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생제 오 · 남용에 따른 소비자 인지도 조사 (Misuse of Antibiotics and Related Awareness of Consumers)

        유현정,송유진,이강욱,이은경,이진아 국가위기관리학회 2009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1 No.-

        항생제 내성률의 증가와 복합내성균의 출현은 응급 현장에서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기 도 한다. 우리나라는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심각한 내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보다 신중히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 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충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소비자를 대상 으로 2009년 6월부터 8월까지 항생제 사용실태 및 항생제내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을 조사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t-Test, ANOVA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소비자는 항생제의 비효과성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생제 처방에 대한 무분별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소비자가 심리적으로 항생 제 처방에 의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우리나라 소비자는 항생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의료전문인의 처방과 설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으나, 의사 및 약사의 설명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의료 전문인들은 구 체적인 설명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는 스스로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보를 요 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항생제 오·남용의 소비자 인지도를 소비자의 8대 기본 권리 관점에서 분석해 본 결과, 의료전문인의 소홀한 관리 뿐 아니라 소비자의 항생제 오·남용에 있어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의학접근성의 제 한성을 고려하여 의학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의약품의 올바른 사용 캠페인을 효과적 으로 실시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초기 경험적 항생제 치료 기간이 신생아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누리 ( Nu Ry Bag ),김묘징 ( Myo Ji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2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3 No.2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출생 후 수일간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혈액 배양 검사에서 음성이지만 조기 패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경험적 항생제의 사용 기간에 대한 합의가 적다. 이에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경험적 항생제의 사용 기간이 신생아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출생 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출생 후 3일 이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경우를 경험적 항생제 치료군으로 정의하였고, 경험적 항생제 치료 기간이 5일 미만인 단기 치료군(n=50)과 5일 이상인 장기 치료군(n=72)으로 나누어 신생아기 주요 임상적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경험적 항생제 장기 사용군은 단기 사용군에 비해 출생 체중이 의미 있게 적었고(1,039.0±284.0 g vs. 1,145.5±294.6 g, P=0.04), 원외 분만(12.5% vs. 2.0%), 질식 분만의 빈도가 높았으며(38.9% vs. 14.0%), 1분(4.7±1.6 vs. 5.4±1.6)과 5분(7.1±1.2 vs. 7.7±1.0) 아프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 산과적인 위험 요인을 비교하였을 때 경험적 항생제 장기 사용군에서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이 적었고(38.9% vs. 70.0%, P<0.01), 산전 산모의 항생제 치료가 유의하게 적었다(55.6% vs. 32.0%, P=0.02). 병리학적 융모 양막염(37.5% vs. 10.0%, P<0.01)과 조기 양막 파수(34.7% vs. 18.0%, P=0.03)는 항생제 장기 사용군에서 많았다. 경험적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신생아기 예후에서 장관 수유의 시작을 지연시켰고(OR 2.6; 95% CI: 1.7-9.1), ESBL의 출현 빈도를 증가 시켰다(OR 5.3; 95% CI: 1.4-65.9).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초기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장기간 시행하는 것은 장관 수유 진행을 지연시키고, ESBL의 출현을 증가 시켰다. 앞으로 경험적 항생제의 제한적 사용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Little is known about the duration of antibiotics for suspected early-onset sepsis (EOS) with negative blood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the duration of empirical antibiotics and neonatal outcom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 who admitted to NICU in 2007-2010. We defined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group as those who started antibiotic therapy in first 3 postnatal days. We compared the neonatal outcomes between short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5 days) and long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5 days). Results: Of 122 VLBW, 72 infants were long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group. In the long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group, there were lower birth weight, higher rate of out-born, higher rate of vaginal delivery, and had lower Apgar scores. Prolonged antibiotic therapy was associated with delayed start of enteral feeding and incidence of ESBL. Conclusion: Prolonged antibiotic therapy may be associated with some adverse neonatal outcomes. Therefore, wide spread agreement regarding the short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was needed.

      • 새싹 채소를 이용한 동물용 항생제의 작물 흡수량 평가

        박샛별 ( Saet Byul Park ),정소희 ( So Hee Jung ),홍영규 ( Young Gyu Hong ),이병주 ( Byung Joo Lee ),김선주 ( Sun Ju Kim ),김성철 ( Sung Chul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최근 동물용 항생제가 환경에 유입됨에 따라 작물재배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동물용 항생제의 경우 분뇨에 의해 체외로 배출된 후 퇴비 나 액비의 형태로 농경지에 유입되어 작물의 재배 환경에서 작물내로 흡수된다. 하지만 현재 이러 한 동물용 항생제의 작물 흡수량 및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동물용 항생제의 작물 흡수량을 평가하기 위해 새싹채소의 재배환경에 따른 동물용 항생제의 작물 흡수량을 평가하였다. 선정된 동물용 항생제는 7종류(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Oxytetracycline, Sulfathiazole, Sulfamethazine, Sulfamethoxazole, Tylosin)였으며, 2종류의 새싹채소인 적양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f. rubra)과 적무(Raphanus sativus)를 대상으로 작물 흡수량을 평가하였 다. 작물 재배는 Growth chamber에서 실시하였으며 총 재배기간 8일중 처음 3일 동안은 암조건을 유지하여 발아를 시킨 후 4-8일 동안은 광조건과 암조건을 각각 16시간, 8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재 배 온도는 22-23℃로 유지하였으며 동물용 항생제의 농도는 재배 기간 동안 5mg L-1로 유지하였 다. 작물체 내 항생제의 잔류 농도는 HPLC/MS/MS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7종류의 항생제 모두 작물에 흡수되었으며 작물체 내 항생제의 잔류량은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0.04-13.2 mg kg-1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항생제 종류 중 Tylosin의 작물 잔류량이 적양과 적무에서 각각 8.3, 13.2 mg kg-1로 가장 높았으며 작물의 생체 중량에 대비하여 항생제의 흡수량을 평가한 결과 적양의 경우 0.89-15.98 %, 적무의 경우 0.19-54.2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의 작물 체 내 농도 분석 및 생체 중량 대비 항생제의 흡수량을 평가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업 환경 내 항생제의 최적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조기 COPD환자의 급성악화시 항생제 사용현황

        최혜숙,손경희,조용숙,곽원건,이승현,박명재,유지홍,김이형,최천웅,이진국,황용일,임성용,유광하,박용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COPD급성악화의 원인은 세균성 감염이 가장흔하지만, 1/3은 다른 원인에 의한다. 경증-중등증의 기류제한을 보이는 조기 COPD 환자에서 중증급성악화시 항생제 처방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년-2012년에서 폐활량검사로 정의된 COPD환자 (FEV1/FVC <80, FEV1≥ 50%)를 선별하여, 이들의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와 연계하여, COPD 급성악화로 입원한 경우를 중증악화로 정의하였다. COPD 중증급성악화는 ICD-10 코드중 COPD [J43.x-J44.x, except J430], 또는 COPD관련질환[pneumonia: J12.x-J17.x; 호흡곤란: R06.0; 폐동맥색전증: I26, I26.0, 또는 급성호흡부전: J80]으로 입원하여, 입원 3일이내 항생제 또는 전신스테로이드를 처방받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항생제코드가 처방된 경우 항생제 사용으로 정의하였다. 성적: 6년간 총 2363명의 조기 COPD환자가 선택되었으며, 이환자들중 374건의 중증급성악화가 발생하였다. 319건 (85.2%)은 항생제를 처방하였으며, 55건 (14.7%)은 항생제가 처방되지 않았다. 항생제를 처방받은 경우, 그렇지 않은군에 비해 FEV1/FVC가 더 낮았고 (61% vs. 65%, p=0.010), 안정시 COPD약물로 속효성기관지확장제(26% vs. 9.1%, p=0.006)와 경구기관지확장제 (31%vs. 7.3%, p<0.001)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중증급성악화시 입원기간은 항생제처방군에서 더 길었다(12일 vs. 9일, p=0.022). 중증급성악화시 평균 항생제 처방기간은 17일 이었다. 항생제 종류는 세팔로스포린계통이 78%로 가장 많았고, 퀴놀론계 (34.2%), 아미노글리코시드 (25.4%) 순이었다. 의료비용은 항생제 처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2,745,748원 vs. 1,479,136원, p<0.001). 결론: 조기COPD의 급성중증악화시 항생제는 모든 환자에게 처방되지 않았으며, 이는 유럽의 항생제 처방률과 유사하였다. 항생제를 처방한경우 COPD 급성악화의료비용이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반려동물의 인체용 항생제 사용현황 및 시사점

        Ji Young Park,Min Kyung Hyun,Kyeng Hee Kwo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6

        인간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반려동물에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인간에게 내성균 및 내성 유전자를 전달할 위험이 있어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와 사용량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동물병원의 인체용 의약품 사용량을 시범 조사하였고, 이 자료를 정보 공개포털을 통해확보하여 반려동물에 사용한 인체용 항생제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동물병원 456개소 중 인체용 항생제를 사용한 286개 동물병원의 항생제 사용량을 중량(g)으로 변환하고, ATC Code와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CIAs)로 분류하여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동물병원의 60% 이상이반려동물에 인체용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종류는 36종이었다. 국내 동물병원의 11.6%에서 사용한인체용 항생제의 총량은 276.05kg이었고, 가장 많이 사용한 항생제는 Cefalexin 144.37kg(52.30%)이었으며, CIAs 항생제는 66.92kg(24.25%), highest priority CIAs(HP-CIAs)는 5.76kg(2.09%)을 사용하였다. CIAs는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항생제로서, 내성이 발생하게 되면 사람에게 사용이 어려워진다. CIAs 에 해당하는 항생제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CIAs 사용량을 포함한 인체용 항생제 사용의모니터링 및 관련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Companion animals that undergo antibiotic therapies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humans have the potential to transmit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nd resistance genes to human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Korea investigated human medicines used in veterinary clinics through a pilot survey that ran from January 2017 to October 2017. Of 456 veterinary clinics investigated, 286 clinics (63%) used human antibiotics in companion animals. The usage of human antibiotics was analyzed by the weight (g) of active ingredients used and the categorization of ATC codes and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 (CIAs). There were 36 types of human antibiotics used by veterinary clinics, which accounted for 11.6% of Korean veterinary clinics, and the amount used was 276.05kg. The most commonly used antibiotic was cefalexin at 144.37kg (52.30%), and the quantity of CIAs used was 66.92kg (24.25%). The quantity of the highest priority critically CIAs (HP-CIAs) used was 5.76kg (2.09%). CIAs are very important antimicrobials for humans. Their effectiveness should be preserved by suppressing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use of human antibiotics, including CIAs, in companion animals, and establish related policies.

      • 다양한 물 환경시료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검출을 위한 배양 분리방법 개발

        오향균,이재진,이재영,박준홍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2B

        <P>최근 들어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출현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들이 생겨나고 있으므로 항생제 혹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생태유해성 및 보건 유해성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졌다. 한편,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들은 저영양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고영양성 배양방법으로는 환경시료 내 미생물들을 분리해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은 환경시료 내 미생물 유해성을 판단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시료 내 항생제 내성 저영양성 미생물들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실험은 고영양 물질, LB를 희석하고 100 ㎍/mL의 tetracycline을 투여 하여 배지를 만들고 평판확산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시료 내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방법으로 음용수와 축산폐수를 분석한 결과 플레이트에서 확인된 미생물들은 저영양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이었음을 16S rDN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청계천수 내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평가 결과, 항생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에서는 미생물이 자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청계천 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황사 빗물의 경우, 배양된 전체 미생물 중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상대적인 검출빈도는 황사 빗물의 경우가 축산폐수의 그것보다 높은 것을 본 연구 결과에서 보였다. 이는 황사 빗물에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P>

      • KCI등재

        다양한 물 환경시료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검출을 위한 배양 분리방법 개발

        오향균(Oh Hyangkyun),이재진(Lee Jaejin),이재영(Lee Jai-Young),박준홍(Park Joonho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6B

        최근 들어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출현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들이 생겨나고 있으므로 항생제 혹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생태유해성 및 보건 유해성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졌다. 한편,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들은 저영양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고영양성 배양방법으로는 환경시료 내 미생물들을 분리해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은 환경시료 내 미생물 유해성을 판단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시료 내 항생제 내성 저영양성 미생물들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실험은 고영양 물질, LB를 희석하고 100 ㎍/mL의 tetracycline을 투여 하여 배지를 만들고 평판확산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시료 내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방법으로 음용수와 축산폐수를 분석한 결과 플레이트에서 확인된 미생물들은 저영양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이었음을 16S rDN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청계천수 내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평가 결과, 항생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에서는 미생물이 자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청계천 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황사 빗물의 경우, 배양된 전체 미생물 중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상대적인 검출빈도는 황사 빗물의 경우가 축산폐수의 그것보다 높은 것을 본 연구 결과에서 보였다. 이는 황사 빗물에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Microorganisms often develop the way to survive against antibiotics and other antimicrobial drugs as people overuse them.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could threaten human health with deadly disease. In nature, microorganisms need few nutrients to stay alive. In laboratory conditions, however, microbes from environmental samples are normally grown in nutrient-rich culture media. Because of this, the currently-used and typical cultivation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 water samp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new cultivation method to detect oligotrophic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For this, one of general high nutrient media, LB, was diluted in series, and then amended with tetracycline at 100 ㎍/mL. For quantific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 standard spread plate method was modified using the antibiotic-amended diluted LB plates. The ability of the new method to detect oligotrophics and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was confirmed when analyzing drinking water and swine manure wastewater, respectively, followed by 16S rDNA analysis of cultivated isolates from the plates. When this method was applied in evaluating antibiotic resistant microbial risk in river water, microbial risk seemed to be low. However, in the case of Asian dust rain, the relative abundance of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in total culturable bacteria was higher than that for swine manure. This suggests that microbial risk due to antibiotic resistant microbes could be high in the Asian dust containing rain water.

      • KCI등재후보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에 미치는 영향

        성은일,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Sung, E.I.,You, S.J.,Ahn, B.K.,Jo, T.S.,Ahn, B.J.,Choi, D.H.,Kang, C.W.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산란계에서 혈중 및 계란내 항생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1은 450수의 1일령 육용종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2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고, 항생제 0%(T1), 항생제 0.1%(T2), AC 1%(T3), AC 1% + 항생제 0.1%(T4), AC 2% (T5), AC 2% + 항생제 0.1%(T6)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주 단위로 조사하여 성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5주차 종료시에 각 처리구별로 10수씩 선발하여 도살하였고, 간, 복강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을 측정함으로서 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은 가열 감량, 전단력가, 보수력, 육색을 측정하였고, 육질의 관능적 특성은 연도, 맛, 풍미, 다즙성 등을 측정하였다. 장 내 균 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2는 40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9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0.5%에 AC 0%(C), AC 1.0%(T1), AC 2.0%(T2)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2주간 급여하였다. 종료 후 혈액 채취 및 계란을 수거하여 혈액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사 에너지, 조 단백질 및 기타 필수 영양소 수준을 고려하면 AC의 급여가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 복강 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 항목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력가는 대조구에 비해 AC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P<0.05)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에서 적색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총체적 선호도 항목 모두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장 내 총균수, coli form 및 lactic acid bacteria 수는 항생제를 첨가한 (+) 대조구와 AC를 첨가한 처리구가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거나(P<0.05),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는 AC 급여에 의해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특히 AC급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생산된 계육의 외관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시사되었고, 장내 총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감소시키는 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 on broiler performance and antibiotics residue in eggs. In experiment 1, a total of low hundred fifty, 1-day-old male broile. chicks (Ross) were divided into 6 groups, consisting 3 replicates of 25 birds each, and 134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devoid of AC and antibiotics (negative control), devoid of AC with 0.1% antibiotics (positive control), devoid of antibiotics with 1% AC, with 0.1% antibiotics and 1% AC, devoid of antibiotics with 2% AC, with 0.1% antibiotics and 2% AC, for 5 wks. Feed consumption and body weights were measured week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ight birds from each group were selected and sacrificed. The relative weight of organs and characteristics of breast muscle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among the treatment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weight of breast meat, leg and liver. The abdominal fat tended to be decreased by the dietary A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P<0.05) in meat redness (a) and yellowness (b)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breast muscle was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icrobes, Coli forms and lactic acid bacteria (P<0.05) among the treatments. In experiment 2, a total of ninety, 40-wk-old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sisting 3 replicates of 10 birds each and fed medicated control diet devoid of AC or diets containing 1% AC and 2% AC for 2 wks. The residue of antibiotics in Plasma and egg Yol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2% AC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is study suggest that dietary AC may improve the external quality of edible meat and reduced antibiotics residue in chicken eggs without affecting laying performance.

      • KCI등재

        고관절 및 습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절개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위한 프로토콜

        송은규(Eun Kyoo Song),윤택림(Taek Rim Yoon),박상진(Sang Jin Park),박경순(Kyung Sun Park),정우빈(Woo Bi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마취 유도 직후에 항생제를 투여하고, 잘못된 부위 수술을 막기 위한 타임 아웃 프로토콜에 추가적으로 수술절개 1시간 이내에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확인하는 항목을 첨가하여,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투여의 순응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 및 슬관절에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방으로 전실 직전에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 받고 타임아웃 프로토콜만 시행 받은 150명의 환자(A 군)와, 마취 유도 직후에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 받고 항생제 투여 확인란이 첨가된 프로토콜을 시행받은 150명의 환자(B 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방적 항생제 주사와 수술 절개까지의 평균 시간 및 절개 1시간 이내 항생제 투여 비율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항생제 투여와 수술 절개까지의 시간 및 순응도는 A군에서 평균 43분과 60.6%였으며, B군에서 평균 18분과 100%였다. 두 군간의 순응도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마취 유도 직후에 항생제 투여와, 잘못된 부위 수술을 막기 위한 타임 아웃 프로토콜에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확신하는 항목을 추가한 새 프로토콜은 수술절개 1시간 이내에 정맥내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보장하는데 효과적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We aimed that compliance could be improved by new protocol ensuring the adequate timing of intravenous antibiotic delivery onto an already existing time out system used to ensure exact surgical site.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150 patients was administered prophylactic antibiotics just before entering operation room and performed only time-out protocol. Other group of 150 patients was administered prophylactic antibiotics directly after anesthetic induction and perfomed new protocol inclusive of checklist ensuring appropriate timing of antimicrobial prophylaxis. We compared mean time from prophylactic administration to surgical incision and compliance. Results: The average time from administration of the antimicrobial prophylaxis to the surgical incision for patients who was performed only time-out protocol was 43 minutes and compliance was 60.6%. The average time from administration of the antimicrobial prophylaxis to the surgical incision for patients who was performed new protocol was 18 minutes and compliance was 1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of two groups. Conclusion: New protocol ensuring the adequate timing of intravenous antibiotic delivery combined with administration of the antimicrobial prophylaxis directly after anesthetic induction were effective and easily adaptable method to ensure compliance with appropriate timing of prophylactic antibiotics.

      • KCI등재

        N-Isopropylacrylamide-기반 나노구조체를 활용한 온도감응성 항생제 용출 콘택트렌즈 개발

        김종래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4

        Purpose : We prepared antibiotic-eluting thermo-sensitive nanostructures in order to manufacture smart contact lenses in which the antibiotic is not eluted during storage and the antibiotic is eluted only when worn on the eye. Methods : Emulsion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to synthesize p(NIPAAm)-based nanostructures, which were introduced into contact lenses through a sandwich method. The antibiotic levofloxacin (LVF) was loaded on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soaking method, and the antibiotic elu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esults : Temperature-sensitive p(NIPAAm)-based nanostructures with a size of 20-40 nm were synthesiz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using sodium n-dodecyl sulfate (SDS) micelle templates, which were confirmed by TEM and particle size analysis. The nanostructures were introduced into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sandwich method, and the antibiotic was loaded into the nanostructures inside the lens through the soaking method. The release profiles of antibiotics were analyzed at 25 oC and 35 oC, respectively. At room temperature, the antibiotic was released within 3 ug, but at 35 oC most of the antibiotic was released within 2 hours and up to 10 ug was released.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mo-sensitive smart antibiotic-eluting contact lenses were manufactured by synthesizing thermo-sensitive nanostructures, applying it to a contact lens, and loading an antibiotic. The thermo-sensitive nanostructures were able to successfully load antibiotics in the contact lens, stored a considerable amount of antibiotics at room temperature, and released a large amount of antibiotics up to 10 μg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mart ophthalmic medical devices and contact lenses for drug delivery. 목적 : 온도감응성 나노구조체를 제조하고 이를 적용하여, 보관시에는 항생제가 용출되지 않고, 안구착용시에만 온도감응성으로 항생제를 용출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자 한다. 방법 : 에멀젼중합하여 p(NIPAAm)-기반의 나노구조체를 합성하였고, 이를 샌드위치 공법을 통해 콘택트렌즈에 도입하였다. Soaking 방법을 통해 항생제인 levofloxacin(LVF)를 콘택트렌즈에 탑재하여 온도에 따라 항생제용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sodium n-dodecyl sulfate (SDS) 마이셀 템플레이트를 활용한 에멀젼중합을 통해 20-40 nm 크기의온도감응형 p(NIPAAm)-기반의 나노구조체를 합성하였고 이는 TEM과 입도분석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샌드위치공법을 통해 콘택트렌즈에 나노구조체를 도입하였고, soaking 방법을 통해 항생제를 렌즈안의 나노구조체에 탑재하였다. 25 oC와 35 oC에서 각각 항생제의 방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상온에서는 항생제를 3 ug 이내로 방출하였지만, 35 oC에서는 2시간이내에 대부분의 항생제를 방출하였고 10 ug까지 방출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온도감응형 나노구조체를 합성하고, 이를 콘택트렌즈에 적용 및 항생제를 탑재하여, 온도감응형 스마트 항생제용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온도감응형 나노구조체는 콘택트렌즈안에서 항생제를 성공적으로 탑재할 수 있었고, 상온에서 상당량의 항생체를 보관하고, 온도증가시 10 ug까지의 많은 양의 항생제를방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약물전달용 스마트 안과의료기기 및 콘택트렌즈의 개발 및 상용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