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역 된 고소설 출판물과 출판 유통 및 독서 환경의 변화 -도서 구독 플랫폼 ‘밀리의 서재’를 중심으로

        최수현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3

        이 논문은 도서 구독 플랫폼 속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의 양상 및 유통 현황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도서 구독 플랫폼에서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의 현대역 및 유통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이는 전반적인 독서율이 점차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전자책을 통해 도서를 향유하는 현대 독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현대 독자들과 고소설을 현재 그리고 앞으로 조금이라도 더 만나게 할 유의미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서 구독 플랫폼의 특성상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도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 독자들에게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에 대한 접근을 경제적인 측면이나 편의성 측면에서 좀 더 쉽게 느끼게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 우선 주된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에서 최초로 월정액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으며, 소설을 비롯한 일반 도서를 많이 제공하고 있는 ‘밀리의 서재’를 택했다. 앞으로의 방향 탐색을 모색하기에 앞서, 현재 도서 구독 플랫폼인 ‘밀리의 서재’에서 유통되는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2023년 8월 ‘밀리의 서재’에서 유통되고 있는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은 81종의 작품이 현대역 된 329편이었다. 다양한 종류의 고소설 하위유형의 작품이 현대역 되고 있으며, 2020년 이후 출간된 전자책들이 상당히 많이 유통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고소설 전자책 뷰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책이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많이 유통되고 있다는 점, 편역자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도서 구독 플랫폼과 연계해 고소설 현대역 출판물의 현대역 및 유통 활성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현대역 출판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현대역 전자책 유통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번역자, 편역자, 해제, 저본 정보 등의 기재가 필요하다. 둘째, 구독 서비스 내에서 유통되는 전자책의 형태 및 기능을 가독성 측면에서 생각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챗북과 같은 숏콘텐츠나 도슨트북 등과 같이 현대역 출판물의 범주 및 출간 매체를 확장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유통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양질의 콘텐츠 확보 및 플랫폼 내 소비자를 통한 콘텐츠의 질 검증과 공유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플랫폼 내에서 웹소설이나 플랫폼 내 자체 인문서 등과의 큐레이션과 같이 큐레이션 방식에 대한 고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pattern and distribution status of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 novels in book subscription platforms, and to explore the revitalization plans of modern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of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s in the future book subscription platforms. This is considered one of the significant ways to increase even slightly the frequency of encounters between modern readers and classical novels now and in the future in a reality where the number of modern readers enjoying books through e-books is increasing among the gradual decline in overall reading rates. In addition, as a characteristic of book subscription platform, in the fact that the readers can use the books provided on the platform unlimitedly through the application by the payment of a certain fee, I think it could make the readers feel more at ease in terms of economics or convenience for their accessibility to the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s. For this, the ‘Millie’s Library’, which begun to provide a monthly subscription servic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provides a wealth of general books including novels, was first chosen as the main object of analysis. Prior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s, which are currently distributed through ‘Millie’s Library’, a book subscription platform. As of August 2023, there were 329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s of 81 works which are distributed in ‘Millie’s Library’. It has been confirmed that various types of subtypes of classical novels are being translated into modern times, and a significant number of e-books published after 2020 are being distributed. Meanwhile, it was found that classical novel e-books with an e-book viewer function are being distributed compared to those without that,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translator is not recorded. Based on this, I considered about ways to revitalize modern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of modern e-books of classical novels in conjunction with a book subscription platform. The plan for publication of the modern vers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translator, authorized translator, catalogue raisonne, and original script in the fac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qualified modern e-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rm and function of being distributed e-books in terms of readability within the subscription service.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tegories and publishing media of modern translation publications like short contents such as Chatbook or Docent book. Next, the activation plan for distribu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content quality and to expand the sharing through continuously securing qualified contents and consumers within the platform. Second, it is more actively necessary about curation methods like a curation of web novels or own humanities books within the platform.

      • KCI등재

        중국현대소설의 국내 번역 현황 및 독자 수용 양상 -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최은정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최근 10년간 번역된 중국현대소설의 현황 및 이들의 한국 내 수용에 대해 분석한것이다. 최근 10년간 중국현대소설 번역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다양성이다. 魯迅, 巴金, 老舍 등 중국현대문학의 거장부터 郭敬明, 韩寒 등 ‘80後’작가들까지 다양한 색깔의 작품들이 번역 소개되고 있다. 둘째, 여성작가작품의 번역증가가 두드러진다. 셋째, 타이완과 홍콩 현대소설의 번역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새로 번역된 작품이 급속도로 증가한 것과는 별개로, 국내 독자들이 소비하는 중국현대소설의 지형은 상당히협소하다. 국내에서 베스트셀러인 중국현대소설을 볼 때, 국내 독자들은 ‘중국’소설이라는 낯설음을 기대하면서도 공감도가 높고 이해하기 쉬운 작품을 찾는다. 허삼관매혈기의 성공이이를 반증한다. 허삼관매혈기는 ‘아버지’라는 당대 한국의 문화코드에 절묘하게 합치됨으로써 동질감을 부여받았고 대중문화와 성공적으로 결합하면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는번역문학이 국내에서 수용되어 베스트셀러가 되는 과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허삼관매혈기를 제외하고 특별히 화제가 된 작품이 거의 없다는 것은 국내에서 중국현대소설의 토양이 아직까지는 그리 단단하지 않음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여기엔 중국현대사에대한 이해부족과 무관심 및 번역의 문제가 한데 뒤엉켜 있을 것이다. 이는 번역문학이 극복해야 할 벽이라고 생각한다. ‘문학’번역을 이행할 수 있는 전문번역가의 양성 및 ‘정전’번역 등을통해 ‘중국’의 현대문학이 갖는 다름을 소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현대문학 연구자, 번역자와 출판주체 간의 협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 status of Chinese modern novel translation over the last decad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st, it is a diversity. The translation has a wide range of writers form the great masters of modern literature like LuXun, BaJin, and LaoShe to ‘the generation after 80s’writers like GuoJingMing and HanHan. Second, the increase of female writer’s novel translation is prominent. Third, translation of Taiwanese and Hong Kong modern novel is increasing. However, aside from the increase of translation, Chinese modern novels Korean readers consume are heavily weighted in favor of several writers’ novels. In respect of domestic best-sellers of Chinese modern novel, Korean readers are in favor of understandable novels with high empathy, expecting unfamiliarity of ‘Chinese’novels at the same time. This point reflects on the success of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was given an exquisite similarity with a Korean culture code of the day, ‘father.’Successfully combined with pop culture, its awareness could be raised. The fact that few Chinese modern novel except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were spot-lighted reveals that Chinese modern novel doesn’t have a solid domestic background. This is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incomprehension and indifference about Chinese modern history as well as translation problems. They are considered as obstacles of literary translation. Plans are necessary to re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by way of growing good translaters and translating Classics. Therefore, cooperation with Chinese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translators, and publishers should take precedence.

      • KCI등재

        중국현대소설과 《紅樓夢》

        高旼喜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4 No.-

        중국고전소설의 최고봉이라고 일컬어지는 《紅樓夢》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후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紅樓夢》이 중국현대작가와 작품에 미친 영향은 가히 血緣關係에 있다고 할 만큼 밀접하다. 중국현대문학사를 記述하거나 작품을 비평하는 학자들이 이 점에 주목하고 있음은 물론이요, 작가 자신들이 직접 《紅樓夢》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기도 하다. 그러한 밀접한 영향관계로 인하여 몇몇 작가들의 작품은 ‘20세기의 紅樓夢’ㆍ‘民國紅樓夢’ㆍ‘現代紅樓夢’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紅樓夢》과 중국현대소설의 계승관계 및 동질성에 관심을 기울여, 그 양상을 ‘소설 유형과의 관계’ㆍ‘소설 주제와의 관계’ㆍ‘서사기법과의 관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소설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가족소설이라는 유형상의 동질성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제와의 관계’에서는 ‘反封建’ㆍ‘개성해방’ㆍ‘비극의식’으로 나누어 《紅樓夢》의 작가 조설근과 중국현대소설의 작가들 간의 공통된 작가의식ㆍ현실인식ㆍ지향점 등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으며, ‘서사기법과의 관계’에서는 ‘구성’과 ‘인물묘사’에 있어서의 영향과 모방 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요컨대 본고는 시대를 초월하는 작가들의 공통된 문제의식, 계승과 발전, 모방과 創新등에 초점을 맞춰 논술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중국현대소설과 《紅樓夢》간의 창작상의 연관관계가 어느 정도 究明될 수 있으리라 본다. 아울러 그 결과는 중국현대소설사와 紅學史라는 두 줄기 흐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有效할 수 있을 것이다. Recofnized as a masterpiece of ancient Chinese novels, A Dream of red Mansions, has exerted unprecedented influence on following generations. It’s influence on modern chinese novel and authors in particular is an intimately interwoven relationship. Researchers/scholars who describe or critique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novel have focused on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many authors themselves have claimed that their works were greatly influenced by A Dream of red Mansions. Due to this intimate tie, some authors’ works have been referred to as ‘A Dream of red Mansions in the 20th century’, ‘A Dream of red Mansions during the period of Republic of China.’ or ‘Modern ADream of red Mansions.’This paper notes A Dream of red Mansions’s relationship with modern Chinese novels, its inheritance and homogeneity and examines those aspects in terms of its type, theme, and narrative technique. First I will focus on similarities commonly found in the type of family novels. Second, the themes of anti-feudalism, liberation of individuality, and consciousness of tragedy, and how they are analyzed in terms of authorial consciousness, recognition of reality, and their aiming direction by Cao, Xue-Qin, the author of A Dream of red Mansions and modern chinese novelists will be examined. Finally, A Dream of red Mansions’s influence on narrative technique and how modern authors’ imitate it in both construction and character description wi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paper examines the ahtuor homogeneity that exists regardless of time period in terms of problem recognit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and imitation and creation, a discussion that will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 Dream of red Mansions and modern Chinese novels. As a result, it will ultimately help us understand two flows of history in modern Chinese novels and the history of Redology more in depth.

      • KCI등재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의 문제와 고전(古典)의 재구성

        김문희(Kim, Mun-hee)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 상황을 점검하고 장편가문 소설의 고전적 가치를 논의하여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제시하는 것이다. 34종의 장편가문소설 중 18종의 작품만 원문의 활자화, 주석, 한자 병기, 현대역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원문의 활자화, 주석, 한자 병기, 현대역된 18종의 작품도 일반인이 읽을 수 있는 현대역 텍스트는 10종의 작품에 지나지 않는다. 장편가문소설은 한국의 고전으로 명명될 수 있는 가치와 작품성을 지니고 있는 장르종이지만 장편가문소설의 작품성과 가치는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우리 고전의 선택지를 넓힌다는 차원에서도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아직까지 필사본으로 남아있는 장편가문소설을 현대역하는 작업 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이미 출판된 장편가문소설의 주석, 역주, 현대역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고 오류가 많은 경우 이를 보완하는 새로운 주석, 역주, 현대역본을 만들 필요도 있다. 그리고 현재 연구자용 현대역 본만 나와 있는 장편가문소설을 일반인과 청소년이 읽을 수 있는 다양한 버전으로 재가공하여 출판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특히 고소설 학계에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작품성을 평가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일반인과 청소년용 버전의 현대역본을 만들고 이것을 고전 전집, 선집, 시리즈의 형태로 출판하여 널리 알리는 것도 장편가문소설을 새롭게 단장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various issues in the modern-Korean translated versions of Korean Long Piece Novels and discuss the classical value of this particular genre, suggesting commendable directions for modern translations of Korean Long Piece Novels. There are 18, out of the total existing 34, long piece novels that are remaining in printed version of both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in modern Korean translated version with annotations. Of these 18 translated novels, there are 10 pieces with texts readable by ordinary contemporary Koreans. Despite the sophisticated artistic and literary value worth of inclusion in the category of the Korean classics, Korean Long Piece Novels are not widely known to the public. It is necessary that this cherishable genre is turned into light through translation accessible for modern readers. The foremost task is to have the pieces still in manuscript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The translated and published pieces need re-evaluation on the annotation, footnotes and translation, and, if needed, translation and annotations should be renewed to publish new versions. The current translated versions for research purpose only may be published in diversified versions for ordinary and young readers. Those pieces with high recognition on literary value in the academic circles are also to be variegated in editions to broaden the readership among adult and young readers or to sell as a collection or series.

      • 일반논문 : 현대 중국 소설의 미학 세계 -마르크스적 미학 이론에 근거하여-

        이상옥 ( Sang Ok Lee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2 社會科學論叢 Vol.27 No.1

        현대 중국소설을 약간의 관련 미학이론을 원용하여 그 본질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중국 현대소설을 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심미성적인 특징과 현실주의적 특징을 양자의 관계성에 의거하여 각자의 특성과 문학작품에서의 구현 내용, 양자의 상호 관계 등을 중국 문학소설의 사상과 사실, 미학적 근원에 대한 배경을 성찰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중국 현대소설과 문예이론의 시대적 배경은 마르크스주의의 문예이론과 중국 미학의 전통과 계승, 계발과의 관계, 현대 서양 문학 이론의 도입과 적용의 노력의 세 가지 내용으로 나누었다. 소설의 현실성은 "바오가오문학"의 사회 고발 문학과 80후의 자유분방한 표일(飄逸)의 삶의 자세와 문학에의 적용, 그리고 성애를 다룬 사이비 서양 황색 소설 같은 양식으로 드러났다. 소설의 미학성 문제는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서사학"이 미학과 소설의 본질을 연계시켜 주는 주요한 개념으로 작용한 것이다. 소설의 미학 특징에 대한 성찰과 이를 위한 작업은 중국 고전소설에 대한 정리, 소설 창작 행위에서의 예술 기교의 중요성 인식,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소설 미학의 건립 등의 과제가 놓여 있다. 중국적인 문학의 의미에서 미학적 전통과 현대화, 사실주의 전통의 계승 발전은 상호 독특한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현대적 의미의 총체적인 "현대성" 획득의 의미에서 현대 중국의 소설이 이 양자의 전통적 근원과 서양적 자원을 중국적 화해(和諧)와 중용(中庸)의 정신으로 합일에 노력하면 세계성적인 차원의 소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 and aesthetics in contemporary China.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sing elements and the context of relation in novels would be explained. And the background of novels would be discussed in the meaning of Marxism, Chinese tradition, and Western literature sources.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would include social report literature, 80 post generation literature and erotic oriented novels.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s of novel in contemporary China would be the co-existence and harmony between reality and aesthetics elements. The seeking of Chinese literature thought would be the future identity of Chinese contemporary novels.

      • KCI등재후보

        북한, 중국, 일본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1)

        정현숙(Jung Hy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이 글은 북한, 일본, 중국에서 간행된 한국현대문학사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이질성과 동질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의 문학사는 이전과는 달리 점차 유연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문학사는 개혁 개방 이후 남한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만, 일본은 아직까지 남북한의 이념적 대립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이념 성향에 따라 북한의 문학사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남한 문학사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의 구체적인 논의는 현대소설사로 한정하며, 분석 대상은 북한의 『조선근대 및 해방 전 현대소설사 연구』(은종섭), 중국의 『조선현대문학사』(김병민), 일본의 『한국문학의 흐름』 (사에구사 도시가즈) 그리고 『한국소설사』 (김윤식ㆍ정호웅)이다. 이 네 권은 문학사-소설사를 인식하고 기술하는 관점이 서로 다르다. 북한의 현대문학사는 주체문예사상과 공산주의 계급투쟁을, 중국은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문단의 중요한 변화와 문학의 변모 과정을, 일본은 한국소설의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그리고 남한은 중요한 작품과 내적 형식을 각각 문학사 기술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 또한 북한의 소설사는 프로레타리아 계급투쟁과 성격 형성을 중시하는 반면, 중국의 소설사는 남한과 북한의 시각이 혼재되어 있으며, 일본의 소설사는 남한의 문학사 인식을 수용하면서 친일소설의 이면적인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 문학사-소설사는 작가와 작품을 선택하고 배제하는 기준도 서로 다르다. 북한의 소설사에는 김유정, 박태원, 이태준, 김동리 등이 배제되어 있으며, 남한과 중국의 소설사에는 북한에서 중요한 작가로 평가하는 윤세중, 한인택, 송영, 이북명 등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석훈, 김사량, 최병일, 최재서 등은 일본의 문학사에만 기록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ublished in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have started to show a flexible attitude in contrast to the past. After reformation and evolution, China and South Korea communicated lively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a result, the history published in China ha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unite the view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ever, the history published in Japan still has ideological opposi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us, they accept either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 or that of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tendency. This study will analyze four books which are The History Research of Literature in Modern Chosun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before Liberation (by Jongsub Eun) from North Korea, Chosu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By Byungmin Kim) from China, A Stream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Doshigatch) from Japan,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Yunsik Kim and Howoong Jung). The above four books have different point of views to write a history of literature. North Korean books describe the Juche literature ideology and a communistic struggle of classes. Chinese books emphasize an important change of the literary world and a process of the change from an united sight of view within North and South Korea. Japanese books concentrate on important works and writers in Korean literature. South Korean books represent important works and an internal form. These four books also have different standards to select writers and works. A novel history in North Korea doesn't mention about Yujung Kim, Taewon Park, Taejoon Lee, and Dongri Kim. Furthermore, literature history in South Korea and China doesn't mention about Sejoong Yoon, Intaek Han, Young Song, and Bukmyung Lee, who are evaluated as important writers in North Korea. In addition, Sukhoon Lee, Saryang Kim, Byungil Choi, and Jaeseo Choi are only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 KCI등재

        ‘조선 작가’ 소설과 중국 현대문단의 시각

        신정호,이등연,송진한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8 No.-

        當前‘東亞’話語普遍流行, 不過考慮到20世紀東亞各國的文學交流由於意識型態未能充分展開的歷史, 可想而知所謂的‘東亞視覺’竝不是흔容易去重構或闡釋. 本文討論的問題基本上依據的是韓中國現代小說史有關的材料, 不過타仍然可以提供20世紀前半期韓中文化交流在內的東亞文化視覺一種. 韓中現代小說交流的硏究, 尤其中國境內漢譯出版的‘朝鮮作家’小說與其接受視覺, 對20世紀中國現代文學的重新檢討, 進而對包括重寫‘東亞文學論’在內的東亞文化討論可啓示許多斬新的視覺. 衆所周知, 20世紀亞洲各國的民族文學(國民文學)大半依고‘民族主義’思想産生竝發展, 尤其韓中兩國把對方的民族文學(國民文學)作成了本國民族文學(國民文學)發展的主要參照系. 中國文壇開始漢譯竝接受‘朝鮮(韓國)作家’小說作品始於20世紀30年代, 直到40年代初達到了高峰. 其中主要有三個不同理論基礎. 其一、 由胡風主導的‘弱小民族文學論’, 例如包括「黑手」(金永八)、 「鎔鑛爐」(宋影)、 「猫」(趙碧巖)、 「猪」(李孝石)、 「烏鴨」(李泰俊)、 「戰鬪」(樸英熙)、 「被驅逐的人們]」(張赫宙)、 「山靈」(張赫宙)、 「上墳去的男子」(張赫宙)、 「初陣」(李北鳴)、 「聲」(鄭遇尙) ; 其二、 東洋民間傳統題材反近代文學, 例如包括「姓權的那個家화」(張赫宙)、 「李致三」(張赫宙)、 「山狗」(張赫宙)、 『流蕩』(張赫宙)、 「富億女」(安壽吉)、 「赫色的山」(金東仁)、 「嘉實」(李光洙) ; 其三、 朝鮮殖民地新生代作家作品, 例如包括「月女」(金史良)與「福男伊」(兪鎭午). 漢譯接受的文學思想基礎而言, 可以說由胡風主導的‘弱小民族文學’類直接繼承了魯迅的現實主義精神, 령外東洋民間傳統題材的‘反近代’文學類, 可以說其思想成分有意無意之間深化了周作人的文學思想與東亞文化意識. 現代中國文壇對韓國現代小說之漢譯過程而言, 可發現兩種不同來源, 卽從朝鮮(韓國)文學朝鮮語作品之漢譯與朝鮮(韓國)文學日語作品之漢譯. 具體擧其作品而言, 前者有「黑手」、 「鎔鑛爐」、 「猫」、 「富億女」、 「赫色的山」、 「猪」、 「烏鴨」、 「嘉實」、 「戰鬪」; 後者有「被驅逐的人們]」、 「姓權的那個家화」、 「山靈」、 「上墳去的男子」、 「初陣」、 「聲」、 「李致三」、 「山狗」、 「月女」、 「福男伊」以及『流蕩』, 尤其「被驅逐的人們」、 「山靈」、 「上墳去的男子」、 「聲」、 「李致三」、 「山狗」、 「月女」、 「福男伊」以及『流蕩』等尙未存在韓文文本. 理所當然, 這種情況與朝鮮(韓國)殖民時期文化背景相存在著直接的關係. 筆者認爲, 亞洲現代文學硏究或重寫亞洲文學史討論應該重視以上介紹的現代文學交流之客觀歷史. 不容置疑, 這些問題的思考以及實踐應該從現代文化的載體文學文本探索, 尤其從當時亞洲各國所相互飜譯的小說文本著手. 眞正實踐這一大課業, 應該虛心硏究‘中國’(含‘滿洲國’和臺灣)現代文壇對韓國(朝鮮)現代文學的基本視覺, 竝同時兼顧當時在亞洲範圍內出現的殖民文學與其殖民性問題. 中國的‘韓國學’與韓國的‘中國學’, 也許從此可達到終極目標. 雖不能至, 心向往之.

      • 한국 현대 소설의 병리와 치유적 성격을 통한 문학치료 가능성 연구

        류희서 대한문학치료학회 2019 대한문학치료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치유적 성격에 주목을 하여 이를 문학 치료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소설 텍스 트의 치유 및 치료적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한국 현대 소설 속의 정신 병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병리의 유형들 또한 다양하다. 근대적 주체로서 개인화된 인간은 실존적 삶에의 조건들에 대항하여 운명적으로 불안과 고독, 히스테리 등의 신경증적 증상들을 앓는다. 이러한 증상들의 완화와 통과를 위해 한국 현대소설의 문학치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소설 작품이 가지는 병리와 치유적 성격들을 먼저 살펴보았다. 질병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는 현대소설사의 흐름 안에서 작품 속 병리와 치유적 성격은 어떤 양상으로 표출되어 왔는가 를 알아보고, 이러한 상반된 두 가지 성격들을 통해 문학치료 가능성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즉 한국 현대 문학 속의 정신병리는 정신 건강학적 측면도 동시에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역으로 병리의 파악이 치유에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말하며 나아가 작품 고유의 건강한 측면의 파악과 활용으로서 문학치료 가능성을 열어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설 작품 속 치유적 성격은 우선 건강과 고통의 의미에 대한 입장부터 새롭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데 건강은 고통이 제거 된 상태가 아니며, 상처의 치유란 고통에 대항하는 태도 그 자체로 본다. 이러한 건강과 고통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부터 소설 작품 속 병리와 치유적 성격을 통한 문학치료적 가능성은 논의될 수 있다. 그리고 치유로서의 문학 Literature as Therapy 이 가지는 기능에 유용한 매트릭스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한국 현대소설의 문학치료 적용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대안의 제시는 이러한 기본 인식 위에서 만이 가능하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athological and heal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novels, and by approaching it literally, I tried to explore the healing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novel texts. Psychopathology in modern Korean novels is incalculable and the types of pathology are also diverse. As a modern subject, personalized human beings are destined to suffer from neurotic symptoms such as anxiety, loneliness, and hysteria, against the conditions of existential life.In order to alleviate and pass these symptoms, I examined the pathology and healing characteristics of novels in the light of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in Korean modern novels. In the course of modern novels, which can be called the history of diseases, we examine the pathology and the healing personality in the works. And through these two conflicting personalities, we can find ways of literary therapy.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patholog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mental health aspects. This, in turn, means that the identification of patholog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healing,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reatment by grasping and utilizing the healthy aspect of the work. In the novel, the healing personality first calls for renewi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meaning of health and suffering, but health is not a condition of elimination of pain, and healing of a wound is an attitude itself against pain. From this new perspective on health and suffering,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through pathology and healing nature in novels can be discussed. And it can be a useful matrix for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Therapy . In the future, various approaches to the application of literary therapy in Korean modern novels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are possible only on the basis of these basic perceptions.

      • KCI등재

        새로 수록된 현대 소설 제재 양상 연구: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학찬(Kim, Hak-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교과서 제재에 대한 연구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새로 수록된 현대소설 제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9종(총 54권)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을 대상으로 삼았다. 교과서별 새로운 현대소설 제재가 수록된 단원, 성취기준, 수록 작품, 작가, 장르를 정리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새로운 현대소설 수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새로운 성취기준이 새로운 제재를 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성비에 대한 높은 고려가 있으며 이는 새로 수록된 현대소설 제재들이 『국어』 교과서 전체 현대소설 제재의 성비 균형에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장르적 특징으로 아동·청소년소설의 강세를 확인하였다. 유형화를 통해서는 새로운 현대소설 제재의 높은 교훈성을 확인하고, 이를 크게 타인에 대한 이해 또는 화해, 내면의 도덕적 가치 강조, 개발에 대한 비판으로 나눌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새로 수록된 현대소설 제재의 목록을 작성하고 제재들의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각 제재들의 내용 분석, 제재가 수록된 이유, 제재와 학습활동의 유기적 구성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 수록된 현대소설 제재에 대한 비판적 제언을 담당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study on textbook sanctions, which examined the aspects of modern novel sanctions newly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Methods The study included modern novels in nine types (54 books) of middle school textbooks written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achievement standards, works, writers, and genres containing new modern novel sanctions by textbook.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of new modern novels was actively carried out, that new standards of achievement were likely to embrace new sanctions, high consideration for gender ratio, and that the new modern novel sanctions contribute to the balance of Korean textbooks. Also, it confirmed the strength of children s and youth s novels due to their genre characteristics. Through typification, we confirmed the high moral nature of the new modern novel sanctions, which can be divided into understanding or reconciliation, emphasis on inner moral values, and criticism of development. Conclusions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cluded a list of modern novel sanction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d derived the trend of sanctions. Furthermore, the contents of each sanction were analyzed, the reasons for its inclusion, and the organic composition of sanc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reviewed. Through this, he was in charge of making critical suggestions on the new contemporary novel Sanctions.

      • KCI등재

        논문 :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재론

        권영민 ( Young Min Kw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신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룬 한국소설사에서 신소설은 고전소설에서 현대소설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립된 하나의 과도기적 양식으로 그 독자성을 인정받아 왔으나, 신소설의 양식적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기존에 신소설은 소재 측면에서의 `새로움`이 그 특징으로 제시되었으나 근본적으로는 서사적 특성의 새로움을 밝힐 필요가 있다. 우리는 고전소설과 그 서사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신소설이 그 내면 구조 현대소설로서 갖추어야 하는 여러 가지 요소를 통합하여 서사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즉 장르적인 명칭이 아니라 문단적 개념으로서의 `신체시`가 새로운 형태의 시`를 나타내는 것처럼, `신소설`도 `새로운 소설`이라는 하나의 문단적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현대소설의 범주 안에 포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문학 형태가 장르적인 위상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향의 작품과 함께 그 형태를 공유하는 창조적 주체가 폭넓게 존재해야 하며, 그 형태를 향유하는 사회적 기반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신체시라든지 신소설은 이러한 조건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양식적 독자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신소설이나 신체시와 같은 명칭은 일종의 문단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개화계몽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문학양식과 그 장르 분화 현상은 자연스럽게 현대문학의 성립과 그 전개 양상의 첫 단계로 자리잡는다. 개별적인 문학 현상과 그 장르적 속성에 대한 논의가 하나의 문학적 현상에 대한 인식론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문학 현상을 체계적 질서에 의해 분별해 낼 수 있는 논리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요청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신소설은 짧은 단계의 서사적 실험을 거쳐 현대소설의 확립 단계로 이어진 셈이다. 신소설은 독자적인 문학양식으로 자리잡은 것이 아니라 현대소설의 초기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그 의미를 규정할 수 있다. 현대소설의 첫 단계에 등장한 신소설은 국문 글쓰기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살아있는 언어를 그대로 묘사해낸 최초의 현대적인 의미의 소설에 해당하는 셈이다.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novel is defined as the discovery of the individual, or the `day to day man`. This is the hero of the modern novel. But this hero`s status is not a lofty one like the classical heroes created by the intervention from the divine world; nor has he descended from heaven to live among men in the realm of mortals. By placing the everyday individual as the central figure of the story, the modern hero`s narrative journey is thus fixed, namely, in the pursuit of his own individual fate. The hero of the modern novel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everything surrounding him. He is not bound by mythic taboos and incantatory magic. He lives out his destiny within the domain of the day to day world. His destiny is not revealed to him by a god, but decided by himself alone. In this way, the hero of the modern novel maintains a marked distance from the objects making up the world. In other words, he defines himself as an individual, and sets up his position a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One notable feature of the modern novel`s narrative structure is the reorganization of experiential time. Experiential time concretizes the existences of the protagonists and the progressions of the narrative action. Unlike the classical fiction in which events and action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modern novel reconstructs these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narrative`s own unique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such cases, changes may occur 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reordering of chronological events becomes possible. This shows the degree to which natural time can be altered by the logic of human consciousness. This betrayal of natural time marked the birth of human defiance of the natural order governed by the realm of the sacred. Seemingly unable to start from the beginning of anything in accordance with experiential time, the modern novel divorced itself from the fantasy and magic of eternity. And the order of the modern narrative, which arrives at some conclusion according to a set progression, is concretely represented in the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