examines the intellectual attitudes and tendencies of three literati. Civilization consciousness meant the ideology and value of the righteous, idealistic world, which served as fundamental basis of academic activities, different from sinocentrism which was the cause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exclusion.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how the external resources such as Western learning and the advance of Western great powers into the East Asia changed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and how the change affected their intellectual attitudes and practices.

      • KCI등재

        권상신(權常愼)의 현호별서(玄湖別墅)와 한강(漢江)에서의 문화활동(文化活動)

        김세호 ( Kim Se-ho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본고는 權常愼이 玄石洞 漢江 가에 경영한 玄湖別墅에 주목한 논문이다. 권상신은 19세기 京華世族의 상징적인 인물로 그간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고 현호별서에 대해서도 전체적인 규모와 대부분의 행적이 조명된 적이 있다. 여기에 덧붙이면 현호별서는 권상신 개인의 삶에서 가장 의미를 지닌 공간이자 19세기 한강의 문화사를 대변하는 주목할 만한 공간으로 생각된다. 이에 권상신이 이곳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고 무엇을 하고 지냈으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권상신은 현석동 일대의 한강변 聾石 위에 화려한 별서를 경영했다. 淸·亭을 중심으로 此翁樓·六宜亭·苟完亭·小東樓 등의 누정을 두었고 翠竹相送樓란 누각 등을 새로 추가해 당대를 풍미하던 경화세족 문인들과 활발하게 교유했다. 이러한 권상신의 삶은 아들 權敬履의 죽음과 함께 급격한 변화를 맞는다. 1810년 아들이 세상을 떠나자 세상에 대한 희망을 잃었고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韓山의 文村으로 이주하며 현호에서의 삶을 마감했다. 개인적인 애환과 호탕한 풍류가 공존한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권상신이 현호에서 보낸 세월은 대략 10년에 불과했지만 당대 문화사에서 주목할 만한 자취를 구가했다. 권상신은 이후 洪翰周를 사위로 들였는데 홍한주는 현호별서에서 처가 살이하며 장인과 친밀한 관계를 이어나갔다. 훗날 홍한주는 박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_智水拈筆_을 저술하는데 이는 일부 권상신의 영향이 작용했으리라 추정된다. 권상신 사후 현호별서는 폐망의 길을 걸었지만 소동루는 살아남아 명맥을 이어나갔다. 이후 洪直弼·趙斗淳·金左根 등 최고 권세가의 차지가 되며 거듭 전해진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권상신의 호는 ‘西漁’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현호별서에서 비롯된 것이니 평생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곳이 분명하다. 그러나 한편에서 조선 후기 한강의 상징적인 문화공간으로 규정해도 큰 무리는 없을 듯하다. 권상신은 현호에 화려한 별서를 경영하고 여가를 틈타 한강의 정취를 만끽했다. 당대를 주름잡던 명사들과 풍류를 즐겼고 자신이 소장한 고동서화를 바탕으로 학문을 전파했을 가능성도 엿보인다. 특히 소동루가 권귀들이 소유하고 싶어 했던 별서로 전해진 기록이 명확하니, 현호별서는 19세기 경화세족의 풍류와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공간이었다고 하겠다. I studied about Hyeonhobyeolseo(玄湖別墅) which was build by Gwon, Sang-Sin(權常愼). It was located in Hyeonseok-dong(玄石洞) that is on the Han river(漢江). Gwon, Sang-Sin has been noted for one of the representative patricians in the 19th century, so the research has been done with the Hyeonhobyeolseo's features and his life in Hyeonseok-dong. I thought that Hyeonhobyeolseo had noteworthy features. It was a meaningful space in his life and the representative place of Han river's cultural history in 19th century. So, I tried to investigate Gwon, Sang-Sin and Hyeonhobyeolseo in more detail. Gwon, Sang-Sin built posh villa on the Nong rock(聾石) which was located in Hyeonseok-dong(玄石洞) on the Han river. There were Cheonguijeong (淸?亭), Chaonglu(此翁樓), Yukuijeong(六宜亭), Guwanjeong(苟完亭), and Sodonglu(小東樓). Later, He added Chwijuksangsonglu(翠竹相送樓) and associated with representative patricians. However, his son Gwon, Gyeong- Li(權敬履) died suddenly, so he lost his hope and moved to Munchon(文村) in Hansan(韓山) after all. Gwon, Sang-Sin had been in Hyeonho about just 10years, but he leaved remarkable traces in cultural history. For example, Hong, Han-Ju(洪翰周) who was a famous author writing Jisuyeompil(智水拈筆) became Gwon, Sang-Sin's son-in-law. I think that he was be directly affected from Gwon, Sang-Sin in Hyeonhobyeolseo. Most pavilions of Hyeonhobyeolseo disappeared with Gwon, Sang-Sin's death, but Sodonglu remained with other patricians' possession for a long time. It seems to be special place. Seoeo(西漁) is the most famous pen name of Gwon, Sang-Sin. Seoeo was named after Hyeonhobyeolseo, so I'm sure that there was the most important place in his life. It also became the representative cultural place on the Han river in 19th century. Gwon, Sang-Sin had posh villa in Hyeonho and enjoyed beautiful scenery. In addition, he was associated with representative patricians, and his antique books influenced on later writers. Sodonglu was the one of the popular places that patricians wanted to have. I think that Hyeonhobyeolseo was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place on the Han river in 19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전반 서유영의 新興寺 행적과 詩交

        민선홍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is article traces Seo Yoo-young's deeds and poetry in Sinheungsa in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21 poems of him, Hong Han-ju, and Lee Seung-won. First, I proved the place and period of the poem. Sinheungsa is Heungcheonsa located near Jeongneung in Donam-dong, Seongbuk-gu, Seoul. Seo Yoo-young first visited here in the late spring of 1839, began temple reading for about three months from late spring to late summer in the same year, and revisited here in the 50s and enjoyed the last tour. I analyzed Seo Yoo-young's activities and emotions shown in poem. In the first tour, the excitement of tourists appeared, and Shinheungsa was a clean area with Buddhist mysteries. During the temple reading period, as separated from friends, the feeling of wonder changed to longing, and Sinheungsa became a lonely exile. In the last tour, the same peaceful joy returned, because he was with his friends. The criterion for such emotional change was whether to accompany friends. Sinheungsa was an ecstatic paradise with friends, and a desolate exile without friends. This change contrasts with Hong Han-joo and Lee Seung-won’s consistent wonder. Sinheungsa poem shows Seo Yoo-young’s friendship. The friends at this time means someone who can discuss poetry equally. Therefore, Sinheungsa poem can be defined as a record of poetry, friends, and paradise. The achieveme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supplement Seo Yoo-young's life in the studying period, which was not sufficiently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we could get a glimpse of the strong friendship of literature club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Seoul. Third, by restoring the scene of Sinheungsa that appeared in the poem, Sinheungsa could be invited to the realm of Korean literature. 이 글은 19세기 문인 雲皐 徐有英과 그의 벗 洪翰周, 李承元이 新興寺를 배경으로 지은 21제 34수의 시에 주목하여, 당시 서유영의 행적과 詩交를 추적한 것이다. 먼저 시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시기를 고증했다. 신흥사는 현재 서울 성북구 돈암동 정릉 인근에 있는 흥천사이다. 서유영은 1839년 봄 39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신흥사를 유람하고, 같은 해 늦봄부터 늦여름까지 3개월가량 신흥사에서 사찰 독서에 들어갔다. 이후 1850년대에 신흥사를 재방문하여 마지막 유람을 즐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서 서유영과 벗들의 신흥사 시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서유영의 행적과 감회를 분석하였다. 첫 유람, 서유영의 시에선 관광객의 설렘이 나타나며 그에게 신흥사는 불교적 신비가 흐르는 청정 지대였다. 사찰 독서 기간, 친구들과 떨어져 고립되자 경탄의 감정은 그리움으로 바뀌고 신흥사는 외로운 유배지가 되었다. 마지막 유람, 벗과 동행하여 다시 찾은 신흥사에서 서유영은 첫 유람 때와 같은 평온한 즐거움을 느꼈다. 이 같은 감정 변화의 기준은 벗과의 동행 여부에 있었다. 그에게 신흥사는 벗이 있으면 황홀한 낙원, 벗이 부재하면 황량한 유배지였다. 이는 그와 동행했던 홍한주와 이승원의 시에서 신흥사가 일관적으로 경탄의 공간인 것과 대비되었다. 신흥사 시는 서유영과 벗들의 끈끈한 우정을 보여주며, 이때의 벗은 대등하게 시를 논할 수 있는 존재이다. 따라서 신흥사 시는 시와 벗과 낙원의 기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연구에서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던 修學期 서유영의 생애에 접근할 수 있었다. 둘째, 19세기 초 서울․경기 문인 시사의 끈끈한 우정의 현장을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시 속에 형상화된 과거 신흥사의 정경을 복원함으로써 신흥사를 한국문학의 영역으로 초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금 · 원대시 수용의 제양상 - 홍한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기완 ( Kim Ki-wa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본고에서는 금 · 원대시 수용사 재구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별히 홍한주의 사례에 주목하기로 한다. 우선 홍한주의 저작인 『지수염필』에 산견되는 금 ·원대시 관련 언술을 통해 그의 금 · 원대시관이 갖는 성격, 즉 명말청초 시론과의 유사성을 추출해 본다. 또 그러한 금 · 원대시 인식이 창작의 장에 발현된 사례로서 홍한주 『해옹시고』 내의 금 · 원대시 대상 차운시를 살펴보고, 금 ·원대시 차운의 토대가 되는 중국 문헌의 개략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홍한주가 남긴 다량의 금 · 원대시 차운시는 조선후기 시단의 실제 창작의 장에서 금 · 원대시가 읽히고 활용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This manuscript attempts to examine the case of Hong Han-Ju as the restoration of the acceptance process of Jin-Yuan dynasty poetry. It extracts the similarity betwee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and poetics of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through a discourse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observed in Jisuyeompil written by Hong Han-Ju. This perspective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was manifested in creative writing; poems using rhyming words in Haeongsigo were studied as an example of this manifestation. Additionally, the framework of Chinese literature that served as the basis for poetry writing using rhyming words in Jin and Yuan dynasty was examined empirically. Particularly, several Jin and Yuan dynasty poems using rhyming words written by Hong Han-Ju indicated how this poetry was read and utilized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어느 영남 남인의 유배경험과 글쓰기 행위의 실제 -신야 이인행(新野 李仁行)(1758∼1833)의 위원(渭原),장연(長淵)유배시절 중심으로-

        최은주 ( Eun Ju Choi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abstract is focused on how the writing influences on the one`s life while he or she is sent into the exile, which is the peculiar experience in one`s life. The exile is a very strong shock to him or her without the gravity of the offense. Of course, even though the intensity and absorption of the shock vary from individuals to individuals, when the deportee were forced out to the new environment, they reveal their own character in their way how they manage their new life. Also, these revealed character reflects on their writing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writing is built into both distinct characteristic and personality. Moreover, the actual exile life is involved in the writing. Since one`s exile is different from various reasons such as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deportee and political circumstances but also the reason of exile, selection of the exile place, process of sending to the place of exile under escort, life in the place of exile, the time of dismissal from the exile, and the return to the office from dismissal,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ach the real exile experience to apprehend the deportee`s writing. Especially, since the living, rea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cont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re the very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on one`s writing,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ose factors in detail. Based on these point of view, this abstract examines how the one`s writing influences on the one`s character and personality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exile. The exile gives the absolute time and the shock at the same time in common, but the actual exile life based on the one`s political stance and the authority has an individuality. In this process, the deportee has his or her own writing skill based on place where he or she comes from, education, growing environment, and cultural preference. It is the result of which those factors have acted complexly that both Hong Han-Ju who was the member of faction of Noron Byuk as a Kyounghwasejok in 19th Century and Lee In-Haeng who was the Southerner of Yeong-Nam and was tried to overcome the political isolation.

      • KCI등재

        지방수령의 지역에서의 교유와 문자 수수 : 19세기 상주목사 홍한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주 ( Eun Ju Choi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Toward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enter-local separation becomes clear in many aspects. As Seoul gradually grows in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 and urbanized extensively, localities couldn`t help becoming relatively weaker. In the literature as well, this phenomenon clearly stood out. Especially as the Southerners in the Yeung-Nam region had their return routes have been blocked, they stick to the tradi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s a means to enhance cohesion, based on this focusing on studying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is tendency to put the literature to the bottom. In contrast, in Seoul, literature starts specializing, being separated from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innovative trends like Wihang literature spreaded and a variety of changes become evident. There were the classes that led and accelerated these changes at the time, and they were so-called Kyungwhasejok.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primarily that, Hong Han Ju (1798-1868), the person from Kyunwhasejok who fully experienced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s of Seoul in 19th century and obtained most updated knowledge information without distinction were appointed as the governor in the Yeung-Nam region dominated by the conservative and closed Southerners. And by catching this fact, it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he formed and established the literary relationships as the governor from different region and what the reality of literary collegial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s that he had as the appointed governor of Sangju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political and the literary relationship were approximately differentiated. Furthermore, Sangju functioned as the basis for Southerners of Yeung-Nam with Toegae School forming the mainstream, but also the academies like Heungahm Seowon and the Seosan Seowon who continued to work after the Westerner Noron-faction people coexisted in it, and showed exchangeability and opennes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As a result, Hong Han Ju accepted flexibly the circumstances of the region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properly differentiating and demonstrating his own background, political aspiration, and the literary taste, and built the relationships. What was more notable was the aspect of his literary relationships. Especially, Hong Han Ju who was proud of literary artistic governor was not bothered by factions and classes, and expanded the relationships that sought after solely the literary arts with certain writers and Wihang people who made literary achievements. Although it did not reverberate much,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Wihang people and men of letters with this literary competence existed even in Yeung-Nam that had particularly strong conservatism in the region in those days in the days of change. This can place certain signific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trend of country community literature at the end of Joseon that was blocked from the central literary circle and the micro approach about change. 조선 후기 京·鄕의 분리 현상이 제 방면에서 매우 뚜렷해지고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분리 현상은 학술 문단의 동향에서도 점차 두드러 지고 있었는데, 그 원인은 서울은 외국 서적의 빠른 유입으로 이미 다양한 지식 정보가 유통되어 그 습득이 매우 용이했던 대신 지방은 외부의 자극에 노출되지 못해 변화 발전의 계기와 발판을 전혀 구축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문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영남 남인들은 환로가 차단되면서 결속력 강화 수단으로 講學의 전통을 고수하게 되는데, 이에 기반하여 경학 탐구에 치중하며 문학은 말단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더욱 팽배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서울에서는 이미 문학이 경학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문화되기 시작하고, 위항문학의 등장과 같은 혁신적 경향이 확산되어 다양한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었다. 당시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또 가속시켰던 부류들이 있었는데, 바로 경화세족들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에서, 19세기 서울의 다양한 변화 발전을 온몸으로 체험하고 더불어 최신 지식정보를 가리지 않고 습득했던 경화세족 출신의 洪翰周(1798~1868)라는 인물이 당시 보수적 폐쇄적인 남인 중심의 영남 지역에 수령으로 부임해 구축했던 교유관계와 문자수수의 양상을 밝힌 것이다. 살펴 본 결과, 홍한주는 당대 정치·사회 정세와 지역의 사정을 탄력적으로 수용하면서 자신의 출신과 정치적 지향 그리고 문학적 취향을 적절히 구분 발휘하며 교유관계를 구축하였다. 문학적 교유의 측면에 있어서는, 문예지사로 자부했던 홍한주가 당파 및 신분계층에 구애 받지 않고 문예적 성취가 있는 지역의 일부 문인 및 위항인들과 오로지 문예만을 추구하는 교유를 펼쳤음을 볼 수 있었다. 그 파장이 크지는 못했지만 변화의 시대에 당시 지역에도 특히 보수성이 강했던 영남에도 이러한 문학 역량을 갖춘 위항인과 문인들이 존재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이는 중앙문단에 가려진 조선 말기 향촌 사회 문학의 동향과 변화에 대한 미시적 접근의 차원에서도 일정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