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

        장영경,조흥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그 활성 화 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 관련 업무를 맡고있는 124명의 특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특수학교 재학 자녀를 둔 학부모 6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사회 협력 및 방과후 활동 추진을 위한 운영시스템 구축, 온라인시스템의 구축, 지역사회 방과후 교육기관 및 시설의 확충, 학생안전망 구축, 우수강사 수급방안 및 관리시스템의 확충, 재정적 기반과 법·제도적 근거 마련, 수요자 중심의 질 높은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문화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활성화 방안은 장애학생들에게 더욱 절실한 문제인 지역사회 적응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활동을 강화하고, 지역사회가 장애인에 대한 깊은 이해을 바탕으로 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ctivate after-schools of special schools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status and needs of after-schools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after-schools of special schools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A survey of 124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affairs at the school site was conducted on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of after-school schools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six special school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education to analyze the need and requirements for the revitalization of after-school schools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measures to revitalize community cooperation and after-school activities should include establishing an operation system for community cooperation, establishing an online system, expanding after-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n the community, establishing a safety net for students, expanding the supply and management system for excellent instructors, providing financial and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s, developing high-quality programs centered on consumers, and promoting after-school programs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The activation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ducational activities for disabled students to develop community adaptability beyond education, and the community will seek a deep understanding of the disability beyond its preconception of the disable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natur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 KCI등재

        Covid 19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 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김선숙,김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0 학교사회복지 Vol.0 No.52

        The spread of Corona19 infection and social distancing, which began in early 2020, are having a big impact on children’s lives. The longer time left at home due to school restrictions, academic gaps, abuse and safety issuesare affecting not only education-vulnerable students,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the COVID19 Pandemic, coope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is more emphasized on the protection and growth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ould connect with, the community’s desire, expectation, and necessary activities for cooperation. The responses of 274 child welfare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due to COVID-19 that workers think are ‘longer neglect time’ and ‘learning gaps’, and the difficulties of workers are ‘worries about children’s risk of infection’, ‘difficulty in monitoring of child safety without face-to-fac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to connect with the school, but about half said they had no experience of actually connecting. The reason was that “no social workers were assigned to schools in the region” and “there were no programs or projects associate with”. The most cooperated are ‘information sharing’ and ‘monitoring and referral for children at risk’. Children’s problems that the school social worker should intervene were responded in the order of school maladjustment, abuse, and poor learning.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ridge between community institutions and schools” and “discovery and referral of children at risk’ are important roles for school social workers in COVID 19 Pandemic. The more experienced respondents had related to school social workers, the more respondents said that the need for connection with school social workers for various occupation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the higher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was discussed.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의 확산과 그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은 아동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교제한으로 인한 돌봄의 공백, 학업격차, 학대와 안전문제 등 전통적인 교육취약학생이 아닌 아동에게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아동들의 상황에 대한 대응은 가족,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연계 협력의 욕구, 기대, 협업을 위해 필요한 활동 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학교외 지역사회기관의 아동복지종사자 27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어려움은 ‘방임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학습격차’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자신의 어려움은 ‘아동의 감염위험에 대한 걱정’, ‘아동안전에 대한 비대면 모니터링의 어려움’ 순서로 대답하였다. 학교와 연계 필요성은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연계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도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역내 학교에 사회복지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과 ‘연계할 프로그램이나 사업이 없기’ 때문이었고, ‘정보공유’와 ‘위기아동 모니터링과 사례연계 역할 수행’ 방식의 연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가 발굴하거나 개입하길 기대하는 아동의 문제는 학교부적응, 학대피해, 학습부진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것은 ‘기관과 학교의 가교역할’과 ‘대상아동의 발굴 및 의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중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로나19 상황의 다양한 직무에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기대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협력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김영화(Young-Hwa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시민사회조직이 지역의 학교개혁을 위해 어떻게 참여하여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전략, 학교개혁 참여 성과 및 장애 요인, 효과적인 학교개혁 참여를 위한 과제를 검토하였다. 미국에서는 지난 20년간 지역에 기반을 둔 다양한 시민사회조직들이 독자적 전략을 가지고 학교와 협력을 추구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학교와 지역사회조직간 협력은 작은 학교의 설립과 과밀학교 문제 해소, 학교시설 개선 등 학습 환경 개선, 학업성취도?출석률?졸업률?대학진학동기 향상 등 학생들의 교육성과 향상,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촉진, 학교 구성원간 공동체 의식과 학교에 대한 신뢰 제고, 교직원과 학부모간 의사소통 활성화 등 학교문화 개선, 성과가 낮은 교장과 교육감의 퇴출 등 교육책무성 촉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시민사회조직의 참여에 대한 학교의 불신과 저항, 시민사회조직의 참여에 대한 교육관료제의 불신과 참여를 위한 공식적 장치 부재, 교육관료제의 폐쇄성과 정보 접근의 어려움, 교육정책 책임 소재의 불투명성, 인적?재정적 자원의 부족, 단체간?학교간 갈등, 취약지역 학교 교직원의 빈번한 이직 등은 지역사회단체의 학교개혁 참여 효과를 높이는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시민사회조직이 학교개혁에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단체의 견실한 운영과 조직 역량 확대, 지지기반 확대, 다양한 조직화 전략의 개발, 포괄적이고 정확한 정보 수집, 언론매체와 재단 등 지원체제의 구축, 교육운동의 틀과 기반이 될 수 있는 철학적, 종교적, 이념적 지향성을 규명 및 학교, 정치체제, 사회변혁, 사회운동 등을 조망하는 개념적 틀의 명료화 등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engaged in and contributed to urban school reform in America. I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s engaged in school improvement, their strategies, outcomes and obstacles, and tasks. Over the past 20 years, new movement has emerged that pursues to build partnerships between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nd schools. The partnerships have been found to yield significant positive outcomes: relieving the problem of overcrowded schools; improving learning environment; enhancing student outcomes;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raising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rust in schools among school constituents; improving school cultures; and increas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rough the withdrawal of low-achieving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However, a number of obstacles inhibit community organizations from enlarging the effects of their activities: distrust in and resistance to community organizations of schools and education authorities; the lack of official mechanisms for their engagement; the closed educational bureaucracy and difficulties in the access to information; the lack of clarity in the location of accountability of educational policies; the insufficiency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conflicts among organizations and among schools; and the frequent mobility of teachers and principals of low-income and low-achieving schools. The tasks for the successful education organizing are following: expanding organizational capacities; expanding the base for support; developing a variety of organizing strategies; collecting and analysing comprehensive and accurate information and data; establishing strategic allies with media, foundations and schools; and identifying philosophical, religious and ideological inclinations of education organizing.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치안체계 우선순위 분석

        차승호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를 지역사회 실정에 맞게 적정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는 인식하에 학교폭력 예방과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차원의 협력치안체계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변수 간 상대적 중요도 및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즉, 1단계 5개 영역 및 2단계 25개 요인에 대한 각각의 중요도 값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복합가중치 값을 도출, 전체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학교폭력 협력치안체계에 대한 각 단계별 세부요인들의 복합가중치와 통합적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에서 법·제도 영역에서의 학교폭력대책법의 보완이 복합가중치 및 우선순위가 가장 높으며, 동일 영역에서 학교폭력 유관기관 간 정보공유를 위한 학교폭력 종합정보체계의 구축이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전문인력 영역에서는 학교전담경찰관의권한강화, 학교전담경찰관의 전문성 제고, 학교전담경찰관의 증원이 각각 3, 4, 5순위로도출되었다. 반면 조직화 영역의 학교폭력 경찰조직의 관리감독체계, 학교폭력전담 경찰조직의 커뮤니케이션체계, 학교폭력전담 경찰조직의 책임권한의 분권화가, 매뉴얼 영역의학교폭력 조사 매뉴얼, 학교폭력 분석 매뉴얼, 그리고 학교폭력 결과평가 매뉴얼 등이 하위순위를 차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significant factors formulating community policing system to address and to cope with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in community level. This thesis adopt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a research method to find significant factors. AHP was developed to optimize decision making when one is faced with a mix of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sometimes conflicting factors tha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thesis used AHP to measure relative priorities of 5 important factors and 25 sub- factors. Each factor was descri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school violence, community oriented policing, co-production theory of policing and governance theory. Experts interviews were used. Based on AHP measurement analysis, this thesis found and discussed some policy issues on school violence in community level: First, the change of law about school violence is most important factor to address school violence in Korea at the community level. Second, building of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on school violence is also important factor. Information sharing among school violence relevant organization is key factor to fight against school violence. Third, school violence profession-SPOs(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increase in number sufficiently and be enforced professionality, legal power.

      • KCI등재

        학생정신건강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하경희(Ha, Kyungh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3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청소년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는 정신건강 서비스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학교는 정신건강 욕구를 파악하고 서비스를 연계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간의 효과적인 연계체계 구축과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정신건강 지역협력모델 사업에 참여한 교육 실무자의 경험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간의 협력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전국 17개 시 · 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실무자 30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협력의 성과, 구조, 과정을 분석하였다. 우선 협력의 성과로는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고 학교 구성원의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학교의 정신건강 대응역량이 향상되었다. 협력의 구조에 있어서는 노하우를 넘어 체계 구축, 정기적인 의사소통 구조, 역할 규정, 명확한 실행지침이 중요하였다. 협력의 과정에서는 협력의 자세, 학교의 맥락에 대한 이해, 요구와 필요에 반응, 장애물의 즉각적 해결, 인력의 역량강화가 중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효과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s the mental health of youth becomes serious, school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needs as to mental health and linking related services. This requires building an effective link and encouraging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ways to cooperate between schools and the community through interviews with 30 education practitioners from 17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he analysis found that they resolved the issues and problems together through cooperation, th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changed, and that the school’s capacity to mental health issues have improved. When it comes to the structure of cooperation, establishment of system, regular communications, definition of roles, and clear implementation guideline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the attitude of cooperation, promoting understanding among institutions, response to needs and requirements, immediate resolution of obstacles, and building up competencies were important. Based on these findings and conclusions, effective ways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the community are proposed.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필요성 탐색

        유정애(JeongAe You),최윤소(Yoonso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보다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방해요소를 지도자, 시설, 프로그램 측면에서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지도자 측면 에서는 담당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교수전문성 부족의 문제를 협력적 로컬거버 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시설 측면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공공시설 및 스포츠클럽 시설을 공유함으로써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소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도 지역사회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이 추구하는 체육의 교육적 가치가 내재된 다양한 신체활동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확산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학술적, 정책적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ustification on developing collaborative local governance to fruitfully manage school sport club.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drew major hindrances in managing school sport club based on three dimensions -human resource, facilities, and programs- by closely analyzing precedent studies, which are focused on current status of school sport club and then discussed the justification on why school sport clubs need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school sport club based on three infrastructures of school sport club; 1) reducing teachers’ work load and improving professionality; 2) establishing alternatives for facilities; 3) developing and spreading vari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which should include the PE values. Lastly, this study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practical effectiveness of local connections that are required to promote the school sport club system.

      • KCI등재후보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지역사회 협력업무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최경일(Kyung-Il Choi),노혜련(He-len Noh)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논총 Vol.10 No.-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수행하는 지역사회 협력업무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각 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이들은 1년 간 평균 13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서 15개 단위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협력의 주대상은 사회복지관이었으며 가장 많은 공동 사업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직접적인 서비스였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교육을 받거나 사전 실천경험이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수행해야 하는 지역사회 협력업무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finding out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that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professionals perform. A total of 47 practitioners who had been working in school for at least for a yea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during the period of one year, the practitioners on the average collaborated with 13 community agencies and carried out 15 projects. Of all community agencies, the practitioners collaborated most often with community neighborhood centers and received most help with respect to providing programs for students through the collaborative effort. Almost all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d received no education on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and 7 out of 10 have had no experience in the area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explored in terms of vitalizing and expanding the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among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professionals.

      • KCI등재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 탐색

        한혜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xploring Ways to Establish Educational Governanceto Connect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Hyejeong H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governance for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ublic-private-schools education officials. To this end, a meeting (FGI) was held with a total of 14 officials from the G region in attendance. Research results need to establish a common goal and direction first. Second, a consultative body and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are needed. Third, local activists with high connectivity and activity should be identified and support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joint projects. This study has practical and policy significance in that the task was derived through a bottom-up process based on the gathering of opinions from local parties.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study to classify and explore educational governance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regional contexts or conditions (regional scale, urban/rural, etc.). Key Words: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on, Education Governance Establishmen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Local Education Community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 탐색한 혜 정** 연구 목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민관학 교육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분석하여, 해당 의견을 토대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G자치구의 민관학 관계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그룹 집담회(FGI)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으로 첫째, 공동의 목표와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지역 내 교육공론장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민관학 협의체와 중간지원조직 구성・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연계성과 활동성이 높은 지역활동가의 발굴 및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거버넌스의 실제화를 위해 사업 간 연계를 바탕으로 공동 사업을 기획・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지역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을 토대로 상향식(bottom-up) 과정을 거쳐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정책적으로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로 지역 맥락이나 여건(지역 규모, 도시와 농촌 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유형별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비교하는 연구를 제안해본다. 핵심어: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교육거버넌스 구축, 참여와 협력, 지역교육공동체 □ 접수일: 2022년 10월 2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연구는 광산구 정책연구 「풀뿌리교육자치체계 구축 및 실현을 위한 광산교육발전계획 수립 연구」에서 저자가 작성한 부분의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새롭게 작성한 것임. ** 공주대학교 지방교육정책개발원 연구교수(Professor, Kongju Univ., Email: ssam0730@kongju.ac.kr)

      • KCI우수등재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Mihee Park),김진희(Jinhee Kim),최유림(Yourim Chai)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변화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격차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4차년도(2015년)~6차년도(2017년)자료를 활용하여 3-수준 다층 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 참여와 지역사회 연계 활동이 중학교 1학년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참여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업성취 수준이 높았으며, 학교가 지역사회와 밀접히 연계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내 교사 간 협력은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화되는 학업성취의 수준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의 감소폭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은 가정배경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만큼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위한 교육 주체의 교육과정 참여 및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affect changes in students'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increasing social capital in schools reduced educational gaps due to family background. The three-level growth curve model was applied using the 4th through 6th Gyeonggi Education Panel (2015−2017).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involvement and community engag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s with a higher degree of parental involvement tende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growth.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were also like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inhibit self-efficacy deterioration compared to those in schools with a poor connection. However, such cooperation did not lead to a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gap due to family background. In addition, the cooperation of teach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outcomes, either. The concluding section discusses how to improv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how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family background.

      • KCI등재

        학교-지역사회 협력 환경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사와 활동가의 이야기

        주형선,김남수,이선경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an activist involved in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is end,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Leader Choi from A Energy Independent Village, Teacher Kim from B Middle School, and Teacher Park from C High School in Seoul. The primary field texts were transcripts of conversations with three participants. The four conversations with them were conducted online between October 2020 and November 2021. The researchers read the transcripts multiple times to explore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narratives of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he participants’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s of collaboration. The second part was the researcher’s description of why they engaged in the collaboration and what it meant to them. Participants’ reasons for collaborating with their communities or schools were to do their jobs well as teachers and activist. Meaningful changes in the participants’ lives as teachers and activist were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collaboration, as well as contributions to community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pedagogical repertoire was expanded, thei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gion increased, and we saw the potential to spre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ergy transition in their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e collaboration. 본 연구에서는 학교-지역사회 협력 환경교육에 참여한 교사와 활동가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A 에너지자립마을을 중심으로 협력 관계를 맺어 온 A 마을의 최 대표와 B 중학교의 김 교사, C 고등학교의 박 교사 세 사람이었다. 본 연구의 주된 현장텍스트는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과의 대화전사록이었다. 연구자들은 대화전사록을 여러 번 읽으면서 연구참여자의 경험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주제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두 부분이다. 첫 번째 부분은 연구참여자들의 협력 경험에 대한 이야기이다. 두 번째 부분은 연구참여자들의 협력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협력의 이유와 의미를 기술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협력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확대하고 둘째, 학교-지역사회 협력에 있어 학교의 리더십과 교사문화가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셋째, 교육청별로 환경교육자원 현황 자료를 만들어 이를 각급 학교와 공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