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맞춤법 이해력 신장을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연구

        박종미(Bak, Jong-mi)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이 연구의 목표는 한글 맞춤법과 관련하여 문법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길러주어야 할 능력을 ‘한글 맞춤법 이해력’으로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의 ‘한글 맞춤법 이해력’ 신장을 목표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를 ‘전이력의 향상’과, ‘비판력의 향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1종 고등학교 『국어Ⅰ』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의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한글 맞춤법 이해력 신장을 위해서는 ‘원형을 밝히어 적어야 할 경우’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강조되어야 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의 이해를 통해서, 학습자는 한글 맞춤법의 각 항이 제정된 배경을 이해할 수 있으며, 특정 항을 반드시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올바른 표기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사고할 수 있고, 나아가 현재의 한글 맞춤법 규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understanding about korean orthography. In the pursuit of this aim, I suggested the reasons that we should set up a goal that "understanding about korean orthography". That reasons have two kinds of level. One is "Improvement in transfer" and the other is "Improvement in critical insight". and I analyzed all of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Korean Ⅰ" for high school. and I found what"s lacking in the textbooks. Also I explore the educational contents to make up for it"s faults. Consequently, I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s of "When do we write to show the original form?". The students will be understand about korean orthography and think about "What is good mark?" through this contents.

      • KCI등재

        ‘한글 맞춤법 해설’의 분석과 발전 방향

        정희창 ( Jeong Hui-chang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8

        ‘한글 맞춤법 해설’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한글 맞춤법’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한글 맞춤법의 온전한 이해를 돕는다. 둘째, 맞춤법 조항에서 미처 언급하지 못하거나 세부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내용을 구체화한다. 셋째, 맞춤법 조항에서 이견이 있거나 견해가 분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분명한 판정을 제공한다. ‘해설’을 통해 현재의 한글 맞춤법을 보완할 때는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먼저, 역사적 표기법이라는 표기 원칙을 제시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 외에 현재의 맞춤법을 온전하게 설명할 때 필요한 원리이다. 둘째, 표준어와 맞춤법을 구분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맞춤법에서는 표준어와 표기법을 구분하지 않고 제시하거나 둘의 개념을 혼동한 듯한 사례가 적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구분과 설명이 있어야 한다. 셋째, 표기의 원리를 문법적 원리로 설명하려고 부분에 대한 해석을 제공해야 한다. 한글 맞춤법에 나타나는 과도한 문법적인 설명은 문법의 원리를 표기의 원리로 규정하거나 문법적 설명에 불필요한 규범성을 부여하는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이에 대한 설명과 조정이 필요하다. There are three goals to explain how to spell Korean. First, they explain in detail the contents of the Korean orthography. Second, the content of the spell clause is specified. Third, clarify where there are differences or opinions in the spelling provis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is a supplement to the current Korean spelling of the word ‘Explan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d explain the principle of marking historical sig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rrect and explain the above grammatical descrip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expression on the principle of the marking.

      • KCI등재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재고찰

        이선웅 ( Yi¸ Seon-ung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제1항 중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라는 구절을 성찰하고자 하였다. 한글 맞춤법의 제1항은 ‘소리대로’를 주 원리로 보는 견해와 ‘어법에 맞도록’을 주 원리로 보는 견해가 대립을 이루어 왔는데, 본고에서는 전자의 견해가 ‘주(主)’를 ‘상위의, 포괄적인’의 뜻으로 이해했던 것인 데 반해, 후자의 견해는 ‘우선 적용하는, 중요한’의 뜻으로 이해했던 것임을 주장하였다. 한글은 분명히 음소문자이므로 ‘소리대로’ 적는 것이 대원칙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것이 한글 맞춤법 전반을 포괄하는 주(상위) 원리라고 하는 견해도 가능하지만, 한글 맞춤법에서 틀리기 쉬운 어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는 규범적 기준을 주(중요한) 원리라고 하는 견해도 가능하다. 그러한 상황을 언급하면서도 본고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어법에 맞도록’이 우선 적용되어 중요하게 강조되는 ‘주’ 원칙이고, ‘소리대로’는 ‘소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이라고 해석하여 ‘어법에 맞도록’의 단서 조항이라는 기존 통설을 다시 한번 지지하였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해석은 객관적 학문의 문제라기보다는 국민적 규범 홍보와 국어 교육의 문제이다. 이론적으로는 ‘소리대로’를 ‘소리나는 대로’와 구별하여 모든 한글 표기에 적용되는 포괄적 원리로 다루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 홍보와 교육의 문제임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해석은 득보다 실이 많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reflect on the phrase ‘written as sound but fits grammar’ in the first provision of the Korean orthography ‘Hangul spelling’.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provision the two view of 'as sound' as the main principle and the view of 'fit to grammar' as the main principle have been in conflict. In this paper, I argued that ‘the main principle’ was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higher, comprehensive’ in the former but as the meaning of ‘applied first, important’ in the latter. Since Hangul is clearly phonographic letter, it can be considered that ‘as sound’ is the grand principle, and it is possible to view that it is the main (higher) principle that encompasses the overall Hangul spell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view that the normative standard to which the grammar that is likely to be incorrect in Hangul spelling is preferentially applied is the main (important) principle. While mentioning such a situation, I supported once again the conventional view that Korean spelling is the principle that fit to grammar’ is preferentially applied and emphasized as main principle, and that ‘as sound’ is interpreted as a conditional phrase which means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ound’. Interpretation of the principle of Korean spelling is not a matter of objective study, but rather a matter of norm publicity and Korean education. In theory, it may be possible to discern 'as sound' from ‘as sounded’ and treat ‘as sound’ as a comprehensive principle applied to all Korean writing, but considering that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of Korean spelling is a matter of publicity and education, such an interpretation makes more losses than gains.

      • KCI등재

        한국어 한글 표기법의 변천

        리의도 한글학회 2013 한글 Vol.- No.301

        This article discusses Changes of Korean Language Notatio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oday. Through examinations of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all notations used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rom around 1930’s rooted from the “Hangeul Matchumbeop Tongiran”(한글맞춤법 통일안, Draft for Standardized Korean Orthography, 1933) established by Korean Language Society. Prior to the “Hangeul Matchumbeop Tongiran”, there was the “Eeonmun Cheoljabeop”(언문철자법, Hangeul Spelling Rule, 1912~1930)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ut it was not established with Korean people’s independent will and was considerably insufficient in contents. The “Tongiran”(Draft) was truly a combination of free will, wish, and wisdom of the Korean people, and was a crystallization of notational rule found by the mentor Ju Sigyeong. Once established, the “Tongiran” became the universal notation for Korean people, and was recognized as the nation’s official not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And there were several revisions to the “Tongiran”. As time goes by and with the changes in the society,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Hangeul Matchumbeop”(한글맞춤법, Korean Orthography, 1988) separately, but it was merely a modified version of the “Tongiran” in part. Notational rule used in North Korea, also, is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ongiran” in part. The ‘revision’ in general point of view, can be regarded as the changes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Phoneme Based Orthography and the Morpheme Based Orthography. The “Joseoneo Sin Cheoljabeop”(조선어 신철자법, New Rule of Korean Orthography) applied the theory of Morpheme Based Orthography throughly,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 there was “Eeonmun Cheoljabeop”(언문철자법). The “Tongiran”(한글맞춤법 통일안) and the “Matchumbeop”(맞춤법, Orthography) of North Korea position in the middle of two systems. The “Tongiran” is closer to Phoneme Based Orthography, and the “Matchumbeop” of North Korea is closer to Morpheme Based Orthography. Detailed contents of the regulations will be reviewed in the diagram of the discussion.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엽부터 오늘날까지 한반도에서 제정하고 시행한 ‘한국어 한글 표기법’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을 통하여, 대체로 1930년대부터 남북에서 사용해 온 모든 표기법은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마춤법 통일안(1933)」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글마춤법 통일안」 이전에도 조선총독부의 ‘언문철자법’이 있었으나, 한겨레의 자유 의지로 제정한 것이 아닐뿐더러 부족한 내용이 적지 않았다. 「통일안」이야말로 한겨레의 자유 의지와 염원과 지혜가 융합된 결정체였다. 일찍이 주 시경 선생이 정립한 표기법 이론의 결실이었다. 「통일안」은 탄생과 함께 한겨레의 보편적 표기법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대한민국 수립 후에는 국가의 표기법으로 공인되었다. 그리고 몇 차례 수정도 거쳤다. 세월이 흐르고 사회가 변하여 대한민국 문교부에서 따로 「한글맞춤법(1988)」을 고시했지만, 사실은 「통일안」을 부분 수정하거나 보완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갈라진 북한에서 사용해 온 표기법 또한 「통일안」을 일부 수정하거나 조정한 것이다. 그 ‘수정’이란 규정의 내용으로 보면 ‘음소주의 표기법’과 ‘형태주의 표기법’ 사이를 오가는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형태주의 이론을 가장 철저히 적용한 것이 「조선어 신철자법」이고, 그 반대편에는 ‘언문철자법’이 있었다. 「통일안」과 북한의 「맞춤법」은 그 중간에 있는데, 「통일안」은 발음주의, 「맞춤법」은 형태주의 쪽에 각각 조금씩 더 가깝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한글 맞춤법 오류에 대한 고찰

        남윤진(Nam, Yun-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본고는 일본어와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및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작문을 대상으로 맞춤법 오류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한글 맞춤법 습득에 학습자 모어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맞춤법 지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본어 및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맞춤법 오류 현황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 영어 화자가 일본어화자보다 더 많은 한글 맞춤법 오류를 보인다. 영어화자는 음소문자를, 일본어 화자는 음절문자(가나)와 단어문자(한자)를 사용하는 점을 생각하면 의외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소문자인 한글이 모아쓰기를 통하여 음절 단위로 운용되며 맞춤법에서는 형태음소적 원칙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2) 일본어 화자와 영어 화자, 한국어 모어 화자 모두 모어의 특성을 반영하는 맞춤법 오류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자모의 음가가 아니라 자형의 유사성 때문에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있었다. 표음문자라 하더라도 그 습득에 관여하는 요소가 발음만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일본어 화자, 영어 화자의 작문 모두 학습 등급과 오류 빈도 사이의 상관성이 드러나지 않았다. 학습 초기부터 정확한 표기형을 학습할 필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한글 맞춤법은 표음성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표의성을 가지는 표기법이다. 이러한 한글 맞춤법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rner’s first language writing system (L1WS) on Korean spelling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spelling instruction.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 whose L1WS is alphabetic show more Korean spelling errors than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hose L1WS is syllablic and/or morphemic. It seems to be because Korean writing system is not only alphabetic but also syllabic and morphological. (2) Both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show spelling err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irst language respectively. And there are errors of character forms, not only of phoneme-charater relations. (3)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learner’s level and the frequency of errors. This supports the importance of spelling training at the early stage of learning.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 TOPIK 쓰기 결과물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방야(Fang Ye),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Ⅱ 쓰기의 결과물에 나타난 맞춤법 오류를 바탕으로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한글 맞춤법> 규정 및 TOPIK Ⅱ 쓰기 중 맞춤법의 채점 기준에 따라 TOPIK 쓰기에서 나타난 맞춤법 오류를 유형화하고, 공개된 한국어능력시험 답안지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Ⅱ 쓰기 영역의 작문형 문항에서 나타난 맞춤법 오류 사례를 추출하고 학습자가 흔히 범하는 맞춤법 오류 원인을 결합한 읽기 활동과 쓰기 맞춤법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쓰기 수행에서 한글 철자, 문법, 어휘, 띄어쓰기 등의 정확히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 맞춤법 체계의 차이, 문법 지식 및 문어체 표현에 대한 인식의 결핍, <한글 맞춤법> 인지 미숙 등의 원인을 고려하여 읽기 및 쓰기 활동을 통합한 맞춤법 교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맞춤법 오류 문제를 해결하도록 기술하였다. 결론 맞춤법은 쓰기 영역에서 가장 중요하다. TOPIK Ⅱ 쓰기 영역의 작문형 문항에서 한글 맞춤법 오류를 줄이기 위해 읽기와 쓰기 활동을 통합한 ‘도입→제시→탐구⋅토의→연습→평가’ 단계의 맞춤법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llustrate how Chinese learners can correctly use spelling by analyzing the causes of errors based on spelling errors shown in the results of TOPIK II wri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Korean spelling regulations and the grading criteria of spelling in TOPIK II writing, the spelling errors in TOPIK II writing field were extracted from the open Korean proficiency test answer sheet, and a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plan was presented. Results In writing activities,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ies using Korean spelling correctly, such as Korean spelling, grammar, vocabulary, and spacing.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plains how learners solve their own spelling problems based on a spelling learning model that incorporates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y considering the lack of knowledge of Korean spelling and causes such as Chinese interference and spoken environment. Conclusions Spelling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writing. To reduce Korean spelling errors in the writing-type questions of TOPIK II, this study proposes a sp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ntroduction → Presentation → Exploration⋅Discussion → Writing → Evaluation” phase, which incorporates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통일 후 표기규범 대안으로서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검토

        오세원 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 Vol.- No.78

        본 연구는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이 통일 후 표기규범으로 합리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기준으로 하여 남한의 표기규범인 ≪한글 맞춤법≫과 북한의 표기규범인 ≪조선말 규범집≫ 사이에서 논쟁이 되는 사항들인 ‘한글 낱글자의 명칭과 차례’, ‘두음법칙 표기’, ‘사이시옷 표기’, ‘다르게 표기되는 몇몇 어미들’, ‘띄어쓰기’를 비교하였다. 검토 결과, ≪한글 마춤법 통일안≫은 지나치게 남한의 ≪한글 맞춤법≫과 더 유사하기 때문에 공정성의 측면에서 통일 이후의 표기규범 대안으로서는 부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한 통일 이후 표기규범이 성립되면, 북측의 문화어 사용자들은 그들의 정체성이 담긴 표기법을 일방적으로 포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안을 받아들일 확률은 상당히 낮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통일 후 표기규범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한 것은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역사적 성격을 고려한 결과이겠으나,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조항들이 ≪한글 맞춤법≫의 사용자에게 익숙하게 느껴졌기 때문일 확률 또한 높다. 본고는 통일 후 표기규범 성립에 있어서 공정성의 문제와 사회적 효율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표기법이 사회적 낙인으로 기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통합 표기규범이 복수 규정을 허용하지 않는 절충안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절충안의 방안으로는 남북이 가장 합의하기 어려운 사안들을 서로 하나씩 양보하는, 이른바 표기법 빅딜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두음법칙은 ≪한글 맞춤법≫의 방식대로 표기에 적용하고, 사이시옷은 ≪조선말 규범집≫의 방식대로 표기에서 제한하는 형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강보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For this, I investigated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based on the attributes of Korean orthography and view of grammar education. As a result, I investigated that orthography has attributes as norms to be followed, social promise, historical product and representation tool. Also, I investigated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orthography should be the contents of learning orthography as knowledge, the contents of exploring and appling orthography, the contents of forming the attitude to follow orthography in views of grammar education. As synthesizing this, I set up 4 contents of teaching orthography. 1) to understand and apply orthography 2) to form attitude for following orthography 3) to criticise orthography constructively 4) to accept creative use of orthography critically 이 논문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 교육의 내용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맞춤법의 속성과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맞춤법 교육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맞춤법은 지켜야 할 규범, 사회적 약속, 역사적 산물, 표현 도구로서의 속성이 있었고 이를 교육 내용에 반영시켜야 함을 밝혔다. 또한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맞춤법 교육의 내용은 맞춤법을 지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내용, 맞춤법을 탐구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 맞춤법을 지키고자 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함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맞춤법 교육의 내용을 다음 네 가지로 구성하고 각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1) 맞춤법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2) 맞춤법을 지키려는 태도를 형성하기 3) 맞춤법을 건설적으로 비판하기 4) 맞춤법의 창의적 사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 KCI등재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이보라미(Lee, Bo-ra-mi),정희창(Jeong, Hui-cha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한국어 교육에서 한글 맞춤법 교육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원리와 이론에 대한 학습을 구체적인 실제의 사례를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기법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학습하기보다는 표기의 원리를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사례를 통해 원리를 찾아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한글 맞춤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국어학적 지식을 충분히 학습해야 한다. 한글 맞춤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적인 문법의 개념과 지식 없이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셋째, 한글 맞춤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구체화된 학습 모형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spelling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is effective to learn about principles and theories through specific practical examples. Rather than theoretically learning the principles of not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for principles through practical examples that can compare the principles of notation. Second, we should learn Korean language knowledge enough to understand Korean spelling.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notation of Hangeul spelling without the basic concept and knowledge of Hangeul spelling. Third, Korean spelling needs to be taught according to a specific learning model that can be effectively studied.

      • KCI등재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백준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언어 규범 중 하나인 ‘한글 맞춤법’에 대한 언어 전공자가 아닌 언어 사용자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한글 맞춤법’의 존재의 의의와 가치는 충분히 존재하지만,언어 사용자들에게는 삶 속에서 ‘한글 맞춤법’ 이라는 언어 규범이 생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그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언어사용자들이 한글 맞춤법의 문법 개념 용어에 익숙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설문 조사에서 17개의 문법 개념 용어 중 ‘음절’,‘두음 법칙’,‘조사’,‘어간’,‘접미사’를 제외한, 제시된 문법 개념 용어들에 대해 설문 참여자의 과반수가 모른다는 답을 했다.‘체언’ 과 ‘용언’의 경우 70%이상 그 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고,‘보조 용언’과 ‘예사소리’의 경우는 모른다는 응답이 83%이상이 되었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글 맞춤법 해설’ 수정,간략한 문법 개념집 제공,학교 교육 개정 등을 제안했다.이러한 시도는 중요한 언어 규범인 ‘한글 맞춤법’이 언어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존재할 수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