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세보 시조의 의미 지향과 형태적 특징 -현실비판시조를 중심으로-

        김정화(Kim, Jeong-Hwa) 한국어문학회 2021 語文學 Vol.- No.154

        본고에서는 이세보 현실비판시조가 지니는 의미 지향과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실비판시조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 성과도 상당하지만, 2000년대에 들면서 이에 대한 논의는 거의 소강상태이고, 해석상의 오류는 물론 재론을 요하는 지점도 상당수 발견된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되, 그동안 간과 하거나 소홀했던 점에 집중할 것이다. 애민의식이 드러나는 시조는 백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조였다. 몇 수 되지 않지만 이러한 시조에서는 백성들의 고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강한 비판성을 보여준다. 아전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조에서는 백성을 대상으로 하는 시조만큼은 아니나, 그들의 고충을 어느 정도 표현하고 있었다. 한편 수령과 방백을 대상을 하는 시조에서는 물욕을 비판하는 시조와 일부 훈계시조에서 애민의식이 보이기는 하나, 백성의 고충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세보의 현실비판시조에는 관료주의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작품이 훨씬 많다. 관리를 비판했다고 해서 무조건 애민으로만 읽어서는 안되는 지점이다. 이세보 현실비판시조에서 관리를 향한 언질은 상당수가 관료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백성보다는 관리의 안위를 위한 비판이자 당부라 볼 수 있다. 한편 이세보의 현실비판시조에 드러나는 형태적 특징을 보면, 우선 이세보는 내, 외반구의 대구는 물론 제 1, 2구의 대구를 의미상, 표현상으로 가장 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체득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시조의 율성을 충분히 살리고 있었다. 제1구의 외반구가 제 2구의 내반구와 내용상 연결된다고 해서 제 1구의 율격성에 결정적인 해를 끼친다거나 이를 율격적 어긋남으로 볼 수는 없었다. 제 3구를 이루는 척구는 감탄사로 고정화되어 있었는데, 이세보는 현실비판시조에서 감탄사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의미만이 아닌, 깊이로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끝율어가 생략된 제 4구에서는 대체로 의미 완결성을 보여주었는데, 다만 생략된 율어가 반드시 끝율어라 보기는 어려운 것이 있었다. 표면상으로 보면 율어의 수가 3개가 있어 다른 시조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율격적으로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들이었다. 이는 이세보가 시조창을 의식하되, 다소 경직되게 의식한 나머지 생긴 오류라고 할 수 있다. Lee sebo left huge numbers of 463 works, 6 collections of poem and exile diary (Sindoillok), His status in Sijo"s literary history is very significant. This study researches the meaningfu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e sebo’s critical Sijo in reality. To examine the Meaningful characteristics, the study classifies Sijo into the bureaucratic orientation Sijo and the Sijo revealing the consciousness of loving people. There are a few Sijo targeting people, but it showed the strong criticism while revealing the difficulties of people frankly. Some Sijo targeting officials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loving people but this feature is very weak in comparison with Sijo targeting people. The numbers of Lee sebo’s critical Sijo in reality are much more than the bureaucratic orientation Sijo. In Lee Se-bo"s Critical Sijo in Reality, many of the words toward officials are criticism and request for the security of officials rather than the people. His limitation of trying to solidify the system rather than the will of reform to reality is proved by the bureaucratic orientation Sijo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in Lee Se-bo"s critical Sijo in reality utilize the rhyming couple perfectly in line 1 and line 2. Even in the previously problematic Sijo, the rhythm of the Sijo was utilized through rhyming couple, so it could not be regarded as a form contrary to its form. Consequently, it is judged Lee Sebo considered the rhythm of Sijo actively while recognizing the convey of meaning in critical Sijo in reality. The third line was fixed as an exclamation, and it seems that Lee Se-bo tried to convey his thoughts and feelings in depth through the exclamation. And this should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method of Lee Se-bo’Sijo. Lastly, in the 4th line, where the ending yulo/foot was omitted, it showed completeness in terms of mea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omitted yulo was necessarily the final yulo. On the surface, the number of yulo is three, which seems to be similar to other Sijos, but they are quite different in rhythm. This can be said to be an error that Lee sebo was conscious of the Sijo chang somewhat rigidly. There still remains the points to be discussed in Lee sebo’s critical Sijo in realit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how Lee sebo’s Sijo in the 19th century is connected with the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lthough these discussions are not included due to the limitations of space, we look forward to active discussions on Lee sebo’s Sijo in the future.

      • KCI등재

        明代轉換期吳中詩派之批判現實的詩歌硏究

        원종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7 No.-

        본 논문은 明代의 弘治(1488-1505)、 正德(1506-1521)、 嘉靖(1522-1567) 시기의 吳中, 蘇州府의 문인들이 쓴 시 가운데 현실사회를 소재로 다룬 시들의 내용을 주제 별로 분류해 본 것이다. 본고가 연구 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전반인 셈인데 이 시기 明나라는 外患이 잦고 내정에 균열이 생기고, 土地가 고도로 소수자의 손에 집중되어 있었다. 상업과 도시가 발달하고 地方貴族들이나 藩王들이 叛亂을 일으키기도 하고, 유랑하는 流民들이 난을 일으키기도 했기 때문에 난세로 접어든다는 의미의 전환기이기도 하고,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성리학적 지배 이념이 완전 무력하게 되기 시작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중세로부터 근세로 접어들기 시작했다는 의미의 轉換期이기도 했다. 본인이 연구 대상으로 삼은 吳中의 文人들은 沈周와 文徵明의 주변 친구나 그 제자들인데, 이들은 시문뿐만 아니라 서예나 그림에도 뛰어난 작품을 남긴 예술가들이기 때문에 대체로 모범적으로 장기간 관리 생활을 한 사람이 아주 적고, 반대로 오늘날의 프리랜서들처럼 자유로운 삶을 영유한 사람들이었다. 그러므로 사회나 삶에 대해서 유가적 세계관을 가지기보다는 도가적 세계관을 가진 편이었으며, 그들 상호 간에 주고받은 시가작품도 사회적인 것보다는 園林의 有閑美를 읊은 것이나 題畵詩가 많다. 그러나 본인은 沈周, 祝允明, 唐寅, 文徵明, 黃省曾, 皇甫沖, 王寵, 皇甫涍, 皇甫?, 彭年, 皇甫?, 王穉登등이 쓴 시 가운데에도 外患, 政治問題, 자연재해, 盜賊, 習俗등 현실적 사회문제에 대하여 비판을 가한 작품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가능한 한 많은 작품을 찾아보려 했으나, 이들의 문집을 다 구해 보기가 어려워 오중 문인들에게도 현실을 비판한 작품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한 수준에서 그쳤을 뿐, 완벽한 연구를 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들의 詩史型작품을 통해서 그들의 삶의 환경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으며, 皇甫沖의 <順義戰> 같은 작품에는 正史에서는 누락되거나 왜곡될 수 있는 戰後褒賞制度의 비리 같은 문제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批判型작품들은 七子派의 정치적 견해를 표명하자는 작품운동에 어느 화답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17세기 부의 현실비판의식 연구 - ‘동물우언’을 중심으로 -

        구봉곤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0

        본 연구는 17세기 부 문학 작품에 나타난 동물우언의 분석을 통해 동물우언이 부 문학의 현실 비판 기능을 담당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17세기 부 문학 작품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부 작품의 동물우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부 작품 수가 많다고 평가받는 17세기 부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 중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열 한 편의 부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부 작품의 비판 대상은 당대의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과 특정 인물 혹은 계층에 대한 비판, 세태에 대한 비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의 이유는 또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자기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계층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기 위한 것, 둘째, 당대의 현실에 대한 토로를 통해 자기 위안을 삼는 것과 셋째, 현실의 상황을 극복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는 동물의 귀천에 따라 우의의 내용을 분류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17세기 부 작품의 현실 비판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 문학에는 지배계층 스스로의 자기반성과 당대의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담겨 있는 작품이 상당수 존재한다. 그 가운데 동물우언이 사용되고 있는 작품들에서 그러한 반성과 비판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animals~featuring satires among bu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 to show that the satires served as a medium of social criticism. The analy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lucidating characteristics of bu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imal~featuring satires in bu literature, we chose 17th century as it was a prolific period for bu literature. Among them, we examined 11 works of bu that featured animals. Meanwhile, the objects of criticism in bu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political circumstances, specific figures or social classes, or overall social condition. And the reasons for criticism are mainly threefolds: to urge self~reflection for readers and their social class, to provide self~consolation through a lament of reality, and to propose solutions to resolve problems. Stories can be also classified by the class of featured animals. We could verify critical voices in works of bu of the 17th century that featured animals. Quite a few works of bu contain self~reflection of the ruling class, as well as sharp criticism over the society. Such reflection and criticism could be found in animal~featuring works of bu.

      • KCI등재

        雙栢堂 林光澤 漢詩硏究

        정진성(鄭珍成)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4 泰東古典硏究 Vol.20 No.-

        18세기 여항시인의 한 사람인 쌍백당 임광택(1719~1798)은 여항 문단 안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한다. 그의 문학적 특질은 민의 삶의 생생한 포착 과 사회현실과 모순의 형상화 라고 할 수 있다. <夏畦行>·<漁戶行>·<貧家行>·<聽村老語有感>의 작품들을 통해, 농민·어민·빈민·유민들의 삶의 질곡을 생생한 형상화를 통하여 구현하였으며, <歎雨雹歲歉>과 <乍雨旋止> 등의 작품에서는 임광택의 비판대상이 지방읍재부터 조정대신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임광택은 비판적 문제의식만큼이나 그에 대한 해결 방법에도 고심하였는데, 이는 임광택이 보여준 민의 삶에 대한 관심이나 현실 비판적 시편들이 모순과 갈등의 인식 차원 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내면에 해결의 의지 를 담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임광택은 18세기 후반 조선의 위기상황을 외부로부터의 침입 과 조정 내부로부터의 부패 로 인식하였는데, 조선이 안과 밖으로 국가존망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는 의식, 그 자체로 현실인식의 편폭이 광범위한 지평 속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현실인식은 빈민, 유민, 어민, 국방, 정치적 부패, 상품화폐경제의 발달로 야기되는 사치와, 이로 인한 국가 전반적인 나태와 해이 등등의 폭넓은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는 l8세기 여항문단에 있어 쌍백당 임광택의 한시가 높이 평가받아야 하는 이유가 된다. 本論文是在18世紀活動的閭巷詩人雙柏堂林光澤對漢詩文學的硏究. 經過朝鮮後期壬辰倭亂和丙子胡亂等的戰亂以後, 新的文人層和文學樣相出現在兩班士大夫獨占的漢文學部分. 這就是由以技術職中人和京衙前書吏爲中心的閭巷人創作的 閭巷文學 . 朝鮮18世紀可說趨于 閭巷文學 的全盛時期, 這個時期雙柏堂在各個方面上占了獨特的地位. 首先是在當時像雙柏堂這樣的京衙前層主導當時的閭巷詩壇的情況下, 雙柏堂和當時詩壇的交流不甚密切便很特別. 幷且雙柏堂在京衙前書吏在任長達41年, 我們認爲在京衙前時積累的知識和對社會現實的批判性認識密切相關. 雙柏堂爲我們提供了對閭巷文人了解的一般事實- 經濟貧困 和 才能和地位不相符的矛盾 進行反思的餘地. 不僅如此,雙柏堂林光澤的現實意識和對社會各種問題的批判意識, 寫實性刻畵在京衙前層的閭巷文壇逐漸向山水趣味發展的情況下顯得尤爲突出. 雙柏堂的文集 《雙柏堂遺稿》中有460題569首的漢詩和16篇文章. 筆者把硏究的重点放在了雙柏堂的意識向大衆的生活和社會現實延伸時寫作的現實主義詩歌. 雙柏堂的內心深處潛藏着對周圍事物的愛心, 這從他的以家裏人爲主題的詩和以作者周圍事物爲主題的詩中, 可以得到确認. 特別是從以一般不引人注目的事物爲主題的詩句中, 我們可以看到作者對事物潛藏的愛心和細致的觀察力. 這不視角延伸到了民衆的生活和社會現實, 就使雙柏堂的漢詩達到了現實主義詩歌文學的境界. 以民衆的生活爲內容的詩篇通過眞率·的确的表現和寫實的形象表現出農民·漁民·貧民·流民等等的各種生活. 而且以受困難的民衆爲內容的詩篇裏對從地方的邑宰甚至到朝廷的大臣加以尖銳的批評. 抨擊社會現實矛盾的詩篇有几個種類. 在反映外交方面的詩篇上, 有反淸、北伐意志的內容, 在反映社會經濟方面的詩篇上, 有對由于貨幣經濟發達而來的奢侈風潮的批判和重視農業生産的中農的觀点, 在反映政治方面的詩篇上, 有批判腐敗和不合理、 取消賣官賣職的內容. 雙柏堂最大限度拓寬了閭巷文學現實批判性認識的范圍, 而且不僅僅停留在拓寬認識的范圍, 成功地創造出了着根于現實生活基礎之上的生動形象. 他的現實意識包含貧民·流民·漁民·國防·政治的腐敗和由于商品貨幣經濟的發達而來的奢侈風潮, 由此發生的國家全部分的懶惰和松弛等等的广泛的范圍, 這就是由于對身分上的問題若干的超越、 通過不斷讀書和創作的表現的 經綸 抱負、 在京衙前書在任的40餘年間積累的總本認識、 遠离主流詩壇的自由等等而來形成的結果. 這就是在l8世紀閭巷文壇上雙柏堂林光澤的漢詩應該受評价的理由

      • KCI등재

        노자철학에서 현실인간에 대한 비판

        이재권 ( Rhee Jae-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노자철학은 현실비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상사회[小國寡民]와 이상적 인간[聖人]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은 사회·정치·통치자·언어·행위 등 다양하다. 그 모든 것의 중심은 인간이다. 그러므로 노자의 현실비판의 시작과 핵심은 현실인간이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인간은 관리[士]·통치자·보통사람 등 세 부류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세 부류의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이상적 인간에 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춘추시대의 사(士) 계층은 주나라의 하급관리 출신들이다. 주나라의 멸망으로 실직자가 된 지식인들은 다시 제후국의 관리로 등용되거나 민간에 지식을 전수하여 먹고 살았다. 이 과정에서 순수한 진리[道] 탐구보다는 실용적인 지식의 탐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출세의 수단인 실용적 지식은 당시 사람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이런 지식을 팔고 사는 과정에서 많은 왜곡과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노자는 그 주체인 지식인들을 비판한 것이다. 현실인간 중에서도 노자가 집중적으로 비판한 부류는 통치자이다. 왕정시대에 모든 것의 중심은 왕(통치자)이기 때문이다. 춘추시대의 통치자들은 전쟁을 통하여 타국을 정복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다. 그들은 백성들에게 병역뿐만 아니라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 세금은 군자금과 더불어 자신들의 사치생활을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수월한 통치를 위해서 법을 앞세운 강압과 폭력을 휘둘렀다. 노자는 이런 무자비한 통치자들에게 신랄한 비판을 퍼부었다. 노자는 보통사람들과 인간 일반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인간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몸[身]을 가졌기 때문이다. 몸은 육체적 욕구를 가지고 욕심을 일으킨다. 또 다른 욕심은 정신적 욕망이다. 인간은 권력과 재물에 대한 욕심뿐만 아니라 강한 명예욕을 갖고 있다. 명예를 지키려고 가장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친다. 그리고 인간이 추구하는 것 중의 하나는 가치이다. 노자의 입장에서 보면 가치는 상대적인 것인데, 그것을 차지하려고 다툰다. Lao Tzu Philosophy begins with the criticism of reality. The destination is Ideal society and Ideal Human Being [Saint]. The reality he criticizes is diverse; including society, politics, ruling, language, and human behavior. The center of it all is the Human Being. Therefore, the beginning and the core of Lao Tzu's criticism of reality is the Human Being. Lao Tzu criticizes human beings in three categories: government official [士], ruler, and ordinary people. In this paper, we deal only with the criticism of these three kinds of people and do not mention ideal human beings. The officials come from the subordinat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Zhou Dynast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se intellectuals, who became unemployed due to the fall of the Zhou Dynasty, were reincarnated as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and lived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to the private sector. In this process, the exploration of practical knowledge was focused on, rather than the quest for pure truth. Practical knowledge, a means of success, was an object of envy to the people at the time. Lao Tzu criticized the subjects, intellectuals, because many distortions and problems arise from the process of buying and selling such knowledge. Among the human beings, the people that Lao Tzu criticized most intensively were rulers. The center of everything in the period of monarchy was the king (ruler). The ruler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ere trying to conquer other countries through war. They charged the people with heavy taxes as well as military service. Taxes had also been used for their personal luxuries, in addition to military funding. And he accused them of using coercion and violence for easy governance. Lao Tzu poured acidic criticism on these ruthless rulers. Lao Tzu also criticized ordinary people and the general public. One of the reasons why the Human Being causes problems is because it has a body. The body is greedy with physical desire. Another form of greed is mental desire. The Human Being has a strong sense of honor as well as greed for power and wealth. He devotes his most precious life to honor. And one of the things Human Being seeks is value. From Lao Tzu's point of view, value is relative, and it is contested to take it. On the other hand, living things are soft and dead ones are hard. Ordinary people are stiff and closed. Lao Tzu criticized these points of ordinary people and human beings in general.

      • KCI등재

        노자의 현실비판 사상

        이재권 ( Rhee Jae 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노자사상의 여러 특징 중에서 논자가 이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비판사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론비판보다는 현실비판에 초점을 맞추었다. 당시는 혼란기여서 전쟁이 빈발했는데, 통치자들은 많은 적을 죽이고 넓은 땅을 빼앗으려고 혈안이 되었다. 노자는 이런 전쟁관을 비판한다. 가급적 희생을 줄이고 전쟁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한다. 노자는 당시의 통치자와 그들의 통치방법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노자의 핵심 사상이 제왕학 이지만, 이것은 왕의 사적 이익을 옹호하고 대변해주는 술수(術數)지학이 아니라, 백성의 입장에서 왕의 잘못을 비판하고,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인간이 문화적 존재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려하게 꾸민 말은 진실하지 않다. 그런 말이 세상을 어지럽게 하므로 노자는 이에 대해 비판한다. 또한 언어는 문화발전의 훌륭한 도구이지만 기능적 한계를 갖고 있다. 노자는 언어에 집착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노자는 인간의 지나친 욕심과 억지스러운 행위, 즉 인위(人爲)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욕구나 욕망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그것이 지나치면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지나친 욕심이 억지스러운 행위로 이어지고 갈등과 싸움으로 번진다. 그래서 노자는 무욕하라고 말한다. 노자는 인간의 자랑질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자랑하고 싶은 마음도 인간의 본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 서로 자기 자랑하다가 싸움으로 발전한다. 그러므로 공을 세우고도 뽐내지 말고 뒤로 물러나라고 말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노자는 무욕의 방법을 제시한다. 무욕을 실천하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성인이 되면 인위적 행위를 하지 않고 무위를 한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이 되려면 성인이 다스려야 하고, 수양을 쌓으면 성인이 될 수 있다. What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in this paper among the several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aoism) Laozi Thought is his criticism thought. This paper focused on the criticism of reality instead of criticism of theory. Many wars broke out because it was in the confused stage at that time, and the rulers were desperate to kill many enemies and conquer wide land. Laozi criticizes such view of war and talks about how to reducing sacrifices and avoiding wars as much as possible. Laozi also criticizes the rulers and their governing ways at that time. Laozi`s core thought is the emperor studies, but it does not advocate and represent the personal benefits of a king but rather criticizes the king`s wrong do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people and tells him to govern and execute politics for people. Humans could become a cultural being because they use language. However, a gaudily decorated word is not truthful. Since such word disrupts the world, Laozi criticizes on this. Also, language is a great tool of cultural development but also has functional limits, Laozi criticizes the attitude of being obsessed with language. He also criticizes on the excessive greed and forced behaviors of humans, renwei(人爲) artifact behaviors. A greed or desire is in human nature, but it causes many problems if there is too many. Excessive greed leads to forced behaviors and develops into conflicts and fights. Laozi also criticizes human`s act of bragging. A desire to brag oneself is also human nature, but it also becomes a problem if there is too much of it. People brag themselves to each other and end up fighting. Therefore, Laozi tells them not to boast themselves and rather step back even after making a contribution or success. What is one wa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Laozi suggests freedom from avarice. A person who practices freedom from avarice is a saint. A saint does not carry out artificial act and commits inaction. A saint must rule the world to make a peaceful and just world, and a person can become a saint by cultivating his mind.

      • KCI등재

        이선관 시에 나타난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적 경향

        문흥술(Moon Heung-Sul)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3

        13권의 시집을 남긴 마산의 대표시인이자 후천적 뇌성마비 시인인 이선관(1942~2005)에 대한 평가는 주로 현실참여적인 측면에 치중되어왔다. 그의 시가 환경문제를 누구보다 앞서 전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 남북통일을 간절하게 기원했다는 점, 부패한 정권을 신랄하게 비판했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둘 때, 기존의 그러한 평가는 정당하다. 그러나 본고는 현실참여적인 측면을 강조하다 보면 그의 시 세계의 중요한 한 측면을 놓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그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질에 주목하였다. 그의 초기시는 장애인이라는 개인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고 그 상황을 순수한 인간 존재와 현대 도시 속의 인간 소외라는 주제로 확장,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그의 초기시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다. 먼저, 한국시사의 흐름과 관련해 볼 때, 순수와 참여 중심으로 이루어진 1970년대 한국 시단에서 이선관은 순수한 인간존재를 지향하는 작품과 모더니즘 계열에 해당하는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후기의 현실참여시와는 다른 측면에서 나름의 시사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 이선관 개인의 시적 흐름과 관련해 볼 때, 세 번째 시집부터 나타나는 현실비판적인 시에서 초기의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 정신은 새로운 형식 실험과 풍자 정신으로 질적 변용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현실비판시 중시적 긴장감과 감응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적 실험 정신이 저변에 깔려 있는 작품인 것으로 판단된다. 후기에 이르러 그러한 실험정신이 탈각되면서 그의 시는 편내용중심적인 현실비판시로 변모한다. Lee Sun Gwan(1942~2005) is a representative poet in Masan and a poet with cerebral palsy. He has published 13 collections of poems. His poetry mostly has criticized the social reality; for example, environmental problem,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criticism on dictatorship. For this reason, Many critics have evaluated his poetry from such a perspectives. But this manuscript has paid attention to another characteristic on his poetry. Lee's Early poetry has treated a critical situation about disabled person. Then, his poetry has changed personal situation into the topic on the pure human existence and the human alienation in the modern city. This criticism of human and the beginning of Modernism have formed the core of his Early poetry. And the two elements have changed a new experiments in the form and the spirit of satire in poetry of participation. The poetry that connotes this elements is the most typical one of his poetry of participation. His poetry of participation that this elements is not connoted has been degraded to all substance.

      • KCI등재

        소망과 현실 -오영수의 소설

        강헌국 ( Kang Heon-guk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대체로 삶은 소망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다. 개인의 소망은 현실 속에서 좌절되기 일쑤이다. 그리하여 소망의 실현을 허락하지 않는 현실은 냉혹하고 삶은 고통스럽다. 이 논문은 오영수의 소설을 통해 개인의 소망과 현실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였다. 현실에 의한 소망의 좌절은 오영수의 소설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서사 구성의 원리이다. 오영수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전쟁과 세태와 인습 같은 현실의 국면들에 의해 좌절한다. 그처럼 소망스럽지 못한 현실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오영수는 인간에 대한 신뢰를 제안한다. 인간에 대한 신뢰가 개인으로 하여금 고통을 견디고 삶을 지속하도록 한다는 것이 오영수의 소설에서 주로 강조되는 주제이다. 오영수는 현실에서 가능하지 못한 소망을 현실 너머에서 추구하기도 한다. 현실에 의한 소망의 좌절이 탈현실 지향으로 이어지기도 하는 것이다.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으로 형상화 되는 오영수의 탈현실 지향은 현실 비판의 의미를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묘사를 위주로 하는 오영수의 서술 방식은 현실의 작은 국면을 재현하는 수준에 머문다. 그러나 그러한 국면은 오영수의 솔직한 태도에 의해 진실성을 획득한다. 이상이 이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의 골자이다. 이 논문은 소망과 현실이라는 주제로 논의의 범위를 제한한 탓에 오영수에 대한 총체적인 작가론이 되기에는 미흡하다. 오영수 소설의 주요 국면에 주목하여 기존의 논의를 반성하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애초의 의도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존의 논의에 대한 보완하는 정도의 가치를 지닌다. This paper is projected to examine Oh Young-Su`s novel in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 wish and reality. The process that an individual wish become frustrated by reality is the principle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is frequently appeared in Oh Young-Su`s novel. Characters of Oh Young-Su`s novel are frustrated by situations of reality such as Korean war, earthly affairs, and convention. In order to cope with such an undesirable reality, Oh Young-Su suggests the faith in human beings. He thinks that the faith in human beings make possible for his characters to endure frustration and to continue their life. Besides He pursues to embody characters` wish which i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attain, beyond realit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pair in reality make him search for a place out of reality. We can name this place utopia. His aspiration for utopia connotes the meaning of a critique of reality. By the way his writing style which mainly uses description has some limit to be full critique of reality. For his description remains on the level to present small facets of reality. But those facets acquire a sort of fidelity because of his honest attitude.

      • KCI등재

        미술에 적용된 서사성의 미학적 구조 : 80년대 한국의 비판적 리얼리즘미술을 중심으로

        이주영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7 No.-

        1980년대 한국의 비판적 리얼리즘미술 경향을 대표하는 "현실과 발언"의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사회적 삶의 내용을 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내용을 미술에 나타난 서사성으로 파악하면서 그 미학적 의의를 루카치의 후기 미학에 토대를 둔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재고찰해 보았다. 현발의 작가들이 시각적으로 보여준 서사성이 리얼리즘의 내용적 관점에 포괄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즉 그들이 추상화된 현실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을 형상화하고자 했다는 것, 또 이러한 현실을 총체성의 관점에서 인식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인간관에 있어서도 존재상황을 추상적으로 일반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전형"으로 파악하고 구체적인 사회.역사적 환경 속에서 고찰하고자 했다는 점도 이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인간이 현실의 핵심적 내용을 인식하고 이를 예술을 통해 반영할 수 있다는 믿음을 보여주었다. 형식의 측면에서 볼 때, 리얼리즘의 특정 양식은 없기 때문에 작가들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식을 활용할 수 있다. 문제는 서사의 내용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외적인 것의 묘사를 통해 삶의 체험을 불러일으키고 정서를 환기시키는 것은 미술이 가진 매체적 특성이자 장점이다. 이를 위해 현발의 작가들은 형상의 힘을 적극 활용했고, 그 형상을 공간 속에 배치하면서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구성했다. 이를 위해 형상 자체에 집중하게 하거나 유기적인 구성 형식을 취하면서 구체적인 삶의 체험을 불러일으키기도 했고, 형상을 공간 속에 병렬적으로 배치하면서 삶의 양태를 다각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비판적인 시선으로 사회를 파악하면서 현실의 모순을 조형언어로 드러내고자 했던 작가들은 유기적 구성과 미적 형식을 파기하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했다. 이질적인 것의 대비, 파편적인 것의 조합 등을 통해 현실의 불협화음을 전달했다. 그들은 미적 형식이라는 안식처에 머무르지 않기 위해서 형식적 완성도에 대한 관심을 멀리했다. 따라서 감상자의 측면에서는 "미적인 감동"에 대한 아쉬움이 종종 표명되게 되었다. 서사성을 미술의 매체적 특성에 맞춰 새롭게 표현하고자 했던 그들의 의도도 형식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작가들은 형상을 공간 속에 배열하는 방식에 있어서 고전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민족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을 넘나드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때로 가상의 총체성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적지 않게는, 신선하고 충격적인 호소력을 주면서도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지나치게 직설적인 것이 되기도 했다. 이 경우 작가의 관념이 전제되면서 감상자의 풍부한 해석을 방해할 수 있었다. 또는 작가가 부여한 관념이 은유적이거나 모호하게 전달되면서 개인적 알레고리가 생겨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루카치의 표현대로 "현실이 총체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작품 속에 총체성을 담기 어려웠고, 나름대로 총체성을 담는 방식을 고안해 내야했던 근대 "비판적 리얼리스트"들의 힘든 노정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발의 여러 작가들은 인간에 대한 휴머니즘적 관점, 지금.여기의 삶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모색하는 점,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에 대한 전망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루카치가 주장했던 리얼리즘의 중요한 내용을 확보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그들은 현대미술의 다양한 형식과 대중문화형식을 적극 활용하면서 리얼리즘의 내용을 동시대의 문화적 감성에 맞게 폭넓게 확장·소통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e artists of "Hyeonsil & Baleon" who represented the tendency of critical realistic arts in Korea during the 1980s, tried to express the content of social life. In this thesis, this content is considered as narrativity in art and its aesthetic meaning is reconsidered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based on G. Lukacs' late aesthetics. The narrativity shown visually by the artists of "Hyeonbal", could be comprised in the context of realism. Namely, they tried to represent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abstract reality, and to recognize this reality viewed in the totality. Also in the standpoint for human, they did not generalize abstractly the situation of existence. Instead, they grasped the human as the "type", and tried to consider them in concret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s. By doing this, they showed their belief that people could recognize the essential content of reality and reflect it through art. In the aspect of form, there is no special type of realism. Therefore, artists can use various forms. The matter depends upon how effectively they can convey the content of narrative. As a medium, the characteristic and strength of fine arts consists of arousing the experience of life and the effect through the depiction of external things. The artists of "Hyeonbal" used the power of external forms, they disposed those forms in the space, and consisted the stories of life. For this, they focused on the form itself, or took organic composition forms, arousing concrete experience of life. Or they disposed forms side-by-side in the space, they revealed diverse aspects of life. Artists who tried to grasp society with a critical viewpoint and to express conflicts through the medium of fine arts used various methods that destroyed beautiful forms. Namely, they conveyed dissonance of reality, contrast of the contradictories, and combination of fragments. They were not interested incompleteness of form. Therefore appreciators often felt inconvenienced for the aesthetic impression. The intention of artists who wanted to express the narrative appropriately for the characteristics of fine arts, influenced the form of composition. The artists used various methods to arrange forms in space and those crossed over between the classic and the modern and the Korean and the Western. Through this, they were sometimes successful in creating virtual totality, and showed artworks arousing catharsis. But some instances, some artworks, though they had fresh and affecting impression, were too blunt in their narrativity. In these cases, often premised artist's concept could interrupt abundant interpretation of appreciators. Or some artists delivered their concept so metaphorically and ambiguously, that they made their own individual allegory. This situation reflects the difficult journey for modern critical realists who had to invent methods to capture totality in reality. Nevertheless, many artists in "Hyeonbal" obtained some important elements of Lukacs' realism in regard of humanistic viewpoint, critical seeking for meaning of life in the "here and now", and through this, suggested indirectly the perspective for a better life. Furthermore, using various modern art forms and popular culture media, they expanded the content of realism, suitably for contemporary cultural sensibility.

      • KCI등재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소재 국문시가 자료의 분포와 특징

        김승우(Kim Seung u)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중죄인에 대한 심문 재판 기록인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에 수록된 국문시가 관련 기록의 분포를 탐색하여 시대순으로 ①~⑰로 번호를 붙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재 작품들이 비판 의식을 드러내는 양상과 특징을 살핀 후 조선후기 시가사와 연관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⑧ · ⑫와 같이 종래부터 전승되던 시가 작품에 별도의 의미를 부여하여 향유한 경우에는 해당 작품의 전승사적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숙종8년(1682)의 기록인 ⑧에는 시조 “까마귀 싸우는 골에~”가 수록되었는데, 18세기 이래의 가집들에 수록된 형태와는 어구가 여러 군데 다르며, 특히 종장의 “江湖의 싯곡 시슨 지ᄎᆡ 피 모들가 ᄒ · 노라”라는 표현은 특유하다. 이 작품에 역적들을 규합하려는 뜻이 담겨 있다는 혐의가 불거지자, 이후의 전승 과정에서는 역모와 살육을 연상 시키는 종장의 표현을 완곡하게 다듬은 것으로 추정된다. 정치적 사건으로 작품의 전승이 훼절된 양상을 상정할 수 있는 사례이다. 영조9년(1733)의 기록인 ⑫에는 <왕소군원가>로 추정되는 가사 작품이 등장하는데, 여기에서는 왕소군의 한스러운 어조를 빌려 평소 나라에 대해 지니고 있던 울분을 표출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였다. 백성을 보호할 생각은 하지 않고 위정자들이 자신의 안위에만 여념이 없는 폐단과 그 때문에 겪는 백성들의 고통을 왕소군의 비극적 고사에 투영하였던 것이다. <왕소군원가>와 같은 이른바 ‘영사가사’의 부류가 연행자의 의도와 소통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편폭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한편, ⑤ · ⑦ · ⑰과 같이, 『추안급국안』에는 다른 기록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시가 작품이 등장하기도 한다. 작자의 비판의식을 드러내고 확산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가가 선택된 경우이다. 숙종6년(1680)의 기록인 ⑦에는 신출 시조 작품의 전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표면적으로는 16~17세기에 흔히 나타나는 강호시조의 일종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이상화된 국가를 강호 공간에 상정하는 적극적 의미마저 내포되어 있다. 때로 ‘강호’가 추상적인 이상향의 의미를 넘어서서 당시의 체제를 전복하고 대체하는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띠기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인조11년(1633)의 기록인 ⑤에 언급된 <상시가>는 17세기 초반이라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한성에서 창작된 작품으로, 인접 시기의 현실비판가사들이 임진왜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관료들을 대개 포괄적 견지에서 비판하는 반면, <상시가>는 인성군(仁城君)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라는 개별 사안을 초두에서부터 거론하면서 작품을 지은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 또한 “더러는 노래하고 더러는 읊었다.”라는 <상시가>의 연행 방식은 노래로 부르는 방식에서 읊조리는 방식으로 이월되어 가는 조선후기 가사의 향유 양상을 드러내는 사례로도 언급할 만하다. 순조4년(1804)의 기록인 ⑰은 현실비판가사가 한층 빈번하게 지어졌던 18~19세기의 현상을 보여준다. 우선 향촌사족 등 지방의 지식인층이 자신의 뜻을 조정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사 양식을 활용하였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토지 제도와 농민들의 삶에 대한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관료 인사를 비롯한 조정의 혼란상을 언급하다가 종국에는 임금의 자질과 성품까지 은연중에 비판하는 내용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후기 현실비판가사가 지닌 비판의식의 극단적 수위가 이 작품에 잘 나타난다. This paper aim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nacular poetry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venteen relevant records(①~⑰) have been found, among which five important cases(⑤ · ⑦ · ⑧ · ⑫ · ⑰) were carefully examined in this paper. If the existing works were newly interpreted and performed, as shown in ⑧ and ⑫,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the works. The record ⑧ of 1682 shows a well-known sijo poem “In the valley where the crows fight with each other~”, the expressions of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oems in sijo anthologi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its third line “The feathers of an egret washed and washed in clean nature will be stained with blood” is peculiar. This work was accused of being sung to rally the revolutions, so it is presumed that the people of later generations changed the third line, which reminds listeners of the rebellion and slaughter, to more periphrastic expressions. In the record ⑫ of 1733, there appeared gasa poem that is supposed to be Wangsogunwonga. In this case, the performer borrowed the tangible tone of Wangsogun and took a unique way of expressing his complaints about the country. Utilizing Wangsogun’s old story, he criticized politicians who did not intend to protect their people but considered their own welfare. Through such a case, it can be seen that gasa poetry based on history such as Wangsogunwonga had a wide variety of meanings depending on the performer’s intention. Meanwhile, as shown in ⑤, ⑦ and ⑰, Chuan and Gukan contains the mentions related to newly composed Korean vernacular poetry that are not found in any other records. These are the cases that poetry was chosen as a means to expose and disseminate the author’s critical opinion. In the record ⑦ of 1680, a newly discovered sijo poem is included. On the surface, it seems to be a sort of ‘nature poetry’ that is commo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it actually has an active meaning that assumes the idealized state or community to the natural space. Although nature is usually accepted as an abstract ideal in sijo poetry, we can find out in this case that nature sometimes has significance as a political space to overthrow and replace the irrational system of the time. The gasa poem Sangsiga mentioned in the record ⑤ of 1633 was composed in Seoul. While the gasa works of similar period criticized the bureaucrats who failed to properly deal with the Imjin War from a comprehensive standpoint, the author of Sangsiga clarified his intention of composing the work by referring to the individual issue of unjust punishment for Prince Inseong. Also, the way of performing Sangsiga reveals the way of enjoying gasa poetry of the later Joseon era, which had been gradually changed from singing to reciting. Finally, the record ⑰ of 1804 shows the phenomena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en gasa poems to condemn the politics were composed and diffused more frequently. First, it can be traced that the local intellectuals had utilized the style of gasa to express their thoughts to the court. The gasa poem of ⑰ raised the issues of the harsh tax system and peasants’ hard life, disclosed the chaotic politics, and eventually criticized the king’s incompetency and misconduct. The extreme level of critical mind reflected in gasa poe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well shown in this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