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요인 타당화 연구: A대학교의 인재 특성 및 학생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이성하,최명숙,정진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A. For the study, The 131 scales were extracted from the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lent at University A and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student core competencies. The 131 scales included 36 Challenge-Self-Directed Scales, 41 Ethics-Service Scales, 34 Foreign Languages-Multicultural Scales, and 20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Problem Solving Scales. Of these, 64 scales were selected. Then,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10 domestic education experts with 3 to 20 years of experience in competency-related research and education, and 8 first-year students of the A University focus group. Through this process, scales were added, modified, and deleted. And as a result, 81 scales were used in the survey. Then, for data analysis, 228 cases were used that answered all the questions sincerely. The validity of the scale structure for each competency was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onceptual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by analysis of concentration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se scales was confirmed by the Cronbach alpha test. As a result, the validity of 72 scales of A University student core competencies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sur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of A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can help in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 models of other universities and major institutions that want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y scales. In addition, it can be provided as basic information such as subject and comparis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dividual competency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의 인재 특성 및 학생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요인의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A대학교의 인재 특성과 학생 핵심역량의 정의를 바탕으로 도전적 개척정신 관련 진단 요인 36개, 윤리적 봉사 정신 관련 진단 요인 41개, 국제적 문화 감각 관련 진단 요인 34개, 창의적 전문성 관련 진단 요인 20개 총 131개의 진단 요인이 문헌 고찰을 통해 추출됐다. 이 중에서 A대학교의 8가지 학생 핵심역량(도전정신, 자기주도, 감성역량, 윤리적 가치관, 외국어구사능력, 문화적 포용력, 종합적 전문지식, 문제해결능력) 관련 진단 요인 64개가 선별됐다. 선별된 64개의 진단 요인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역량 관련 연구 및 교육 경험이 3년에서 20년 정도된 전문가 10인과 A대학교 1학년 학생 8명에게 역량별 진단 요인의 구성과 어색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을 검토받았다. 이를 통해 요인은 추가, 수정, 삭제됐고 최종적으로 81개의 진단 요인이 설문 조사에 이용됐다. 설문 조사 대상은 계절 학기를 등록한 재학생이었고 설문 조사 양식은 교수학습지원시스템 설문 기능을 이용해 제작됐으며 온라인에서 조사가 이뤄졌다. 응답 자료 288건 중에 모든 문항에 성실하게 응답한 228건의 응답 자료가 진단 요인 타당성 검증에 사용됐다. 그 결과, 역량별 진단 요인 구조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됐다. 진단 요인의 구성(개념)타당성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 도구가 얼마나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평균분산추출법과 개념신뢰도 분석법을 이용한 집중타당도, 평균분산추출 값과 상관계수의 값 비교법을 이용한 판별타당도 분석을 통해 검증됐다. 역량별 진단 요인의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검정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A대학교 학생 핵심역량별 진단 요인, 즉 도전적 개척정신(도전정신 9개, 자기주도 9개), 윤리적 봉사정신(감성역량 9개, 윤리적 가치관 9개), 국제적 문화 감각(외국어구사능력 9개, 문화적 포용력 9개), 창의적 전문성(종합적 전문지식 9개, 문제해결능력 9개), 총 72개 진단 요인의 타당성이 확인됐다. 이 연구의 결과는 A대학교 학생의 역량을 파악하는 진단 요인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타 대학 및 주요 기관의 역량 모델 구현과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과 개인의 역량 개선 등의 기초 정보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희,김기홍,김지연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에 소재한 중규모대학인 A대학교 재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2020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A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6개의 핵심역량, 110개 문항을 선정한 뒤, 2021년 3월 23일부터 4월 4일까지 본 조사를 통해 얻은 3,381명의 자료를 SPSS 26,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으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으로 도구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과 도구측정의 정확성과 요인 차원의 독립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내적일치도(Cronbach's α)로 측정문항들의 구성요인에 대해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최종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하였다. 다섯째, 핵심역량별로 평균 분산 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과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를 구하고,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각 요인별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α)는 .70 이상 이었으며, 핵심역량 전체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도 모든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역량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개념 신뢰도(CR) .70 이상, 분산추출지수(AVE) .5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대학교 핵심역량 진단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적절한 측정도구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측정도구는 A 대학교 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육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선순환 과정에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군(軍) 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남용(Nam Yeoung Kim),신현태(Hyon Tai Shin)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3

        본 논문은 군 영관장교를 중심으로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 연구를 통하여 리더십 핵심역량의 정의를 규명하고, 조직 관리적 수준의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 핵심역량 정의 등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과 행동지표 등 모델 개발을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를 하고 연구절차를 정립하여 FGI와 설문조사를 통한 델파이 기법, AHP기법 등 과학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모델을 검증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먼저 군 영관장교에게 필요한 리더십 핵심역량은 Quinn의 경쟁가치 모형을 적용하여 대인관계 역량(사람), 과업수행 역량(일), 조직관리 역량(조직), 환경관리 역량(환경)의 역량군에 따라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 도출 절차는 먼저 선행연구및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해병대 영관장교에게 필요한 리더십역량 45개를 우선 도출하고, 적합성 및 중요도 , 타당도, 우선순위 평가를 통하여 20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AHP기법을 통하여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에 대한 역량군 별 우선순위와 통합 우선순위를 정하여 리더십 핵심역량 향상에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리더십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에 기초 틀을 제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의 특성을 반영한 군 영관장교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에 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정책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조직 관리적 수준의 군 중견간부인 군 영관장교들에게 필요한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군 간부에 관한 역량관련 연구가 미흡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군 영관장교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은 군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군 영관장교들의 리더십 핵심역량 개발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과정을 통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과 우선순위를 개발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에 필요한 구체적인 행동기준을 제공하였다. 셋째, 개발된 모델을 활용하여 군 영관장교들의 리더 십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기계발, 자기성찰, 상급자의 피드백등을 통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은 리더십 역량중심의 실질적인 교육과 성과중심의 효과적인 인사관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군 영관장교에 대한 교육기관별 교육과정 소요 창출과 리더십 교육에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역량모델 개발을 활용하여 조직역량과 연계한 개인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고, 인재육성과 인사관리에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scribe definition of leadership competency model through a research on a core competency model of leadership with focus on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and drew core competency factors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as well as behavioral index as per the core competency factor. It developed concept including definition the core competency factor; it designed research models and established research procedures for development of models such as core competency factor and behavioral index; it verified the models according to scientific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GI and delphi technique through questionnaires, and AHP technique in order to improve confidence. First, as for leadership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it drew core competency factors pursuant to competency groups of interpersonal competency(person), task performance competency(work),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y(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ement competency(environment) by applying Quinn's competing values model. Deduction procedures of core competency were to first draw 45 leadership competencies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through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n, to draw 20 core competencies through evaluation of adequacy, importance, suitability and priority. In addition, priority of core competencies was analyzed through AHP technique in oder to decide priority of competency groups and integrated priority, and it prepared base for choice and concentration on improve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y.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has following meanings; First, foreign troops and other forces have constantly performed researches on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leaders and accomplished a considerable development but researches on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the Marine Corps was insufficient. Second, it developed behavioral indexe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respective leadership competencies through develop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and it suggested specific behavioral standards. As definition of leadership and competency differs from researchers, behavioral standards which exercise competencies differ from researchers; a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behaviors must be also different. Third, it utilized core competency models and measured/analyzed level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so that it can cultivate and develop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strengthening program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and it can measure level of person and organization for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and then, it may improve supplement points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 goals and outcome. Based on above research result, this study, which is about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reflecting military characteristics, intends to suggest several political proposals as follows; First, it developed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in organization management level.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models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who play important role in the Mlitar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because existing researches on competencies of military executives were not sufficient.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in the field which the Military had not researched yet and it is a practical study applicable to working departments. Second, it developed behavioral indexe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respective leadership competenci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leadership core competency model and provided specific behavioral standard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노영주(Youngju Noh),김재철(Jaechu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하위요인인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교육종단연구 1차 년(2017년)에 표집한 3,000명(초4, 중1, 고1 코호트) 중 2020년에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4년 차 학생이었다. 대상자 표집은 유층표집법(stratified sampling)으로 대구광역시를 8개 행정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내 학교는 무선표집 하였으며, 표집층 별 학교 수는 전체 학생 수 대비 해당 표집층에 속한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다. 고등학교는 계열에 따라 일반계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 자율형 공립고를 구분하여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으며, 최종 남학생 979명(52.5%), 여학생 897명(47.8%) 총 1,87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정서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대구교육종단연구에 사용된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 관련 총 49문항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3개 요인), 가정 요인(5개 요인), 학교 요인(5개 요인)으로 구분하고 해당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plus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계층의 수는 3개로 분류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정서 핵심역량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요인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셋째, 학교 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요인에서 자기효능감은 전반적 하위군에 비해 상위군이 월등한 영향을 미치고, 친구의 지지와 협력학습이 교사의 지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와 교육 당국은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친구⋅교사의 긍정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잠재계층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 구안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한 실제적 논의를 통해 학생들의 정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율적 전략 마련과 실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by sub-factors such as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tizen participation a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of talents with creativity-convergence. Methods Among the 3,000 students (cohort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who were selected in the first year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th-year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2020. The target marking was stratified sampling method, which divided Daegu Metropolitan City into eigh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schools in the area were tabulated wirelessly, and the number of schools in each target layer wa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target lay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High schools wer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special-purpose, specialized,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979 boys (52.5%) and 897 girls (47.8%) A total of 1,876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otional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used a total of 49 questions related to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vic participation used in the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were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3 factors), family (5 factors), and school (5 factors) factors, and the question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confirmed to be most appropriate when classified into thre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very important effect on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econd, in the family fact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in the school factor, support from friend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particular,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uperior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upper group compared to the overall lower group, and the support of friends and cooperative learning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support of teachers. Conclusions School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teachers,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apply custom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and practice efforts to cultivate student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후보

        차세대 컨버전스서비스 핵심불확실성요인 도출에 관한 분석

        송영화(Yeongwha Sawng),박선영(Sunyoung Park),이중만(Jungman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차세대 컨버전스서비스를 대상으로 고객, 기술, 사업자, 규제의 4대 이슈별로 환경 불확실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들 환경 불확실성요인 중 특히 핵심이 되는 불확실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어 도출된 핵심불확실성요인(KUF: Key Uncertainty Factor)을 중심으로 환경의 잔여불확실성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시나리오 플래닝에 의해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컨버전스서비스의 진입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차세대 컨버전스서비스 사업의 불확실성 평가 및 진입 시나리오구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2가지 잔여 불확실성 수준(선택 가능한 미래 수준, 예측 범위의 미래 수준)의 6개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각각의 전략적 속성을 평가한 결과 시장 진입의 성공 요소로 2가지 핵심성공요인(KSF: Key Success Factor)을 도출하였다. 즉, 고객수요추세, 광고규제완화를 핵심성공요인(KSF: Key Success Factor)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4가지 전략적 시나리오 유형 및 각 시나리오 별 요구되는 사업자 대응역량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컨버전스 시장의 활성화는 물론 관련 사업자의 자원의 효율적 배분, 진입형태, 진입 적정시기 등 진입전략 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duct environmental uncertainties facing next-generation convergence services, in four areas including customer, technology, service provider and regulation. We assess the level of residual uncertainty with regard to key environmental uncertainty factors, and conduct a scenario planning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provide suggestions on market entry strategy for providers of this next-generation convergence service. The strategic assessment of six scenarios developed in this study, each with two levels of residual uncertainty (alternate futures and a range of futures) resulted in two key success factors (KSF), namely, customer demand trends and easing of advertising restrictions. Four types of strategic scenarios were then discerned, for each of which we present response capabilities that may be required of service providers, along with strategic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ich in implications for both policy-makers and regulators seeking ways to create and stimulate a convergence service market and prospective providers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services, as they provide concrete tips related to market entry strategy, including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types of market entry and time-frames for entry.

      • KCI등재

        퍼지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경쟁력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박찬정(Chan Jung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04 관리회계연구 Vol.4 No.2

        기업의 경쟁력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들에는 비계량적 요인들이 포함되며, 점차 이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 개발된 성과측정을 위한 균형성과표에는 무형요인의 측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무형요인과 같은 질적 측정치에 대한 체계적 평가 방법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① 무형요인에 대한 질적 측정이 실무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② 계량적 및 질적 측정에 의한 다양한 차원의 측정치를 통합하여 하나의 종합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 경쟁력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무형요인에 대한 측정방법에는 계량적 대용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적절한 척도에 의한 주관적 판단의 방법이 있다. 이 중 적절한 척도에 의한 주관적 판단을 위하여 퍼지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성과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 적용된 퍼지모형에 의한 경쟁력 평가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문제의 계층구조를 경쟁력, 핵심성공요인, 성과측정 등으로 파악하고, ② 핵심성공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언어 변수로 측정한 후, ③ 퍼지개념을 적용하여 성과측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질적 요인들은 언어변수로 측정하고, 계량적 요인들은 퍼지숫자를 정규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④ 핵심성공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치로 해서 퍼지화된 성과측정치를 가중평균하여 전반적 경쟁력의 종합지표를 개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평가를 위한 퍼지모형을 전통적 5점 척도모형과 비교하기 위하여 사례 연구가 행해졌으며, 연구 결과 퍼지모형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Because what gets measured gets improved, performance measures are critical for an organization's success. But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ompetitiveness contain many qualitative measures,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in evaluating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The challenge for management accountants is to measure the unmeasurable, to develop a set of measures that capture the true esse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Even though the link between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has been widely recognized, its implementation presents several pitfalls. More precisely, two major problems usually have to be addressed: ① measuring those critical success factors that are qualitative in nature (intangible critical success factors), such as, for instance, corporate image, technological competence, learning, culture, employee morale, ② proceeding from the various critical success factor measures, expressed in heterogeneous metrics, to an overall assessment of business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competitors and, thus, to determination of a company's overall rank. This article is aimed at showing the potential of the fuzzy set theory to integrate management accounting and strategy. More precisely,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 fuzzy linguistic framework to link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Indeed, the fuzzy model can effectively address both the above problems by allowing metrics to be defined which can evaluate intangible factors and deal with heterogeneous measures. The implementation of fuzzy linguistic framework requires the following steps : ① develop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problem in terms of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corresponding performance measures, and firms to be compared ; ②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contributing to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③ assess the companies performance with respect to each critical success factor ; ④ calculat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each company, by weighting the performance measures with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ranking them. This article presents an example case study to illustrate how the fuzzy linguistic framework can assess business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In consequence, the fuzzy model for competitiveness evaluation described in this article is superior to other approaches in management accounting.

      • KCI우수등재

        관광지 외식사업체의 핵심 및 부가 서비스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만족의 3요인설을 기반으로-

        이상경,김민주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ogic of the dual-factor theory and the three-factor theory in order to identify salient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s three factors from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in conjunction with the revised core service and additional service model. A pilot study was carried out with two preliminary studies, while the main survey was performed separately for satisfied respondents and overall dissatisfied respondents, respectively. The total sample size was 316, which accounted for 207 satisfied respondents and 109 dissatisfied respondents. From the analyses, the four factors that influenced overall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core service factor with high differentiation potential affecting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2) core service factor with low differentiation potential affecting only dissatisfaction; 3) additional service with high differentiation potential affecting only satisfaction; and 4) additional service with low differentiation potential affecting only dissatisfaction. These analysis results not only suggest the validity of the three-factor theory of customer satisfaction but also the need for segmentation of core and additional services. 본 연구는 핵심 및 부가서비스 모델과 연계하여 소비자의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만족-불만족의 3요인 이론과 핵심 및 부가서비스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추론하였으며, 관광지에 소재한 외식산업체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단계의 예비조사를 거쳐 측정척도를 순화한 후에 본 조사에서는 만족과 불만족 응답자를 별개의 집단으로 분리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유효표본 중 만족 응답자는 207 명, 불만족 응답자는 109 명이다. 데이터 분석의 결과, 핵심 서비스는 차별화 가능성이 높을 경우 만족 요인인 동시에 불만족 요인이며, 차별화 가능성이 낮을 경우에는 불만족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부가 서비스는 만족 요인인데 비하여, 차별화 가능성이 낮은 부가 서비스의 경우에는 불만족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 만족의 3요인설이 더 타당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핵심 및 부가 서비스 요인을 차별화 가능성으로 세분할 경우에 소비자 만족 3요인설의 배경이 설명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창고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진혜원 ( Hyewon Jin ),김상열 ( Sangyoul Kim ),장현미 ( Hyunmi Jang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2

        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과거보다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있으며 공급사슬의 수행단계인 창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도입한 전 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의 내부모듈인 창고관리시스템은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하고 특수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물류전문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의 대형 지역 물류센터에서는 동종 최고의 창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특화된 물류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고시스템을 설치할 때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성공요인이 무엇인지 한 다국적 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 템 도입사례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하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먼저 다른 소프트웨어나 전사적 자원관리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필요한 핵 심요인을 파악하여 25개의 핵심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국적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템 설치에 참여한 전 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창고관리시스템의 도입 시 간과해서는 안 되는 핵심요인 11개를 도출하였다. 도출 된 11개의 핵심요인을 바탕으로 A사의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참여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검증하였 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4개의 요인 (변화관리 관점, 프로젝트 수행관점, 조직문화관점, 지식과 기술 관점)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분석된 핵심요인들은 창고관리시스템을 실행하는 기업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gain competitiveness in warehouses, the implementation stage of supply chain management is important as global business practices are changing. Since the internal module of ERP suite adopted by many companies has its limitations for providing various warehouse functions, Warehouse Management Systems (WMS) have begun to be installed by the industry’s top-notch companies to apply their best business processes and procedur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SFs for WMS implementation from a case study of a multinational company’s WMS implementation in its regional sites by using mixed method. Specifically, initi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WMS expert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WMS implementation extracting critical factors out of the 25 factors found in literature reviews. In the in-depth interviews, eleven out of twenty-five CSFs were considered very critical. The criticality of the 11 CSFs was questioned in a survey,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o find the minimum number of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maximum variance.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th Varimax rotation as the principal method. From the results, 4 perspectives were determined: 1) Change management; 2) Project Execution; 3) Organizational Culture; 4) Knowledge and Technic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business leaders to determine what actions they may need to take for their WMS implementation.

      • KCI등재

        골프장 유형에 따른 핵심성공요인 분석: 국내 골프장 산업 중심으로

        권기성 ( Ki Sung Kwon ),강준호 ( Joon Ho Kang ),김지연 ( Ji Hy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4

        골프장 산업에 부정적 산업 환경이 도래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 환경에서의 개별 골프장 유형에 적합한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산업과 관련된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골프장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골프장 유형 확인 측면과 개별 골프장 유형별 각 측면의 핵심성공요인 도출 측면에서 3단계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골프장 유형은 골프장 사용 자격을 기준으로 회원제, 준회원제 그리고 비회원제로 유형이 분류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개별 골프장의 유형에 따라 전략, 마케팅, 재정, 지원, 인사, 회원 그리고 운영 측면 간의 중요도, 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 그리고 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 간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유형별 각 측면의 대표적인 핵심성공요인을 살펴보면 회원제의 경우는 사업 전략, 회원 수준, 재정적 안정성, 고객 요구 충족, 차별화 요소, 직원 능력, 시설 수준이 제시되었으며 준회원제의 경우는 수익 모델, 마케팅 이벤트, 매출 관리, 운영 효율성, 시설 위치 그리고 직원 판매 능력이 제시되었다. 또한 비회원제의 경우는 고객 분석, 경쟁 전략, 운영 효율성, 매출 관리, 시설 위치 그리고 직원 판매 능력이 핵심성공요인으로 제시되었다. The golf course industry is faced with negative market environments and it has brought up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long-term strategy and directivity. With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the golf course type with considering Korean golf industry and analyze the Key Success Factors that depends on each type of golf course. This study applied tri-level delphi research methods with 9 golf course industry experts for two aspects: the classification of the golf course type and analysis Key Success Factors(KSFs) that depends on each type of golf course. To conclude, private, semi-private, and daily-fee golf courses are proposed for the types of golf course in Korea an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Key Success Factors(KSFs) related to aspects of strategy, marketing, finance, supporting, human resource, membership and operation. With considering typical Key Sucess Factors(KSFs) by each aspects, in the case of private golf course, study proposed business strategy, quality of membership, financial stability, satisfy customer needs, differencing element, general ability of employee and quality of facility. For semi-private golf club, there were revenue model, marketing event, revenue management, oper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of facility. For public golf course, this study proposed customer analysis, competition strategy, operation efficiency, revenue management, location of facility and sales ability of employ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