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지도(지리서)의 외국지명 한자표기에 관한 서지적 고찰

        김경호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5 No.-

        Currently, there are two using methods about foreign place names in Korean.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try to find out why and how these notations are made and take a diachronic point of view on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world map (geography), with focusing on their formation from a transnational point of view. First, It was surveyed and analyzed Chinese, Korean and Japanese books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s of foreign place names and Chines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world map (geography). As a result of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world maps, before the 19th century, Korea and Japan borrowed the Chinese characters from the Chinese books, but When the kanji notation of the place name was read in the Chinese character of the native language, it is pronounced differently in the Korea and Japan. Therefore, after the 19th century, there was an attempt to make the new kanji notation in order to correct it. For example [麦時古] a book in Korea, it was made as the Chinese character for [Mexico], but it was pushed out by the [墨西哥] notation made in China dispite of the sound being different. In addition, because the characters written in Chinese letters for [Germany] was different for original pronunciation in Korea and Japan, it was made new form of characters in Japan. However, the notation for [Germany] made in Japan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und when pronounced in Korean. Nevertheless, in Korean, the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for [Germany] are used as an idiomatic expression.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외래어표기법 규정]에서는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을 정해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와 [불란서(佛蘭西)], 그리고 [불어불문학과(佛語佛文學科)]같은 표기가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하나의 외국지명에 두 개의 음형과 어형이 존재함을 엿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왜 이러한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세계 지도(지리서)에 나타난 외국지명의 한자표기에 대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성립과 출전을 중심으로 서지적 고찰을 실시했다. 먼저, 세계지도(지리서)에 등장하는 외국지명과 한자표기의 기원을 살피기 위해 중국, 한국, 일본 측 문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조사대상으로 택한 세계지도와 지리서는 다음과 같다.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彊理歴代國都之圖)』, 2) 『지봉유설(芝峰類説)』, 3) 『곤여만국전도(坤輿万國全圖)』, 4) 『해국도지(海國圖志)』, 5) 『영환지략(瀛環志畧)』, 6) 『직방외기(職方外紀)』, 8) 『세카이구니즈쿠시(世界国尽)』, 9) 『사이란이겐(采覧異言)』, 10) 『서유견문(西遊見聞)』 상기 문헌을 대상으로 외국지명에 대한 한자표기의 서지적 분석을 한 결과, 19세기 이전 한국과 일본은 외국지명의 한자표기를 중국 측 문헌을 통해 차용해, 사용해 왔으나, 19세기 이후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외국지명의 한자표기가 자국어의 한자음으로 읽었을 때, 원음과 상이하게 발음돼, 이를 시정하기 위해, 독자적인 한자표기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에서는 [멕시코]에 대한 한자표기로 [맥시고(麦時古)]가 선택되었으나, 중국에서 만들어진 [묵서가(墨西哥)] 표기에 밀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멕시코에 대한 한자표기로 [묵서가(墨西哥)]가 실려 있음이 확인됐다. 또한 [독일]에 대한 중국 한자표기인 [덕국(徳國)]은 한국과 일본의 한자음으로 읽었을 때, 원음과 상이해 일본에서는 일본어 한자음에 맞추어 [독일(独逸)]로 한자표기를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한자표기가 한국에 그대로 차용돼, [독일]과 같이 한국어 한자음으로 읽으면 원음과 상이한 발음으로 나타나는데도, 관용이라는 이유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음 알 수 있다.

      • KCI등재

        왕실발기에 나타난 복식 관련 어휘 차자표기의 한자 운용에 대한 연구

        박부자 ( Pakh Bu-ja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5 No.-

        본고는 동일한 내용의 한문본과 한글본이 공존하는 왕실발기를 대상으로, 동일한 명칭에 대한 한자표기와 한글표기의 대응을 통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 양상과 漢字의 運用을 살핀 것이다. 본고를 통해 19세기 왕실발기에 나타난 고유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는 音借, 訓借, 訓讀 등 전통적인 借字表記 方式이 다양하게 활용된 반면, 차용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는 音借의 방식으로만 표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 쓰인 한자는 총 100자인데, 音을 빌린 한자는 68자, 訓을 빌린 한자는 총 32자로 음을 빌린 한자의 비율이 우세했다. 音을 빌린 한자는 대부분 音借字로 쓰였으며 訓을 빌린 한자는 대부분 訓讀字로 쓰이고 단 2자만이 訓借表記에 쓰였다. 즉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서 音借의 방식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으며, 訓讀字가 그 뒤를 잇는다. 음차자로도 쓰이고 훈독 자로도 쓰인 것은 ‘加’와 ‘頭’ 두 자뿐이다. 즉 19세기 왕실발기에 나타난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서 음을 빌리는 한자와 훈을 빌리는 한자가 상당 부분 구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s of costume and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hrough the correspond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nscriptions for the same name that are found in The Royal Court Balgi, of which Korean and Chinese versions have coexisted.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loan spelling for native words is applied in a variety of traditional ways such as ‘pronunciation-loan’, ‘meaning-loan’ and ‘reading Chinese characters ideographically’, while loanwords are transcribed only in the way of pronunciation-loan. Among the 100 Chinese characters used in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 of costumes, 68 characters loan pronunciations, which is superior in percentage than 32 characters loaning meaning. Most of Chinese characters that loaned pronunciation are written in ‘pronunciation-loan letter(音借字)’, and that loaned meanings are written in ‘ideographically -read letter(訓讀字)’. Only 2 letters were written in ‘meaning-loan spelling(訓借表記)’. In other words, the ‘pronunciation-loan(音借)’ method is applied most frequently in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s of costume, which is followed by ‘ideographically-read letter(訓 讀字)’. The letter ‘加, 頭’ are written in both ‘pronunciation-loan letters’ and ‘ideographically-read letters’, of which case is, however, very rare. That is, there seems to have been considerable distinction between ‘pronunciation-loan letter(音借字)’ and ‘meaning-loan letter(訓借字)’ in character-loan spellings for the names of costumes in the 19th century’s The Royal Court Balgi.

      • KCI등재

        地名語의 漢譯化 類型에 관한 硏究

        朴秉喆(Park Byeong-Cherl)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3 No.-

        地名語에서 漢字借用表記와 漢譯化는 구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漢字 借用表記의 경우 표기만 한자로 했을 뿐 固有語라는 단어의 속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漢譯化의 경우 고유어였던 지명어가 漢字語로 轉環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漢字借用表記法의 體系는 音讀, 音假, 訓讀, 訓假로 分類하고 있다. 그러나 漢譯化는 고유어 지명의 음상을 보존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진 音譯과 뜻을 중시한 측면에서 이루어진 義譯으로 나누어진다. 音譯의 경우는 同一音譯과 類似音譯으로 直譯의 경우는 直譯과 雅譯으로 구분할 수 있다. 固有語 地名을 기반으로 漢字語 地名이 형성될 때 義譯에 의한 방석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後部要素의 경우 대부분 義譯의 방식에 의존한다. 前部要素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音譯에 의한 방법도 적용된다. 固有語 地名을 漢譯化할 때 일반적으로 그 原形이 지니고 있던 形態素를 대부분 반영한다. 지명어의 音節 構造는 대체로 二音節이나 三音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漢字語 地名은 二音節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音節을 줄이는 經濟 原理와 뜻글자인 漢字가 가지고 있는 特性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Borrowing Chinese Character Writing System and Sino-Korean Translation in regard to Toponym words. As for Borrowing Chinese Character Writing System, though written in Sino-Korean Character, Toponym words maintain Native word's property. But in case of Sino-Korean Translation, Native Toponym words are wholly changed into Sino-Korean. In general, Borrowing Chinese Character Writing System is categorized into “eumdok音讀”, “eumga音假”, “hundok訓讀” and “hunga訓假”. But Sino-Korean Translation is categorized into “eumyok音讀” that maintains sound aspect of native toponym words and “uiyok意讀” that mainly reflects meaning of native toponym words. “eumyok音讀” can be also categorized into “dongileumyok同一音讀(same sound translation)” and “yusaeumyok類似音讀(similar sound translation)”, and “uiyok議讀” into “jikyok直譯(same meaning translation)” and “ayok雅譯(same meaning but more elegant nuance translation)”. A reconstruction of Sino-Korean toponym words from native toponym words generally utilizes “uiyok意譯” and especially for rear part elements. Partially for front part elements “eumyok音譯” is utilized. Generally, morphemes that native toponym words were holding are wholly reflected in case of Sino-Korean Translation. The syllable structure of Native Toponym words usually are two or three syllables. But, for economic principle that contracts syllables and meaning-based property of Chinese Character, Sino-Korean Toponym words tend to be two syllables.

      • KCI등재

        ‘독도(獨島)’ㆍ석도(石島)’의 지명(地名) 표기(表記)에 관한 연구(硏究)

        서종학 ( Suh Jong-ha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3

        ‘石’과 ‘獨’ 그리고 ‘梁’과 ‘督’ 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借字로서, ‘石’과 ‘梁’은 ‘돌, 독’(<돓<<sup>*</sup>돍)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훈차자이고, ‘獨’과 ‘督’은 ‘독’을 표기하는 데 이용된 음차자이다. ‘獨’과 ‘梁’이 표기될 자리에 한자 ‘道’가 사용됨은 이들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돌, 독’을 훈차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石, 梁’이 되고 음차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獨, 督’이 되는 것이다. ‘石島’가 표기된 勅令은 古文書의 敎書에 해당하는 문서인데, 교서는 한문으로 기록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으므로 ‘돌섬, 독섬’을 표기하려면 이를 훈차한 ‘石島’를 이용하는 것이 관례였다. ‘獨島’가 기록된 報告書는 고문서의 牒呈에 해당하는 문서인데, 첩정은 吏讀로 기록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으므로 ‘돌섬, 독섬’을 표기하려면 음차한 ‘獨島’로 기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獨島’와 ‘石島’는 동일한 지물을 가리키는 異表記인 것이다. The place name, ‘Dokdo'(獨島), appeared first in 1906 in the report from Sim, Heung-taek who was the county chief of Ulleung-gun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the previous year(1905), the announcement from Shimane county(島根縣) in Japan announced that the island belonged to Japan. Based on this assertion that they announced dominium of the island first, the Japanese insisted that the island was theirs. Koreans, however, proclaimed that ‘Seokdo'(石島) fell under the jurisdiction of Ulleung-do according to the Royal Order 41 in 1900. For this reason, Koreans contended that they claimed the island earlier than Japan. In this respect, the question whether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are referred to as the same island arises. Apart from a number of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regarding the island,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argument that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referred to the same island, but they were spelled in a different way in terms of orthography of the borrowed sino-letter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at the orthography varied depending on the form of documents. ‘Seok'(石) and ‘Dok'(獨) were traditionally the borrowed sino-letters which had long been used historically. ‘Seok'(石) was a meaning- borrowed sino-letters (i.e. its meaning was borrowed from the character) to indicate ‘Dol'(돌), ‘Dok'(독)(<돓<<sup>*</sup>돍). And ‘Dok'(獨) was a sound-borrowed sino-letters (i.e. its sound was borrowed from the character) to spell Korean ‘Dok'(독). In the same fashion, ‘梁' and ‘督' played the same role as ‘Seok'(石) and ‘Dok'(獨) respectively. That is to say, ‘梁', a meaning-borrowed sino-letters, was used to indicate Dol(돌), Dok(독)(<돓<<sup>*</sup>돍), and ‘督', a sound-borrowed sino-letters, was adopted to spell Korean 독(Dok).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道 could replace ‘獨' and ‘梁’ based on research materials. Therefore, ‘Dol'(돌) and ‘Dok'(독) were written as ‘石' or ‘梁' if we use the meaning-borrowed sino-letters and they also were written as ‘Dok'(獨), ‘Dok'(督) if we use the sound-borrowed sino-letters. The Royal Order where ‘Seokdo'(石島) was spelled is an ancient document with a king's message and the message was traditionally written in Chinese. It was a custom to use the meaning borrowed letters ‘Seokdo'(石島) in order to spell Dolsum(돌섬) or Doksum(독섬). The report from Sim, Heung-taek where ‘Dokdo'(獨島) was recorded was chupjeong(牒呈), a kind of an ancient document, which was customarily written in idu(吏讀). Thus, it was a natural custom to have Dolsum(돌섬), or Doksum(독섬) recorded as Dokdo(獨島) by using borrowed sino-letters. All in all,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are different orthography while referring to the same object.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유명사에 대한 외래어 표기법 연구 - 대학명을 중심으로 -

        배영환(Bae, Younghwan),이민(Li, Min),김은희(Kim, Eunhee)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명을 대상으로 이를 우리 글로 옮길 때 어떻게 표기해야 합리적인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내 대학 200여 개의 대학명을 조사하고 이를 구성 성분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대학교 이름은 외래어의 범주에 포함되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문제가 존재한다. 중국의 대학명은 전부 요소와 부가 요소 그리고 후부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요소 가운데 한국어 한자어와 동일한 형태와 의미를 갖는 것은 한국식 한자음으로 표기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논의하였다. 반면, 지명과 같은 고유 명사는 ‘전부 요소’에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원음을 존중하여 표기하는 것이 외래어 표기법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논의하였다. 그 밖에 의역이 필요한 것은 ‘부가 요소’에 나타나는데, 한국어 한자어와 형태와 의미가 전혀 다른 유형에 해당된다. 이들 어휘는 대체로 서구에서 차용된 단어들인데 그 의미에 맞게 번역어를 사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how to translate the of into the Chinese names of universities in China Korean. To this end, the names of 200 universities were studied and categorized. As university name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oreign languages, it is accepted practice to mark them according to the “Loanword orthography”, however, there are several issues with this practice. Chinese university names can be divided into front part elements, additional elements, and rear part elements. Among these factors, we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indicating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the same form and meaning as Korean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proper nouns such as geographical names mainly appear in “front part elements”, and we concluded that the use of the Loanword orthography will respect the original sound in such cases. Other that require interpretation appear in “additional elements”, which correspond to completely different types of Korean characters, forms, and meanings. This vocabulary is generally borrowed from the West, and it is considered effective.

      • KCI등재

        固有語 地名의 漢字語化 過程과 그 對立 樣相에 관한 硏究

        박병철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Originally, there existed only the Native Toponym Words in Korea. However, the Sino-Korean Toponym Words were formulated due to the cultural and political intervention of China resulting coexistence and opposition of the two types of Toponym Words. Their coexistence and opposition are manifest in the Book of Geography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三國史記》,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and the actual non-administrative Toponym Words. The Sino-Korean was preferred to the Native Korean and utilized in the literation of Toponym Words due to its productive power and economy. By the term 'economy' it is meant that the Sino-Korean has much reductive power to diminish syllables than the Native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coexistence and opposition of the two types of Toponym Words. However,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actual administrative Toponym Words are mainly in Sino-Korean. A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to analyze the context and process of dominance of the Sino-Korean Toponym Words and establish the future plan for Toponym Words in the confrontation of the invasion of foreign languages. 우리나라 지명의 원초적인 형태는 고유어였다. 그러나 중국의 문화ㆍ정치적인 간섭의 결과 고유어를 기반으로 한 한자어 지명이 생성되면서 복수의 형식으로 대립, 공존하여 왔다. 고유어와 한자어 지명의 대립 공존은《三國史記》地理志,《龍飛御天歌》그리고 현용 俗地名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複數性의 한 축인 한자어 지명이 세력을 얻게 된 것은 지명어의 문자화 과정에서 한자를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한자가 지닌 강점인 造語力과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漢字語 地名이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경제성이란 한자어는 고유어에 비해 음절을 줄일 수 있는 縮約力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명의 특징 중 고유어와 한자어 지명이 대립 공존하는 경우를 탐구하였다. 그러나 현용 행정지명은 대부분 한자어이다. 고유어 지명을 잠식하게 된 배경과 과정, 서구어의 침투와 관련한 미래의 지명 정책 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 「영주산대총도(瀛洲山大緫圖)」의 제주 지명

        오창명 한국지명학회 2008 지명학 Vol.14 No.-

        이 글은 국립 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영주산대총도(瀛洲山大緫圖)』의 제주 지명 표기를 해독하고 연구한 것이다. 『영주산대총도(瀛洲山大緫圖)』는 그 지도의 서문 끝에 신축년(辛丑年)이라 한 것으로 보아, 1721년에 회화식으로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도에는 310여 개 이상의 제주 지명이 한자 또는 한자차용표기로 표기되었다. 개[浦]가 70여 곳, 오롬[岳]이나 메[山]가 70여 곳, 마을이 80여 곳이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1목 2현과 구진(九鎭), 봉수(烽燧)와 과원, 목장, 섬[島]과 여(礖), 내[川]와 소[潭・淵], 곶[藪], 도[梁], 물[水], 논[畓] 등도 표기되어 있다.

      • KCI등재

        耽羅十景圖의 제주 지명

        오창명 한국지명학회 2017 지명학 Vol.26 No.-

        This paper is a study of Jeju's place name used in the Tamna-Sipgeong-Do, which depicts Tamra Ten Views from at least the 17th century. Tamna-Sipgeong-Do has many copy of a different edition. Currently three or four types are known. These three species differ in many ways, such as writing patterns or geographical names. Tamna-Sipgeong-Do used in this paper, is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presumed to have been painted in the 19th century. Tamna-Sipgeong-Do wrote a preface about scenic beauty above a canvas, pictured below the scenic beauty, and several names. In this paper, the names of places used in these preface and the names of places used in the scenic painting are deciphered. In comparison with the unique place name that is transmitted today, it grasps the sound and the meaning, and furt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ing. 이 논문은 적어도 17세기부터 전해 내려오는 耽羅 十景을 그림으로 나타낸 『耽羅十景圖』에 쓰인 제주 지명을 연구한 것이다. 耽羅十景圖는 여러 異本이 있는데, 현재 서너 종이 알려지고 있다. 이 서너 종은 畫法이나 地名 表記 등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 이용한 『耽羅十景圖』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본으로, 19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탐라십경도』는 하나의 畫幅 위쪽에 名勝에 대한 序文을 쓰고, 그 밑에 명승을 그림으로 그리고 몇 개의 지명 등을 써 넣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序文에 쓰인 지명 표기와 명승 그림에 쓰인 지명 표기를 해독하고, 오늘날 전해지는 고유 지명과 비교하여, 그 소리와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표기의 특징 등을 살폈다. 『耽羅十景圖』에는 오늘날까지도 민간에 전하는 고유 지명에 대한 표기가 借字로 표기되어 있다. 가령 제주시 조천읍 조천포구 서쪽에는 ‘개남개코지’라는 지명이 있는데, 「朝天舘」 圖에 盖南浦串으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새콧’ 또는 ‘새콧바당’으로 부르는 지명은 刷海串으로 표기되었다. 지명의 차자 표기와 오늘날 전하는 고유 지명을 비교하면, ‘쇄콧바당’이 소리가 변하여 ‘새콧바당’으로 말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瀛谷』 圖는 고유 지명 ‘영실’의 이른 시기 차자 표기인 瀛谷과 후대의 변한 표기 灵室을 아울러 확인할 수 있다. 이른 시기의 耽羅十景圖에는 瀛谷이나 灵谷으로 표기되던 것이 19세기에 이르러 瀛室이나 灵室로 표기되고, 오늘날까지도 瀛室로 표기되고 있다. 「瀛谷」 圖의 지명 표기는 그 중간 단계를 보여 준다. 이와 같이 『耽羅十景圖』는 제주 고유 지명의 차자 표기를 연구할 수 있다. 특히 17~18세기의 지명 표기와 19세기 지명 표기의 지명 변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그림 지도로서 좋은 자료이다.

      • KCI등재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861)의 제주 지명

        오창명(Chang Myeong Oh) 제주학회 2008 濟州島硏究 Vol.31 No.-

        이 글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1861)에 들어있는 제주도 부분 지도의 제주 지명을 해독하고 연구한 것이다.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그리기 위해 여러 가지 선행 작업을 했다. 기존의 지리지를 새로 편집하여 대동지지『大東地志)』를 편찬했을 뿐만 아니라 「동여(東與」와 「청구도(靑邱圖)」 등의 지도도 작성하였다. 그리고 직접 갈 수 있는 곳은 직접 가서 답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주도 부분을 그리기 위해서 제주도를 직접 답사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대동여지도』의 제주도 부분의 지도와 지명 표기 등을 분석해 보면 그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제주도 부분 지도에서 오늘날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 제주 지명은 180여 항목이 표기되어 있다. 오롬 또는 뫼 표기는 ○○岳 또는 O○山으로, 개 표기는 ○○浦로, 마을은 ○○村으로, 내는 ○○川으로, 곶은 ○○藪로, 소는 ○○淵 등으로 표기하였다. This article is deciphers the Jeju place name of Jeju-do part map to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of KimJeongHo(金正浩), and to have studied, KimJeongHo(金正浩) was pushed various works in order to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In addition to them, map of Dongyeo(東與) and Cheonggudo (靑邱圖) etc. wrote too, And a place to be able to go directly went directly, and delivered a valedictory. However, a direct survey is called Jeju Island in order to thaw Jeju island section do not, and is assumed. I can easily assume it if I tries to analyze map of Jeju-do part of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and place name notation etc. The layman Jeju place name is 180 odd item is recorded nowadays to a self-government duty special Jeju at Jeju-do part maps 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