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중국어 ‘ 被 ’자문의 교육과 교재 구성안

        최유미(Choi, You m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3 No.1

        중국인이 피동문을 구사하는 것은 불규칙적이고 습관에 따른 경우가 다수이다. 입문자를 제외한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자라면 중국어의 피동문 그중에서도 ‘被’자문에 대해 한번쯤은 공부해 보았을 법하지만 사실상 제대로 발화하기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언어의 활용단계에서 많은 오류 문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까닭에 피동문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또 중요한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현대중국어 ‘被’자문을 교육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정하고, 이에 관한 방안을 바탕으로 교재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被’자문 교육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첫 번째는 ‘被’자문이 가지는 불쾌한 의미적 성격이 현대중국어 ‘被’자문 교육에 적합한지에 관한 문제이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被’자문의 의미적 성격에 대해 실제 예문을 가지고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이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분석 연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현대중국어의 ‘被’자문이 가지는 의미적 색채의 방향성 이 결코 한 방향이 아니었음을 밝혀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두 번째는 교재에서 이루어지는 ‘被’자문 교육의 소극적 노출에 관한 문제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구문과 연계하는 작문연습과 같은 적극적인 ‘被’자문의 삽입 방안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被’자문의 교재 구성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예시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는 ‘被’ 자문과 한국어 피동문과의 일대일 대응에 관한 문제이다. 분석 결과 ‘被’자문과 한국어 피동문의 일대일 대응은 다수의 문장에서 가능했다. 그런데도 한국어 모어 화자로서 모국어의 방해를 받지 않고 중국어의 ‘被’자문을 유창하게 사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被’자문의 적절한 사용법을 두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의미상 피동문의 개념설명 및 표현방법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앞 뒤 상황에 따라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지 않는 피행위자도 주어가 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마지막으로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被’자문 교재의 구성안을 제시한다. 이 에 문법 교수와 의사소통 교수에 동시 적합한 ‘도입(Warm up) →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사용(Use) → 마무리(Follow up)의 5단계 언어수업 구성을 도입하여 ‘被’자문 교재구성안을 설계하였다. 도입단계에서는 시청각 자료를 통해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제시단계에서는 ‘被’자문의 의미와 구조 형태를 연습하기 위한 자료를 만들었다. 연습단계에서는 그림 자료와 반복 문형 연습을 통해 습관화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고 사용단계에서는 조별로 회화연습과 토의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과제를 제안하고 스스로 복습하여 교수와의 피드백을 시행하도록 한다. 현대중국어의 피동문연구는 기존연구가 다량이며, 현대중국어의 피동문으로 대표되는 ‘被’자문연구도 다수 이루어졌지만 상대적으로 ‘被’자문 교육을 위한 연구는 적다. 그런 점에 있어서 본고는 ‘被’자문 교육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제시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 학습자의 시각에서 교육의 초점을 두었다는 점은 앞으로 유용한 자료로 참고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중국어 ‘被’자문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적성에 맞추어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더 많은 교육법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중국어의 피동문 교육은 반드시 체계를 가지고 접근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구문이라는 친근한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학습 대상자의 모국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실효성 있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use of passive sentence by Chinese people has no rules and habits. Except for beginners, Chinese learners are asked about the passive sentence especially The ‘被(bei)’ Construction. But in fact,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speak correctly. This results in many error sentences during the use of language. This is why the passive sentence is active and an important area of study. In this paper, I set the problems that Korean people face when they study Chinese passive sentence. To educate this a number of construction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learners on the advice of The ‘被(bei)’ Construction in Chinese, we will set up some education objectives through analysis and present a systematic plan for textbook construction.

      • KCI등재

        통사적 분석성과 매개변인 이론에 대해 (2)

        Huang, C. -T. James,朴赫在(번역자),南良祐(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중국어가 고립어 혹은 분석적 언어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중국어가 통사적으로 분석성(analyticity, 分析性)을 가짐을 논증한다. 또한 중국어의 분석성 현상과 이에 대한 최소주의 생성문법의 설명이 비단 현대 중국어뿐 아니라 고대 중국어, 중국어 방언 및 통시적 변천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론의 5장에서 저자는 현대 중국어 명사 및 동사의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을 제시한다. 현대 중국어 특유의 형용사의 어휘-하부 수식, 결과 구문의 직접 목적어 요구(DOR) 위반, 비능격 동사의 비대격 용법, 주어/목적어의 비선택제약성은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의 산물이다. 6장에서 저자는 고대 중국어 통사부가 현대 중국어와는 대조되는 종합성을 갖고 있음을 보인다. 경동사가 필요 없는 명사파생 동사, 진정한 포합, 단순 사동문을 통한 완수의미 실현, 수량 분류사가 필요 없는 가산명사, 방위사가 필요 없는 처소자격 명사는 어휘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그리고 의문사 목적어 전치, 관계대명사 所+동사의 목적어 선행, 为/唯초점구 전치, 대조화제 전치, 부정 영역 내 대명사 목적어 접어화, 동사 후속 절 부가어, 표준 공백현상은 절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저자는 중국어의 어휘범주핵 및 기능 범주핵(F0)이 이동의 촉발성 자질([+강] 혹은 [+EPP])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대 중국어의 종합성을 설명한다. 이로 볼 때, 중국어의 통사부는 거시적으로 ‘종합성(B.C.500-A.D.200)→분석성(-A.D.1000)→온건한 종합성’의 변천을 겪어왔다. 현대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들에서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는 온건한 종합성의 정도 차이이다. 7장에서 저자는 현대의 표준중국어, 광둥어, 타이완 민남어를 대조하며 이를 분석성의 차이로 설명한다. 이들 방언들은 원형 분류사구의 분포, 동사-목적어 어순, 到-처소-去와 去-처소 중의 선택, 사동 포합, 상 접미사의 분포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이완 민남어, 표준중국어, 광둥어 순으로 분석성이 강하다고 할 때, 이와 같은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세 방언의 분석성의 차이는 또한 이들 방언의 영(null) 수사, 동사핵, 사동 경동사, 상 접미사가 이동 혹은 일치에서 촉발 혹은 비촉발 자질을 갖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8장에서는 중국어의 분석성에 대한 본론의 논의를 요약한다. 그리고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을 분석적―종합적과 같은 대형 매개변인보다 이동, 일치의 촉발―비촉발과 같은 소형 매개변인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한다. 소형 매개변인으로부터 대형 매개변인을 도출하는 기제를 다루는 최근의 연구를 소개하며 논의를 마무리한다. This paper shows that Chinese has syntactic analyticity in language typology perspective. The syntactic analyticity is observed in Old Chinese, Modern Chinese Dialect as well as Modern Mandarin Chinese, and also can be explained by the minimalistic analysis of Generative Grammar. In Chapter 5, I present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gument structures of nouns and verbs in Modern Chinese(MnC). The sub-lexical modification of adjectives, Direct Object Requirement violation of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obvious unaccusative use of unergative verbs, and unselectiveness of both subject and object are products of the analyticity of argument structures in MnC. In Chapter 6, I show that the Old Chinese(OC) syntax has synthesis that contrasts with MnC. Denominal verbs that do not require light verbs, true incoporation, realization of achievement meaning through simplex causatives, countable nouns that do not require numeral classifiers and nouns qua locations that do not require localizers reveal synthesis at the lexical level. And wh-object fronting, relative pronoun Suo+verb preposition, Wei/Wei focus phrase preposition, contrastive topic preposition, pronominal object cliticization in the domain of negation, postverval clausal adjuncts and canonical gapping reveal synthesis at the clausal level. I explain the synthesis of OC as the lexical category head and functional category head(F⁰) of OC have the triggering qualities of movement ([+strong] or [+EPP]). From this point of view, Chinese syntax has undergone a macroscopic change in “synthesis(B.C.500-A.D.200) → analyticity(-A.D.1000) → mild synthesis.” The synchronic variation in the various dialects of modern Chinese may be characteriz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oderate synthesis. In Chapter 7, I contrast Modern Mandarin Chinese, Cantonese and Taiwanese Southern Min(TSM) and explains them as differences in relative analyticity. These dialects differ in the distribution of bare classifier phrases, verb-object word order, choice between Dao-locative-Qu and Qu-locative, causative incopo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spectual suffixes. Given that it is highly analytic in the order of “Catnonese > Modern Mandarin > TSM”,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Furthermor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null numeral, verbal head, causative light verb and aspectual suffix differ in triggering features([}strong]) in movement and agreement among the dialects. Chapter 8 summarizes the bodys discussion on the analyticity in Chinese. In addition, I argues that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micro-parameters such as triggering of movement/agreement rather than macro-parameters such as analyticitysynthesis. I finish my discussion by introducing a recent study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deriving macro-parameters from micro-parameters.

      • KCI등재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YANG YU,이경철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7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spondences of Modern Chinese and Sino-Japanese through Chinese characters from Japanese Joyokanji Table(2010), which correspond to the syllable (C)aV in Modern Chinese.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u:ou”, “au:jou”. On the other hand, some rhymes of entering tone shown a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u:aku”, “au:jaku”.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e(蟹). Beside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Mo(陌), rhyme-Mai(麥). This is because stop coda was dropped in Modern Chinese, but in Sino-Japanese rhyme-Mo(陌), rhyme-Mai(麥) appear as -aku type or -jaku type. Correspondences shown as “au:ou”, “au:jou”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ao(效). Besides, correspondences “au:aku”, “au: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For the same reason,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appear as “au” in Modern Chinese but -aku type or -jaku type in Sino-Japanese.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중국어음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현대 중국어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중국어 내 중고음에서 현대음까지의 音韻變化 및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을 聲韻별, 系統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중국어 (C)ai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i:ai 대응, ai:a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i:aku 대응, ai: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중국어 (C)au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u:ou 대응, au:jou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u:aku 대응, au: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ai:ai 대응, ai:a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蟹攝 1・2等韻에 해당한다. 중고음에서 蟹攝 諸韻의 主母音이 합류하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 기본적으로 이를 계승하고 ai로, 일본한자음도 주로 -a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지 일본한자음에서 일부 한자가 陰韻尾가 탈락된 -a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중고음에서도 陰韻尾가 탈락 또는 약화된 방언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ai:aku 대응, ai:jaku 대응은 梗攝 開口2等 陌韻・麥韻에 해당한다. 陌韻・麥韻의 入聲韻尾가 p/t/k>ʔ>ø와 같은 변천과정을 거쳐 약화・탈락하였으며 蟹攝에 合流하였다. 따라서 현대 중국어에서 蟹攝韻과 같이 ai로 나타나지만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au:ou 대응, au:jou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效攝 1・2等韻에 해당한다. 현대 중국어의 (C)au는 기본적으로 중고음의 效攝 諸韻을 계승하고 있다. 일본한자음에서도 -au형으로 수용하였는데 재차 オ段長音開合의 혼동으로 인해 -au형>-ou형으로 변하였다. 2等韻의 경우 吳音이 -eu형으로 수용하였으며 재차 連母音의 長音化로 인해 -jou형으로 변한 것이다. u:aku 대응, au:jaku 대응은 宕攝 開口1等 鐸韻, 江攝 開口2等 覺韻, 通攝 開口1等 屋韻에 해당한다. 鐸韻・覺韻・屋韻은 모두 入聲韻에 해당하는데 入聲韻尾가 탈락하면서 현대 중국어에는 uo(o), au, ɤ 등 으로 변했다. 그러나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유지하고 있는 중고음을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난 것이다.

      • 현대중국어 ‘被+X+V+爲’형식의 어법특징에 따른 교재구성안

        최유미(You Mi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현대중국어의 피동문은 하나의 특수구문으로 한국인 학습자들로부터 난이도가 있는 문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피동문의 대표 구문이라 할 수 있는 ‘被’자문은 한국인 학습자가 익히기란 쉽지 않을뿐더러 연구된 논문들의 수량에 비해 실제 국내 중국어 교과서 내에서 피동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저조하였다. 본고는 학습자들의 피동문에 관한 어려움을 줄여주고자 ‘被’자문의 확장 형식 중 한 가지인 ‘被+X+V+爲’형식을 통해 효과적인 ‘被’자문의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被+X+V+爲’형식은 현대중국어 ‘被’자문의 확장 형식 중의 하나로 비교적 높은 빈도수의 예문을 차지한다. 실제 중국에서 사용하는 현대한어교재에서도 ‘被+X+V+爲’의 예문을 활용한 지문이 자주 발견된다. 현대중국어 ‘被’자문 교육에서 ‘V+爲’형식을 활용한 예문 연습을 학습시킨다면 학습자로부터 피동문에 관한 이해, 사용법의 확장 및 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고의 연구과제는 그동안 교육적 각도에서는 자주 노출하지 않았던 ‘被’자문과 ‘V+爲’형식의 결합에 관한 사용상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被+X+V+爲’형식의 문장이 가지는 의미적 특징과 통사적 특징을 정리·종합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중국어 교재에 이를 적용하여 ‘被’자문 교육의 비교적 높은 효과를 얻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인 학습자에게 현대중국어 피동문의 이해를 돕고 좀 더 실용적인 구사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논문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assive sentence of mandarin Chinese is a special phrase of Chinese. Therefore, Korean learners feel that passive sentences are difficult. bei is a representative of passive sentences and is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to study. Although there is a large number of papers already studied, passive sentences are actually very low in Korean Chinese textbooks.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bei advice through bei+X+Verb+wei which is one of the extended forms of bei to reduce the difficulty of learners with passive questions. bei+X+Verb+wei is one of the more frequently used structures of mandarin Chinese. Examples of bei+X+Verb+wei are frequently found i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China. In bei learning, students can learn how to practice passive sentences using Verb+wei and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use passive sentences. Our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mbining bei and Verb+wei, which have not been mentioned often in education. It also organiz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sentence bei+X+Verb+wei . The paper also hopes to be inserted in Chinese textbooks in the future, expec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passive sentences. It is expected to help Korean learners understand mandarin Chinese and develop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论现代汉语助动词的词义

        左思民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현대중국어 조동사는 능원동사라고도 불리며 이중 많은 단어가 ‘정태의미[情态義]’를 나타 낸다. 광의의 정태의미는 가능 의미, 필연적 의미, 실제적 의미를 포함하고, 협의의 정태의미 는 가능 의미와 필연적 의미만을 포함한다. 현재 ‘정태’에 대한 언어학계의 견해는 협의의 정 태의미에 치우쳐 있지만 허용, 염원 등과 같은 비정태 의미가 추가되었다. 협의의 정태의미는 더 나아가 ‘진리 정태의미[真勢情态義]’, ‘인식 정태의미[認識情态義]’, ‘의무 정태의미[義務情 态義]’, ‘동력 정태의미[動力情态義]’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의미는 모두 정태의 미와 조동사의 내재적 비정태 의미가 서로 어우러진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중국어에 서 정태의미만을 나타내는 조동사는 상당히 적으며 일부 조동사는 정태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내재적 비정태 의미만을 나타낸다. 또 다른 일부 현대중국어 조동사는 가능, 필연 등의 정태의 미 이외에 내재적 비정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로보아 중국어 조동사는 ‘정태사[情态 詞]’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현대중국어 조동사에 대한 분석으로, 어떤 조동사의 의미 항목은 사실상 단어 의미 가 아닌 화용적 함의를 나타낸다. 일부 조동사에 나타난 정태의미는 맥락적 요인 등의 제약으 로 단독으로 표현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정태의미는 ‘언어적 강도[語力强度]’ 상의 차이가 존 재한다. 이는 현대중국어 조동사의 단어 의미가 비교적 복잡하여 더욱 다양한 여러 가지 의미 로 구분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심지어 화용적 함의와 도 얽혀 있어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Auxiliary verbs in modern Chinese are also called capable-volitive verbs, most of which are thought to express modal meanings, i.e. modality. These meaning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road sense and narrow sense. The broad sense of modality includes the meanings of possibility, necessity and reality, and the narrow sense only includes possibility and necessity. The current view of linguists on modality tends to narrow one, but non-modal meanings such as permission and volition have been added, and the modality is further divided into aleth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deontic modality and dynamic modality, etc. In fact, these extended meanings are the mixed products of modal meanings and non-modal intensional meanings owned by auxiliary verbs. In modern Chinese, there are a few auxiliary verbs can just express modal meanings. Some auxiliary verbs do not express modal meanings but only express non-modal intensional meanings. Another part of modern Chinese auxiliary verbs not only express the meanings of possibility or necessity, but also the meanings of non-modal intension simultaneously. From this perspective, Chinese auxiliary verbs are not equivalent to modal words. This article's investigation of auxiliary verbs in modern Chinese shows that some so-called items of meaning of auxiliary verbs are actually not word meanings, but pragmatic implicatures. Some modal meanings seem to be expressed by auxiliary verbs themselves, but they are restricted by specific context and other situational factors, difficult to be expressed by auxiliary verbs alone. Otherwise, some auxiliary verbs own different performative force when they express modal meanings. These phenomena show that the meanings expressed by auxiliary verbs in modern Chinese are more complicated and should be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different kinds. Moreover, the meanings discussed above are often merged or implicated each other, and even entangled with pragmatic implicatures, all of which is worthy of our re-understanding.

      • KCI등재

        현대 중국어 비음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노혜정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0

        This study attempts to characterize universals and individuality of Chinese through comparing world's languages, while filling up the empty spot of World's languages Typology study on Chinese, with analyzing Typical characters of Chinese. The study starts from nasal consonants among phonological system of 7 major dialects of Modern Chinese. Dividing Velar nasal into consonants and onset, coda according to the position within syllable structure, analyzing patterns of the Modern Chinese nasal consonants and Hierarchy of Markedness. The Hierarchy of Markedness of the Modern Chinese nasal consonant is ‘m ≦ŋ < n’. The Hierarchy of Markedness on onset position is set as ‘m < n < ŋ’, The Hierarchy of Markedness in coda position is set as ‘ŋ < n < m’. This is very different phenomena of nasal's typological universals of world languages. 본고는 현대 중국어 7대 방언의 음운체계 중 비음 자음에서 출발하여 중국어 음운의 유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세계 언어의 음운유형론 연구 중 중국어에 대한 공백을 채우고, 중국어의 보편성과 개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개 비음을 자음과 음절구조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두음(onset, 초성), 말음(coda, 종성)으로 각각 나누어 현대 중국어 비음의 유형을 분석하고, 출현빈도와 함축관계, 분포에 근거한 유표성 위계를 설정하였다. 현대 중국어 비음의 분절음 출현 빈도는 ‘n > ŋ > m’이고, 방언별 출현빈도는 ‘m > ŋ > n’이다. 음절 내 위치에 따른 방언별 출현수는 두음 위치에서는 ‘m > n > ŋ’, 말음 위치에서는 ‘ŋ > n > m’ 순이다. 현대 중국어 비음의 함축관계는 ‘m ≦ŋ < n’이고, 두음 위치에서는 ‘m < n < ŋ’, 말음 위치에서는 ‘ŋ < n < m’로 설정된다. 현대 중국어 비음의 분포는 ‘n, ŋ > m’로 순으로 설정된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한 고찰-유자효 <추석>의 중국어 번역문을 중심으로

        이수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odern Poetry-Based on the Translation of Yu Jahyo’s Chu SeokSuyin Li Abstract: This paper discussed about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ifferent translation versions of a Korean modern poem Chu Seok written by Yu Jahyo. Transl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compared by three aspects including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rhetoric and translation into ancient Chinese poetry. We found that translators always select words from semantic fields in which words are in paradigmatic relationship. Translators always use many literary expressions, which could be explained by the defamiliarization theory. We also paid attention to the rhetorics and found that to make better translations, translators used extra rhetorics which are not used in the original text including metaphor, repetition and “nianlian”. Some translators translated the modern poetry into ancient Chinese poetry’s form. It could make the translations have a rhythm and be more compact and could satisfy the readers who prefer the ancient poetry's form. But some translations are not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 and some translators might not have enough language ability of ancient Chinese, which could be a problem. Key Words: Korean Modern Poetry, Chinese Translation,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Rhetoric, Translation into Ancient Poetry’s Form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한 고찰-유자효 <추석>의 중국어 번역문을 중심으로이 수 인*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유자효의 <추석> 번역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법을 통해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 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구체적으로 통합관계 및 계열관계의 시각, 수사학의 시각 및 중국 고시(古詩) 형식으로의 번역 등 세 가지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결론 및 제언: 검토한 결과 단어를 번역할 때 번역자가 항상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는 의미장에서 단어를 선택해야 한다. 번역자들은 대량의 문어체 표현을 선택했으며 이는 “낯설게 하기”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이고 미적인 번역문을 만들기 위해 번역자들은 원문에 없는 비유, 반복, 염연(拈連) 등의 수사법도 능동적으로 활용하였다. 한국 현대시를 중국 고시(古詩)의 형식으로 번역할 때 시의 리듬과 운율을 살릴 수 있고 특정한 독자층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보다 세련되고 함축적인 번역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원문에 충실하지 않거나 고대 중국어 소양 부족으로 인한 번역 실수를 주의해야 한다. 핵심어: 한국 현대시, 중국어 번역, 통합 관계 및 계열 관계, 수사학, 고시(古詩) 형식으로의 번역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1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북경외국어대학교 한국어번역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Beijing Foreign Studies Univ., Email: 1005329511@qq.com)

      • KCI등재

        현대중국어 코퍼스에 기반한 ‘V過來/過去’ 구문의 의미와 용법 연구

        이갑남(Lee Kapnam)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방향보어는 현대중국어의 보어 가운데 가장 사용 빈도가 높지만, 의미가 다양하고 용법이 복잡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습득의 난도가 높은 것 중 하나이다. 본 고에서는 의미적으로 상호 대칭관계를 이루는 ‘V過來/過去’ 구문 분석을 통해 의미와 용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객관적이며 실제 중국인 화자의 사용 양태를 반영하고자 현대중국어 코퍼스 중 중국 내 최대 코퍼스라고 할 수 있는 BCC 코퍼스의 文學 영역에서 복합방향보어 ‘V過來/過去’ 구문을 검색하여 자료로 활용했다. ‘過來/過去’의 의미를 크게 기본의미와 파생의미로 나누고, 파생의미는 시간 영역에서의 이동과 상태 영역에서 이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過來/過去’에는 모두 실질적인 원점과 종점이 있지만, 화자의 기준점이 다르기에 언어환경에 따라 ‘過來’ 혹은 ‘過去’를 사용하게 된다. 방향보어가 나타내는 시간 이동의미는 기본의미에서 추상화 과정을 거쳐 파생된 의미로 볼 수 있다. ‘過来’는 일반적으로 완성된 동작 행위에만 사용되고, ‘過去’는 아직 진행되지 않은 일에도 쓰일 수 있다. 방향 표시 기능이 이동체의 실질적 공간에서의 이동을 나타낸다면, 상태 표시 기능은 관념상의 이동을 나타내는 기능이다. 방향보어 ‘過來’와 ‘過去’가 동사와 결합될 경우 변화의 방향은 각각 다르다. ‘過來’는 부정적인 상태에서 정상적이고 적극적 상태로 회복 혹은 변하는 것을 나타내고, ‘過去’는 긍정적인 상태에서 부정적인 상태로의 변화를 나타낸다. Directional complemen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complement in modern Chinese, but due to the diversity of meaning and the complexity of usage,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and usage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V Guolai” and “V Guoqu” which are symmetrical in meaning. In order to reflect the objective and actual use of Chinese narrators, BCC copper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largest coppers in China in modern Chinese coppers, searched the structure of compound directional complement “V Guolai” and “V Guoqu” for data. The meaning of “Guolai” and “past” is roughly divided into basic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The extended meaning is divided into movement in the field of time and state Both “Guolai” and “Guoqu” have substantive origin and destination, but because the speaker"s reference points are different, they use “Guolait” or “Guoqu” according to the language environment. The meaning of time movement expressed by directional complement can be regarded as the meaning derived from the basic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abstraction “Guolai” is generally only used for completed actions, and “Guoqu” can also be used for unfinished things. If the direction display function represents movement in the actual space of the moving body, the state display function represents conceptual movement. If “GuoLai” and “Guoqu” are combined with verbs, the direction of change is different “GuoLai” means to restore or change the normal state in a negative state, “Guoqu” means to change to a negative state in a positive state.

      • KCI등재

        현대중국어 준접사 ‘X癌’의 언어학적 연구

        정민경,나민구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3

        본 논문은 현대중국어에서 ‘癌’이 준접사로 자리잡은 경향을 분석하고, ‘X癌’로 이루어진 단어들을 의미적, 구조적 측면의 특징을 살펴본 후 사회언어학적 각도에서 생성 배경과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준접사 ‘X癌’로 구성된 형태론적 특징을 분석하고, ‘癌’의 본래의미부터 준접사로서의 의미 변화를 살펴본 후, '癌’의 의미자질을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X癌’의 구조를 갖는 해당 어휘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언어학적으로 갖는 의의를 분석한다. ‘癌’는 실질형태소로서 ‘肝癌(간암)’,‘胃癌(위암)’와 같이 단어의 가장 뒤에 위치하여 단어를 구성할 수도 있고, ‘癌症(암)’, ‘癌肿(암 종양)’와 같이 단어의 가장 앞에 위치하여 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의 두 경우는 모두 ‘癌’이 어근으로 사용된 경우이다. 그러나 신조어로 자리잡는 ‘尴尬癌(감개암)’,‘拖延癌(타연암)’,‘直男癌(직남암)’ 등과 같은 단어에서는 기존의 의학적 개념의 ‘암’과 거리가 멀어지며 ‘특정 상황의 정도가 심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단어들은 어근으로 사용된 단어들과 다른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에서 준접사 ‘癌’이 갖는 어휘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論“V諸於”用法成因及相關問題

        김종찬,가보서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0

        현대중국어에서 “V諸”와 “V諸於”가 공존한다. 이에 대해 吾三省은 《語文小札》에서 “V諸”가 “V之於”이니 “V諸於”는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왜냐하면 “V諸於”가 현대중국어에서 빈번히 쓰이기 때문이다. 呂冀平은 《當前我國語言文字的規範化問題》에서 “凱旋而歸”,“勝利凱旋”,“相差懸殊”,“懸殊很大” 등은 모두 “凱”,“旋”,“懸”,“殊” 등이 상용되지 않고 또한 그 eMDDL 약화되어 “同義” 혹은 “近義”의 글자를 덧붙여 쓴 결과라고 주장하며 “訴諸於” 역시 이와 관련이 있으며 또한 언어의 “聲氣”,“韻律”,“節奏” 등과도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諸”의 뜻이 약화 되었다면 왜 “V諸”가 여전히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가? “付諸實踐”,“加諸他人”,“見諸報端”,“訴諸隱喩” 등에서 이들은 이미 중국어의 리듬에 부합하는데 왜 또한 이를 “付諸於實踐”,“加諸於他人”,“見諸於報端”,“訴諸於隱喩”으로 표현하기도 하는가? 이는 呂冀平이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연구자는 “V諸”에서 “於”를 더하는 것은 “雙音節+於”의 格式化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격식은 현대중국어에 영향을 끼쳐 본래 “於”가 필요치 않은 분야에도 “於” 붙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그 결과 “近乎”,“介乎”,“來自”,“源自”,“出自”,“取自”,“傾向”,“趨向” 등이 “近乎於”,“介乎於”,“來自於”,“源自於”,“出自於”,“取自於”,“傾向於”,“趨向於” 등과 공존하게 된 것이다. “V諸”와 “V諸於”의 공존도 이런 각도에서 보아야 문제가 쉽게 풀린다고 본다. 현대중국어에서는 목적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목적어가 길면 “V諸於”라는 술어를 강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