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무동기와 학습전략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적 매개효과

        장희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무동기, 학습전략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고,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 학생 4,710명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동기와 학습전략은시간에 따라 높아지지만, 부모의 합리적 설명에 대한 지각은 낮아졌다. 둘째, 무동기 초기값은 부모의 합리적 설명 지각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에 부적 영향을,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 설명 변화율에는 정적 영향을 주었다. 무동기 변화율은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 설명 변화율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무동기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 설명 초기값, 학습전략 변화율의 관계에서 지각된 변화의합리적 설명 변화율, 무동기 변화율과 학습전략 변화율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의 합리적설명 변화율의 종단매개효과를 각각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중학생의 무동기는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지만, 두 변인 관계에서 적절한 지각된 부모의합리적 설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동기 중학생의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일관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의 양육태도가 지각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매개로 하는 학습전략을 높이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습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관계 및 또래관계의 변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를 중심으로

        권예지,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from 6th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s increased. This study used 3rd (6th grade) and 4th (7th grad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 (51%) and 1,439 females (49%). After analyzing the profile of each grade, 3 groups were found based on their changes of amotivation: “Amotivation In” group(n=202), “Amotivation Stay” group(n=109), “Amotivation Out” group(n=6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changes 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changes in “Amotiv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motivation changing patterns and changes in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he “Amotivaton Stay”group, the “Amotivation In” group’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Amotivation Out” group’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ma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3차(초6)와 4차(중1)년도에 참여한 2,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무동기의 변화양상을 구분하기 위해 초6과 중1 시점 각각의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무동기를 제외한 다른 동기유형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프로파일 집단을 무동기 집단으로, 무동기는 낮고 다른 동기유형은 낮지 않은 프로파일 집단을 동기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무동기 진입’, ‘무동기 유지’, ‘무동기 이탈’의 3개 집단으로 무동기 변화유형을 구분하였다. 무동기 변화유형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학생 관계, 및 또래 관계에서 두 시점 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무동기 유지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무동기 이탈집단은 초6에 비해 중1시기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무동기 진입집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나타났다. 두 시점 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무동기 유지집단에 비해, 무동기 이탈집단의증가는 유의미하게 컸으며 무동기 진입집단의 감소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무동기 학생의 탈무동기 및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되는 지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저소득층 하위권 중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사례 연구 :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을 기반으로

        김수진(Kim, Sujin),김태영(Kim, T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 질적 사례 연구로, 저소득층 하위권 중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변화와 그 원인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 실행을 위해, 서울시 금천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중학교 1학년 여학생 4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관찰하고 활동 종료 후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학습 무동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지속 및 미래의 꿈과 연계성 부족. 둘째, 부모의 관심 결여. 셋째, 학습 방법 및 사용 능력 부재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하위권 학생을 지도할 때 상기한 원인들을 고려하여 세심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미래의 자아를 탐색하는 시간의 빈도를 높여 제공하고, 이상적 제2언어 자아와 영어 학습을 연관시키는 것이 영어 학습 동기 향상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low-income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 (MLA). The MLA is a classroom-friendly activity in which learners can contemplate their reason for studying English and objectively reflect on themselves. This activity aims to discern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determine learning objectives, and consequently engage in learning by encouraging them to think of their ideal L2 self for the future. For this study, four low-income middle school girls in the community children learning center in Guemcheon-gu participated in the MLA for six times, nine weeks. Following the MLA,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se interviews reveal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 interviews indicated several reasons explaining this issue: 1)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ying English and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studying and their future goals, 2) a lack of emphasis on English learning from learners’ parents, and 3) a lack of ability in us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mplies tha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tinually focus on students’ dreams and provide successful experiences and positive feedback to students. Additionally, teachers should actively develop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each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each student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for studying English.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탈동기 요인 및 변인별 양상 연구

        홍종명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on factors and patterns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arning burde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de motivation and ‘teacher factor’ had the lowest effect among seven demotivation factors. Chinese learner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influenced by Korean language itself, which is an unfamiliar foreig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eacher factor’ seems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motivation,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s argument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luency-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while, the difference of gender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showed that male students tend to be more motivated than female students. The phenomenon of demotivation according to ‘Korean fluency’ is getting more advanced as it goes up to advanced level of Korean. This phenomenon has a high correlation with another variable ‘duration of study abroad in Korea’. For Chinese learners,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and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attention is needed to maintain the motivation.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탈동기 요인과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척도를 재구성하여 총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7개의 탈동기 요인 중 ‘학습부담’이 탈동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교사요인’은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낯선 언어인 한국어 자체로 인해 학습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선행연구들의 주장과는 달리 ‘교사요인’은 탈동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창성 중심의 한국어교육의 특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습자 변인에 따른 탈동기 양상 중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탈동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른 탈동기 현상은 고급 단계로 올라가면서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은 또 다른 변인인 ‘한국 유학기간’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학습 기간이 길고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동기 유지를 위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탈동기 요인 분석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 연구

        홍종명 ( Hong Jong-myung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9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탈동기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학습자 변인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부담’과 ‘시험요인’이 베트남인 학습자 탈동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유학생활의 경제적 부담도 동기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과정 이외의 요인도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변인에 따른 차이로는 먼저 성별에서는 여학생들의 탈동기 경향이 다소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탈동기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숙달도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탈동기 현상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유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탈동기가 약해지다가 2년 이상이 되면 다시 탈동기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기간이 길어지고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학습 동기에 관한 고려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otivational factors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o are recently increasing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learners' variables. As a result, 'learning burden' and 'test factor'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arner demotiv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it seems that Korean language, which is an unfamiliar language, has a great influence on demotivation. On the other hand, Vietnamese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 economic burden of studying abroad. Therefore, factors other than learning process need to be considered. As one of learners’ variables, the gender showed that female students' tendency to de motivation was somewhat stronger and the difference of demotivation according to age did not appear much. In the Korean proficiency test, it was shown that the demotivation became stronger as the proficiency improved. As the period of study abroad in Korea increases, the demotivation of the students become weaker and more demotivated again when they are over 2 years. For Vietnamese learners,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and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need to consider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무동기에 따른 학습태도,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적에 대한 효과

        조현철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종합연구 Vol.11 No.3

        Data drawn from 6,472 8th grade students sampled by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was analysed to compare the levels of the achievement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adaptation variables between amotivated group and motivated group. The t tests showed that amotivated students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cademic self-concept, approach objective orientations, learning attitudes, productive classroom activities, 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than the motivated. And they were found to have lower social self-concept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intimacy in terms of relations to teachers and peers and of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behaviors. And the subsequen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proved that amotivation influences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process related variables like academic self-concept, mal-adaptive classroom behaviors and learning strategies to a substantial degree, while much amount of amotivation‘s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is direct even though the indirect effects of the learning process related variables like social self-concept and teacher and peer relations are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