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해도 활용을 위한 SVG 변환 연구

        오세웅(Se-Woong Oh),박종민(Jong-Min Park),서상현(Sang-Hyun Su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전자해도는 종이해도를 전자화한 공식 디지털 해도로서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필수 데이터이나 전자해도의 특수한 엔코딩 포맷으로 접근이나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의 접근과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자해도 SVG(Scalar Vector Graphic) 변환 연구를 수행하였다. SVG는 인터넷 브라우징 환경에서 지도의 서비스를 위한 벡터 그래픽 포맷으로서 복잡한 GIS매핑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특별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전자해도를 SVG로 변환함으로서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SVG는 벡터 그래픽의 장점으로 인해 공간 검색이 용이하며, 둘째로 특정 GIS 시스템 없이 고 품질의 벡터 그래픽 및 주제도 작성이 가능하다. 셋째로 해상교통 정보와 연계된 SVG 정보 서비스는 템플릿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해상교통 정보와 결합된 새로운 정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전자해도의 SVG 변환 기술 개발로 해양지리정보 표현에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ENCs) are official nautical charts which are equivalent to paper charts with supplementary information. Although their main purpose is to be used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ey also contain much information on coasts and seas which may be interesting to ordinary people. However, there is no easy way to access them because of therir specialized data format, access method and visualization. This paper proposes on implementation of SVG for the access and services of ENCs. SVG(Scalable Vector Graphic) makes it possible to make use of Vector graphics for servicing maps in basic internet browsing environment. Implement of SVG for ENC applications by the research is free of special server side GIS mapping system and client side extra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of SVG for ENC Ap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VG provides spatial information to possess searching engine to embody SVG map. Secondly, SVG can provide high-quality vector map graphics and interactive facility without special Internet GIS system. It makes it possible to use services with very low cost. Thirdly, SVG information service targeting on maritime transportation can be used as template, so it can be used dynamically any other purpose such as traffic management and vessel monitoring. Many good characteristics of SVG in mapping at computer screen and reusability of SVG document provide new era of visualization of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 KCI등재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해오’와 ‘증오’ 개념의 형성

        조윤경 한국불교학회 2023 韓國佛敎學 Vol.108 No.-

        본 논문은 동아시아불교 전통에서 ‘해오(解悟)’와 ‘증오(證悟)’ 개념의 형성과 그 의미의 변용에 관한 실마리를 추적해보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시론적 연구다. 본 논문은 두 개념이 어떻게 변천했는지 거시적인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동시출현 단어를 분석하는 방식을 택했다. 구체적으로 CBETA Online에서 삼론종(길장, 혜균), 천태종(지의, 관정, 담연), 화엄종(법장, 징관, 종밀) 문헌에 나오는 ‘해오’와 ‘증오’ 어휘를 검색해서, 그들의 저술 속에 나타난 ‘해오’ 또는 ‘증오’가 출현한 문단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분석 도구로는 KH Coder를 활용했다. 그리고 중복되는 결과물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후대 깨달음을 주제로 논의할 때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 ‘해오’와 ‘증오’는 삼론종 길장, 혜균과 천태종 지의, 관정, 담연의 시대에는 아직 대립 쌍을 형성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해오’와 ‘증오’가 ‘이해’의 층위에서 깨달음과 궁극적 차원에서 ‘증득’한 깨달음으로 서로 대립 쌍을 형성한 것은 징관과 종밀에 이르러서다. 징관과 종밀은 주로 돈점설의 맥락에서 ‘해오’와 ‘증오’를 다루었는데, 두 사람의 네트워크는 매우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면서도 ‘증오’를 ‘돈(頓)’이나 ‘점(漸)’의 맥락과 연결하는 것에서는 차이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불교의 ‘해오’와 ‘증오’ 개념의 변천을 추적하면서 이 두 어휘에 한정해서 분석을 진행했다. ‘해(解)’와 ‘증(證)’을 포함하여 여러 다양한 형태의 ‘해오’와 ‘증오’의 동의어에 대한 수집과 분석은 차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explore how the concepts of “jiewu” (解悟) and “zhengwu” (證悟) in East Asian Buddhism were formed and how their meanings subsequently changed. The paper analyzes the terms separately in passages from various Buddhist texts, tracking the co-occurrence of each term with other relevant keywords. Trends in the usage of both “jiewu” and “zhengwu” were traced over time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xts in which they develope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significant Buddhist terminology.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texts of the Sanlun School (Jizang, Hyegyun), the Tiantai School (Zhiyi, Guanding, Tanyan), and the Huayan School (Fazang, Chengguan, Zongmi). These texts were searched through CBETA Online and paragraphs including “jiewu” and “zhengwu” were analyzed using KH Coder. Texts identical in content and authorship but with different titl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jiewu” and “zhengwu” had not yet been paired together, either in contrast or as complements, in the earlier era of the Sanlun and Tiantai schools. It was not until the time of Chengguan and Zongmi in subsequent eras that “jiewu” and “zhengwu” were divided into enlightenment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enlightenment at the ultimate level, respectively, forming paired concepts. These masters discussed both terms in the context of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Visually, the networks of terminology for Chengguan and Zongmi look similar, revealing a shared context for the use of these concepts in their writings. There were, however, some differences in their interpretation of “zhengwu”, such as the emphasis on the nature of suddenness or gradualness in Chengguan and Zongmi’s texts, respectively. As this study only analyzed the concepts of “jiewu” and “zhengwu”, various synonyms such as “jie” and “zheng” were not considered and should be examin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려 시기의 해도 유배 -징벌을 통한 자발적 복종의 구조화 측면에서-

        김난옥(Kim, Nan-Ok)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고려 사회에서 人身에 대한 포상과 징벌을 집행하는 방식 중의 하나가 거주 지역에 대한 인위적이며 강제적인 조치였다. 驛이나 섬에서 군현의 구성원으로 편입되는 것은 포상에 해당하지만, 일반 군현에서 향・부곡이나 섬으로 거주 공간을 임의로 변경시키는 조치는 대부분 범죄에 대한 처벌로 시행되었다. 특히 섬으로 추방하는 해도 유배는 내륙으로부터 격리와 단절을 뜻한다는 점에서 매우 수위가 높은 처벌이었다. 고려 시기에 해도로 유배된 이유는 역모나 반란, 살인뿐만 아니라 贓罪나 姦罪 등 다양하였다. 그런데 국왕에 대한 불경과 불충의 행위로 인해 해도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국왕을 시해한 자의 당여이거나 반역에 연루된 경우, 왕을 저주하거나 비난하는 불충한 언사로 인해 해도에 유배되었다. 그리고 왕실 조상의 능묘를 제대로 수리하지 못하거나 왕에게 결례를 범하여 해도로 방출되기도 하였다. 고려에서 섬은 어염과 목축의 재원이고 때로는 수군을 충당할 수 있는 지역이었지만, 그 지역 단위로서의 위상은 향・부곡보다도 낮았다. 게다가 위중한 범죄자의 유배지로 섬이 이용되면서, 도민은 죄인의 후손이라는 멍에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섬으로 방출되는 해도 유배는 형벌 중에서 가장 기피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해도 유배가 신민을 규제하는 통제수단으로 상당히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은 섬으로 유배된 사람들이 느낀 두려움과 절망에서도 잘 드러난다. 국왕을 위협하거나 해치려 한다든지, 왕실의 존엄을 훼손하는 행위는 반역이나 모반처럼 처형이 불가피한 최악의 ‘불복종’은 아니지만, 그에 버금가는‘ 불복종’ 행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해도 유배는 불충을 징계하는 방식으로 활용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에서 불충죄는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赴擧權이 박탈되었고, 사면 대상에서도 제외되는 엄중한 범죄였다. 이처럼 국가 지배체제의 구조 속에서 해도 유배는 신민의 불복종 행위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낙인과 같았다. 따라서 해도 유배는 징벌을 통해 국가권력에 대한 신민의 자발적 복종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매우 유효했다고 판단된다. Artificial and forced measures on residential areas were one way of rewarding and punishing the peo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While incorporation into the members of local administrations, islands, counties, or prefectures were regarded as a reward, the arbitrary changes to the residential space from the general counties and prefectures to the lower local administrations or islands were mostly regarded as the punishment for the crimes. Especially, getting exiled to islands was a powerful punishment because it meant isolation and severance from the islands. During the Goryeo Dynasty, people were exiled to the islands for various reasons, from conspiracy to rebellion, murder, illegal gains of property, and adultery. This also included the acts of disrespect and disloyalty toward the king. Some were exiled to the islands for getting involved in a group that murdered the king or committed treason, or for cursing and blaming the king in an unfaithful manner. In addition, people who failed to repair the tombs of royal ancestors or committed discourtesy were also exiled to the islands. At that time, the islands were the source of fish, salt, and livestock as well as the areas for recruiting the naval forces. In the local unit, however, the status of islands was lower than the local administrations. In addition, since the islands were used as a place of exile for the serious criminals, the island inhabitants couldn’t escape the bias of being the descendants of the criminals. In such situation, exile to island was the punishment that anyone avoided. The fact that exile to island was an effective way to control the people of the time shows the fear and despair of the people who were exiled to the islands. While the acts of threatening the king, trying to hurt the king, or harming the royal dignity were not the worst type of “Disobedience” that involved execution, they were still as serious as the disobedience. In such aspect, the exile to islands was used as a mean to punish the disloyalty. In the Goryeo Dynasty, disloyalty was a serious crime and criminals were disqualified from the right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 and excluded from prerogative of mercy. In such governance structure, exile to islands was like a stigma that expressly revealed the disobedience. Thus, it is deemed that the exile to islands was the effective mean to induce the voluntary obedience of the people by the state power.

      • KCI등재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해양산업 실태와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부산의 해양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우양호,김상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ne industries on job creation and regional economy in Busan.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various projects related to marine industries development policy in Busan and answers the question of how to link the effects to development of ocean related industries as well as the economic activation of Busan area. marine industries means various productive activities that develop, use and protect the ocean. Also included are new economic activities that realizes sustainable developments in the inter-relation with the Ocean. Busan, the largest seaport city in South Korea has faced a few strong challenges, among them is the issue of jobless growth. The economic growth rate has been on a gradual decline, and the employment rate has been hovering for the past decade. Also, the economic structure of Busan which focused on export and manufacturing has weakened the ability to create jobs. The low productiv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arine industries, which are responsible for most of the jobs created. To maximize the above positive effects of Busan marine industries, this study emphasized several strategic alternatives and future strategic options of job creation for Busan and other seaport citie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 해항도시(海港都市)인 부산을 중심으로 해양산업의 주요 현황과 실태, 해양일자리 창출의 성과를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해 미래 해양산업의 발전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21세기 ‘해양경제(Marine Economy)’의 핵심화두인 ‘해양산업(Marine Industries)’의 부흥은 곧 ‘해항도시(Seaport city)’ 발전의 필요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해양산업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이면서 핵심적 성장동력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많은 인구와 자본, 바다와 항만을 가진 주요해항도시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부산은 현재 해양경제와 해양산업이 도시경제의 주축을 담당하고 우리나라 제1의 항만, 대한민국 해양수도의 위상을 지향하는 데 비해 지역경기 침체와 일자리 창출이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두 얼굴의 도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양산업의 전국적인 비중으로 보면 국내 어느 지역보다도 부산이 포함된 동남권역이 중앙정부에 의해 세계적인 해양관련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현직 대통령과 부산시장의 최우선 공약이기도 한 ‘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해항도시 경제구조의 핵심이면서 직종도 다양한 해양산업의 연계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해양산업의 일자리창출은 여러 산업 중에서 한 특정 분야의 효과라기보다는,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전화되는 전방위적 성격과 미래 성장동력 창출의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해항도시 부산에서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해양일자리 창출을 위해 해양기업의 활동에 장애가 되는 규제의 개선, 해양・수산분야 유망산업의 육성, 국가와 지방의 협업을 통한 성장 장애요인의 해소, 저성장 업종의 신규 진입을 위한 성장사다리 구축, 민・관의 거버넌스를 통한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수평적 해양산업생태계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부산과 비슷한 처지에 놓인 다른 해항도시들의 해양산업, 지역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주었다.

      • KCI등재

        규남 하백원의 '해유시화(海遊詩畵)' 연구

        명평자 근역한문학회 201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2 No.-

        『Haeyusihwa (海遊詩畵)』 is a picture and poetry collection about traveling made by Gyunam Ha Baek-won (河百源, 1781~1844) in 1843 in the place of exile, Boryeong, with five other literary persons from the region. Six persons, Ha Baek-won (河百源), Lee Byeong-jung (李秉中), Lee Woo-myeong (李遇明), Jo Sun-yeong (趙淳榮), Lee Woo-jeong (李遇正), and Sim Sa-suk (沈思叔), went sightseeing to some of the scenic spots of Boryeong, for example, Songho (松湖), Hwanghakru (黃鶴樓), or Yeongbojeong (永保亭), and then drew pictures of the traveling spots along with poetry and writing to make six picture and poetry collections and have one of them each. The motive to create 『Haeyusihwa』 was not only to keep records about ‘Haeyu (海遊)’ but also for ‘Wayu (臥遊)’ to see the records about Haeyu (海遊)’ every now and then. This wa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Wayu (臥遊)’culture that was prevalent at that time. 『Haeyusihwa (海遊詩畵)』 consists of total 24 pieces of works including 「Haeyucheopseo (海遊帖序)」 written in Byeonryeoche by Ha Baek-won, Lee Woo-myeong’s 「Haeyusihwagi (海遊詩畵記)」, Ha Baek-won’s three pictures of Songho (松湖), Hwanghakru (黃鶴樓), and Yeongbojeong (永保亭), and 18 pieces of 7eon yulsi written by Lee Byeong-jung (李秉中), Ha Baek-won (河百源), Lee Woo-myeong (李遇明), Jo Sun-yeong (趙淳榮), Lee Woo-jeong (李遇正), and Sim Sa-suk (沈思叔) in their own handwriting below each of the pictures in turn, and Lee Byeong-jung’s 「Haeyusihwaji (海遊詩畵識)」. Particularly about Ha Baek-won, 「Haeyucheopseo (海遊帖序)」 was written in byeonryeomun in order to elevate the mood of ‘traveling the splendid sea’ to the fullest and also get the effect of depicting the fine views of those scenic spots even more beautifully. 『Haeyusihwa』 is a good example of collections in which poetry (詩), writing (書), and pictures (畵) are combined among Gihaengsansudo widely popular in the 19th century, and it can be the material to study the aspects of producing picture and poetry collections which were prevalent even in local areas in the 19th century. Also, it can be the material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exiles getting used to the place of exile and discover literary persons of the region from the previous time who were getting forgotten. Also, it can be said that 『Haeyusihwa』 is equipped with value not only as text for research on literature but as material for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historic and cultural relics as well.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Haeyusihwa』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of Boryeong and promoting tourism culture of the region newly. 『해유시화(海遊詩畵)』는 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 1781~1844)이 1843년에 유배지인 보령에서 지역 문인 다섯 사람과 함께 만든 기행시화첩이다. 하백원(河百源)과 이병중(李秉中), 이우명(李遇明), 조순영(趙淳榮), 이우정(李遇正), 심사숙(沈思叔) 등 여섯 사람은 배를 타고 보령의 명승지 중 송호(松湖), 황학루(黃鶴樓), 영보정(永保亭) 등을 유람한 후, 기행 장소를 그림으로 그리고, 시와 문을 갖추어 여섯 개의 시화첩을 만들어 나누어 가졌다. 『해유시화』의 창작 동기는‘해유(海遊)’를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미와 함께 해유(海遊)’의 두고두고 펼쳐보기 위한‘와유(臥遊)’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은 이 시기 널리 확산 되어 있던 ‘와유(臥遊)’문화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해유시화(海遊詩畵)』는 하백원이 쓴 변려체의 「해유첩서(海遊帖序)」, 이우명의 「해유시화기(海遊詩畵記)」, 하백원의 송호(松湖), 황학루(黃鶴樓), 영보정(永保亭) 그림 세 점, 각 그림 아래 이병중(李秉中), 하백원(河百源), 이우명(李遇明), 조순영(趙淳榮), 이우정(李遇正), 심사숙(沈思叔)이 차례로 친필로 쓴 7언 율시 18편, 이병중의 「해유시화지(海遊詩畵識)」등 전체 총 24편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하백원은 ‘화려한 바다 유람’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고, 명승지의 승경을 더욱 아름답게 묘사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해유첩서(海遊帖序)」를 변려문으로 썼다. 『해유시화』는 19세기에 널리 유행했던 기행산수도 중 시(詩), 서(書), 화(畵)가 합벽된 첩본의 좋은 예로써, 19세기에 지방까지 확산된 시화첩 제작 양상을 연구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유배객들이 유배지역에 적응해가는 양상을 파악하고 잊혀져가고 있는 전대의 지역 문인들을 발굴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해유시화』는 문학연구 텍스트로서의 가치 외에 역사문화 유적에 대한 고증자료적 가치 또한 높다 할 수 있다. 『해유시화』에 대한 연구는 향후 보령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 관광 문화를 새롭게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Roadmap for Cultural Interaction Studies of Seaport Cities in the Global Age

        Jeong, Moon-Soo(정문수)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4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0

        해항도시 문화교섭 연구는 ‘연구필드로서의 해항도시’와 ‘방법론으로서의 해항도시’로 대별할 수 있다. 이 양자는 상호 분리되면서도 밀접하게 연동된다. 연구필드로서의 해항도시는 특정 시기와 공간에 존재하는 것이며, 방법론으로서의 해항도시는 국가와 국가들의 합인 국제의 틀이 아니라 해항도시와 해역의 틀로 문화교섭을 연구하는 시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항도시는 역사적 경험의 장이자 물리적 도시공간을 의미하면서도 동시에 사유의 전환을 위한 인식적 도구의 틀이다. 해항도시 문화교섭 연구는 1단계 해항도시의 역사적 형성, 2단계 해항도시의 사회와 문화, 3단계 해항도시의 유니버설리즘/플루리버설리즘 또는 보편다양성 연구를 통해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다. 각 단계별 연구는 시공간적으로 16∼17세기 이후 동아시아 해역의 해항도시에 초점을 두며, 방법론적 해항도시의 기법에 기대어 발트해역과 지중해역 및 그 해항도시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전개된다. 여기서는 실체로서의 문화가 아니라 혼종, 교섭, 과정으로서의 지리와 문화연구 기법을 제시하며, 인문학의 여러 학문들과의 소통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나아가 사회와의 상호교섭을 위한 범학문적, 시공간적 그리고 범사회적 통섭과 교섭을 제안한다.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방법론적 초국가주의의 대안인 방법론적 해항도시에 기대면, 첫째 국가간의 시점에서 도시간의 네트워크 시점으로의 전환, 둘째, 지구화 지방화를 동시에 반영한 글로컬 분석단위의 도입과 해명, 셋째,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을 해체시키고 정치적인 분할에 기초한 지리 단위들에 대해 투과성과 다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해항도시 문화교섭 연구는 해항도시를 연구필드로 하여, 해항도시들간의 네트워크, 이 네트워크가 연결된 열린 체제인 해역, 해역과 해역의 연쇄를 상정하고 해항도시와 해역에서의 문화생성, 전파, 접촉, 변용에 주목하면서 문화교섭 통째를 복안적이고 종합적인 견지에서 해명하려는 시도다. 근대학문은 넓은 의미에서 국민국가의 안녕과 국익이라는 현실성에 기초하여 개별 국가에 봉사하는 국학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해항도시 문화교섭 연구는 국학에 의해 제한된 영역을 초월하여 국가의 경계를 상대화시킨다. 또한 국익을 기본으로 하는 해양국가의 관점에 경종을 울리고 인류사의 관점에서 지구와 지구환경에 대해 유기적으로 고려하는 지구론을 지향한다.

      • KCI등재후보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과 學問 性向 : 南冥學派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李相弼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7 No.-

        진주의 해주정씨는 17세기 이후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晉州의 海州鄭氏는 農圃 鄭文孚(1565-1624)의 후손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1568-1639)의 후손을 말한다. 농포의 두 아들 鄭大榮(1586-1658)과 鄭大隆(1599-1661)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 등 三叔姪이 어떻게 해서 진주에 정착하여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이 되었으며, 남명학파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진주 지역에서 이들이 가진 학문의 성향은 어떠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진주의 해주정씨는 농포의 아우와두 아들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들이 처음 진주로 온 것은 避兵이 그 주된 목적이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전대의 혼인관계로 인해 상속받았던 田莊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도 또한 분명하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다시 서울 생활을 하려고 했었던 것 또한 확인되는 바였다. 그러나 농포가 李适의 난 이후 昌原府使 시절에 지은 詠史詩로 인해 逆謀로 처형당하고, 遺言에 의해 그 아우와 아들들이 진주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부분은 좀더 생각하게 하는 점이 없지 않다. 광해군 시대 창원부사 시절의 詠史詩로 인해 반정 이후 인조 시대에 역모로 처형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으로서는 자료가 부족하여 증빙하기 곤란하지만, 이는 당시의 집권층이 농포가 광해군 시적 북인으로서 내암 정인홍과의 관련이 적지 않았다고 보았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물론 농포로서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환멸을 느끼고 자손들에게 정치적 은둔을 유언한 것이 아닌가 판단되는 것이다. 해주정씨가 진주에 정착한 초기에는 南冥學派를 영도하는 위치에 있던 謙齋 河弘度의 지우를 입어 남인으로 입지를 굳히는 듯하였으나, 1665년을 전후하여 농포의 신원에 앞 섰던 澤堂 李植의 아들 畏齋 李端夏에게 집지하는 인물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노론화한 것이다. 그러나 노론으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것은 경종 때 남인으로부터 심각한 핍박을 받은 뒤 영조가 즉위한 이후 이에 대한 보복성 핍박을 남인에게 가함으로부터였다. 이 일이 일어난 지 20여 년 후에 일어난 宗川書院 禍變의 주동자가 이 가문에서 나옴으로써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남인과의 관계가 극히 악화되었고, 근기 지역의 노론 학자들로부터 학업을 전수함으로써 이 지역의 남명학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진주의 해주정씨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남인과의 관계도 대체로 나빴다고 할 수 있고, 남명학파에 대한 관심의 정도 또한 보잘것없다고 할 수 있지만, 문집이나 유고 등을 남겼다는 이가 58인이나 있다는 것은 학문에 대한 관심만큼 여타 가문에 뒤지지 않으려 하였던 결과로 보인다. 남명학파라는 범위를 벗어나서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해주정씨가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지역의 학문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aeju Jeongs is called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since 17th century. This report is about the decendant of Haeju Jeong of Jeong Mun-bu and the younger brother Jeong Mun-ik. Jeong Dae-young, Jeong Dae-ryoung are the sons of Jeong Mun-bu. This shows how they reached in Jinju, how they became the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and how is their scholarship character. Haeju Jeong in Jinju is orginated from two sons of Jeong Mun-bu. The fist purpose that they came in Jinju is for avoid dodging. But they had some fields inherited for their wife's ancestors because of marriage in Jinju. After In-jo(The one of Chosun kings) war happened, they tried to live in Seoul life. But Jeong Mun-bu was sentenced to death because of his poems included conspiracy during Gwang-hae's generation. At that time his position is the chief Changwon near Jinju. His will included many parts of the reason why they fixed in Jinju. Owing to lack of materials, we can't prove why he is sentenced to death. He is North part person(1t is the party in power), that is continuous with Jeong In-hong. He felt disillusion concerning of political situation. So he began to retire of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political changing, they fixed their willing as a South part person(the party in Chosun) because of Ha Hong-do, the leader of Nammyoung School. Before and after 1665, his party was changing slowly. Noron(the party in Chosun) concerning the son of Yi Sik. After he occupied a position as a Noron person, he was got stringent since Yong-jo(one of Chosun Kings) hold a coronation ceremony. Twenty had passed since this event happened, the leader in Jongcheon auditorium was born in this family tree. So this party became worse with South part person, it took the initiation of Nammyoung School. Lately they were handed down a Noron scholar. Their concerning was alienated from Nammyoung School. Like this, except a few person in Haeju Jeong family tree, most people were bad with South Part Person's relationship and they had little concerning. However 58 people in Haeju family tree left many collection of works and manuscripts. On the point of this fac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fo scholarship development with a center of Jinju in west kyoungnam.

      • KCI등재

        해기능력 향상을 위한 해군 PQS 제도 발전에 관한 연구

        임봉택(Bong-taek Lim),김병석(Byoung-Sŭ,k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해군 장교들의 해기능력을 검증하는 자체 시스템인 PQS 제도를 국제해사기구의 국제협약인 STCW, 국내 해기 관련 지정교육기관 교육 프로그램, 해기사 면허 취득 자격요건 등과 상호 비교ㆍ분석하였다. 현 해군 PQS 제도는 안전항해 측면에서 STCW협약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STCW 협약을 기준으로 해군 PQS 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QS 제도의 평가범위를 안전항해와 관련된 법규, 해사영어, 천문항해 분야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PQS 평가문항수를 확대하고 객관식, 단답식, 서술식 등 평가유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항해과 장교 출신별(사관학교, 학군장교, 학사장교)로 해기능력관련 교육의 상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해기 관련 교육기간이 짧은 학사 출신 장교들에 대해 PQS 합격기간을 연장해 주고 실습기간도 별도로 부여해 줄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ndatory minimum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officers in charge of a navigational watch on ship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STCW. The trai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for navigational competence of Korean nav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aper suggests adjustment of the evaluation range, increment of evaluation items,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types, differentiation of certification-related education by officer's commission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PQS system.

      • KCI등재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오세준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3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have shared a historical relationship for thousands of years. Korean language has around 70% Chinese loanwords. However, besides these Chinese loanwords,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lso have some special relative words that correspond‐to the phenomenon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Archaic Chinese [*plum](風)(Zheng zhang, Sang-fang 2003) and [param](wind), and also the relation between Archaic Chinese [*khrɯds](器), and Korean [kïrït](vessel). This phenomenon of “relative words” has been regarded as either accidental coincidence or resulting from ancient loanwords. According to my previous research (Oh,Se-jun 2004,2007,2008),these relative words correspond in the Phonetic Radical System(諧聲) collectively and systematically. Therefore, I postulate a non-coincidental relation between these relative words, and one that has not resulted from subjective guesswork, i.e., they are not loanwords. They even can associate large‐scale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ly, the correspondi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is determined by comparing Phonetic Radicals’ Archaic Chinese and Korean (including Altai Language). The following six characters of “解” Phonetic Radicals, “解、懈、檞、澥、□、蟹”, which are pronounced as [*Kreeʔ](Zheng zhang, Sang-fang 2003) correspond to the category of [kïɾï-](MK-解) [KVR-] related inherent words in Korean (including Altai language). This indicates the corresponding systemic relation and reliability of Chinese-Korean language. Secondly, several so-called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ir correspondence in Chinese and Korean material, such as “[kVR-]/{解}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Specific examples for “[kVR-]/{解}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are as follows: “解(佳買切/{解}/[*kreeʔ]-AC):[*görö-](PK-解),[görä-](PT-解),[kïɾï-][kïl-o-](MK-解),[ʔkïrï-](K-解)、[keïrï-](K-懈)”. Thirdly, based on these arguments presented above, this paper discusses the creation theory of Altai Proto-language’s “解” Phonetic Radicals Chinese characters. 漢語와 한국어의 몇 천년 간의 언어접촉으로, 현대 한국어에는 총 어휘의 70 % 에 육박하는 借用 漢字語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뚜렷한 차용어 외에도 그들 간에는 일반 차용관계를 뛰어 넘는특수한 “關係語” 들이 존재한다. 이는 바로 上古 漢語와 한국 고유어간의 대응현상이 그것이다. 예컨대, 上古 汉语의 [*plum](风)(郑张尚芳 2003)과 현대 한국어의 “바람(风)”과의 관계, 上古 汉语 [*khrɯds](器)와 현대 한국어 “그릇(器)”의 관계가 그렇다. 이러한 “관계어”에 관해 어떤 이들은 “우연의 일치”로, 어떤 이들은 “上古시기의 차용어”로 본다. 본인의 연구(2004, 2007, 2008)에 의하면 이러한 어휘들은 谐声체계내에 집단적으로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들을 모두 우연의 일치나 주관적 억측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들은 借用이 아닐 뿐 아니라 심지어 이른바 “汉-韩(알타이)準同源語群”의 양상을 띠고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의 주요 토론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우선 “解聲”系字의 上古 漢語와 한국 고유어(알타이제어 포함)의 비교를 통해 양자간 대응의 엄밀성을 살펴보았다. 즉, 上古에 [*Kreeʔ](郑张尚芳2003) 등으로 읽혔던 “解声”系字 “解、懈、檞、澥、□、蟹” 여섯 글자들이 각자 모두 [kïɾï-](MK-解)등 [KVR-]형 相關 한국 고유어(알타이제어 포함)와 밀접히 대응되고 있다. 이는 漢-韓 대응의 체계성과 신뢰도를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이들 汉-韩 对应의 자료에 근거해 몇몇 “汉-韩準同源語群”을 재구했다. 예컨대, “[kVR-]/{解}汉-알타이준同源어군”等。그 중 “[kVR-]/{解}汉-알타이 준동원어군”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解(佳買切/{解}/[*kreeʔ]-AC):[*görö-](PK-解),[görä-](PT-解), [kïɾï-][kïl-o-](MK-解), [ʔkïrï-](K-解)、[keïrï-](K-懈)” 셋째,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료와 토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祖語(알타이조어)의 “解声”系字 창제론을 논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해자(海子) 시(詩)에 나타나는 공간의식

        김민정 한국중문학회 2016 中國文學硏究 Vol.0 No.64

        海子詩的創作特徵和主題意識硏究,自從1980年代末的「詩人之死論爭」爲始。部分批評家賞讚海子詩將死亡的悲劇詩化得有境地,一部批評家批判海子詩歌由於自殺褒得相當過分。至於1990年代吳曉東與謝凌崗刊行的《詩人之死》鑽硏海子詩裏的死亡意象,自殺的徵候,自殺的必然性,同時又實證海子與各種期刊的距離。海子想念村莊,喜愛土地。以詩反映80年代改革開放的複雜轉折。身爲農家出身與其城市空間不斷經驗不和。他雖然加强努力克服不和,結果零落於貧窮兼孤獨。他爲了避免與土地不和,取向海與天,而在那裏仍然失敗得到和諧,一無所爲不得不回到土地。海子以詩與自己生命,進去地下?不和的本質 - 慾望 - 對抗,而漸漸被引導了解該獻自己生命,才能與土地和諧。因此,就他來說死亡幷不是恐怖,而是使他安慰的唯一辦法。海子越接近死亡越覺得舒服,終於感受與土地和諧。這就是他所獲得的拯救方法,地所豫備給他的復活機會。然而,2010年代對海子的記憶,主要?不動産廣告與流行歌曲,與他的經驗相離?遠,其觀點和方法,也一無所連繫到1980年代的海子詩歌本身。海子的生命體驗,相比死亡,更爲痛苦,更爲孤獨,無所爲以詩豫言21世紀中國社會的異化,而中國人民接受海子的契合,只是看其廣告或聽其歌曲而已。實在是文藝史性錯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