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쓰기 지도 제안 연구 : 학습자 요구 조사를 기반으로

        Wanvaja Sukets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태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졸업생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태국의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장에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수업에 대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그 제안을 토대로 쓰기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생들이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초급 쓰기 주제는 일상생활과 연관된 주제이다. 이는 학습자가 쓰기를 어렵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관심을 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쓰기주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정해야 하며,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초급의 주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주제부터 시작하여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학문적인 글쓰기로 이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쓰기 수업은 한국인-태국인 교수가 모두 협동하여 이루어지는 수업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 초급반에서는 도입과 글에 대한 설명은 태국인 교수에 의해서 진행되고 실제 쓰기 과정과 숙제 점검은 한국인 교수의 지도 아래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쓰기 교재는 삽화가 들어있는 교재로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방법은 학습자 중심이고 과정 중심 그리고 문형 활용이 아닌 텍스트의 구성과 흐름 등을 중요시하는 텍스트 중심 교수 방식이 활용되어야 한다. 쓰기 수업 진행 시 반드시 모범 텍스트를 제공 해 주어야 하며, 아이디어 창출 과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끼리 오류를 교정해 줄 수 있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교사가 오류 교정을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교수는 반드시 오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ing methods in Korean writing for beginner Thai learners. In order to progress,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writing in universities in Thailand and, in the second chapter,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demand of learners about Korean writing. Next, the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odel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to help the learn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 class should start with a topic related to daily life to educate them that actual writing is not only for examination purposes but it can also be used in our general life. Second, beginner writing classes should be taught by both Korean and Thai teachers together because begin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s structure and all of its components; these should be described to them in their mother tongu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ird,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ers use writing textbooks that focus on Thai learners, and that include many pictures, to encourage their learning motivation. The topics of writing should be considered to be at the learners’ level, which should start with those related to everyday life. Last, during the writing class, before giving an assignment, the teachers should present an example text and provide enough time so that the learners are able to gather their ideas for writing. Afterward, the teachers should give individual feedback on assignments and give as many explanations as possible about the discovered errors to help the learners clarify error corrections.

      • KCI등재후보

        《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 분석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 n》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에 관한 연구-모국어 쓰기 불안과 한국어 쓰기 불안 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전형길 ( Jeon Hyeoung-gil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6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에서 경험하는 한국어 쓰기 불안이 이들의 모국어 쓰기 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모국어 쓰기 불안과 한국어 쓰기 불안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해 Daly & Miller(1975a)의 쓰기 불안 측정 도구(Writing Apprehension Test: WAT) 설문 문항을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Cheng, Horwitz & Schallert (1999)의 요인분석 결과에 근거해 한국어 학습자 쓰기 불안의 하위 구성을 낮은 자신감, 쓰기 거부감, 평가 불안감 등의 세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요인들을 기준으로 본고는 학습자 응답 자료에 대해 척도의 평균 및 분산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쓰기 불안과 모국어 쓰기 불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국어 쓰기 불안에 비해 한국어 쓰기 불안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학습자의 학습 상황과 숙달도가 변화함에 따라 점차 학습자의 쓰기 불안 양상도 변화하는 것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쓰기 불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 중에서는 두 언어 모두에서 낮은 자신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용은 선행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내적 관련성에 있어서는 평가 불안감 요인이 기타 요인과 맺는 관련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국어 쓰기 불안이 한국어 쓰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4.1%로 두 언어 간 명확한 전이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에서 학습자의 모국어 배경의 영향력이 비교적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인지적 측면과 달리, 정의적 측면에서의 영향력은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140 learners participated to the survey concerning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Writing Apprehension Test (WAT) developed by Daly & Miller(1975a) is employed for the question items. The sub-factors of writing anxiety a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which are low self-confidence, aversiveness in writing, and evaluation apprehension using factor analysis of Cheng, Horwitz & Schallert(1999). Based on these factor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Korean writing anxiety using mean and variance of the sub-factor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L2 Korean writing anxiety is higher than L1 writing anxiety and the degree of writing anxiety varies over the learning condition and proficiency of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 finds that the most significant sub-factor,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nxiety, is low self-confidence as shown in the existing work. However, no interlingual transfer is observed between two languages. This implies that, in Korea writing, the impact of affective factors is less than that of cognitive factors, which is considered as crucial, especially in terms of the impact of L1 backgrounds.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실례(實例)를 통한 한국어쓰기 오류 및 부자연스러운 표현 지도 방안 -

        김윤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4 No.-

        This thesis aims at study of education strategy for the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their major at universities in China. It also suggests some effective strategie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partucular, It deals with the study of teaching strategy of fallacies of writing in Korean and Akward expressions based on case study. Writing ability is not only proces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but also is regarded as one of the essential virtues to be a competent person in our future society. Due to these reasons, the importance of writing capabil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rucial key for language learners. The current problems students of universities in China have been going through must be addressed seriously for improvem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my experiences while I have been teaching Korean in China, I classified certain of mistakes students mainly make into categories, which is Words, Sentences and Expression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7 mistakes in the Akward expressions and 12 mistakes in the Words and Sentences. 본 논문은 중국 내 대학에서 한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제로 이루어지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되짚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실례를 통한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가 한국어쓰기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및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분석하고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현대사회에서 글쓰기는 세상과 소통하는 과정이자 미래 사회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인식되어 그 중요성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내 대학에서 한국어쓰기의 교육 현황과 문제점은 한국어 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해서도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다. 본 논문은 필자가 중국대학에서 한국어쓰기를 교수한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학생들이 한국어쓰기에서 흔히 범하는 대표적인 오류를 단어, 문장 및 표현으로 분류하고 그 예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흔히 범하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은 총 7가지 유의점을, 단어 및 문장의 오류는 총 12가지 유의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과 올바른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

        개별논문 :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연구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본고는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수행되었던 서양인의 글쓰기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글쓰기 활동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문장 쓰기 활동`` 이었다. 문장 쓰기는 번역,대체 수준의 초보적 문장 쓰기와 문법에 초점을 두거나 내용에 초점을 두어 문장을 쓰는 발전적 문장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덧붙여 쓰기``와 ``다시 쓰기`` 활동이었다. ``덧붙여 쓰기``는 어휘나 구 혹은 문장을 덧붙여 쓰는 활동으로 19세기 말부터 수행되었다. ``다시 쓰기``는 20세기에 이르러 수행된 활동으로 ``주어진 속담을 읽고 그 속담의 뜻을 한국어로 다시 쓰기``, ``한국민담을 듣고 한국어로 다시 쓰기``를 들수 있다. 이 단계의 글쓰기는 한국어를 듣거나 읽은 후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긴 글쓰기`` 활동이었다. 즉, 완결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글쓰기 단계이다. 한국 종교, 결혼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문이나 대화체 글을 쓰거나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이야기를 쓰는 글쓰기 활동이다. 이 단계의 자료는 19세기 말부터 누적된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학습이 20세기 초에 이르러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어 학습을 시도했던 서양인들은, 20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한국어 학습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글쓰기 활동을 추적하여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수행에 대한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one of the strategies to make good teaching method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ers. The first step in Korean writing was ``sentence writing``. There were translation, substitution, grammar-based sentence writing, meaning-based sentence writing. The second step was ``expanding writing`` and ``re-writing``. The case in ``re-writing`` is ``Read the proverb and write the meaning again`` or ``Listen to a Korean folk-tale and write it down in Korean language.`` ``expanding writing`` is writing in addition with word or phrase. On this stage, students were supposed to listen to or read Korean language texts and recreated what they comprehended in Korean. The third stage was ``writing a long text.`` In other words, it was ``writing a complete text freely.`` Western people were supposed to write an explanatory note or dialogue script about Korean cultures such as religion or marriage. Also, they wrote texts that show structur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features. Materials of this stage reflect that textbooks and teach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for western people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accumulated from the 19th century have finally reached quite a high level. Westerners who tried studying Korean language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naturally started writing in Korean while making study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found historic data and values about westerners` Korean language composition by tracing texts written by western people in the past.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2019년 6월 초까지 한국어 학습자 175명을 대상으로 Petric과 Czarl(2003)의 작문 전략 검사지를 한국어 쓰기 교육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우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검사지의 문항 신뢰도는 0.806으로 높게 나타났다. 쓰기 전략 문항 전체는 하위 범주인 계획 전략, 작문 전략, 수정 전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중, 수정 전략은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 국적, 쓰기 효능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 학습자에 비해 여성 학습자가, 초급 학습자에 비해 중·고급 학습자가, 쓰기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에 비해 높은 학습자가 수정 전략의 사용이 높았다. 다만, 학습자의 쓰기 흥미와 쓰기 전략 사용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학습자 범위를 확대하였고,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분야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학습자 변인들을 설정하여 통계 분석한 것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 마련과 관련하여 실증적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reby seeks to deduc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m.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s, we surveyed 175 Korean learners from April 2019 to June 2019 by modifying the Petrić & Czárl’s (2003) writing strategy test sheet tailored to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As a result, the overall writing strategy ques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categories of planning strategy, writing strategy, and revision strategy. Among them, the difference in aspect according to learner s variables was discovered most clearly in the revision strategy. Revision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 s gender, nationality and writing efficacy. Females than men, advanced learners than intermediate and beginners, and learners who had higher writing efficacy than those that were low, had higher awareness of the use of revision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riting interests and the use of learners wri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according to diverse learner variabl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empirical material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장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2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구글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을 학습관리시스템(LMS)으로 활용하여 과정 중심 쓰기를 실현할 수 있는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리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전통 적인 쓰기 수업 방식에서 한 발짝 나아가서 패들렛, 잼보드, 구글 독스, 구글 폼즈 등의 여러 온라인 도구를 구글 클래스룸과 연동하여 활용하여 학습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 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의 작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구현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한국어 쓰기 수업은 학습자들의 컴퓨터 쓰기를 촉진시킬 수있고 포트폴리오 평가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수업 결과 학습자들은 상호작용, 수업의 통제, 흥미도, 매체 활용 효능감,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바일로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한 쓰기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의 LMS 활용 효과를 검증해 나가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ase of a Korean writing class that can realize process-oriented writing by utilizing Google Classroom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Taking a step beyond traditional writing classes for learners referred to as “digital natives,” this course intended to facilitate learning management using various online tools such as Padlets, Jamboard, Google Docs, and Google Forms with Google Classroom. Importantly, teachers of this course constantly interact with learners while monitoring their writing processes in real time to implement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es. Writing classes like this can enable computer writing and can be used for portfolio evaluation.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writing classes using Google Classroom, noting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levels of interaction, control of classes, interest, media utilization, and the classes as a whole,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content could be learned on mobile devices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Further studies should test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LMS in Korean writing classes with more learners.(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특성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 구문산출성, 구문복잡성 및 구문오류를 중심으로

        이미경,노병호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 쓰기는 다른 어떤 영역에 비해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향후 이들이 학교에서 수업 을 듣고, 과제 및 발표를 하고 더 나아가 취업 등의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글을 구성하여 조직적으로 쓸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지도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쓰기 특성은 쓰기 산출성, 쓰기 복잡성 및 쓰기 오류 등을 통해 많이 살펴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및 한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림과 A4 용지를 제공한 후 자유로이 글을 쓰게 하였다. 그 후 쓰기 자료를 토대로 구문 산출성(총 C-unit수, 총 어휘수), 구문 복잡성(C-unit당 단어의 수와 절밀도) 및 쓰기 오류(조사, 연결어미, 어휘오류, 띄어쓰기오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베트남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인 대학생애 비해 구문 산출성, 복잡성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조사와 연결어미에서 한국인 대학생에 비해 많은 오류를 나타냈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쓰기 지도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한국어 수준 및 거주기간에 따른 쓰기 특성의 차이를 검증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For Korean learners, writing is a harder part than any other areas in Korean languages. But in the future, the ability to organize and write systematically is essential for future koran languages learners to take classes, do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at school, and then adapt to job situ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ise a direction for this. In general, writing characteristics are viewed in many ways, including writing productivity, writing complexity, and writing errors. Accordingly, the study provided drawings and A4 paper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before writing freely. Based on the their writing results, we looked at syntax factors (total C-units, total number of words), syntax complexity (number of words per C-unit and clause density), and writing errors (postposition, spell errors, and connective suffix, space errors) According to the study, Vietnamese an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yntax productivity and complexity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showed more writing errors than Korean students in postposition and clause den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writing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s learners. However, this study did not validate the differences in wri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level and length of residences for the study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

        손다정(Son, Da-jung),장미정(Jang, Mi-jung)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범위도 넓어졌다. 이중에서도 쓰기 교육 연구가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는 학습자의 요구가 특히 높은 영역이기도 하거니와 학문 목적의 쓰기가 보이는 일반 목적의 쓰기와 다른 특징들 때문이다. 주제별로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실에서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과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의 쓰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다. 한편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이라는 특수 상황의 맥락을 반영한 연구가 특히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 지식을 더욱 구체화하는 동시에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내용, 언어, 쓰기 처리 지식이 무엇인지를 찾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academic community has taken an interest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Due to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that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ursue a bachelor’s or master’s degree, more spotlight has been on developing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It was necessary that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such Korean education were tailored to meet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out of the 230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83 that were specifically about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rend by year showed an increasing total number of researches. When categorized by subjec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general education plan and revealed a further ne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such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researches that were done on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anguage system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which are said to be crucial for students to have in order to improve their Korean academ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most of th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about forming context knowledge with its focus on genre. This may be the result of not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will have to write on specific genre that is required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and situations. However, building content knowledge and applying it in academic writing is equally as important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Specifical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students’ cross-textual knowledge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ir integrated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fic contents and methodology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의 역할과 그 함의

        정대현(Jung, Dae-Hyu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4 교양학연구 Vol.1 No.1

        그간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이는 쓰기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쓰기의 역할에 대해서 고찰하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 습득의 연구 성과를 이론적인 측면과 연구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가치 평가가 소홀한 것은 한국어교육이 구어를 강조하는 서구 학계의 경향을 비판 없이 따른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특별한 주목 없이 은연중에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이 연구에서는 쓰기가 문식력이 의사소통의 주제가 되는 교실, 즉 학문 목적의 대학 교실과 같은 곳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서 쓰기가 제2언어 습득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 켰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쓰게 할 것인가?”하는 연구 문제만큼이나 “학습자가 쓰기를 통하여 어떻게 한국어를 학습하는가?”하는 문제도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언어 변이, 복합 양상과 상호 작용적 접근, 언어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쓰기 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함의를 담아 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rgues that writing should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classroom-based studies of korean language a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contends that an implicit emphasis on spoken language i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ield of structuralist linguistics, linguistic anthropology, and interactive studies. Although writing as a communicative modality has been marginalized, it is key to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contexts such as korean academic purpose classrooms where literacy plays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 In all, the paper argues that while it is important for classroom-based studie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learn how to write in a second language, it is equally important to learn how students learn a second language through writing. Implications of this perspective are noted for notions of learner and target language variation, multimodality and language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ist approaches to classroom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