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일(日) 고전문학(古典文學) 비교연구(比較硏究)의 과제(課題)와 문제점(問題點)

        인권환 ( Gueon Hwan In ) 택민국학연구원 2009 국학연구론총 Vol.0 No.4

        이제 綜合的觀點에서 앞으로의 課題와 問題點을 간단히 提言하여 두면 다음과 같다. 첫째, 韓·日비교문학 연구가 극히 일부의 時代나 장르 또는 特定有名作品이나 作者에만 限定, 集中되어 있는 現狀을 벗어나야 한다. 즉 硏究領域과 對象의 擴大가 必要하다. 둘째, 各各相對國의 資料에 대한 폭넓은 蒐集과 考證, 그리고 理解가 不足하다. 그리고 相對國硏究現狀과 現狀把握에 不足함이 많다. 양국의 연구자들은 自國의 資料와 硏究에 못지않게 相對國의 資料의 硏究에도 精通하지 않으면 안 된다. 셋째, 文學作品만의 단순한 比較와 對比가 아닌 상대국의 歷史, 文化, 社會, 政治, 宗敎, 民俗에 대한 統合的이해가 必要하다. 따라서 硏究方法論에 있어서도 文學만이 아닌 姉妹學問, 隣接學問의 方法論的援用이 매우 要緊하다. 넷째, 한일문학의 비교 연구에 있어서는 中國文學과의 關聯硏究, 즉 三者間의 비교연구가 不可缺하다. 대체로 韓日의 문학은 중국의 그것과 각각 不可避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어떤 意味에서 中國文學을 排除한 채 양국문학만의 비교연구는 完全을 期하기 어렵다. 이런 點에서 韓國과 日本, 한국과 중국, 일본과 중국 간의 연구는 한·중·일의 三者比較에 이르러야 완전할 수 있다. 中國側이 지나치게 自己中心的으로 생각하여 한·일 양국의 문학을 邊境, 邊邦視하는 것도 決코 옳지 않다. 다섯째, 東亞細亞의 비교문학연구가 한·중·일의 삼국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도 문제다. 좀 더 지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 東러시아의 시베리아 沿岸, 몽골, 티벳, 태국, 베트남을 비롯한 東南亞, 印度까지 포함된 汎亞細亞的次元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하여 世界文學과도 連繫되는 方向으로 가야 한다. 여섯째, 한·일 비교문학 연구의 젊은 世代를 養成하는 일이 다. 특히 古典文學연구의 경우, 現代文學에 比하여 연구가 줄고 연구의 熱氣가 날로 식어가는 것이 현실이다. 東洋의 古典文學연구가 이 두 가지를 피하기 어렵고, 따라서 이에 正面突破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避하거나 迂廻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이에 못지않게 硏究당국이나 선배연구자들의 적극적인 物心양면의 支援이 必須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곱째, 이상의 모든 문제들을 점차적으로 이루어 나가기 위하여서는 각국 해당 연구자들의 학술교류, 합동연구, 자료교환, 학술회의 개최, 공동자료조사, 교환교육, 파견연구 등이 자주, 많이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의 熱氣를 고조시키고 학문적 관심을 增幅시킴으로써 한일문학 비교연구는 날로 발전해 갈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Lee Jing-ok``s life and death written in Joseon Dynasty Sillok. The estimation on Lee Jing-ok was divided into two views, that is, faithful retainer or conspirator. I will approach to Lee Jing-ok``s identity through Joseon Dynasty Sillok. Lee Jing-ok had defensed and colonized northern remote regon with superior military arts, a clear faithfulness, incorruptible attitudes, etc. Then, he had devoted himself t general``s life. Therefore, he is the true general. Though he died unlucky because of the political affair, this will reduce his works as the general. He was written as a conspirator by victors, but he was never a conspirator. I expect That this paper provide a moment for studying on Lee Jing-ok``s identity.

      • KCI등재

        이목(耳目) 관련 관용어(慣用語)의 발상(發想)과 표현(表現) -한,일,영어의 관용어 비교-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어권의 동의·동형의 관용어는 10% 미만이며, 두 언어권에 공통되는 것을 합쳐도 대체로 10% 대다. 세 언어권의 관계는 한·일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일·영 관계가 한·영관계보다 밀접한 경향을 보인다. 세 언어권의 관용어는 개념 면에서 유형화해 볼 때, 귀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을 나타내는 유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이해·판단류, 청각 기능류, 표정·태도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언어권에 따른 경향은 대부분의 고빈도 유형이 일본어권에 속하고, 한국어권이 판단·이해력류 한 가지만 우세를 보인다. 눈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감정류, 표정·태도류, 판단이해(력)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고빈도는 귀 관련 관용어와는 달리 언어권에 따라 분산된 경향을 보인다. 한국어의 감정류, 일본어의 시각 기능류, 태도·표정류, 영어의 판단·이해(력)류, 주의·관심류가 우세를 보인다. 귀 관련 관용어의 특징은 한국어권의 청각 능력류, 주의·관심류 등이 소극적 경향이 강하고, 경험류의 예가 많고, 영어권의 싸움류 아첨류 등 특이한 유형의 관용어가 많다는 것이다. 눈 관련관용어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국어권의 감정류가 두드러진 빈도를 보이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주의·관심류가 언어권에 따라 특징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이목 관련 관용어는 발상과 문화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壓倒的に 多い. 韓·日·英同意同形の慣用語は10%未滿であり, 二つの言語に共 通する慣用語は耳目共に韓日關係がいちばん密接であり, 日英關係 が韓英關係より密接である. 韓·日·英慣用語を槪念的に類型化すると耳かんれん慣用語は注 意·關心, 判斷·理解等の頻度がたかいし, 目かんれん慣用語の頻度 は注意·注目·關心, 感情, 視線·表情·態度等が高い. このような 現象は發想に原因があるといえる. 言語圈によつた傾向は耳かんれ ん慣用語は高頻度の慣用語が日本語に偏向されているのにだいして, 目かんれん慣用語は韓國語の感情, 日本語の視覺機能, 英語の判斷· 理解等が高い頻度を示して分散された傾向がある. 槪念的類型の特性は耳かんれん慣用語のばあい第3類(判斷·理解力)と第8類(經驗)の韓國語慣用語の頻度が高い. 第4類(注意·關心) は韓國語のばあい日·英語とは異なつて消極的聽取態度をみせる. 第9類(感情)は目かんれん慣用語とちがつて例がすくない. 第11類以 下第16類は英語慣用語にあらわれるだけて發想と文化的差をみせ る. 目かんれん慣用語は感情を現わす韓國慣用語, 注意·關心をあら わす日·英語の慣用語がたかい頻度を示すのが特徵的現象である. 第4類(注目·關心)はいちばん頻度が高いのであつて韓國語は關心, 日語は注視·注目, 英語は注意·警戒をあらわすのが多くて差を示 す. 第9類(感情)は皆たかい頻度をみせるが韓國語のほうが壓倒的で ある. 現わす感情は韓·日·英語圈に差がある. 第16類(秋波), 第17類 (あらそい)は英語圈だけの特殊な慣用語である. 耳と目は同じく感覺器官であるが言語圈の發想と文化によつて慣 用語には以上調べて見たように差が生ずる. したがつて效果的な疏 通をする爲には發想と表現に注意すべきである.

      • KCI등재

        1990년대 금융위기 이후의 한,일 금융감독기구개혁에 대한 비교분석

        박성빈 ( Seong Bin Pak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8 No.-

        한·일 양국 정부는 다양한 규제를 통해 경제발전을 촉진해왔는데, 특히 금융규제가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인식되었다. 정부는 금융규제를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신용질서의 유지)을 달성하였으며, 은행을 중심으로 하는 금융시스템이 산업화에 필요한 산업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 한·일 양국에서는 금융기관이 대규모의 부실채권을 보유하게 되는 등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훼손되었다. 1990년대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금융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를 구축하는 과정 속에서 한·일 양국에서는 금융감독기구 개혁이 추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경로의존성의 관점에서 1990년대 금융위기 이후의 한·일 금융감독기구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한·일 양국의 금융감독기구 개혁은 신 자유주의적 개혁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실제 개혁을 살펴보면 여전히 ‘발전국가’적 특성을 상당부분유지하고 있다. 한편으로 한·일의 금융감독기구 개혁의 양상을 비교하면 공통점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일 양국의 금융감독기구 개혁 양상에 있어서 공통점과 더불어 차이점을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정관관계, 정부기업 관계와 같은 제도적 변수에 주목하고 있다.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promot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various regulations. Both governments recognized financial regulation as an important policy instrument. The governments achieved financial stability through financial regulations and facilitated stable supply of funding for industrialization through financial system induced around banking. But in the 90s, financial stability in both Korea and Japan was damaged as the financial institutions possessed significant amount of bad debts. Thus, in the context of overcoming the financial crisis and establishing systems to avoid recurrence of financial crisis, both governments engaged in the reform of financial services authorities. This study proposes, from the view point of path dependenc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form of Korean and Japanese Financial Services Authorities. Both reforms of supervisory framework and oversight appear to follow reform styles of neo-liberalism. However, the reality of the reforms suggest the preservation of characteristics as developmental states. Furthermore, both reforms have many elements in common but differences also exist. In providing explanations on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also focuses on variables such as political-administrative relations and government -business relationship.

      • KCI등재

        한,일 그림책과 영,미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비교

        최영주 ( Young Ju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도서연구회에서 2011년 추천한 3~7세 대상 그림책을 한·일 그림책과 영·미 그림책으로 나누어 그림책에 나타나는 감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감정에 관한 내용은 한·일 그림책과 영·미 그림책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보다는 두려움과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 더 많이 나타났다. 내용분석은 두려움과 분노를 다룬 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감정유발의 원인, 감정 통제 양상, 감정의 표현, 감정표현에 대한 주변의 반응, 감정 소실과정, 감정 소실이후 상황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감정 유발원인과 감정 통제 양상은 한·일 그림책과 영·미 그림책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감정표현, 감정표현에 대한 주변의 반응, 감정 소실과정, 감정소실 이후의 상황은 두 그림책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아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했을 때 주변사람들이 이를 빠르게 소실시키려고 하는 노력이 한·일 그림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영·미 그림책에서는 유아 혼자서 시간을 갖고 감정을 소실한다는 점이 크게 달랐다. 감정 소실 이후에도 한·일 그림책에서는 갈등의 요소가 남아 있었지만 영·미 그림책에서는 감정소실이 온전하게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emotions depicted in Korean/Japanese and American/ English picture books and tries to find out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motions. Target books are the ones that were recommended for 3 to 7 year-old children by the Study Group of Children`s Literature in 2011. Picture books of the two cultures deal with emotions in a similar rate and among various emotions, they deal with the negative emotions, anger and fear, most frequently. Various aspects of emotion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scenario of cognitive semantics; cause of emotions, attempts at control, loss of control and expression of emotions. People`s reaction to the emotions expressed, disappearance of emotions, and after-disappearance stage are also add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 cause of emotions and attempts to control the emotions are similarly expressed in the picture books of the two cultures and that the rest aspects are all differently described. The prominent difference is that when anger and fear are expressed, people try to eliminate them in a very short time in Korean/Japanese cultures but in American/English cultures, children with the emotions are not intervened by people around them and spend time by themselves until the emotional problems are resolved.

      • KCI등재
      • KCI등재

        한·일 혼인담 비교‒‘혼례 날 죽을 운명’을 둘러싼 민담과 민속

        김난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혼례 날 죽을 운명’을 모티프로 한 한·일 민담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혼례 민속, 그리고 혼인에 대한 양국 민중의 인식과 심리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는, 한국에서는 ‘혼례 날의 호환’형 민담을, 일본 쪽에서는 ‘혼례 날의 죽음’형 민담을 선택하다. 혼례 날에 죽음을 경고하는 서사는 민중들이 혼례라는 통과의례 혹은 혼인에 대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의 심리를 반한다. 또한, 혼인담에 나타난 이러한 죽음의 모티프는 실제 혼례의식이 장례와 유사한 의식을 거치며 상징적 죽음을 재연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혼례에서 죽음의 의식을 통과한 남녀가 아내와 남편이라는 자아로 새로 태어나듯, ‘혼례 날 죽 을 운명’ 이야기 속 신랑 신부는 죽음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손에 넣는다. 이러한 공통점과 보편성 이외에 ‘혼례 날 죽을 운명’의 한·일 혼인담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과 특수성을 드러낸다. 본고에서는 첫째, 신랑 신부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위험 요소의 차이, 둘째, 죽을 운명에 처한 주체, 셋째, 누가 신랑 신부를 죽을 운 명에서 구해 내는가의 관점에서 한·일 혼인담의 차이를 도출하고 그 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논하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folk tales based on the motif of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Through this analysis, we compared and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psychology of the two countries’ populations regarding wedding customs and marriage.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Korean folk tales of “disasters caused by tigers on the wedding day”type and the Japanese folk tales of “death on the wedding day”type as the subjects. Narratives warning of death on the wedding day reflect the fears and anxieties that people feel about the rite of passage of wedding or marriage. Moreover, the motif of death found in marriage tales aligns with the fact that wedding ceremonies undergo rituals similar to funerals, and these wedding rituals also serve as a symbolic reenactment of death. Just as individuals transition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death during wedding ceremonies to emerge as new identity as husband and wife, the groom and bride in the stories of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overcome death and grasp a happy life. Beyond these shared themes and universality, the Korean and Japanese marriage tales featuring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motif also shows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and uniqueness. In this paper, we explore: firstly, the differences in the elements leading the groom and bride towards their untimely demise; secondly, the subject who is destined to die; and thirdly, who rescues the groom and bride from this destiny. We draw out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Korean and Japanese marriage tales, discussing their cultural backgrounds and significance.

      • KCI등재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의 법적 문제 -한·일 비교법적 관점에서-

        함인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1

        This study is executed from a perspective of the comparative law between Korea and Japan in relation with legal issues of the digital divide in a ageing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concepts of the ageing society and digital divide, and status quo in Korea and Japan thereupon(Ⅱ). And the comprehensive screen of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Japan(Ⅲ). Lastly, the legal tasks are presented for resolving the digital divide in a ageing society. Japan has reached the ageing society more than 30 years earlier than Korea, but the time gap in the ageing rate between Korea and Japan becomes shorter and shorter. Japanese aged are using internet more frequently than Korean aged. By the way, while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Japan are basically very similar,there are many different respects in them as follows. Firstly, as in Korea the issues of the ageing society and the low birthrate trend are regarded as the same character, the same statute is prescribed thereupon. Contrary to it, in Japan the two issues are prescribed separately. Secondly, while the resolution of digital divide is prescribed as one of aging society problems in Korean, it is not in Japan. In relation to information society, while the legal systems of two countries take the “fundamental act” system thereupon, there are many different respects in content. Firstly, while the concept of digital divide is prescribed in detail in Korean act, it is not prescribed in Japanese act. Secondly, while the Korean acts are prescribed in detail with regard to the exercise of the executive powers, the Japanese acts are not. This is because the Gyouseisido is very prevalent in Japan. And this is regarded as the core factor which the rule of law is not executed in strict mode in Japan.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의 법적 문제를 한·일 비교법적 관점에서 수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령화사회 및 정보격차의 개념과 한·일 양국에서의 현황(Ⅱ)과 한·일 양국의 관련법제의 검토(Ⅲ)를 검토한 다음,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과제(Ⅳ)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Ⅱ에서는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30년 앞서 고령화사회에 이르렀지만,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그 시차가 좁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정보격차는 다른 취약계층보다도 상대적으로 더 열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본 고령자가 한국의 고령자에 비하여, 인터넷 이용도가 대단히 높음을 알 수 있다. Ⅲ에서는 먼저, 고령사회와 관련한 양국의 법제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지만, 양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첫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고령화와 저출산문제를 동일선상에서 파악하여 정책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일본의 경우에는 고령사회문제와 저출산문제를 별개로 접근하고 있다. 둘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고령화문제의 하나로서 정보격차의 해소를 규정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에는 이러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화와 관련한 양국의 법제는 ‘기본법’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그 실질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로, 정보격차와 관련하여, 한국의 경우에는 개념정의를 비롯하여 비교적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비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정보격차’ 라는 용어의 사용을 회피한 채 그것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내용의 규정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두고,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이 되도록 하고 있는 데 비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고도정보통신네트워크사회의 형성에 관한 시책을 신속하고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내각에 ‘고도정보통신네트워크사회추진전략본부’를 설치하고, 본부장으로서 내각총리대신이 맡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과제로서 융합법제의 요청, 민관협동에 의한 대응, 보다 엄격한 법치행정의 요청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융합법제의 요청과 관련하여서는,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우선, 국가행정기관에 의한 임무 수행이 요청되는데, 행정실제에서 고령화와 정보격차문제를 소관하는 부처가 다르다. 이로 인하여,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라는 문제가 각각 다른 부처에서 이루어지고, 따라서 중복되거나 서로 책임을 미루다가 공백지대로 남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 문제는 사회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이슈로서 종래의 부처간의 칸막이행정에 의하여 수행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탄력성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조직을 유연하게 만들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 인력과 예산의 운용에 있어서 무엇보다 탄력적일 필요가 있을 것이며, 그를 위한 이른바 융합법제의 도입이 요청된다. 둘째로,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문제는 행정에만 맡겨서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과제가 아니며, 행정만에...

      • KCI등재

        한·일 청소년 소비자의 신용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김시월(Si Wuel Kim),조향숙(Hyang Sook Cho) 한국FP학회 201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3 No.2

        본 연구는 한·일 청소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신용지식, 신용관리 인식, 금융채무불이행자·다중채무자 증가 원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를 근거로 신용소비자교육의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일 청소년 소비자의 신용지식은 40.45/100점이었고, 일본에 비하여 한국 청소년 소비자의 신용지식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소비자의 신용관리 인식을 요인분석하여, 신용책임 및 규범 인식, 신용거래 및 행위 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양국 청소년 소비자의 신용관리 인식을 살펴본 결과, 신용책임 및 규범인식은 한국이, 신용거래 및 행위인식은 일본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금융채무불이행자·다중채무자 증가 원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양국의 청소년 소비자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신용지식과 신용인식과의 관계는 신용지식, 신용책임 및 규범인식 그리고 금융채무불이행자·다중채무자증가 원인 인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용거래 및 행위인식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신용지식이 높을수록, 신용책임 및 규범인식이 높을수록, 금융채무불이행자·다중채무자 증가원인이 사회책임이라고 인식할수록 소비자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비자의 지역, 지식, 인지도 등 각기 다른 청소년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신용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의 필요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to demand and need for consumer education, consumer awareness, knowledge on credit of Koreans and Japanese teenagers.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as made by refered with related reference, and the subject of this questionnaire, teenagers of Korean and Japanese. The subject of total teenagers was the number of 1,065 persons, Korean teenagers was 525 persons, and Japanese teenagers was 540 pers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n credit of Korean and Japanese teenagers was lower than usual level, and Korean teenagers was more higher than Japanese teenagers. Second, the factor on awareness for credit management of teenagers was two factor as factor analysis, name of factor one was awareness of credit responsibility and name of factor two was awareness of credit dealing. The result of comparative factor level of Korean and Japanese teenagers was that Korean teenagers was more higher than Japan on the awareness for credit management, and Japanese teenagers was more higher than Korean on the awareness for credit dealing. And the teenager"s awareness on increasing cause of the credit delinquent was meaningful difference level with Korea and Japan. Third, th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n increasing cause of the credit delinquent and knowledge on credit was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n increasing cause of the credit delinquent and awareness on credit dealing was negative correlation. Fourth, the result of demand on consumer education of Korean and Japanese teenagers, Korean teenagers was more higher than Japanese, and influence factors was knowledge on credit, awareness of credit responsibility, and so on. As a result, the consumer education on credit of teenagers is very important, and main essential factor on credit related consumer education of teenagers was region, knowledge, awareness, and characteristic level of teenagers. And it need to educate and to develop systematic program make to order on credit related education of teenagers.

      • KCI등재

        한·일 중학생의 시민성 관련 태도와 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박남수,권오현,심정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citizenship related attitude and awareness about school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lso examines possible directions citizenship education can tak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like, the trust in governing bodies was generally low and the Korean students had lower trust. However, students of both countries were positive of immigrant and women’s rights. Second, students of both countrie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s politics and Korean students had more negative attitudes.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interested in politics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lso,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s of information on politics for the students were TV news, newspapers, and radio in this order.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exhibited low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in the future with Japanese students particularly showing lower willingness. Third, students of both countrie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necessity of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y had negative evaluations on the openness of the class, with Korean students showing more negative assessment than Japanese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llowing educational issues need to be addressed; First, improvement of students’ critical perspective in political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Second, the teacher’s active role in conjunction with the family; Third, enhancing students’ critical acceptance and production capacity to information media; Forth, learning experience needed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Fifth, securing openness of class to encourage critical thinking.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학생의 시민성 관련 태도와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시민성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중학생의 정치 조직에 대한 신뢰는 낮으며, 한국 중학생의 신뢰가 더 낮았다. 그러나 양국의 중학생들은 여성과 이주자의 정치, 경제적 권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한·일 중학생의 정부의 정치활동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한국 중학생의 태도가 더 부정적이었다. 정치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한국 중학생이 일본 중학생에 비해 더 높았으며, 정치와 관련한 대화 상대는 부모, 친구, 교사의 순이었다. 또한, 정치문제에 대한 정보원은 텔레비전 뉴스, 신문, 라디오 뉴스의 순이었다. 장래 정치 활동에 대해 양국 중학생의 참여의지는 낮았으며, 일본 중학생이 더 소극적이었다. 셋째, 양국의 중학생들은 학교에서의 민주적인 참가의 필요성 및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경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실 수업의 개방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중학생이 더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에서의 시민성 교육과 관련해서 첫째, 정치 조직과 정치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적 시각 육성, 둘째, 정치 및 시사문제에 대한 가정과 학교의 적극적인 역할, 셋째,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의 비판적 수용과 생산 능력 증진, 넷째, 다원적인 민주사회에 요구되는 다양한 경험 제공, 다섯째, 교실 수업의 개방성 확보와 같은 과제의 해결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